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너드 페이코프

Leonard Peikoff
레너드 페이코프
Leonard Peikoff.tiff
2010년 페이코프
태어난 (1933-10-15) 1933년 10월 15일 (88세)
국적미국인의
교육매니토바 대학교
뉴욕 대학교 (BA, MA, 박사)
주목할 만한 작품
객관주의: 아인 랜드의 철학
배우자수잔 루델(이혼)[1]
신시아 P. 페이코프(이혼)
에이미페이코프(이혼)
시대현대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교객관주의
주된 관심사
인식론, 윤리학, 응용윤리학, 역사론[2]
영향
웹사이트Peikoff.com

레오나드 실반 페이코프(/1933년 10월 15일생)캐나다계 미국인 철학자다.[3] 그는 객관주의자였고 아인 랜드의 측근으로, 아인 랜드가 죽은 후 그를 그녀의 재산 상속인으로 지목했다. 그는 철학 교수 출신으로 전국 신디케이트 라디오 토크쇼의 진행자다. 1985년 아인 랜드 연구소(Ayn Rand Institute, ARI)를 공동 설립했으며, 철학에 관한 여러 저서를 저술하고 있다.

어린 시절과 경력

레오나드 페이코프는 1933년 [4]10월 15일 캐나다 매니토바주 위니펙에서 외과의사인 새뮤얼 페이코프와 밴드 리더인 아내 베시 사이에서 태어났다.[5]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마니토바 대학에 의예과 학생으로 다녔으나 랜드와의 초기 논의를 거쳐 뉴욕대학으로 편입하여 철학을 공부하였고, 그곳에서 1954년, 1957년, 1964년에 각각 철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 고문은 미국의 저명한 실용주의 철학자 시드니 후크였으며, 그의 논문은 논증법칙형이상학적 지위를 다루었다. 그는 여러 대학에서 여러 해 동안 철학을 가르쳤다.[4]

객체주의에 대한 초기 개입

Peikoff는 17살 때 그의 사촌 Barbara Branden(당시 Barbara Weidman)을 통해 Ayn Land를 처음 만났다. 그는 랜드와의 이번 만남이 철학의 심오한 중요성을 깨닫게 했다고 보고한다. 1951년 랜드가 뉴욕시로 이사했을 때, 피코프는 뉴욕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뉴욕대학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는 종종 다양한 문제들에 걸쳐 랜드와 개인적으로 철학을 깊이 있게 토론했다.

페이코프는 나타니엘 브랜든, 앨런 그린스펀, 바바라 브랜든, 그리고 자신을 농담삼아 "콜렉티브"라고 부른 여러 측근들과 함께 랜드의 당시 잊혀졌던 소설 아틀라스맨해튼 아파트에서 읽고 토론하기 위해 랜드와 자주 만났다.[6] 1958년 브란덴은 나다니엘 브란덴 강좌를 창설하고, 후에 나타니엘 브란덴 연구소(NBI)로 개칭하여 미국 전역에 강의와 교육 세미나를 통해 객관주의를 고취하였다.[7] Peikoff는 NBI의 첫 번째 강사로, 철학의 역사에 대한 강의를 했다.[8] 1960년대 초까지, NBI는 여러 도시의 대표들이 지역 청중들에게 이 강연들을 녹화했다.[9]

1960년대 피코프 및 알란 고텔프와의 논의는 랜드가 개념 형성, 객관주의 인식론 도입에 관한 확대된 모노그래프를 완성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10] 랜드는 1979년 책 형식으로 출간될 때 페이코프의 '분석적-합성적 이분법'에 대한 에세이를 포함시켰다.[11] 피코프는 1969-71년 랜드가 모노그래프에 관한 워크숍과 이후 랜드의 아파트에서 열린 소규모 철학 워크숍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2] 이후 Peikoff는 이러한 워크샵의 대본을 사용하여 Harry Binswanger와 공동 편집한 Objectivist Epistemology의 확대판을 만들었다.[11]

1968년 NBI가 해체된 후, 피코프는 대규모 Objectivist 청중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개인 강좌를 계속 진행했으며, 이 강좌들의 녹음 파일은 수년 동안 판매되어 왔다. 그의 강의 과목은 다음과 같다. 철학의 역사(강좌의 두 '볼륨'으로), 논리학 입문, 사상술, 물리학과 철학의 유도, 도덕적 미덕, 교육철학, 객관주의 이해, 객관주의 이해, 객관주의 소통의 원리, 8대 희곡. 랜드는 객관주의에 대한 1976년 강연 시리즈를 그녀의 철학의 가장 훌륭한 설명으로 승인했는데, 그녀가 정확하다고 알고 있는 유일한 것이었다.[13]

