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란다프 대성당

Llandaff Cathedral
란다프 대성당
성당 성당 베드로와 바울 성당 디프릭, 테일로, 에우도그위
에글위스 가데리올 란다프
Llandaff Cathedral (geograph 3435762 cropped).jpg
Llandaff Cathedral is located in Cardiff
Llandaff Cathedral
란다프 대성당
카디프 내 위치
51°29′45″N 3°13′04″w/51.4957°N 3.2179°W/ 51.4957; -3.2179좌표: 51°29′45″N 3°13′04″W / 51.4957°N 3.2179°W / 51.4957; -3.217979
위치카디프
나라웨일스
디노미네이션웨일스의 교회
웹사이트www.llandaffcathedral.org.uk
역사
상태성당
설립됨1120 (1120)
건축
기능상태활동적인
스타일중세, 고딕
관리
교구란다프
성직자
비숍준 오스본
학장게르윈 카폰 (Dean and Vicar)
프리센토르마크 프리스
캐논 프레지던트얀 반 데르 릴리[1]
라이티
음악 감독스티븐 무어
오르간 연주자데이비드 제프리 토머스

란다프 대성당(Welsh:Eglwys Gadeiol Llandaf)은 웨일즈 카디프란다프에 있는 성공회 성당 겸 교구 교회다.웨일스 란다프 교구교회 수장인 란다프 주교좌의 자리다.그것은 베드로와 바울과 세 웨일스 성인을 위해 바쳐졌다.두브리치우스(Welsh: Dyfrig), 테일로오오도체스(Welsh: Eudddogwy)이다.카디프에 있는 두 개의 성당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도심에 있는 로마 가톨릭 카디프 메트로폴리탄 대성당이다.

현재의 건물은 12세기에 이전 교회 자리에 지어졌다.1400년 오와인 글리드르의 반란, 영국 내전, 1703년 대폭풍 때 교회가 큰 피해를 입었다.1717년이 되자 성당의 손상이 워낙 광범위하여 교회는 시문의 철거를 심각하게 고려하였다.1720년대 초반에 더 많은 폭풍을 겪은 후, 장로 존 우드가 설계한 새로운 성당의 건설이 1734년에 시작되었다.1941년 1월 제2차 세계대전카디프 블리츠 때, 그 성당은 낙하산 지뢰가 투하되어, 나브, 남쪽 통로, 지부 집의 지붕을 날려버리면서 심하게 파손되었다.중세시대에 남아 있는 석조물은 주로 서머셋둔드리석이지만, 지방 청색 리아가 개혁 후기에 행해진 석조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교회에서 행해진 작업은 주로 콘크리트와 페넌트 사암이며, 전후 재건 과정에서 웨일스 슬레이트 및 납의 지붕이 추가되었다.2007년 2월, 심한 번개 때 장기가 손상되어 150만 파운드의 모금자가 완전히 새로운 장기를 위한 기금을 모으게 되었다.

수년 동안 성당은 전통적인 성공회 소년과 남자로 이루어진 합창단을 가지고 있었고, 최근에는 여학생 합창단을 가지고 있었는데, 웨일스의 교회, 성당 학교, 란다프에서 유일하게 헌신적인 합창단 학교를 가지고 있었다.The cathedral contains a number of notable tombs, including Dubricius, a 6th-century British saint who evangelised Ergyng (now Archenfield) and much of South-East Wales, Meurig ap Tewdrig, King of Gwent, Teilo, a 6th-century Welsh clergyman, church founder and saint, and many Bishops of Llandaff, from the 7th century Oudoceus to the 19th century A1849년부터 1882년까지 주교였던 엘레드 올리반트

역사

전설적 기원

폐허가 된 란다프 성당의 나브

노만 대성당이 고대 켈트 교회 자리에 건립됐다는 공통의 공감대는 있지만, 원래의 교회의 나이나 중요성, 규모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거의 없다.

루키우스

웨일스 전통은 이 교회의 창립을 영국의 전설적인 2세기 왕이자 최초의 기독교 개종자인 루치우스와 결부시킨다.루치우스는 자신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해 교황(엘레우테리우스)에게 간청한 것으로 여겨졌다.교황의 대응은 영국 최초의 교회 건립을 포함하는 기독교 사절단을 영국에 파견하는 것이었다.The Welsh Triads relate this tradition to Llandaff, stating that Lucius "made the first Church at Llandaf, which was the first in the Isle of Britain." another triad lists ""the three archbishoprics of the Isle of Britain" and states that "the first was Llandaf, of the gift of Lleirwg (Lucius), the son of Coel, the son of Cyllin, who first gave laNds와 그와 같은 시민적 특권은 먼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받아들였다.현재 루시우스 전설은 필적학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몬마우스네니우스베데, 제프리 등이 재검표하여 중세 시대에 널리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2]

