라치쉬 릴리프
Lachish reliefs라키시 부조물은 기원전 701년 라키시 공성전 중 아시리아가 유다 왕국에 승리한 이야기를 담은 아시리아 궁전의 부조물 세트이다.기원전 700년에서 681년 사이에 니네베에 있는 센나체리브 남서 궁전의 장식물로 조각된 이 부조는 오늘날 런던의 [1]대영박물관에 있으며, 박물관의 전 감독 닐 맥그리거에 의해 BBC 라디오 4 시리즈 A의 세계사 100개 유물에 21번 항목으로 포함되었다.1845-1847년에 부조가 발견된 궁전의 방은 "라치쉬 릴리프"로 완전히 덮여 있었고 폭 12미터(39피트), [2]길이 5.10미터(16.7피트)였다.아슈르바니팔의 사자 사냥은 같은 궁전에서 발견되었다.
신분증
이 부조물은 1845-1847년 당시 28세였던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에 의해 발굴되었다.세나헤립의 착좌상 위에 새겨진 비문에 대해 언급하며, 레이어드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래서 성서에서 알 수 있듯이 라키시가 세나헤립에게 포위된 실제 사진이 여기 있습니다.그는 장군들을 보내 히스기야의 공물을 요구했고, 그가 돌아오기 전에 그것을 잡았습니다.그 비문의 해석을 확인하고 왕을 식별하기 위한 가장 뛰어난 인물에 대한 증거입니다.성경의 센나헤립을 새겨넣게 했다.이 매우 흥미로운 일련의 부조물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왕, 도시, 그리고 사람들의 의심할 여지 없는 묘사, 그리고 성경에 묘사된 사건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
라야드는 그의 작품에서 "아시리학의 아버지"인 헨리 롤린슨이 성서 [4]라키쉬라는 동일성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Rawlinson은 1852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 "동시에, 니네베에 있는 센나헤립의 궁전의 벽에 가장 정교하게 그려진 라키쓰의 생포는 두 개의 이름이 Cuneiform [5]문자로 상당히 다르게 쓰여져 있기 때문에, 이 도시를 언급할 수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라야드와 다른 사람들은 롤린슨의 신원을 반박했고, 성경 속 라치쉬라는 신원이 우세했다.
이스라엘 연구원 Yigael Yadin은 묘사된 성벽과 마을의 이미지가 텔 라치쉬 발굴지 근처의 특정 지점에서 볼 수 있는 드러난 성벽과 마을에 들어맞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부조물에 나타난 묘사를 성경에서 라키쉬에 대해 쓴 묘사와 비교한 결과 [6]비슷한 것으로 밝혀졌다.
해석
라키시 정복을 둘러싼 사건들은 기원전 8세기의 유례없는 자료들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히브리 성경에는 라키시 부조물, 아시리아 설형 프리즘, 라키시 [7]고고학 발굴에 기록되어 있습니다.수도 예루살렘을 제외한 세나헤립의 유대 도시 정복은 성경, 왕기, 연대기, 이사야서에 언급되어 있다.
"나중에 앗시리아 왕 산헤립과 그의 모든 군대가 라기스를 포위하고 있을 때, 그는 유다의 히스기야 왕과 거기에 있는 모든 유다 백성들을 위해 그의 신하들을 예루살렘으로 보냈다." (전서 32장 9절)
"히스기야 왕 14년에 앗시리아의 산헤립 왕이 유다의 모든 요새화된 도시를 공격하여 점령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이사야 36장 1-2절)
그의 기록에서, 센나헤립은 비록 오늘날 포로의 수가 과장으로 널리 보여지지만, 자신이 유다의 46개의 요새화된 도시와 마을들을 파괴하고 200,150명의 포로를 잡았다고 주장했다.그는 또한 자신이 "새장 속의 새처럼"[8] 예루살렘에서 유다 왕 히스기야를 포위했다고 주장했다.그라베와 다른 학자들은 라키쉬 부조에 그려진 이 도시를 예루살렘으로 간주한다.그들은 예루살렘이 아시리아인들에게 점령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조를 조각한 니네베 출신의 예술가가 "우르살림무" 대신에 "단순히 "라키수"[9]를 첨가했다"고 지적한다.다른 작가들은 예루살렘 공성전이 실패로 끝나고 예루살렘을 [10]정복하지 못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보여졌기 때문에 라키시 부조에 묘사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부조의 규모, 궁전의 중앙방에 있는 위치, 그리고 라치쉬 부조가 센나헤립이 그린 유일한 전투 초상화라는 사실은 그가 이 전투에 부여한 중요성과 [11][12]유다에 대한 승리를 추정했음을 보여준다.

레퍼런스
- ^ "Room 10b: Assyria: Siege of Lachish". British Museum. Retrieved 2012-10-03.
- ^ "The Lachish Reliefs and the City of Lachish" (PDF). Ericlevy.com. Retrieved 2012-10-03.
- ^ 니네베와 바빌론의 유적 발견, p128
- ^ 레이어드, 129페이지 각주
- ^ 아시리아의 역사 개요: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가 니네베 유적에서 발견한 비문(1852년)에서 수집, 페이지 23
- ^ 교육기술센터 도서관(Hebrew)의 이스라엘 교수 Efal을 캡처하는 방법
- ^ "Jewish History". Coj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1-04. Retrieved 2012-10-03.
- ^ 에반스 2009, 페이지 3-4
- ^ 2003년, 페이지 293
- ^ 2003년, 페이지 295
- ^ Finkelstein 2007, 페이지 173
- ^ Thomas Nelson (1999-02-15). The King James Study Bible, KJV. Thomas Nelson. ISBN 9781418589141. Retrieved 2012-10-03.
참고 문헌
- Grabbe, Lester (2003). Like a Bird in a Cage:The Invasion of Sennacherib in 701 BC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SBN 9780826462152.
- Evans, Paul (2009). The Invasion of Sennacherib in the Book of Kings:A Source-Critical and Rhetorical Study of 2 Kings 18-19. IDC Publisher. ISBN 978-9004175969.
- Finkelstein, Israel (2007).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Israel: Debating Archaeology and the History of Early Israel: Invited Lectures Delivered at the Sixth Biennial Colloquium.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ISBN 9781589832770.
- Nelson, Thomas (1999). The King James study Bible. Liberty University. ISBN 9781418589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