페이코프의 첫 번째 책인 불길한 평행선은 모두 제3제국홀로코스트의 흥망에 대한 객관주의적인 설명이었고, 미국이 바이마르 공화국과 오늘날의 미국 사이의 광범위한 철학적 문화적 유사성 때문에 전체주의로 치닫고 있다는 경고였다. 그녀의 서론에서 랜드는 이 책이 그녀 자신 이외의 객관주의 철학자의 첫 번째 책이라고 말했다.[14]

랜드가 죽은 후

랜드는 페이코프를 그녀의 재산의 법적 상속인으로 지명했다. 랜드의 유언 집행자로서, 피코프는 공공 영역으로 넘어간 앤섬을 제외한 그녀의 모든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처리한다. 그는 랜드의 미발표 작품 편집과 발표를 그녀의 생전에 출판되지 않은 편지, 철학 저널, 소설 등 여러 권으로 감독해 왔고, 그녀의 소설에 대한 현재 모든 인쇄물에 대해 전언을 썼다. 몇 년 동안 보스턴 포드 홀 포럼에서 매년 강연을 하는 랜드의 전통을 이어갔고, 그의 다른 강연에는 웨스트 포인트의 생도들과 그리스 섬을 순항하면서 다른 생도들에게 보내는 연설이 포함되었다.[15]

1985년, Peikoff는 아인 랜드 연구소를 설립했다. Peikoff는 1976년 랜드의 아이디어에 대한 강의 과정을 Objectivism으로 책 형태로 수정했다. 1991년에 출판된 아인 랜드철학은 객관주의의 첫 번째 포괄적인 발표였다. 1990년대 중반, 페이코프는 해리 빈스왕거, 피터 슈워츠와 함께 아인 랜드 연구소 오브젝티비스트 대학원 센터(2000년 오브젝티비스트 아카데미 센터로 개칭)에서 강좌를 가르쳤다.[16]

1995년부터 1999년까지 피코프는 철학과 문화를 주제로 한 전국 신디케이트 토크 라디오 쇼를 개최했다.[17][18] 2006년 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피코프는 온라인 Q와 A에게 이메일로 보내진 질문들을 게재했다. 이는 2007년 10월 22일에 데뷔한 팟캐스트로 대체되어 2016년 10월 31일까지 계속되었다.[19]

페이코프의 강의나 책은 아인랜드 연구소와 관련 있는 작가 앨런 고텔프, 해리 빈스왕어, 앤드류 번스타인, 타라 스미스의 작품과 데이비드 켈리의 <감각의 증거>, 조지 H. 스미스무신론:과의 다른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신에 반대하는 사례와 논문, What Art Is: 루이스 토레스와 미셸 마더 카미가 쓴 아인 랜드의 에스테틱 이론.[20]

피코프의 1983년 강의과정 '객관주의 이해'는 아인 랜드편지 편집자인 마이클 베를리머가 같은 제목의 책으로 편집했으며, 인덕션을 통한 물리학과 철학과 객관주의에서 처음 제시된 피코프의 논리유도론은 데이비드 하리만(David Harriman)이 더욱 발전시켰다. 의 저서 "논리적인 도약"에서: 물리학 입문. 페이코프는 2012년 저서 'DIM 가설'에서 인지적 통합에 대한 세 가지 접근방식(분산, 통합, 오통합)을 정의하고 이 가설을 물리학, 철학, 교육, 정치, 기타 분야에 적용한다.

그의 기사는 바론, 신학술처럼 다양한 출판물에 등장했고, 그의 텔레비전 출연은 빌 마허의 <정치적으로 잘못된>과 빌 오렐리의 <오릴리 팩터>부터 C-SPAN 패널 토론까지 다양했다. 는 또한 마이클 팩스턴의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다큐멘터리 아인 랜드: A Sense of Life에도 출연한다.

데이비드 켈리와 결별

Peikoff는 Objectivism을 랜드 자신이 표명한 철학적 원리로만 구성된 "폐쇄적 시스템"으로 보고, 이러한 원리들 중 어느 것에도 대한 의견 불일치를 Objectivism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한다. 아인 랜드 연구소는 Peikoff의 Objectivism을 장려한다.