네 개의 이름은 교황의 소원을 실행하는 임무와 연관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초기 웨일스 성도 페이건, 데루비안, 엘반이 포함된다.파간은 때때로 "라다프의 초대 주교"로 이름이 붙기도 하는데, 세 사람 모두 교구 전체에서 교회와 마을의 후원자가 되었다.Iolo Morgnwg는 또한 이 초기 인물들을 Landaff와 연결시켰고, 이 초기 기초에 대해 광범위하게 글을 썼다.이올로 원고에서 그는 페이건에게 란다프의 제2대 주교(이올로가 데루비안과 공감한 인물인 디팬을 계승하는 것)라고 채점한다.[3][4][5][6][a]

두브리치우스 성

영국 전설의 루시우스에서 쓴 그들의 글에서 몽마우스의 제프리이올로 모간윅모두 란다프의 기독교 공동체가 생 디프릭(두브리치우스)과 그의 후계자 생 테일로에 의해 재창립되었다는 것을 진술할 것이다.이 두 사람을 둘러싼 가장 주목할 만한 전설은 세인트 디프릭이 영국을 거쳐 펠라지안 이단에 반대하며 두 성인을 아서 왕과 연결시키던 중 아우세르의 게르마누스에 의해 대주교가 되었다고 진술할 것이다.

노르만인들은 다이프릭과 틸로를 성당의 원래 창시자로 여겼고, 오늘날에는 후임인 오오도체스와 함께 현대 대성당의 후원 성도들이다.[6]란다프의 현대 주교는 생 디프릭을 란다프의 초대 주교로 추대하고, 그 자리에 포스트로마 교회의 존속은 세속적이고 종교적인 글과 더불어 주교 재판소의 우물에서 고대 켈트 십자가의 잔해로 지지하고 있다.[8][9]

노먼 대성당

노르만인들은 노르만 정복 초기에 글래모건을 점령했고, 1107년에 어반(Urban)을 그들의 첫 주교로 임명했다.[10][b]그는 1120년에[12] 성당을 짓기 시작했으며 바드세이에서 세인트 디프릭의 유해를 옮겨오게 했다.[13][c]어반 사망 후 1183년 사망한 니콜라스 ap 그르간트 주교의 말년에 어느 정도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생각된다.[15]성당은 성 베드로와 바울, 두브리치우스, 테일로와 오오도세우스에게 바쳐졌다.[16]

헨리 아베르가베니 주교는 1214년경 란다프 성당 장을 조직했다.그는 선각자 14명, 제사장 8명, 사부 4명, 사부 2명을 임명하였다.드 아베르가베니도 란다프의 성공회 도장을 수정하여 거기에 묘사된 주교의 형상을 더 자세히 알려주고 그 비문에는 "신의 은총에 의해"라는 문구를 더했다.[17][18]서쪽 전선은 1220년부터 시작되며, St Teilo 동상을 포함하고 있다.[19][20]1266년에 이르러 어반(Urban)[21]이 시작된 구조가 바뀌었고, 성당은 1266년에 다시 헌납되었다.

레이디 채플은 1266년부터 1287년까지 주교인 윌리엄 브라즈에 의해 지어졌다.[22][d]어반(Urban)이 지은 교회 후면에 세워졌고, 예배당을 짓기 위해 옛 성가대 지역을 철거했다.이때부터 성당은 느린 걸음으로 끊임없이 보수나 수선 상태에 있는 것 같았다.레이디 채플이 완공된 후, 북쪽 합창단 통로의 두 베이가 재건되었다.[24]

1400년 오와인 글린드르의 반란이 일어나면서 교회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25] 그의 군대는 또한 란다프의 주교 궁전을 파괴했다.[26][e] 피해는 1575년 블레틴 주교가 동료 성직자들에게 대성당이 수리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게 할 정도로 광범위했다.[30][f]다른 피해의 대부분은 수리되었고, 특히 레도는 부분적으로 살아남은 마샬 주교가 가장 두드러지게 수리했다.[34][35]첨탑이 없는 북서탑은 재스퍼 튜더에 의해 추가되어 현재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6][g]그는 그의 조카 헨리 [38]7세의 즉위 후 카디프의 영주를 맡았다.

