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와 레자로스

Rich man and Lazarus
생라자로스
Meister des Codex Aureus Epternacensis 001.jpg
레자로스와 디브, 11세기 코덱스 아우레우스자리 에흐테르나흐의 조명
상단 패널: 부자의 문 앞 레자로스
중간 패널: 라자루스의 영혼은 두 천사에 의해 천국으로 운반된다; 아브라함의 품에 안겨 있는 라자루스는
아래쪽 패널: 디브의 영혼은 사탄에 의해 지옥으로 옮겨지고, 디브는 하데스에서 고문을 당한다.
다음에서 존경됨로마 가톨릭교회
잔치6월 28일
단골손님나병, 나병, 나병, 성 레자로스 훈장

부자와 레자로스(Dives and Lazarus의 이야기라고도 함)는 예수님이 루크의 복음서등장하는 이야기다.

이야기 (루케 16:19–31)에서 예수는 청중들, 즉 그의 제자들과 몇몇 바리새파 사람들에게 생후와 사후, 이름 없는 부자와 레자로스라는 이름의 가난한 거지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통적인 이름인 디브는 실제로 이름이 아니라 라틴어 성경인 벌게이트에 나오는 "부자"[1]뜻하는 단어다.[2] 이 부자는 또한 3, 4세기에 Neuross (즉, 니네베)[3]Fineas (즉, 피네아스)[4]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

처녀, 탕자,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와 함께,[5] 후세에 대한 생생한 설명 때문인지 중세 미술에서 가장 자주 묘사되는 이야기 중 하나였다.

텍스트

사전 준비 주기부터 Eadwine Psalter, Morgan Library Leaf M.521(오토), English c. 1160년대까지의 세부사항

어떤 부자가 있었는데, 그는 보라색과 고운 린넨으로 옷을 입고, 날마다 아주 진하게 옷을 입고 있었다. 라자로스라는 어떤 거지가 그의 문 앞에 놓여 있었다. 그 거지는 상처투성이였다. 그리고 그 부자의 식탁에서 떨어진 부스러기를 먹고 싶어했다. 예, 개들까지도 와서 그의 상처를 핥았다. 그리고 그것은 지나가게 되었고, 거지가 죽었고, 천사들에게 떠밀려 아브라함의 품으로 들어갔으며, 부자도 죽고, 묻혔다. 하데스 안에서 그는 눈을 들어, 괴로워하며 아브라함을 멀리 떨어뜨리고, 라자루스를 품 안에 가두었다. 예수께서 울면서 말씀하셨다. 아브라함 신부님, 나를 불쌍히 여기시고, 레자로스를 보내셔서, 손가락 끝을 물에 담그시고, 내 혀를 식히시라고 하셨다. 내가 이 불꽃 속에서 괴로워하고 있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말하였다. `아들아, 너는 네 생전에 네 선한 것을 받았구나. 그리고 레자로스는 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받았구나. 그러나 이제 아브라함은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뇌 속에서 예술을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 말고도, 우리와 당신 사이에는 커다란 간극이 고정되어 있는데, 그것은 지금으로부터 당신에게 전해질 수도 없고, 아무도 그 때로부터 우리에게 건너갈 수도 없다.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아버지, 나는 아버지께 기도한다. 아버지께서는 아버지께 그를 아버지 집으로 보내 주시기를, 나는 다섯 명의 동료를 두고 있다. 아버지께서는 그들에게 증언하여, 그들이 이 고뇌의 장소에 함께 오지 않도록 하십시오. 그러나 아브라함 새스, 그들은 모세와 예언자들을 데리고 있으니, 그들에게 들려 주어라.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아니야, 아버지 아브라함아, 그러나 죽은 자 가운데서 한 사람이 그들에게 가면, 그들은 회개할 것이다.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모세와 예언자들의 말을 듣지 않으면, 죽은 자 가운데서 한 사람이 살아나더라도, 그들 역시 설득되지 않을 것이다.

해석

부자와 레자로스의 구스타브 도레 삽화.