폐쇄적 대 공개적 이슈는 당시 페이코프와 ARI 계열의 철학자 데이비드 켈리가 다른 그룹과 함께 일하는 데 있어 더 큰 열린 마음을 주장하면서 에세이 "제재에 대한 질문"을 발표하면서 표면화되었다. 켈리는 객관주의를 랜드 자신의 글과 신념을 넘어 진화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본다. 페이코프는 '사실과 가치'라는 글에서 켈리에게 자신의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켈리의 사례 자체가 인식과 평가, 사실, 도덕적 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랜드의 이해와 모순된다고 주장한다. 페이코프는 켈리가 진정한 객관주의자가 아니라고 결론짓고, 켈리와 동의하는 누구라도 객관주의 운동을 떠날 것을 촉구했다.[21] 궁극적으로 켈리는 1990년에 객관주의 연구소를 설립하여 대응하였고, 이후 그 명칭을 객관주의 센터와 마침내 아틀라스 소사이어티로 바꾸었다.

의회도서관 분쟁

피코프는 랜드의 많은 원고들을 물려받았다. 그녀의 일생 동안, 랜드는 그녀의 원고를 의회 도서관에 기증할 것이라고 진술했다. 그녀는 나중에 예약을 했고, 그 유물은 랜드의 유언의 일부가 아니었다. 하지만 그녀가 죽은 후, 의회 도서관은 원고를 요청했다. 1991년 7월, 페이코프는 자신이 액자에 넣은 <분수머리>의 첫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하고 랜드의 소설 원고를 조수로 하여금 전달하게 했다. 대신, 그는 원고가 "완전"하도록 페이지를 복사하도록 했다. 1998년 8월 16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는 페이코프에 관한 기사를 게재했는데, 그가 의회 도서관에서 페이지를 "도난"하는 것에 대해 한 농담이 포함되어 있다. 도서관은 그가 그 페이지를 미국 정부 소유로 간주하여 그들에게 전달할 것을 요구했다. 2000년 10월 미국 법무부의 고소가 잇따르면서 피코프가 페이지를 넘기지 않으면 100만 달러 이상의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의 변호사와 상의한 후, Peikoff는 그 페이지들을 의회 도서관 대표에게 공개했다.[22][23]

생각했다

인식론

그의 저서 논리적 비약: 물리학에서의 유도(물리학자인 데이비드 하리만과 공동 집필)는 철학 자체가 귀납 과학이기 때문에 유도의 타당성을 부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유도의 타당성을 암묵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모순되기 때문에 유도의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페이코프와 해리먼은 또한 유도에서 도출된 과학적 지식이 맥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증거가 그것들을 수정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보증할 때까지 유도에 의해 검증된 과학적 주장들은 사실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결정적인 증거에 기초하여 과학에 관한 귀납적 과학적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주장이 수정될 수 없는 대상이라고 주장할 수는 없지만, 이용 가능한 증거에 근거하여 믿을 수 있는 유일한 합리적 주장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들은 (수학을 제외한) 모든 이성적인 분야에 동일한 유도 과정이 필수적이며, 그 결과 그러한 분야의 진리는 물리학과 동일한 객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짓는다.[24]

정치

페이코프는 사회에서 정부의 역할은 무력과 사기의 시작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야간 감시 국가 개념에 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자유방임주의 자본주의를 지지한다. 그는 세금, 공교육, 복지, 사업 규제에 반대한다. 그는 또한 포르노, 안락사, 또는 줄기세포 연구를 규제하는 법에 반대한다. 그는 낙태권을 옹호하는 사람이지만 낙태 옹호자들은 낙태죄가 관련된 더 깊은 철학적 이슈를 무시한다고 주장하며 스스로를 '친선택'이라고 매도하는 사람들을 비판한다.[25] 그는 너무 어려서 동의할 수 없는 어린아이의 할례는 범죄여야 하고 악해야 한다고 믿는다.[26]

그는 또한 자유주의에 대한 랜드의 반대를 계속하고 있으며, 객관주의 정치철학을 "자유주의자"라고 묘사하는 것과 대부분의 자유주의 단체와의 어떤 협력에도 날카롭게 반대한다. 그는 신보수주의적인 견해와 자유주의적인 견해를 모두 고려하면서 미국의 외교 정책에 비판적이었다. 그는 미국이 제정해야 할 유일한 '간섭주의'는 전쟁과 "자위주의일 뿐"이라며 자신의 외교정책관을 기술하는 '단절주의자' 또는 '간섭주의자'라는 용어에 반대한다.[27]

