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상황

Limit situation

한계상황(독일어: Grenzsitation)은 인간이 평범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과 다른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어떤 특정한 상황의 하나이다.[1]

개념은 칼 자스퍼스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그는 공포, 죄의식, 그리고 고통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몇 가지 핵심 한계 상황의 일부로 여겼다.[2]

만남

제임스 G.하트는 한계 상황과의 만남은 개개인을 불안하게 하고, 그들의 확실한 신분 확인에서 그들을 분리하고, 그들을 사회적 유대에서 제거하며, 그들이 살아나도록 강요하고,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을 찾도록 한다고 묘사했다.[3]그것들은 에서 당황하는 감각의 유사하게 생성되는 경험에 비유할 수 있다.[4]한스-조그 가다머는 다른 사람과 흥청거리는 만남을 제공하기 위해 한계 상황을 고려했다.[5] 반면에 죽음에 대한 예지로부터 생기는 불안감에 직면하면 한계상황에서 생기는 성장기회를 똑같이 증명할 수 있다.[6]

정신분석적 틀

정신분석학은 구조화된 한계 상황,[7] 특히 성장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한계의 경험을 제공하는 정신분석학적 프레임워크로 볼 수 있다.[8]

제3세계정치

파울로 프레이어는 개발 부족의 제약을 인류에 대한 한계상황으로 [9]보면서도 인간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가능한 개척지점으로 보고 한계상황이라는 실존적 개념을 제3세계에 적용했다.[10]

참고 항목

참조

  1. ^ 리처드슨과 보우든(1993), p334
  2. ^ T, Fuchs Ed, Karl Jasper의 철학사이코패스학(2013) p.48
  3. ^ J. 하트, Who One Is(2009) 페이지 11-3과 페이지 309
  4. ^ P. 울프, 라덴 합창단 (2015) 페이지 11
  5. ^ M. 포르토카레라 외, 헤르메뉴틱 합리성(2012) 페이지 147
  6. ^ I. 탐멜로, 정의와 의심 (2013) 페이지 386
  7. ^ G. 내팅 에드, Gutting Ed.Campbridge Companion to Foucault (CUP 2007) 페이지 325
  8. ^ D. 스미스, 숨겨진 대화(1991) 페이지 189
  9. ^ R. 리베라, 해방 담론 연구(2004) 페이지 32
  10. ^ J. 어윈, 파울루 프리어의 교육 철학(2012)

참고 문헌 목록

  • 리처드슨 A. & 보우든 J. (1993)웨스트민스터 기독교 신학 런던 사전; 웨스트민스터 존 녹스 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