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시로닌

Liothyronine
리오시로닌나트륨
Liothyronine.svg
Liotironina sódica3D.png
임상자료
상명키토멜, 테르트록신 등
AHFS/Drugs.com모노그래프
메드라인플러스a682462년
라이센스 데이터
경로:
행정
입으로, 정맥주사로
ATC 코드
법적현황
법적현황
  • UK: POM(처방에만 해당)
약동학 데이터
단백질 결합99.7%
제거 반감기2.5일
식별자
  • 나트륨(S)-2-아미노-3-[4-히드록시-3-요오드페녹시)-3,5-다이오도페닐]프로파노산염
CAS 번호
펍켐 CID
IUPHAR/BPS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유니
체비
켐벨
PDB 리간드
CompTox 대시보드 (EPA)
ECHA InfoCard100.000.203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공식C15H11I3NO4
어금질량672.959 g·1998−1
3D 모델(JSmol)
  • [Na+][O-]C(=O)[C@@H](N)Cc2cc(I)c(O)c(O)c1)c(I)c2.o
  • InChi=1S/C15H12I3NO4.Na.H2O/c16-9-6-8(1-2-13(9)20)23-14-10(17)3-7(4-11(14)18)5-12(19)15(21)22;;/h1-4,6,12,20H,5,19H2,(H,21,22);;1H2/q;+1;/p-1/t12-;;/m0../s1 checkY
  • 키:IRGJMZGKFAPCCR-LTCKWSDVSA-M checkY
☒NcheckY (이게 뭐야?) (iii)

리오시로닌갑상선 호르몬 트리오도시로닌(T3)의 제조된 형태다.[1]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뜸부은 혼수상태로 치료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인다.[1] 입으로 복용하거나 정맥에 주사하여 복용할 수 있다.[1]

과도한 투여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1] 여기에는 체중 감소, 열, 두통, 불안, 수면장애, 아르히트미아, 심부전이 포함될 수 있다.[1] 임신모유 수유에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2][1] 복용하는 복용량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기적인 혈액검사를 권고한다.[1]

Liothyronine은 1956년에 의학용으로 승인되었다.[1] 그것은 일반적인 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2] 2017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193번째로 3백만 개 이상의 처방전이 있었다.[3][4]

의학적 용법

말초 조직에서 T43 T로의 전환이 손상된 경우 리오시로닌을 사용할 수 있다.[1]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복용량은 보다 고농축 합성 약물이기 때문에 갑상선기능저하증보다 적다.[1] 약 25 μg의 리오시스트로닌은 100 μg의 리보시록신에 해당한다.[2]

갑상선암이나 그레이브스병에서는 방사성 요오드(131I)를 이용한 절제요법을 통해 갑상선 절제술(선체의 수술적 절제술) 후에도 남아 있을 수 있는 미량 갑상선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I요법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미량 갑상선 조직이 요오드에 대한 열성이어야 하는데, 이는 사람의 TSH 수치를 높임으로써 달성된다.[5] 레보시록신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TSH는 3-6주 동안 레보시록신을 중단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5] 이와 같이 장기간 호르몬 금수가 필요한 것은 레보시록신의 생물학적 반감기가 비교적 길기 때문이며, 환자에게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리오시스트로닌의 반감기가 짧아져 2주간의 금단기간이 허용돼 갑상선 기능저하증 증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 가지 의례는 레보시록신을 중단한 다음 T 수치가4 떨어지는 동안 리오시록신을 처방하고 마지막으로 방사성 요오드 치료 2주 전에 리오시록신을 중단시키는 것이다.[5]

리오시로닌은 또한 리보시록신과 비교했을 때 더 빠른 행동의 시작 때문에 멕시덴 혼수상태에도 사용될 수 있다.[6] 비만 치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1]

우울증

세발성 항우울제에 리오시로닌을 첨가하는 것은 특히 여성들에게 유용하게 보인다.[7] STAR*D 실험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사람들이 두 가지 항우울제 약물에 실패했을 때 옵션으로 리오시로닌을 권장한다.[8]

임신

미국 FDA에 따르면 리오시로닌은 임신 범주 A로 분류된다.[9] 갑상선 호르몬은 태아나 태반에 최소로 전달되지만, 2014년 10월 현재 연구에서는 태아에게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산모는 임신 내내 갑상선 호르몬 대체요법을 계속 복용해야 역기능을 피할 수 있다.[10][11]

간호

모유에는 갑상선 호르몬이 적게 들어 있어 리오시로닌을 복용하면서 모유 수유를 할 때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10]

노인

나이든 사람들은 낮은 양의 리오시로닌을 복용하기 시작해야 한다.[9] 이 모집단의 혈장 T3 농도는 25%에서 40%[10]까지 감소한다. 부적절하거나 비정상적인 갑상선 교체로 인한 관상동맥 질환, 갑상선 항진증 및 과도한 뼈 손실의 위험이 있으므로 TSH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10]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리오시스트로닌 나트륨에 대한 과민성 또는 제제의 활성 성분에 대한 어떤 사람도 이 약에 복용해서는 안 된다. 만약 무보정 부신불능이나 독성이 있다면, 치료에 대한 다른 접근법을 고려해야 한다.[9]