엘리언 곤살레스

피코프는 쿠바의 아버지에게 돌아가지 않고 플로리다에 남아 있는 엘리언 곤살레스의 권리를 위해 "자신의 안녕을 위해 쿠바 감옥에서 썩을 아이를 보내는 것은 범죄 위선이다. 쿠바에는 부모나 다른 권리가 없기 때문에 아버지의 권리를 보존하기 위해 그를 그곳으로 보내는 것은 불합리하다. 그를 그곳에 보내는 것은 '아버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무슨 일이 있어도' 무심한 브로마이드다. 아들이 마음고생을 하고 몸이 굶주리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아버지가 필요한가?"[28]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페이코프는 이스라엘 건국 이전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단지 "지형을 가로질러 굽이쳐 다니는 노마디 부족들"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며, "아랍인"들은 오늘날 재산권에 대한 개념이 없으며, 실제로 그러한 권리에 대한 그들의 "원초주의자" 반감이 아랍 테러리즘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이스라엘이 어떤 영토도 아랍인들에게 돌려주거나 그들과 협상해서는 안 되는 도덕적 봉화라고 주장한다.[29]

이란과 핵무기

피코프는 1951년 이란을 시작으로 서방 기업들이 개발한 중동 석유재산의 국유화를 국제법에 저촉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노력을 '충돌'하는 등의 노력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뒤집기 위한 은밀한 행동을 지지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테러국가"라고 주장하는 것을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하며, 무고한 죽음에 대한 도덕적 책임이 우려된다고 주장하면서 핵무기 사용을 배제하지 않고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가장 적은 미국 사상자를 내며" 이란에서 정권 교체를 위한 로비를 일상적으로 해 왔다.미국보다는 그들의 정부와 함께 있다.[30]

대통령 지지

1992년 4월, 피코프는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의 "참으로 수치스러운" 기록, 특히 세금 인상, 신입사원 보호 지원, 대외 무역 정책, 러시아에 대한 대외 원조,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감, 걸프 전쟁, 반낙태, 반비판적 견해 등을 인용하며 "대통령 후보로 지명된 모든 민주당원"을 지지했다.그리고 사탄의 시들 논란 중에 살만 루시디의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다.[31]

2004년 피코프는 부시 대통령의 종교성과 이슬람 정권 특히 이란을 분쇄하려는 거부와 그의 "의무적" 경제 정책을 근거로 케리(케리를 "혐오스러울 정도로 나쁜" 후보라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를 지지했다. 2006년 선거에 앞서 피코프는 그가 종교적 권리의 상승이라고 보는 것을 막기 위해 민주당원들에게만 투표할 것을 권고했다.

썩고 쇠약하고 절망적인 살인자[민주당]와 썩고, 영원히 강하며, 야심만만한 살인자[공화당] 사이의 선택을 고려할 때, 후자를 위해 투표하는 것은 부도덕한 것이며, "둘 다 나쁘다고 해서 투표를 아예 자제하는 것도 똑같이 부도덕한 것이다.[32]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중, 피코프는 "나는 투표하는 것을 꿈도 꾸지 않을 것"이라며, 공화당이 종교적 권리와 연관된 것에 대해 "지프아웃" 또는 "엄중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게다가, 그는 버락 오바마를 "반미주의자"이자 이슬람교예레미야 라이트 목사와의 골치 아픈 관계를 가진 "링 포니"라고 묘사했다. 그는 오바마의 러닝메이트인 조 바이든을 "즐겁게 웃기는 바람가방"이라고, 공화당 상대인 존 매케인, 사라 페일린을 각각 "피곤한 바보"와 "기회주의자"라고 불렀다.[33]

피코프는 2010년 한 팟캐스트에서 왜 복지국가의 현 맥락에서 이민 제한을 지지하는지, 왜 이것을 객관주의의 이민 제한에 대한 일반적인 거부와 모순으로 보지 않는지를 설명했다.[34][35] 다른 2010년 팟캐스트에서 피코프는 뉴욕시의 그라운드 제로 근처에 모스크를 짓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설명하면서 재산권은 항상 문맥상이며 건설을 막는 것은 전시의 필수품이라고 주장했다.[36] 비슷하게, 그는 부르카에 대한 프랑스의 금지를 지지했다.[37]