부자와 레자로스의 이야기의 역사성과 기원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6]

이 이야기는 루크에게 독특하며 가상의 Q 문서에서 나온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1]

문자 그대로의 역사적 사건으로서

일부 기독교인들은 이 이야기를 비유가 아닌 예수가 추종자들과 관련이 있는 실제 사건으로 보고 있다.[7][8]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이야기에서 중요한 세부사항을 지적한다: 개인 이름(라자루스)의 사용은 다른 어떤 우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모든 비유에서 예수는 '어떤 사람', '수염자' 등과 같이 서술에 의한 중심인물을 가리킨다.[9]

예수님이 만드신 우화로서

다른 기독교인들은 이것이 예수가 창조한 우화라고 생각하고 그의 추종자들에게 말했다.[10] 톰 라이트[11] 요아힘 예레미아스[12] 둘 다 그것을 "비유적"으로 취급한다.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라자루스와 부자의 이야기는 언어와 내용 모두에서 합의된 비유인 다른 이야기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수님은 대사제나 사두개인을 상대로 우화를 쓰셨습니다.

스티븐 콕스는 예수의 목회 기간 중 하이 프리스트 카아파스(18-35)와 함께 부자임을 확인했다.[13] 콕스는 카이아파스가 부자였을 뿐만 아니라, 보라색과 고운 린넨을 착용한 것이 하이 프리스트로서의 지위를 나타낸다고 지적한다. 게다가 콕스는 부자의 다섯 형제와 카이아파의 다섯 형제(안나스의 아들들)를 동일시하고 있는데, 그는 또한 대제사장직을 역임했으며, 콕스에 따르면 모세와 예언자들이 쓴 글을 무시하고 있었다고 한다.[14]

비슷한 설명은 사두세인에 대한 풍자로 비유를 간주한다. 리치맨은 콕스와 비슷한 선에서 사두세인으로 확인되는데, 리치맨의 고급 복장을 지적하고 그의 다섯 형제를 안나스의 다섯 아들로 식별했다. 찬성론자들은 또한 "모세와 예언자를 듣지 않으면, 죽은 자 가운데서 한 사람이 살아나더라도, 그들은 설득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한 아브라함의 진술이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한 불신뿐 아니라 성경의 예언서에 대한 사두세인들의 거부에도 들어맞는다는 점에 주목한다.[15][16][17] 이 설명은 1860년대~1890년대 프랑스에서 아바 드루 화보 성경 노트에 수록되어 대중화되었다.[18]

루터: 양심의 비유

마틴 루터는 이 이야기는 이 삶의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우화이며, 말 그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사후세계의 세부사항이라고 가르쳤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브라함의 품이 하나님의 말씀 이외에는 다른 의미가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여기서 언급된 지옥은 심판의 날에 시작될 참된 지옥이 될 수 없다. 부자의 시체는 의심의 여지없이 지옥에 있는 것이 아니라 땅에 묻힌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곳은 영혼이 있을 수 있고 평화가 없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육체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내게는 이 지옥이 양심이요, 믿음도 없고 하나님의 말씀도 없는 것 같으며, 영혼은 심판의 날까지 묻히고 참된 지옥과 참된 지옥으로 몸과 영혼을 내동댕이쳐지는 것이다.(목회 1522–[19]23)

라이트풋: 바리새파 사람들과의 비유

1886년 표도르 브론니코프의 부자의 문에서 본 라자루스 그림.

존 라이트풋(1602–1675)은 이 우화를 아브라함의 품속에 관한 바리새인의 신앙을 패러디한 것으로 취급했으며, 부자의 가족은 비록 우화인 라자루스가 길러져도 믿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아브라함의 연결에서, 제사장들이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지 못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음과 같이 취급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가 유대인의 배신을 어떻게 가리키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후에도 그는 다시 살아날 것이다. 언제부터 이 우화의 설계와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판단하기 쉽다.(탈무드와 헤브라카, 제3권)[20]

동반성경에 나오는 E. W. 불링거는 라이트풋의 말을 인용하여,[21] 역사적 라자루스의 부활에 대한 믿음 부족(요 12:10)으로 우연의 일치까지 확대했다. 블링거는 루크가 이 구절이 사후세계의 관점을 패러디한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에 '비유'로 파악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바빌론에서 가져온 바리새파 전통의 주목할 만한 예를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은 우화라고 불리지 않는다.[22]

페리: 새 언약의 비유

사이먼 페리는 그 비유('엘레아저'의 약칭)의 라자루스가 아브라함의 종인 다마스쿠스의 엘리제르를 가리킨다고 주장해 왔다. 1세기 유대인에게 친숙한 기본적 언약문인 창세기 15에서 신은 아브라함에게 "이 사람은 당신의 후계자가 될 수 없다"고 말한다(15:4). 페리는 이것이 라자루스가 아브라함의 인지된 후손의 문 밖에 있는 이유라고 주장한다. 라자루스를 아브라함의 품으로 초대함으로써 예수는 언약의 본질을 재정의하고 있다. 부자는 왜 라자루스를 아브라함의 종으로 추정하는지 설명하기도 한다.[23]