부작용

리오시로닌은 주로 갑상선 항진증의 증상과 유사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데,[12]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체중 감량
  • 떨다
  • 두통
  • 배탈이 나다
  • 구토
  • 설사.
  • 위경련
  • 신경질적인
  • 자극성
  • 불면증
  • 땀을 너무 많이 흘림
  • 식욕 증가
  • 열을 내다
  • 월경 주기 변화
  • 열에 대한 민감성

상자형 경고

패키지 삽입물에는 모든 갑상선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상자 모양의 경고문이 포함되어 있다.[9]

갑상선 호르몬 활동이 있는 약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함께 비만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자궁내막 환자의 경우 일일 호르몬 요구사항 범위 내의 선량은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지 않다. 더 큰 선량은 특히 식이성 효과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동조 아민과 관련하여 주어진 경우, 심각하거나 심지어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 징후를 일으킬 수 있다.

약리학

리오티로닌은 갑상선 호르몬의 가장 강력한 형태다. 삼오도티로닌3(T)의 소금으로서 화학적으로 유사하며 약리학적으로 T와3 동등하다. 이와 같이 인체에 작용하여 기초대사율을 높이고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관용성에 의해 카테콜아민(아드레날린 등)에 대한 인체의 민감도를 높인다. 단일요법으로서 또는 SSRI와의 결합요법으로서, 리오시로닌은 중추신경계에 새로운 뉴런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13] 갑상선 호르몬은 인체의 모든 세포의 적절한 발전과 분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 호르몬들은 또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신진대사를 조절하여 인간의 세포가 어떻게 에너지 화합물을 사용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리오시스트로닌은 리오시록신4(T)에 비해 작용이 빠르고 생물학적 반감기가 짧으며, 이는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트랜스히레틴혈장단백질 결합이 적기 때문일 수 있다.

가격 책정

영국 경쟁시장청은 2017년 갑상선염의 '과도하고 불공정한 가격 책정'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2007년 이전부터 2017년 7월까지 어반즈파마가 NHS에 과다 청구했다고 주장했다. 한 갑의 가격은 2007년 괴사조직 제거 전 4.46파운드에서 2017년 7월까지 258.19파운드로 거의 1600% 올랐다.[14]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iothyronine Sodium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Retrieved 27 February 2019.
  2. ^ a b c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76 (76 ed.). Pharmaceutical Press. 2018. p. 757. ISBN 9780857113382.
  3. ^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Retrieved 18 February 2021.
  4. ^ "Liothyronine Sodium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Retrieved 18 February 2021.
  5. ^ a b c "Thyroid Cancer (Papillary and Follicular)".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Retrieved 25 December 2016.
  6. ^ Klubo-Gwiezdzinska J, Wartofsky L (March 2012). "Thyroid emergencies".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6 (2): 385–403. doi:10.1016/j.mcna.2012.01.015. PMID 22443982.
  7. ^ Altshuler LL, Bauer M, Frye MA, Gitlin MJ, Mintz J, Szuba MP, et al. (October 2001). "Does thyroid supplementation accelerate tricyclic antidepressant response?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 (10): 1617–22. doi:10.1176/appi.ajp.158.10.1617. PMID 11578993.
  8. ^ Gaynes BN, Rush AJ, Trivedi MH, Wisniewski SR, Spencer D, Fava M (January 2008). "The STAR*D study: treating depression in the real world".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75 (1): 57–66. doi:10.3949/ccjm.75.1.57. PMID 18236731.
  9. ^ a b c d 시토멜(Liothyronine Sodium) 약물 정보: 경고 주의사항 - RxList에서 정보 처방, 2014년 10월 29일-10월-14일 검색
  10. ^ a b c d "리오시로닌(Lexi-Drugs)" 렉시콤프. 2014년 10월 29일 회수
  11. ^ Montalvo JM, Wahner HW, Mayberry WE, Lum RK (August 1973). "Serum triiodothyronine, total thyroxine, and thyroxine to triiodothyronine ratios in paired maternal-cord sera and at one week and one month of age". Pediatric Research. 7 (8): 706–11. doi:10.1203/00006450-197308000-00006. PMID 4200034.
  12. ^ 메드라인플러스 "리오시로닌." Last 액세스 2007년 7월 14일.
  13. ^ Rosenthal LJ, Goldner WS, O'Reardon JP (October 2011). "T3 augmentation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safety considera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8 (10): 1035–40. doi:10.1176/appi.ajp.2011.10030402. PMID 21969047.
  14. ^ "CMA investigates 1,600% price increase of liothyronine over eight-year period". Pharmaceutical Journal. 31 January 2019. Retrieved 17 March 2019.

외부 링크

  • "Liothyron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