2012년 9월, 피코프는 오바마 대통령의 허무주의, 세금, 경제 및 에너지 정책, 오바마케어, 행정 명령 사용 등을 거론하며 밋 롬니의 대통령직을 지지했다. 그러나 페이코프는 롬니를 지지하면서 시간을 벌기 위해 유용할 정치적 신념이 없는 '어필하고 방향성이 없는' 후보라고 부르며 적극적이지 않았다. 같은 이유로 그는 공화당 의원 지명자들을 지지했다.[38] 이후 오바마의 재선을 '캐스타스트로피(catastrophe)', '이 대륙 역사상 최악의 정치적 사건', '내전보다 더 끔찍한 사건'[39]이라고 불렀다.

사생활

피코프는 결혼과 이혼을 세 번 했다. 둘째 부인 신시아에 의해, 피코프에게는 소설가 키라 피코프라는 딸이 있다. 그의 세 번째 전 부인은 객관주의 철학자 에이미페이코프다.[40]

책들

  • 불길한 평행선 (1982) ISBN0-452-01117-5
  • The Early Ayn Rand (편집 및 소개서 Peikoff) (1984) ISBN 0-453-00465-2
  • 이성의 목소리: 객관주의 사상 에세이 (편집. 및 추가 에세이 페이코프) (1989) ISBN 0-453-00634-5
  • Objectivist Epistemology(확장된 제2판) 소개 (Harry Binswanger, PhD, 편집자 포함) (1990) ISBN 0-453-00724-4
  • 객관주의: 아인 랜드철학 (1991) ISBN 0-452-01101-9
  • 아인 랜드 리더 (Gary Hull, PhD, 편집자 포함) (1999년) ISBN 0-452-28040-0
  • 객관주의 이해: 아인 랜드의 철학 학습 안내서 (마이클 베를린어, 박사, 편집자) (2012) ISBN 0-451-23629-7
  • DIM 가설: 서부의 불빛이 꺼지는 이유 (2012) ISBN 0-451-46664-0
  • 목표 커뮤니케이션: 작성, 말하기논쟁(2013) ISBN 0-451-41815-8
  • 조니에게 생각을 가르치기: 아인 랜드의 객관주의 원리에 기초한 교육의 철학 (2014) ISBN 0-9794661-6-4
  • 히틀러 독일의 원인 (2014) ISBN 0-14-218147-1
  • 위대한 희곡 발견: 문학으로서 그리고 철학으로서(2017) ISBN 978-0979466199