애프터라이프 교리

제임스 티소트가 괴롭힌 부자의 묘사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영혼의 불멸특정한 판단력을 믿고 그 이야기가 그것과 일치한다고 보거나, 심지어 세인트처럼 이러한 교리를 확립하기 위해 참고하기도 한다. 이레나에우스는 그랬다.[24] 다른 사람들은 이 우화의 요점은 이 삶에서 신성한 부자들에게 회개의 필요성을 경고하는 것이었고 예수는 사후 생명에 대한 예언을 할 의도가 없었다고 믿는다.[25] 이 우화는 이 특별한 경우에 지옥에 있는 자의 영혼을 위해 죽은 후에도 정체성과 기억력이 모두 남아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26]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과 후일 성도들은 이 이야기를 의로운 자와 정의롭지 못한 자가 모두 죽은 자의 부활을 기다리는 하데스에 대한 믿음과 일치한다고 본다. 서양 기독교인들은 보통 라자루스를 천국이나 천국에 있고 지옥에 있는 부자로 해석한다. 림보 상태에 대한 믿음은 덜 흔하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영혼의 죽음("기독교 모탈리즘" 또는 "소울 수면")과 일반적인 판단("최후의 심판")만을 믿는다. 견해는 E. W. Bullinger와 같은 일부 영국인들이 갖고 있다.[27] 영혼의 죽음과 일반적 판단의 지지자들, 예를 들어 재림 기독교인, 조건론자, 7일 재림론자, 여호와의 증인, 크리스타델피안스, 기독교 보편주의자들은 이것이 아브라함의 품격의 유대인 견해의 틀을 이용한 비유이며, 은유적이며, 이에 대한 결정적인 가르침이 아니라고 주장한다.그는 여러 가지 이유로 중간 상태를 유지했다.[28][29] 요한계시록 20장 13절–14절에서 하데스는 그 자체가 죽은 자에게서 비운 후 "불의 눈물"에 던져진다.[30]

문학적 증명과 유산

유대인 소식통

사실 우리는 그 가르침의 배경이 아마도 비성경적 출처에서 발견되는 사례들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I. Howard Marshall, The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The Gospel of Luke, p. 634

예를 들어 G. B. 케어드, [31]요아힘 예레미아스,[32] 마샬,[33] 휴고 그레스만 등 일부 학자들은 <부자와 레자로스>의 기본 줄거리를 시-오시리스에 관한 이집트 민담에서 발전한 유대인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암시한다.[34][35][36] 리차드 바우컴은 확신하지 못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37]

어쨌든 [예수]는 [이집트와 유대인 이야기에서도 발견되는 모티프]를 사용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냈는데, 이는 전체적으로 현존하는 어떤 다른 이야기와 같지 않다……[물론] 다른 이야기에서 그들이 기능하는 방식과 비교하는 것은 우화 속에서 그들의 기능을 부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부자와 가난한 자의 이집트인과 유대인의 이야기와 유사하고 대비되는 것은 교훈적일 수 있다...[38]

스티븐 콕스는 이 비유가 모방할 수 있다는 유대 신화의 다른 요소들을 강조한다.[39][40]

초기 기독교와 중세 전통의 유산

라자루스의 프레스코와 라일라 수도원의 부자.

로마의 히폴리토스(ca) AD 200)은 하데스를 의인의 영혼에 대한 아브라함의 가슴, 악인의 영혼에 대한 불타는 고통, 그리고 그들 사이의 틈바구니 등 비슷한 세세한 내용으로 묘사하고 있다.[41] 그는 하데스의 불을 요한계시록에 묘사된 불의 호수와 동일시하지만, 실제로 그 불 속에 던져지는 사람은 종말까지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라틴어 서술이 디브("부자"를 뜻하는 라틴어)를 그의 고유 이름으로 취급한다. 다이브. 이탈리아에서는 설명 에풀론('반케터'를 뜻하는 이탈리아어)도 적절한 이름으로 사용된다. 두 서술 모두 함께 나타나지만, 적절한 이름은 아니다. 피터 크라이슬로고스의 설교 Divite epulone(라틴어 "부자 연회에 대하여")에는 "자줏빛과 고운 린넨으로 옷을 입고 매일 호화롭게 잔치를 벌이는 부자가 있었다"라는 구절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중세에 이르러서는 비유가 아닌 사실에 입각한 것으로 취급하면서 정교한 형태로 자주 전해지게 되었다. 레자로스는 나환자 수호성인으로 추앙받았다.[42] 12세기에 예루살렘 왕국십자군들은 성 라자루스 훈장을 세웠다.

