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
Las Vegas Beltway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 | ||||
---|---|---|---|---|
브루스 우드베리 벨트웨이 | ||||
적색 215번 주간고속도로, 청색 215번 지방도 | ||||
경로 정보 | ||||
보조로15번길 | ||||
NDOT 및 Clark County 공공 사업에서 유지 관리 | ||||
길이 | 50mi[1](80km) I-215: 12.8마일(20.6km)[2] CC 215: 37.2마일(59.9km) | |||
존재했다 | 1993년 4월 17일-현재 | |||
구성 요소 고속도로 | ![]() ![]() | |||
주요 접점 | ||||
라스베이거스 주변의 벨트웨이 | ||||
CCW 끝 | ![]() ![]() ![]() ![]() ![]() | |||
CW 끝 | ![]() ![]() | |||
위치 | ||||
카운티 | 클라크였다. | |||
고속도로 시스템 | ||||
|
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공식 명칭: 브루스 우드베리 벨트웨이)는 네바다주 남부 라스베이거스 계곡의 4분의 3을 도는 50마일(80km)의 벨트웨이 노선이다. 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는 두 개의 숫자 지정을 가지고 있다. 헨더슨 서북부의 11번 주간 고속도로/인터스테이트 515/미국 국도 93/미국 국도 95호선에서 15번 주간 고속도로까지 약 12.8마일(20.6km)의 고속도로가 215번 주간 고속도로(I-215)로 서명되고 네바다 교통부가 정비한다.[2] 클라크 카운티 215번 국도(CC 215)는 이 반순환 고속도로의 나머지 37.2마일(59.9km)을 구성하고, 카운티 공공사업부는 모든 건설과 유지관리를 책임진다.
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는 현재 고속도로와 중간 고속도로의 두 가지 다른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웨이는 현재 헨더슨에 있는 I-11/I-515 인터체인지에서 라스베이거스 북서쪽에 있는 미국 95번지 바로 서쪽으로 가는 고속도로다. 나머지 벨트웨이는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가 혼합되어 있으며, 고속도로 구간 중 몇 개가 주간 고속도로 표준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그 벨트웨이는 클라크 카운티에 의해 계획되고 건설되었다. 이것은 미국에서 처음으로 주 또는 연방 자금 지원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주간 고속도로 건설을 국가가 감독한 것이다. 고속도로로 완전히 업그레이드되면, 벨트웨이의 CC 215 부분이 I-215로 재지정되고 시설 전체가 네바다 교통부로 넘겨져 정비를 받게 된다.[3]
경로 설명
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는 헨더슨에서 서행 주 564호선(레이크 미드 파크웨이)의 교통이 서행 I-215로 기본 설정되는 I-11/I-515/US 93/US 95 인터체인지에서 시작된다. 여기서부터 벨트웨이는 주로 옛 레이크 미드 드라이브(Lake Mead Drive) 정렬을 따라 서쪽으로 페코스 로드/세인트 로즈 파크웨이(SR 146) 인터체인지로 간다. 그리고 나서 이 고속도로는 맥카란 국제공항을 향해 북서쪽으로 구부러진 후 서쪽으로 돌아서 라스베이거스 대로와 I-15 밑으로 건넜다.
고속도로가 I-15를 통과함에 따라 고속도로는 고속도로에서 군 고속도로로 바뀌며 거의 서쪽으로 향하면서 여전히 고속도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디케이터 대로를 지나면 고속도로 양쪽에 편도 전방 도로 두 곳(이전에는 초기 벨트웨이 설비를 실어 나르던 곳)이 나타난다. 듀랑고 드라이브에서는 도로가 북쪽으로 굽는다. 고속도로가 트로피카나 애비뉴에 이르면 앞길이 끝나지만, 고속도로는 잠시 서쪽으로 갔다가 다시 북쪽으로 이어져 레드락 캐년 부근 찰스턴 대로(SR 159)를 가로지른다. 서머린(라스베이거스 시의 일부분)의 커뮤니티를 통해 북부를 지나면서 최근 업그레이드된 시스템 인터체인지에서 서머린 파크웨이 고속도로와 만난다.
