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무

Lahmu
라무
Lahmu, Nineveh, 900-612 BCE.jpg
라무,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900-612년 니네베에서 온 수호신.대영박물관.
개인정보
부모님아브즈티아맛(에누마 엘리시) 또는 아누의 조상인 다리와 두리(아누 신지)
컨소시엄그의 여동생 라흐무(에누마 엘리시)
아이들.안샤르키샤르(에누마 엘리시) 또는 알랄라와 벨릴리(아누 테오가니)

라무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나오는 아포트로피아의 한 종류이다.이름은 셈어에서 유래했지만,[1] 라무는 이미 사르곤 이전 시대수메르 문헌에 존재했다.

아이콘그래피와 캐릭터

라무는 붉은 을 입고 보통 머리에 [3]6개의 곱슬머리를 한 수염을 기른 남자로 묘사된다.[2]몇몇 문헌은 라무의 [4]속성으로 을 언급한다.예술적 표현은 때때로 [5]문학에서 "벌거벗은 영웅"이라고 불립니다.

라무는 물과 관련이 있었다.그들은 일반적으로 엔키/에아의 하인(그리고 후에 그의 아들 마르두크의 하인)으로 여겨졌으며, 에리두의 그의 신전의 문지기로 묘사되었고, 아마도 아트라하시의 일부 버전에서 알려진 "바다의 수호자"로 묘사되었다.일부 문서에는 이러한 역할의 라흐무가 50개까지 나열되어 있습니다.그들은 원래 가축과 [6]야생 동물을 돌보는 것으로 믿어지는 강 정령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라무와 같은 아포트로픽 생물들은 악마로 간주되지 않았고, 사실 신화는 그들을 패배하고 뒤이어 개혁된 신들의 적으로 묘사할 수 있지만, 악마로부터 가족을 보호했다.동시에, 그들은 완전히 신성하다고 여겨지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이름은 거의 딩기르 기호 앞에 없었고 예술에서는 [7]뿔 달린 티아라(신성의 상징)를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포트로파이의 의식에서 라무는 무슈수, 바슈무(신화의 뱀의 일종), 쿠사리쿠(샤마쉬와 관련된 들소) 또는 우갈루[8]같은 다른 괴물들과 연관되어 있었다.

우주론적 존재로서

신 목록에는 아누의 조상들 사이에 여성 상대물(라무)과 함께 원초적인 두리와 다리(영원함)와 다른 그러한 인물들과 알라, 벨릴리 [9]에 있는 단일한 라무가 나타나기도 한다.메소포타미아 원생 생물과 악마의 기원과 발달을 전문으로 하는 아시올기스트 프란스 위그만은 이 전통이 [10]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라흐무와 라흐무는 이 맥락에서 반드시 형제자매는 아니다.몇몇 신 목록에 있는 엔릴이나 아누의 신성한 조상들의 긴 목록은 적어도 때때로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숭배하는 신들이 근친 관계의 [11]산물이 아님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나중에 편찬된 에누마 엘리쉬에서 라무는 압주티아맛의 장남이다.그와 그의 여동생 라사무는 안샤르키샤르의 부모이며, 아누의 부모이며, 따라서 이 특정한 [12]신학에 따르면 에아와 마르두크의 조상이다.둘 다 마르두크가 [13]승리한 후 그에게 3개의 이름을 붙인다.하지만, 아마도 우주론적인 것이 아니라 아포트로파틱과 같은 종류인 라무는 티아맛의 [14]괴물들 사이에서도 나타난다.

에누마 엘리시의 단편적인 아시리아어 개서에서는 마르두크를 안샤르와 같은 아슈르로 대체하고, 라무와 라무는 에아/엔키와 담키나를 대체했다.윌프레드 G. 램버트[15]그 결과를 "마둑의 역할을 그의 증조할아버지의 탓으로 돌림으로써 줄거리를 혼란에 빠뜨린다는 점에서 완전히 피상적"이라고 묘사했다.

반증 이론

19세기와 20세기 초의 작가들은 라무가 황도대, 모항성 또는 [16][17]별자리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레퍼런스

  1.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년, 페이지 164-165
  2.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례문, 1992, 54페이지 54
  3.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 텍스트, 1992, 페이지 13
  4.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년, 페이지 49; 86
  5.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 페이지 xi
  6.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년, 페이지 164-166
  7.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 텍스트, 1992, 페이지 165
  8.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 페이지 143-145
  9. ^ W. G. 램버트, 바빌로니아 창조 신화, 2013, 페이지 424
  10.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년, 페이지 154-155
  11. ^ W. G. 램버트, 바빌로니아 창조신화신학, 2013년 페이지 389: "이 두 가지 [신화]의 역사는 때때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었던 근친상간의 암시를 피하기 위해 상당히 구체적으로 조치가 취해졌음을 보여준다."
  12. ^ W. G. 램버트, 바빌로니아 창조 신화, 2013, 페이지 417
  13. ^ W. G. 램버트, 바빌로니아 창조 신화, 2013, 페이지 119
  14. ^ F. 비게르만, 메소포타미아 수호령: 의식서, 1992, 페이지 145-150
  15. ^ W. G. 램버트, 바빌로니아 창조 신화, 2013, 페이지 4-5
  16. ^ Hewitt, J.F.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yth-Making Age. p. 85.
  17. ^ W. King, Leonard. Enuma Elish Vol 1 & 2: The Seven Tablets of Creation; The Babylonian and Assyrian Legends Concerning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of Mankind. p. 78.

원천

  • Michael Jordan, 신들의 백과사전, Kyle Cathie Limited, 2002
  • 블랙, 제레미 앤 그린, 앤서니, 신들, 악령과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상징들, 오스틴 텍사스 대학 출판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