Bourges - Cathédrale - Vitraux -39.jpg

그 이야기는 종종 예술, 특히 교회의 포탈에서 조각된 것으로, 거지가 앉아 있는 밑바닥(예를 들어 모이삭툴루즈 생세린에서)에서 그들의 대의명분을 간청하면서 보여졌다. 부르주 대성당에는 스테인드글라스 창이 남아 있다.[43]

로마 카톨릭 교회의 라틴어 재판에서는 고인이 성당에서 장례로 옮겨질 때 인 파라디섬의 말이 때때로 외쳐지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Corus Angelorum te suscipiat..."라는 애원이 포함된다. et cum Lazaro Quondam paupere aetternam habeas requiem" (천사의 대열이 당신을 받기를... 그리고 한때 가난했던 Lazarus와 함께 영원한 휴식을 갖기를")

베다니의 라자루스와의 교화

요한복음에는 '라자루스'(히브리어에서: אלזרר, elʿár, Eleazar, "신은 나의 도움이다")[26]라는 이름도 나타나는데, 요한복음에서는 예수가 죽은 지 나흘 만에 베다니의 라자루스부활시킨다.[44][45]

역사적으로 기독교 내에서는 비유의 라자로스(최우수 6월 21일)와 베다니의 라자로스(최우수 12월 17일)가 가끔 교회를[citation needed] 혼란에 빠뜨렸고, 일부 교회는[clarification needed] 베다니의 라자로스와 관련된 날짜인 12월 17일에 그 거지와 연관된 개의 축복을 축하했다.[46]

부르고뉴와 프로방스의 포털에 새겨진 로마네스크의 우상화는 그러한 분열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를 들어, 성당 서쪽 포탈에서 말이다. 아를레스트로피타임, 거지 라자루스는 성 라자루스로 불리어진다. 비슷한 예가 베젤레이의 중앙 포탈인 아발론 교회와 오툰 성당의 포탈에서 발견된다.[47]

문학과 시에서

제프리 초서소환사는 "다이브와 레자로스는 다르게 살았고, 보상은 달랐다"[48]고 관측한다.

In William Shakespeare's Henry IV, Part 1, Sir John Falstaff alludes to the story while insulting his friend Bardolph about his face, comparing it to a memento mori: "I never see thy face," he says "but I think upon hell-fire and Dives that lived in purple; for there he is in his robes, burning, burning" (III, 3, 30–33). 헨리 5세의 팔스태프의 죽음을 회상할 때 하늘에서의 라자루스의 묘사("아브라함의 품속으로")는 "인간은 아서의 품으로 갔다면 그는 아서의 품 안에 있다."(II. 3, 7–8)로 패러디된다.

디브와 라자루스에 대한 언급은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 의식 소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이미지다.[49]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노동자와 주인은 디브와 라자루스로 분리되어 있다" "데이브와 라자루스로 분리되어 큰 걸프전 베트윅트로" (엘리자베스 가스켈; 메리 바튼 1848년 맨체스터 생활에 대한 이야기)
"그들 사이에, 그리고 결점투성이의 일하는 여자도, 깊은 걸프 집합이 있다."(Charles Dickens; Hard Times 1854)

비록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차임즈는 이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크리스마스 북스 옥스포드 판의 소개는 그렇다.[50]

헤르만 멜빌모비 딕에서 이스마엘은 바람과 함께 추운 밤을 라자루스("가엾은 라자루스")의 관점에서 묘사하고 있다.")와 다이브("...내 석탄으로 나만의 여름을 만들 수 있는 특권")[51]이다.

T. S. 엘리엇의 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에는 '나는 레자로스다, 죽은 자에서 왔다/모두 너에게 말하러 돌아오라'는 데브스의 부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대목이 들어 있다.

리차드 크래쇼는 1646년 "Upon Lazarus His Tears"라는 제목의 형이상학적 스탠자를 썼다.