여기서부터 고속도로는 라스베이거스 서쪽 기슭을 따라 북쪽으로 계속 이어져 론 마운틴의 뒤를 지나간다. 곧이어 벨트웨이가 동쪽으로 커브를 돌면서 고속도로(미국 95번 남쪽, 오소 블랑카 로드, 스카이 푸인트 드라이브)로 내려가는 구간은 듀랑고 드라이브 인터체인을 지나 현재 건설 중인 인터체인지에서 미국 95번과 교차한다. 거기서부터 벨트웨이는 디케이터 대로 북 라스베이거스 북부로 들어가기 전에 센테니얼 파크웨이의 정렬을 따라 거의 동쪽에 있는 고속도로로 계속된다. 거기서 다시 동쪽으로 돌기 전에 알리안테의 대규모 개발 지역을 지나 북동쪽으로 선회한다. 여기서 출발하는 노선의 마지막 몇 마일 대부분은 북 5번가의 인터체인지 근처를 제외하고 미개발 토지에 있다. 이 벨트웨이는 남동쪽으로 회전하기 전에 로스테 로드, 노스 페코스 로드, 노스 람 대로에 추가 교체가 있고 라스베이거스 모터 스피드웨이 서쪽의 등급 다이아몬드 교환소에서 I-15, US 93, 트로피컬 파크웨이에 시계방향 종단점에 도달한다.
역사
AASHTO는 1993년 4월 17일 트로피카나 애비뉴에서 US 95(I-515)까지 (당시 건설되지 않은) 고속도로의 약 18.9마일(30.4km)에 대해 I-215 지정을 승인했다.[4] 결국 건설되었을 때, 벨트웨이의 이 특정 부분의 길이는 19.59마일(31.53km)이다.

대부분의 벨트웨이는 지역 자금으로 완전히 건설되었고 고속도로에서 고속도로로 업그레이드하는 고속도로는 주 또는 연방 자금 없이 계속 건설되어 왔다(I-515 상호 교환 업그레이드 제외). 군민들에 의해 의결된 세법안이 그 벨트웨이에 대한 자금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기존 목표였던 2025년이 아닌 2013년까지 고속도로로 전면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됐다.[5] 그러나, 현재 이 목표일은 적어도 몇 년은 지난 것으로 보인다.

I-215의 제1구간은 1996년 매카란 공항 커넥터와 터널을 포함한 I-15에서 웜스프링 로드까지의 교통에 개방되었는데, 이 터널은 운전자들이 주요 여객터미널에 접근하기 위해 트로피카나 애비뉴나 러셀 로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맥카란 국제공항을 라스베가스 남부 메트로에 연결시켰다. 벨트웨이의 남동쪽 다리(I-515 연결 제외)는 1999년 예정보다 일찍 완공되었으며, 북쪽 끝은 1998년 디케이터 대로에서 2000년까지 트로피카나 대로까지 연장되었다. 벨트웨이의 서쪽 다리와 북쪽 다리의 나머지 구간은 2003년까지 완성되었다. – 최종 완전 자유도 모드 또는 두 개의 덜 중간 구성 중 하나.
I-215는 6번 출구 바로 동쪽에 있는 지점(성 로즈 파크웨이/페코스 로드)과 마일 0번(미드 파크웨이 호수에서 주간고속도로 515/미국 국도 93/미국 국도 95번 교차로, 전에는 레이크 미드 드라이브로 알려져 있음) 사이에 146번 국도에 건설되었다. 네바다 교통부(NDOT)는 주간 고속도로를 따라 주 노선에 공동 서명하지 않기 때문에 SR 146은 현재 동부 종착역인 I-215로 잘렸다. SR 146은 고속도로가 완공되었을 때 주 고속도로 명칭이 더 이상 이 구간에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Pecos Road에서 I-515/US 93/US 95까지 I-215와 공동 서명되었다. SR 146 기호는 I-215에서 제거되었다.