참고 항목

참조

  1. ^ "Susan Ludel Is Bride of Professor". nytimes.com. September 3, 19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5, 2019. Retrieved September 5, 2019.
  2. ^ "List of Peikoff's courses and lectures". March 22,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3, 2019. Retrieved May 14, 2019.
  3. ^ "Biography". Peikoff.com. March 19,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7, 2011. Retrieved January 4, 2011.
  4. ^ a b 현대 작가 온라인, s.v. "Lionard Peikoff" 2008년 3월 2일 접속.
  5. ^ Peikoff, Samuel (1980). Yesterday's Doctor: An Autobiography. Winnipeg: Prairie Publishing. ISBN 0-919576-16-8.
  6. ^ Heller 2009, 페이지 242–243
  7. ^ 헬러 2009년 페이지 289
  8. ^ 2009년 헬러 페이지 293
  9. ^ 헬러 2009년 페이지 314
  10. ^ 맥코넬 2010, 페이지 339–340
  11. ^ a b 글래드슈타인 2009년 페이지 82
  12. ^ McConnell 2010, 페이지 341–342
  13. ^ Peikoff, Leonard (1991). Objectivism: The Philosophy of Ayn Rand. New York: E. P. Dutton. pp. xiii–xv. ISBN 0-452-01101-9. OCLC 28423965.
  14. ^ Rand, Ayn (1982). Introduction. The Ominous Parallels: The End of Freedom in America. By Peikoff, Leonard. New York: Stein and Day. pp. vii. ISBN 0-8128-2850-X.
  15. ^ 레너드 피코프:의 말을 빌리자면, 아인 랜드 서점.
  16. ^ "Objectivist Academic Center: A Timeline of ARI's Academic Projects". Ayn Rand Institute. December 14,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4, 2001.
  17. ^ Podritske, Marlene & Schwartz, Peter, eds. (2009). Objectively Speaking: Ayn Rand Interviewed. Lanham, Maryland: Lexington Books. p. 255. ISBN 978-0-7391-3195-4. OCLC 267048088.
  18. ^ "Peikoff Syndicates" (PDF). Los Angeles Radio Guide. January–February 1997. p. 10.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21. Retrieved May 8, 2020.
  19. ^ Peikoff, Leonard (October 31, 2016). "Leonard Peikoff's final podcast". Peikoff.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8, 2017. Retrieved October 8, 2017.
  20. ^ see, e.g., Gotthelf, Allan, On Ayn Rand, Wadsworth Philosophers Series, 2000, pp. 3, 100; Smith, Tara, Ayn Rand's Normative Ethics: the Virtuous Egoi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p. 148–191; Binswanger, Harry, The Biological Basis of Teleological Concepts, ARI, 1990, pp. 234, 237; Bernstein, Andrew, The Capitalist Manifesto,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5, 페이지 172, 183, 188, 켈리, 데이비드, 감각의 증거,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출판부, 1986, 페이지 72, 120 (페이지 7에 켈리는 Peikoff가 자신의 "많은 이슈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가장 깊은 수준에서"; 스미스, 조지 H, 무신론: 신에 대한 소송, 프로메테우스, 1989년, pp.125–162, 336–337, n17, n18, n31(첫 번째 펍). 내시, 1974; 참고 31, 페이지 337, 예: 스미스는 자신의 "확실성 접근"이 일련의 강의에서 페이코프가 제시한 것임을 나타낸다.); 토레스, 루이스, 카미, 미셸 마더, What Art Is: Ayn Rand의 에스테틱 이론, 오픈 코트, 2000, 페이지 30, 32, 41, 51, 298–299, 305, 332n81, 333n5, 333n86.
  21. ^ Peikoff, Leonard (May 18, 1989). "Fact and Value". Ayn Rand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4, 2016. Retrieved October 8, 2017.
  22. ^ Heller 2009, 페이지 412–413
  23. ^ Peikoff, Leonard (February 13, 2002). "Peikoff's Experience with the Library of Cong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7, 2008. Retrieved September 26, 2021.
  24. ^ 논리적 비약: NAL 무역의 유도
  25. ^ Peikoff, Leonard (January 23, 2003). "Abortion Rights Are Pro-Life". Capitalism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21. Retrieved October 8, 2017.
  26. ^ Peikoff, Leonard (April 25, 2011). "Do you think the legal guardians of a male child have the right to circumcise him before he is old enough to refuse?". Peikoff.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8, 2017. Retrieved October 8, 2017.
  27. ^ Peikoff, Leonard (April 6, 2010). "Are you, Dr. Peikoff, an interventionist or an isolationist in regard to foreign policy?". Peikoff.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8, 2017. Retrieved October 8, 2017.
  28. ^ Peikoff, Leonard (January 20, 2000). "A Sin to Deport Elian Gonzalez". Capitalism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21. Retrieved October 8, 2017.
  29. ^ Peikoff, Leonard (June 1, 1996). "Israel's and America's Fundamental Choice". Capitalism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21.
  30. ^ Peikoff, Leonard (October 2, 2001). "End States Who Sponsor Terroris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4, 2011. Retrieved October 17, 2011.
  31. ^ YouTube
  32. ^ "Q&A: Peikoff, 2011년 2월 26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2006년 10월 19일, Peikoff.com 2006년 11월 4일에 접속.
  33. ^ "Dr. Peikoff, for whom will you vote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this November 2008, and why? « Podcast « Peikoff". October 20,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3, 2014. Retrieved March 23, 2014.
  34. ^ "What is the proper government attitude toward immigration? « Featured Podcast « Peikoff". July 5,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5, 2010. Retrieved October 30, 2010.
  35. ^ 캐피털리티 매거진[영구적 데드링크]
  36. ^ "Podcast". Leonard Peikoff. June 28,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7, 2010. Retrieved November 7, 2010.
  37. ^ "What should an Objectivist make of the French banning of burqas? « Podcast « Peikoff". November 15,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3, 2014. Retrieved March 23, 2014.
  38. ^ "Leonard on the Election « Peikoff". October 5,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3, 2014. Retrieved March 23, 2014.
  39. ^ "What do you think of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 Podcast « Peikoff". November 19,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3, 2014. Retrieved March 23, 2014.
  40. ^ 2009년 헬러 페이지 413

인용된 작품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