부자인 라자루스! 그 보석들, 그대의 눈물들,
그가 입고 있는 예복을 입은 디브보다,
그는 지금 그들을 경멸하지만, 오, 그들은 아주 잘 어울릴 것이다.
보라색으로 그는 지옥에서 입어야 한다.[52]

다이브스와 라자루스는 1941년에 처음 출판된 "장미의 칸티클"의 에디스 시트웰의 시 "Still fall the Rain"에 등장한다. 그것은 1940년 런던에 있는 The Blitz 다음에 쓰여졌다. 시는 어둡고, 제2차 세계대전의 혼란으로 가득 차 있다. 그것은 인간의 실패를 말하지만, 또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해 세상에 지속적으로 관여하고 계시다는 것을 말한다.[53]

여전히 비를 내리다
굶주린 자의 발치에서 십자가에 매달렸다.
그리스도는 매일 밤마다 거기서 못을 박고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는 것이다.
Dives와 Lazarus에서:
비 아래에서는 아픔과 금이 하나로 되어 있다.[54]

음악과 노래에서

하인리히 쉬츠의 작품인 "Vater Abraham, Erbarme dich mein", SWV 477("Dialogus dives Epulonis cum Abrahamo")은 아브라함과 1620년대 부자의 대화를 그린 작품이다. 지옥의 불꽃을 묘사한 문자로 묘사한 것은 물론, 오라토리오의 발전을 향한 한 걸음으로 '대변기'의 중요한 예시라는 점이 눈에 띈다.

지아코모 카리시미의 '히스토리아 디비티'(c. 1640)로도 알려진 '디브 말러스'(악덕 부호)는 루크 텍스트를 라틴어로 비유한 말로, 1640년대 로마의 오르락방에서 개인 공연을 하기 위해 소프라노 2인용 오라토리오, 테너, 베이스로 설정했다. Mensch요한 필리프 퓌르츠치(1652–1732)의 독일 신성한 협주곡이었다.[55]

이 이야기는 1557년부터 가장 오래된 문서로 기록된 영국 민요로 등장했고,[56] 사후세계의 묘사가 기독교 전통에 맞게 바뀌었다. 이 곡은 19세기 《Child Valadar Dives》와 《Lazarus》로도 출판되었다.[57] 랄프 윌리엄스는 이 민요를 바탕으로 관현악곡 '다브와 레자로스다섯 변종'(1939년)을 작곡했으며,[58] 찬송가곡 '킹스폴드'로 편곡하기도 했다.[59] 벤자민 브리튼에디스 시트웰의 시 "Still Falls the Rain" (위)을 그의 세 번째 칸티클의 음악으로 연속 5번으로 설정했다.[60]

미국의 전통 복음 노래인 "Dip Your Fingers In The Water"는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다양한 버전으로 녹음되었고, 특히 포크 가수이자 민권 운동가인 조쉬 화이트가 1947년 앨범 "Josh White – Ballads And Blue Volume 2"에 수록되었다.[61] 가사에는 "손가락을 물에 담그고, 와서 내 혀를 식혀라, 내가 불길에 시달리니까"라는 반복적인 후렴구가 담겨 있다.

Lazarus는 1971년에 그들의 첫 번째 자작 앨범을 발매한 미국의 소프트 락 밴드였다.

기독교 밴드의 비유를 음악적으로 해석한 화이트크로스의 '세컨드 찬스 없음'(1991년).[62]

앨범 A Recent Future제임스 켈라헌의 "Lazarus" (1995)

스틸리예 스판(Steleye Span)이 The Calling Her Babilon이라는 앨범에 수록한 "Diversus and Lazarus"(2004)는 Child Valadar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63]

U2 by U2 by Atomic Bomb(원자폭탄 해체 방법)는 이 구절을 언급하고 있다.

'차즘'(Chasm)(2009)은 기독교 밴드 플라이리프가 우화를 참고해 공연한 뮤직비디오였다.[64]

앨범 《Addagage》(EP)에 수록된 Circa Survive의 〈Lazarus〉(2010)는 이 구절을 가리킨다.

'라자루스'(2016)는 데이비드 보위가 죽기 전 마지막으로 발표한 싱글이다.

예루살렘 성 라자루스 군과 호스피스탈러 훈장

예루살렘 성 라자루스(OSLJ)의 군사호스피스탈러 훈장12세기 중남미 예루살렘 왕국 십자군들호스피스탈러 기사단이 설립한 나병 병원에서 유래한 기사단이다. 성 라자루스 훈장은 유럽 기사단 중 가장 오래된 훈령 중 하나지만, 덜 알려져 있고 덜 문서화된 훈령 중 하나이다. 생존한 출처에서 생 라자루스 훈장에 대한 첫 언급은 114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훈장은 원래 나병이라는 치명적인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제정되었는데, 기사단은 원래 나병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65] 기사단의 공식 국제 웹사이트에 따르면 "12세기 창설 때부터 기사단원들은 나병이라는 무서운 질병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돕는 것과 기독교 신앙의 수호라는 두 가지 이상을 위해 헌신했다"[66]고 한다. 나병 환자들은 거지 레자로스(루크 16:19~31)를 그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기고 대개 그를 위해 호스피스를 바쳤다.[66]