2003년에 고속도로, 제한 접근 고속도로, 임시 전방 도로 등 세 가지 도로 유형이 있지만 전체 길이 81.3km의 벨트웨이가 개통되었고, 새로 개통된 모든 구간은 카운티 215번 도로로 지정되었다. 2006년 8월 9일 이전에 건설된 두 개의 고속도로 부분을 연결할 수 있는 고속도로 구간이 완공되었다. 이는 I-515/SR 564 종점부터 찰스턴 대로까지 전체 도로 주행거리의 약 절반으로 구성된 도로가 현재 고속도로 표준까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통 건설 산업에 기술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국적인 발행물인 로드 앤 브릿지지는 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를 2002년 국내 10대 도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했다.
2004년 3월 2일 열린 카운티 위원회 회의에서, 벨트웨이는 브루스 우드베리 벨트웨이(Bruce Woodbury Beltway)로 개칭되었다.[6] IASB는 공화당 클라크 카운티 위원인 브루스 L을 인정하는 결의안을 승인하였다. 우드버리는 오랜 세월 동안 계곡에서 교통수단의 미래를 위해 노력했다.
최근 및 향후 개선 사항
북 5번가 인터체인지 건설이 완료되어 2011년 9월에 교통이 완전히 개방되었다. 사업 범위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북부 5번가 교차로 북쪽 벨트웨이를 따라 도로, 교량, 배수, 유틸리티 개선 등이 포함됐다.[7] 2012년 착공해 2014년 완공된 클라크 카운티 공공사업부에 의해 테나야웨이와 디케이터 대로 사이에 북쪽의 벨트웨이 구간이 건설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CC를 215개에서 4개 차선으로 확장시켰고, 존스와 디케이터 대로에 2개의 새로운 인터체인지와 브래들리 로드를 고속도로에 실어 나르는 새로운 다리를 건설했다. I-15와 윈드밀 레인이 개량되면서 계곡의 남쪽 지역에서도 벨트웨이에 대한 개선이 완료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매카란 공항 커넥터는 물론 파라다이스, 웜스프링, 로빈데일 도로의 I-215에 걸쳐 4개의 다리를 확장하는 것을 포함했다.[8] 또한 2014년부터 2016년 가을까지 디케이터 블vd에서 노스 5번가까지의 벨트웨이가 건설되었다. 리비어 가의 예상 연장을 위한 다리가 새로 건설되었고 그 도로는 디케이터 대로에서 북5가까지 왕복 4차선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
215번 벨트웨이의 건설 프로젝트에는 크레이그와 후알라페이 사이의 도로를 론 마운틴 로드와 앤 로드의 상호교체가 있는 4차선 고속도로로 개조하고 센테니얼 파크웨이를[9] 위한 등급 분리 그리고 맥카란 공항 커넥터 2 프로젝트를 통한 맥카란 공항 커넥터의 추가 개선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북서쪽 계곡에 있는 벨트웨이와 미국 95번 고속도로 사이의 센테니얼 볼 시스템 교환의 단계적인 건설이 계속되고 있다. NB 95 ~ EB 215 램프는 2016년 5월 28일에 완공되었다. WB 215에서 SB 95 플라이오버 램프는 2017년 7월 12일에 개통되었다. 또한 센테니얼 볼 인터체인지 건설의 일환으로 두랑고 드라이브와 테나야 웨이 사이의 벨트웨이가 넓어질 것을 예상하여 몬테시토 파크웨이 위로 확장된 다리도 완공되었다.[8]
2019년 8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북부 로제로드, 노스페코스 로드, 노스양 대로 인터체인지 공사가 시작됐다. 로제 도로와 북페코스 상호교체가 모두 완료되어 2020년 3월 3일에 교통에 완전히 개방되었고, 북양 대로 교류가 완료되어 2020년 4월에 교통에 완전히 개방되었다. 교차로 변경은 모두 2006년에 개통된 교통신호가 있는 급경사 분할 교차로였다.[10][11] 현재, 북쪽 종착지에 CC-215와 I-15 사이의 업그레이드된 교환과 함께 레인지 Rd 교환이 건설되고 있다.
종료 목록
전 노선은 클라크 카운티에 있다.