중세 말기의 무덤에는 Landaff의 David Mathew 경(1400–1484)이 있다.데이비드 ap 매튜 경은 1461년 장미전쟁의 일환으로 토튼 전투에서 목숨을 건진 죄로 에드워드 4세에 의해 "잉글랜드의 그랜드 스탠더드 베어러"로 임명되었다.[32]

빅토리아 시대 중세의 후기

스피드의 1610년 웨일스 지도에서 본 성당 묘사

영국 남북전쟁 동안, 그 성당은 의회 군대에 의해 운영되었다.다른 파괴와 함께 부대는 성당 도서관의 책들을 압류하여 카디프 성으로 가져갔고, 그곳에서 많은 통용기도서와 함께 불탔다.그 추운 겨울날 불을 쬐기 위해 성에 초대된 사람들 중에는 몇몇 격리된 성직자들의 아내들도 있었다.[39][40][h]또한 이 불안의 시기 동안, 실천적인 청교도라고 주장하는 밀레스라는 사람이 성당의 일부를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전용했다.밀레스는 성당에 주막집을 차리고 그 일부를 마구간으로 사용했으며, 합창단 구역을 종아리를 위한 펜으로 바꾸고 그 폰트를 돼지들의 수조로 사용했다.[31][25][i]

남서쪽 탑은 1703년의 그레이트 스톰에서 큰 피해를 입었고, 1720년에는 붕괴 상태에 있었다.[j]성당의 손상은 매우 광범위해서 교회는 1717년 카디프에게 보내는 시편을 철거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했다.[31][k]1720년과 1723년 사이에 일련의 폭풍이 성당을 더욱 손상시켰고, 지붕의 일부와 다른 파괴를 가져왔다.1723년 붕괴로 예배는 강제로 레이디 채플에 국한되었고 성당의 서쪽 입구는 완전히 폐쇄되었다.[43][l]

Landaff 성당에서 그의 작품을 완성하려는 John Wood의 계획.오른쪽에서 본 건물의 동쪽 부분은 우드가 실제로 일했던 곳이다.왼쪽의 서쪽 부분은 우드가 제안했지만 건설되지 않은 현관과 탑이다.

성당 지붕이 무너진 지 30년이 지난 뒤 장로는 건축가우드 장로에게 성당 복원 추정치와 계획을 마련해 달라고 부탁했다.[45]1734년 우드가 디자인한 새로운 성당에서 작업이 시작되었다.[46]우드는 이탈리아식 사원[47] 양식을 생산하여 건물의 동쪽 부분에서만 작업을 하는 한편, 남아 있는 서쪽 반쪽은 폐허가 되었다.[45]우드가 란다프에서 지으려던 것은 이탈리아인이 아니라 솔로몬 신전을 재현한 것이었다.[48]또 16년이 지나서야 그 지부는 건물의 서쪽 절반을 수리할 자금을 요청했다.[49][m]우드의 계획은 성당의 서쪽 입구를 탑과 촌스러운 현관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50]1841년 와이트와 프리차드가 공사를 시작할 때까지 서쪽 출입구는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때 건축물의 서쪽 부분에 대한 손상이 수리되고 우드에 의한 이탈리아 신전의 모든 흔적이 성당에서 제거되었다.[51][52][n]

19세기 동안 주교는 수세기 만에 처음으로 Landaff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그 시회의 주교들은 거의 300년 동안 Landaff에 거주하지 않았다.[54]1836년에 또 다른 성공적이지 못한 시도는 브리스톨에게 있었다.그 시편을 양도하려고 시도한 후, 딘의 사무실은 Landaff에게 복구되었다; 그 자리는 700년 동안 채워지지 않았다.[55]의 사무실은 1843년 11월 란다프의 대집사 사무실과 분리되었다.[56][o]딘의 사무실 복구는 성당에게 더 좋은 시대의 시작이었다.새 학장인 윌리엄 브루스 나이트는 매우 필요한 회복에 도움이 되었다.[58]

1857년 4월 16일 예배를 위해 대성당을 다시 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복원이 완료되었다.글로스터의 시선은 이 예배를 위해 그들의 성가대를 빌려주었고, 1691년 이후 처음으로 란다프 성당에서 합창음악을 들을 수 있었다.[59]여기까지 복원한 것은 이탈리아 사원의 흔적을 모두 없애고 우드가 성당을 개조하려다 생긴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서였다.[51]아름다운 몰딩을 한 아치는 벽에 가려져 있었고, 세딜리아는 원래 위치에서 제거되었으며, 레도는 회반죽으로 덮여 있거나 벽으로 가려져 있었다.[60][34]

용역이 끝난 후 간담회가 열렸고, 이날 회의에서는 기부를 희망하는 사람들의 명단과 함께 구체적인 복원계획이 발표됐다.영국 왕세자 에드워드 7세와 존 크라이튼-스투아르트, 제3대 부테의 마퀘스는 복구 작업이 즉시 계속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기부를 다짐한 사람들이다.[61][p]성당은 광범위하게 복구되었고, 탑은 재건되었고 첨탑은 추가되었다.[63][64]복구 작업의 상당 부분은 1843년에서 1869년 사이에 지역 건축가 존 프리차드에 의해 완성되었다.[65][66][q]단테 가브리엘 로세티가 그린 삼색 유리창은 레드로 사용하도록 디자인되었고,[67][r] 새로운 스테인드 글라스 창인 세인트 폴의 난파선포드 매독스 브라운이 디자인했다.[68]Edward Burne-Jones 경은 St Dyfrig's Chapel에서 6일간의 창작 도자기 판넬을 디자인했다.[69]