이 명령은 처음에는 예루살렘의 성곽 밖에 나병원으로 설립되었지만, 성지 전체에 예루살렘 병원, 특히 에이커에 의존하여 병원이 설립되었다. 언제 군국화 됐는지는 알 수 없지만 치료받기 위해 나병원에 파견된 템플러호스피스텔러들이 많아 12세기 말 이전에 군국화가 이뤄졌다. 그 명령은 나병을 돌보기 위해 유럽 전역에 '나병 주택'을 설립했고, 나병에 걸렸을 때 나병 브루스들이 그 명령에 동참하도록 강요하는 다른 군사 명령들에 의해 잘 지지를 받았다.[67]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Hultgren, Arland J (2002-01-01). The Parables of Jesus: A Commentary. pp. 110–118. ISBN 978-0-8028-6077-4.
  2. ^ "Luke, chapter 16 verse 19". The Bible – Latin Vulgate. The Vatican. Retrieved 16 July 2013. homo quidam erat dives et induebatur purpura et bysso et epulabatur cotidie splendide
  3. ^ Fitzmyer, Joseph A. (1995-03-01).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I-IX). p. 1110. ISBN 978-0-385-52247-2.
  4. ^ Fitzmyer IX, Ad populum I(CSEL 18.91)은 Finees, Ps로 철자를 썼다.-Cyprian, De pascha computus 17 (CSEL 3/3.265), 철자 Finaeus
  5. ^ Mâle, Émile (1961). The Gothic Image: Religious Art in France of the Thirteenth Century. p. 195. ISBN 9780006306016.
  6. ^ Luke-Acts의 맥락에서 R.M. Bredenhof, 실패와 전망: Lazarus and the Rich Man (Luke 16:19–31)을 참조하라. Bloomsbury T&T Clark, 2019), 페이지 5-10.
  7. ^ 예) 라자루스와 부자는 말 그대로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웹페이지[full citation needed](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비유적일 수 있었더라면).
  8. ^ 교회연락처
  9. ^ '라자루스'라는 이름에 대한 고대 및 현대적 해석에 대한 리뷰는 R.M. 브레덴호프, "라자루스를 찾아서: 루크 16.19~31", 신약 연구 66(2020), 페이지 51-67"에서 가난한 사람에게 의미를 부여한다.
  10. ^ : IVP 성경 배경 해설
  11. ^ 라이트 T. 모든 이들을 위한 루크는 "미래 삶에서 운명이 뒤바뀌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민간 신앙에 새로운 것을 더하지 않는다. 만약 그것이 비유라면, 그것은 다시 한 번 예수의 작품에서 일어나고 있던 일에 대한 그림언어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이지 201
  12. ^ Jeremias, Joachim (January 1998). Die Gleichnisse Jesu. pp. 123–125. ISBN 978-3-525-53514-1.
  13. ^ 메츠거&쿠간 옥스퍼드 성서의 동반자, 1993. 페이지 97
  14. ^ Cox, Steven. "The Rich Man, Lazarus, and Abraham".
  15. ^ 요한 네포무크 셉, Thaten und Lehren Jesu: mit Ihrer weltgeschichlichen Beglaubigung 1864.
  16. ^ Whittaker, H. A. (1989) [1984]. "Studies in the gospels" (2nd ed.). Staffordshire: Biblia. p. 495.
  17. ^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리스코 (트랜스) 패트릭 페어바인) 예수의 비유: 1853 페이지 343을 설명하고 삽화를 그렸다.
  18. ^ "et c'est cet quendrait de l'autre monde's n'écus prédit quandl dit du meme's n'écoutent n'mo's n're pas d'avantage Quelqu'un viendrait de l'autre monde." Drioux Claude-Joseph La Bible popularire: 역사. I'Ancien et du Nouveau 성서. 하셰트, 파리 1864 페이지 497
  19. ^ 제4권: 페이지 17–32 웨이백 머신보관된 2010-10-11, 마틴 루터 베이커 북 하우스 그랜드 래피스의 설교
  20. ^ 2007년판 페이지 176
  21. ^ 동반 성경 페이지 1489, "Lightfoot Xii, 159–63"을 인용함
  22. ^ Lightfoot 볼륨에서 다른 많은 예를 참조하십시오. 시이 페이지 159–68 (동행 성경, 페이지 1488)