위치 | mi | km | 퇴장 | 목적지 | 메모들 | |
---|---|---|---|---|---|---|
헨더슨 | 0.00 | 0.00 | ![]() | I-11을 넘어 계속 | ||
1 | ![]() ![]() ![]() ![]() | 동부 종착역; I-11 출구 23; 2006년에 시스템 교환 변환 완료; 이전의 I-515 남쪽 | ||||
2 | 깁슨로 | 2000년 4월 29일 개업,[4] 2006년 상호 교환 완료 | ||||
3A | 스테파니 스트리트 | 서행 3번 출구로 서명됨 | ||||
3B | 발레 베르데 드라이브 | |||||
5 | 그린밸리파크웨이 | |||||
헨더슨-파라다이스 선 | 6 | ![]() | ||||
파라다이스 | 7 | 동부대로 | ||||
8 | 윈드밀 레인 | |||||
9 | 온수림길 | |||||
10 | ![]() | 서명되지 않은 SR 171(McCarran Airport Connector)을 통한 액세스, 1995년[4] 12월 31일 개통 | ||||
엔터프라이즈 | 11 | 라스베이거스 대로 | Eastbound 출구는 12B 출구의 일부임; 이전 SR 604/US 91/US 466 | |||
12 | ![]() | CC 215의 종단부 및 I-215의 서부 종단부의 CCW 종단부, 12A(남) 및 12B(북) 동행 출구로 서명하고 12A(북) 및 12B(남) 서행 출구로 출구, I-15 출구 34 | ||||
13 | 디케이터 대로 | |||||
14 | 존스 대로 | 1999년[12] 11월 11일 개관 | ||||
엔터프라이즈-스프링밸리 선 | 15 | 레인보우 대로 | ||||
스프링밸리 | 16 | 버팔로 드라이브 | 2006년 개업 | |||
17 | 두랑고 드라이브 / 일몰로 | 서행 출구 및 동행 입구, 2006년 개통 | ||||
기본 방향 변경: 남부 다리(서동) / 서부 다리(북남)[a] | ||||||
18 | 선셋길 / 듀랑고 드라이브 | 남행 출구 및 북행 입구, 2006년 개통 | ||||
19 | 러셀 로드 | 2006년 개업 | ||||
20 | 트로피카나 애비뉴 | |||||
21 | 플라밍고길 | |||||
서머린 남방 | 23 | 타운 센터 드라이브 | SPUI는 2005년 개국 | |||
25 | 사하라가 | 2000년[12] 개업 | ||||
서머린 사우스-라스베이거스 선 | 26 | ![]() | ||||
라스베이거스 | 27 | 파힐스 애비뉴 | 2009년 말 건설된 인터체인지 | |||
28 | 서머린 파크웨이(SR 613) | 2009년 말 부분 시스템 교환으로 재구성 | ||||
29 | 메이드 대로 호 | SPUI(2008년 8월 완료,[14][15] 2008년[16] 11월 21일 개장) | ||||
30 | 샤이엔 애비뉴 / 절벽 그림자 파크웨이 | 인터체인지[17] 2007년 10월 30일 개업 | ||||
32 | 론산길 | 2018년 개업한 인터체인지 | ||||
33 | 앤 로드 | |||||
기본 방향 변경: 서부 다리(북-남), 북부 다리(동-서)[a] | ||||||
35 | 후라페이웨이 | 2003년 개업한 인터체인지 | ||||
37 | 듀랑고 드라이브 | |||||
38 | ![]() | 상호 교환(중간 구성), 남향 US 95에서 CC 215로의 접근 금지, US 95 출구 91 | ||||
고속도로의 동쪽 끝 | ||||||
![]() ![]() | 임시 교차로, 버팔로 드라이브 및 센테니얼 파크웨이 접근권 | |||||
고속도로 서쪽 끝 | ||||||
40 | 존스 대로 | 2014년 개업한 인터체인지 | ||||
라스베이거스-노스 라스베이거스 선 | 41 | 디케이터 대로 | 2013년 오픈한 인터체인지 | |||
노스 라스베이거스 | 43 | 알리안테 파크웨이 | 2008년 개업한 인터체인지 | |||
45 | 리비어 스트리트 | 인터체인지 2016년 10월 완공됐지만 2018년까지는 통행로가 개방되지 않았다.[18][19][20] | ||||
46 | 북송로5번길 | 2009년 동부간선도로 개통, 2011년 9월 전면교체 개통 | ||||
47 | 로제길 | 2006년에 임시 교차로가 개통되었다. 2020년[10] 3월 3일 개업 | ||||
48 | 페코스 로드 | 2006년에 임시 교차로가 개통되었다. 2020년[11] 3월 3일 개업 | ||||
49 | 람부 대로 | 2006년에 임시 교차로가 개통되었다. 2020년[11] 4월 개업 | ||||
고속도로의 동쪽 끝 | ||||||
레인지 로드 | 임시 교차점 | |||||
51 | ![]() ![]() | 교환(인터임 구성), CC 215의 CW 종단, I-15 출구 52 | ||||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메모들
참조
- ^ Google (June 4, 2021). "Overview of Las Vegas Beltway"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June 4, 2021.
