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적 위기
Existential crisis실존적 공포라고도 알려진 실존적 위기는 개인들이 자신의 삶이 의미, 목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사색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순간이다.[1] 그것은 모든 노력의 허무함(예: 언젠가 내가 잊혀질 것이라면, 내 모든 일의 요점은 무엇인가)과 같은 인생의 의도적인 우울증이나 필연적으로 부정적인 추측에 얽매여 있을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인간 존재의 의미와 목적의 이 문제는 실존주의 철학적 전통의 주요 초점이다.
설명
실존적 위기는 종종 그 사람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 즉 심리학적 외상, 결혼, 이별, 중대한 상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생명을 위협하는 경험, 새로운 사랑 파트너, 정신 활동적 약물 복용, 성인 자녀들이 집을 떠나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나이(18세, 40세 등)에 도달하는 것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보통, 그것은 개인 사망률에 대한 환자의 자기 성찰을 자극하여, 따라서 해당 자각의 심리적 억압을 드러낸다. 실존적 위기는 불안과 우울증과 비슷할 수 있다.[2]
실존주의 철학에서 '존재하는 위기'라는 용어는 특히 자신이 하는 선택을 통해 항상 자신의 삶을 정의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개인의 위기와 관련이 있다. 실존적 위기는 행동을 자제하거나 특정 선택에 대한 동의를 유보하는 결정조차도 그 자체로 선택이라는 것을 인식할 때 발생한다. 즉 인류는 자유에 대해 "존재한다"는 것이다.[3]
처리
노르웨이의 철학자이자 허무주의와 반신욕주의의 신봉자인 피터 웨셀 자페는 그의 저서 <라스트 메시아>에서 모든 자아의식이 존재에 대한 무관심과 부조리에 대한 그들의 이해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믿었던 네 가지 방법 즉,[4] 집착, 고립, 산만, 승화:
- 닻을 내리는 것은 "의식 내부의 점의 고정 또는 주위의 벽의 건설"이다. 고정 메커니즘은 개인에게 일관된 방식으로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가치 또는 이상을 제공한다. 자페는 또 사회에 앵커링 원리를 적용했고, "하나님, 교회, 국가, 도덕, 운명, 삶의 법칙, 국민, 미래"는 모두 집단 경선 앵커링 확정회의 예라고 밝혔다.
- 고립은 "모든 불안하고 파괴적인 사고와 감정에 대한 의식으로부터 완전히 자의적인 해고"이다.
- 산만함은 "인상으로 끊임없이 유혹함으로써 임계 한계에 대한 주의를 제한한다"는 경우에 발생한다. 산만함은 정신이 저절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과제나 아이디어에 집중시킨다.
- 승화는 부정적인 배출구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배출구로 에너지를 다시 집중시키는 것이다. 개인은 스스로 거리를 두고 미학적 관점(예: 작가, 시인, 화가)에서 자신의 존재를 바라본다. 자프 자신은 자신이 쓴 작품이 승화의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사람들은 실존적 위기가 실제로 좋은 것이라고 믿는다. 즉,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과 그들을 차별화하는 재능 있는 사람들과 깊은 사상가들의 짐이다.[5]
왜 그러한 실존적 우려가 영재들 사이에서 불균형적으로 일어나야 하는가? 부분적으로는 단순히 피상적인 일상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그런 관념까지 고려하는 실질적인 사고와 성찰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 James Webb, “Existential depression in gifted individuals”[6]
문화적 맥락
19세기에 Sören Kierkegaard는 상속되거나 차용된 세계관(종종 집단적 성격의 것)이 예기치 못한 극단적인 삶의 경험을 감당할 수 없음을 증명할 때 불안과 실존적 절망이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했다.[7] 프리드리히 니체는 자신의 견해를 확장하여 신의 죽음 즉 종교와 전통 도덕에 대한 집단적 신앙의 상실이 철학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보다 광범위한 실존적 위기를 초래했다는 것을 시사했다.[8]
실존적 위기는 실로 모더니즘(1890~1945)의 필연적인 반주로 여겨져 왔다.c.[9] 에밀 더크하임은 개인의 위기를 사회 병리학의 부산물이며 (부분적) 집단 규범의 결여로 본 반면,[10] 다른 이들은 실존주의를 현대 세계 전체에 걸쳐 의미 상실의 모더니즘적 위기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발생한다고 보았다.[11] 그것의 쌍둥이 답은 아노미(Martin Buber와 마찬가지로)의 경험에 의해 재활성화된 종교이거나, 사르트르와 카뮈와 마찬가지로 무의미하고 외계적인 우주 안에서 인간의 운명의 터무니없는 우발성에 직접 직면하는 것에 근거한 개인주의적 실존주의였다.[12]
어빈 얄롬 스탠퍼드대 정신건강의학과 명예교수는 실존심리치료 분야에 근본적인 기여를 했다. Rollo May는 이 접근법의 또 다른 창시자들이다.[citation needed]
프레드릭 제임슨은 시각적 소비자 문화에 의한 사회적 공간의 포화상태인 포스트모더니즘이 전통적인 주제의 모더니즘적 불안, 그리고 그것과 더불어 평탄화된 영향과 단편화된 주제의 새로운 사회적 병리학으로 구시대의 실존적 위기를 대체했다고 제안했다.[13]
참고 항목
참조
- ^ Richard K. James,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
- ^ admin (2020-09-03). "Existential Crisis - What You Need to Know, Definition, Meaning, Symptom". Addiction Now Substance Abuse, Drug Addiction and Recovery News Source. Retrieved 2020-09-10.
- ^ Flynn, Thomas. "Jean-Paul Sartr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1 April 2014.
- ^ 자프, 피터 웨셀
- ^ 코왈스키, 카일,
- ^ 데이비드슨 영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허가를 받아 재인쇄된 웹, J. T. (1999년 1월), '영재 개인에 존재하는 우울' '우리 영재 어린이들, 왕립 불꽃 출판사 7–9페이지가 2019-07-05를 회수했다.
- ^ S. 키에르케고르, 죽음으로의 병(1980) 페이지 41
- ^ 알버트 카뮈, 반란군 (Vintage 1950[?] 페이지 66-77
- ^ M. 하르트/K. Weeks, The Jameson Reader(2000) 페이지 197
- ^ E. 더크하임, 자살(1952) 페이지 214 및 페이지 382
- ^ M. 하르트/K. Weeks, The Jameson Reader(2000) 페이지 265
- ^ J. Childers/G. 헨지 에드스 콜럼비아 현대문예비평론사전(1995) 페이지 103-4
- ^ M. 하르트/K. Weeks, The Jameson Reader(2000) 페이지 267-8 및 페이지 199-200
추가 읽기
- J. Watson, Carreat Science as Careing Science as Sacred Science 2005. 제4장: "과학과 인간과학의 현존 위기"
- T.M. Coussineau, A. 세이브링, M.T. 바나드, P-673 불임의 의미 만들기: 실존적 위기인가, 개인적 변혁인가? 불임과 불임, 2006년.
- 샌더스, 마크, 실존적 우울증 2013년 영재들에게서 생명과 관련된 슬픔을 인식하고 치유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