  23. ^ Perry, Simon (2012). Resurrecting Interpretation: Technology, Hermeneutics and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Lazarus. Eugene, OR: Wipf and Stock. Retrieved 2012-11-18.
  24. ^ "Irenaeus. Against Heresies: Book II, ch. XXXIV".
  25. ^ "Warren Prestidge, The Rich Man and Lazarus". Afterlife. 13 July 2009.
  26. ^ a b Barclay, William (1999-02-01). The Parables of Jesus. pp. 92–98. ISBN 978-0-664-25828-3.
  27. ^ "E.W. Bullinger on Luke 16:19–31". 23 September 2014.
  28. ^ Vann, Jefferson (September 17, 2012). "The Rich man and Lazarus and the intermediate state". Afterlife. Retrieved July 4, 2017.
  29. ^ 브라이언 T. 후이 – 라자루스와 부자 – 텐트메이커 부처. 2014년 7월 14일 회수
  30. ^ 내가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 올바르게 나누면, 경전은 전멸주의를 지지한다; 불의 호수에서 악인이 "멸망할 것"이라는 믿음. – cupofwrath.com. 2014년 7월 14일 회수
  31. ^ G. B. 케어드, 성 복음서 루크 (펭귄 북스
  32. ^ 예수의 비유, 페이지 182-87
  33. ^ I. 하워드 마샬, 새로운 국제 그리스 신약성서 해설: 루크의 복음서 634 페이지
  34. ^ 휴고 그레스만, 베토 레이첸 만과 아르메니아 라자루스: 에인 리터게슈치클릭허 스터디 (1918)
  35. ^ 통역사의 성경 제8권(뉴욕: 아빙돈 프레스), 페이지 290도 참조
  36. ^ 또한 '...휘손의 요셉푸스 판의 한 구절, 하데스에 관한 그리스와의 담론,...이상하게 루크 16과 닮았다. 불행히도, 이 구절은 루크 16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유사성은 너무나 괴상하다. 저자는 요셉푸스가 아니라 4세기 주교 히폴리투스다. 어느 순간 복사 오류가 이름을 혼란스럽게 했고 그 실수는 최근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Steven Cox, The Christadelphian Tidings of God 왕국의 크리스타델피안 티딩스 (2000년 7월)의 '유대인의 우화에 주의하지 않음(2: 저승의 아브라함)'
  37. ^ '이집트와 유대인 이야기의 버전이 1세기 팔레스타인에서 현재에 이르고 예수가 그것을 알았을 것이라는 것은 꽤 그럴듯하다. 그래서...거기서 두 개의 모티브를 빌렸을 수도 있어 반면에, 그는 두 모티브 중 하나를 사용한 다른 이야기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는 어떤 특정한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의식적으로 차용하지 않았더라면 모티브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리처드 바크햄, 죽은 자의 운명: 유대인과 기독교 종말론자들에 대한 연구(네덜란드: 브릴, 1998), 페이지 101
  38. ^ 리처드 바크햄, 죽은 자의 운명: 유대인과 기독교 종말론자들에 대한 연구(네덜란드: 브릴, 1998), 페이지 101
  39. ^ Steven Cox, The Rich Man, Lazarus 및 Abraham (Hyderabad: Printland Publishers, 2000)
  40. ^ Steven Cox, The Christadelphian Tidings of God 왕국의 크리스타델피안 티딩스 (2000년 7월)의 '유대인의 우화에 주의하지 않음(2: 저승의 아브라함)'
  41. ^ "Against Plato, On the Cause of the Universe".
  42. ^ "Saint Lazarus". 11 June 2013.
  43. ^ 에밀 , 고딕 이미지, 13세기 프랑스의 종교 예술, 200페이지, 3차 에덴, 1913년, 콜린스, 런던(그리고 많은 다른 판들)의 영국 트랜스
  44. ^ 가브릴로바, L. V. 라자루스 부활에 관한 성경 이야기 예술 해석의 역사에서 시베리아 연방대학 학술지, 인문사회과학 1호(2014 7) 20-29가 2018년 7월 2일에 접속했다.
  45. ^ Losch, Richard R (2008). All the People in the Bible: An A-z Guide to the Saints, Scoundrels, and Other Characters in Scripture. pp. 255–256. ISBN 978-0-8028-2454-7.. Lazarus라는 이름의 이중 출현은 R.M. Bredenhof, "Lazarus 찾기: 루크 16.19~31"의 가난한 사람에게 의미 부여, 신약 연구 66(2020), 페이지 63-64.