- ^ a b Neva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January 2021). "State Maintained Highways of Nevada: Descriptions and Maps". Retrieved May 31, 2019.
- ^ "The projected date for finishing the Las Vegas Beltway?". Las Vegas Sun. January 27, 2009. Retrieved December 12, 2019.
- ^ a b c "I-215 Nevada". 3-Digit Interstates. Kurumi.com. Retrieved July 24, 2007.[자체 분석 소스]
- ^ "Interstate 215 / Clark County 215 - Bruce Woodbury Beltway". AARoads. June 23, 2018. Retrieved April 3, 2020.
... This upgrade was previously scheduled for completion in 2013, but portions of the northern beltway remain at-grade. ...
[자체 분석 소스] - ^ Department of Public Works. "Bruce Woodbury Beltway" (PDF). Clark Coun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anuary 12, 2015. Retrieved July 3, 2008.
- ^ "Las Vegas Construction Project". PBTP Construction division Las Vegas. November 30,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5, 2016. Retrieved January 12, 2015.
- ^ a b Staff. "Clark County 215 Beltway". Clark County. Retrieved April 25, 2012.
- ^ "Northwest Beltway construction to run until spring 2018". March 10, 2016.
- ^ a b "Losee Road Is Back Open At CC-215". KXNT-AM. March 3, 2020. Retrieved May 13, 2020.
- ^ a b c "Pecos Road at 215 Interchange reopens". FOX5 Las Vegas. Retrieved May 13, 2020.
- ^ a b "Las Vegas Beltway". Western Roads. AARoads. Retrieved July 24, 2007.[자체 분석 소스]
- ^ Google (September 17, 2020). "Las Vegas Beltway"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September 17, 2020.
- ^ McCabe, Francis (July 16, 2008). "Road Warrior Q&A: Interchange opening moved up to 2010". Las Vegas Review-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 2016. Retrieved August 14, 2008.
- ^ "An interchange collecting dust". Las Vegas Review-Journal. August 3,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Editorial) on March 4, 2016. Retrieved August 14, 2008.
- ^ "Lake Mead-Beltway interchange opens". Las Vegas Review-Journal. November 21, 2008. Retrieved November 21, 2008.
- ^ 8 News Now at 5. Las Vegas: KLAS-TV. October 30, 2007.
- ^ McCabe, Francis (March 25, 2009). "Road Warrior: Fifth Street bridging Beltway". Las Vegas Review-Journal. Retrieved April 8, 2009.
- ^ Obilor, Demetria (April 4, 2016). "Driving You Crazy: Never-ending construction along the north Beltway". LasVegasNOW. Las Vegas: KLAS-TV. Retrieved June 17, 2016.
- ^ Marroquin, Art (September 10, 2017). "Memo to Nevada motorists: License plates aren't optional". Las Vegas Review-Journal. Retrieved September 23, 2017.
외부 링크
경로 지도:
KML 파일(편집 • 도움말) |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라스베이거스 벨트웨이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