  46. ^ 스티븐 겐카렐라 올브라이스 "돈은 말한다: 공공영역의 민속" 민속 제116권, 제3권(2005년 12월), 페이지 292-310.
  47. ^ 리처드 하만, "천국의 라자루스"Connoisseurs63호 364호(1933년 7월), 페이지 3-5, 8-11호
  48. ^ 소환사의 프롤로그와 이야기 1877년 라인 – "Lazar와 Dives Lyveden, 그리고 다이버 게르돈은 그들을 잠식했다."
  49. ^ Dives와 Lazarus 이미지의 확장된 논의를 위한 Smith Sheila The Other Nation OUP 1980 페이지 12-16.
  50. ^ "그리고 그는, 그가 얼마나 울었는지, 집집마다!—레자루스의 욕구를 떠안는 디브의 부, 트로티 베크의 초라한 곱창 요리는 조셉 보울리 경의 호화로운 수표책에 의해 허블러가 되었다. 무엇보다도, 감옥과 가난한 법률에 가입할 의무가 있는 스크루지는 그 무시무시한 기관의 조건에 눈을 감아야만 했다. 옥스퍼드 디킨스는 디킨스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크리스마스 책 – 1998년 피즈, 하블롯 나이트 브라운이 삽화를 그린 p. vi Charles Dickens
  51. ^ 허먼 멜빌, 모비 딕[1], 펭귄 클래식, 2003, ISBN 0-14-243724-7, 2장 11-12
  52. ^ 사무엘 존슨 영국 시인 작품 초서부터 카우퍼까지: 사전 작업영역으로 편집된 시리즈 포함, 전기적 및 중요도, 1810, 페이지 557.
  53. ^ 그레이엄 엘리엇, 벤자민 브리튼: 영적 차원,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6, ISBN 0-19-816258-8, 페이지 100.
  54. ^ 스톨워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세컨드 리사이버, 2008년 ISBN 0-19-955453-6, 페이지 248.
  55. ^ La Capella Ducale; Musica Fiata/Roland Wilson rec. 라이브, 2007년 10월 26일 Hauptkirche St. 니콜라이, 함부르크, 독일 DDD CPO 777369-2 [79:09]
  56. ^ Francis James Child, The English and Scottish 인기 발라드, Part 4, 1886; (inter alia) Arber, Community of Stationers 참조
  57. ^ anonymous; from Child ballad 56 A, from Sylvester: a Garland of Christmas Carols, from an old Birmingham broadside (2001) [1910]. Quiller-Couch, Arthur Thomas, Sir (ed.). "The Oxford Book of Ballads, No. 109, Dives and Lazarus". Bartleby.com, Inc. Retrieved 2006-06-29.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58. ^ 마이클 케네디, 랄프윌리엄스의 작품.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London, 1980), 페이지 278.
  59. ^ Music, David W (2005-01-01). A Selection of Shape-note Folk Hymns: From Southern United States Tune Books, 1816–61. p. 25. ISBN 978-0-89579-575-5.
  60. ^ 필립 리드, 머빈 쿡, 그리고 도널드 미첼, Letters from a Life: The Selected Letters of Benjamin Britten, 1913–1976, 제4권: 1952–1957, 보이델 프레스, 2008, ISBN 1-84383-382-4, 페이지 294.
  61. ^ "Josh White – Ballads And Blues Volume 2".
  62. ^ "Whitecross – No Second Chances".
  63. ^ "Steeleye Span: They Called Her Babylon (Review)". Progarchives.com.
  64. ^ "Flyleaf - Memento Mori". Discogs. Retrieved 2017-04-08.
  65. ^ 데이비드 마르콤베, 르퍼 나이트: 영국 예루살렘의 성 라자로스 훈장, c. 1150–1544 (로체스터, 뉴욕: 보이델) 2003; 1장은 일반적인 역사를 보여준다.
  66. ^ a b "역사" 2012-07-01년 군사 공식 국제 웹사이트인 웨이백머신(Wayback Machine)에 보관되어 있으며, 성 라자로스(Saint Lazarus) 훈장 호스피탈러(Hospitaler Order of 예루살렘)도 보관되어 있다. 2009-09-14년에 검색됨.
  67. ^ 데이비드 마컴비, 르퍼 나이츠, 보이델 프레스 2003, 페이지 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