1691년부터 1860년경까지 성당에는 성가대가 없었다.[s]한동안 오르간도 없었다.브라운 윌리스의 1719년 계정은 당시 오르간 다락방에서 발견된 세프른 멜리스의 케미시 아가씨가 성당에 기증한 오르간의 유적을 묘사하고 있다.[73][74]1860년 당시 란다프 주교였던 알프레드 올리반트1575년부터 현재까지 란다프 대성당 구성의 상태에 대한 약간의 설명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성당의 합창단을 복원하고 새로운 오르간을 구입하기 위한 기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75][76][t]9세기 이후 어떤 형태의 성당학교가 존재해왔다.딘 본은 1888년에 학교를 재정비했다.1978년 이래로 그 성당 학교는 여학생들을 받아왔다.[79][80]

20세기와 21세기

야곱 엡스타인그리스도를 보여주는 라란다프 대성당의 나브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인 1941년 1월 2일 저녁 카디프 블리츠(Cardiff Blitz) 때 근처에 낙하산 지뢰가 떨어져 나브, 남쪽 통로, 챕터하우스 지붕이 날아가 성당이 심하게 파손됐다.[81][u]첨탑 꼭대기도 재건해야[83] 했고 장기에도 약간의 손상이 있었다.[81]폭탄 테러가 일어난 다음 일요일, 디에너리에서 예배가 열렸다.곧 레이디 채플과 성소를 치우고 이 지역의 지붕을 수리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되었다.이것은 1942년 4월에야 완성되었다.전쟁이 끝날 때까지 더 이상의 작업이 불가능했고 수리된 지역은 1957년까지 예배의 장소 역할을 했다.[81]영국의 성당들 중에서, 악명 높은 코벤트리 블리츠 동안, 코벤트리 대성당만이 더 많이 손상되었다.[84][v]그것의 중요성 때문에, 1952년 2월 12일에 1등급 건물 지위를 받았다.[86][87]

웰치 연대 기념 예배당

요크의 건축가 조지 페이스(George Pace) 밑에서 대대적인 복원과 재구축이 진행되었고, 1958년 6월에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엘리자베스 2세는 1960년 8월 6일 복구 완공을 축하하는 예배에 참석했다.[81]웰치 연대 기념 예배당이 건립되었고,[69] 제이콥 엡스타인은 조지 페이스가 설계한 콘크리트 아치 위에 나브 위로 올라가는 그리스도의 형상을 만들었다.[81]

페이스는 프리처드에 의해 이전에 행해진 성당 복원의 일부가 아닌 설교를 대체할 두 가지 옵션을 제시했다.하나는 발다치노가 네 개의 기둥을 가지고 있고 그 밑에 적절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을 위한 것이었다.다른 하나는 속이 빈 드럼 위에 있는 더블 위시본 아치를 위한 것이었다.'영광 속의 그리스도'라는 인물은 드럼의 서쪽 면에 설치될 것이다.이 제안은 딘과 성당 지부에 의해 받아들여졌다.그들은 폭격으로 파손된 스테인드글라스를 대체하기 위한 자금들이 다른 매체에서 예술에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전쟁 피해 위원회에 접근했다.이 허가는 마제스타스의 인물에 자금을 대는 데 도움이 되었다.[88]

2007년 2월 성당은 심한 번개를 맞았다.[89]이미 상태가 좋지 않은 장기의 전기 장치에 특별한 손상을 입혔다.그 기구는 번개가 친 후에 사용할 수 없었다.[90][91]이것은 2007년에 완전히 새로운 장기 건설을 위해 150만 파운드를 모금하자는 호소문을 시작하게 했다.[91]

건축

란다프 성당의 서쪽 전선

원래 노르만 이전의 교회는 12세기 란다프 책에 길이 8.5m, 너비 15피트(4.6m), 높이 20피트(6.1m) 이하로 기록되어 있다.그것은 길이가 12피트(3.7m)나 되는 압시달 포티쿠스와 함께 낮고 좁은 통로를 포함하고 있었다.[92]1120년대에는 새로 형성된 교구를 지배하기 위해 두 번째 노르만인 주교인 어반(Urban)의 명을 받아 웅장한 건물을 건설하기 시작했다.아베르가베니의 헨리 성공회 때 1193년에서 1218년 사이에 대규모 공사가 발주되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서쪽 부분은 어반(Urban)이 지은 것을 대체하였고, 이편의 앞부분과 나브(Nav)는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건축의 정교한 장인정신과 섬세함이 글래스톤베리 애비, 웰스 대성당 등과 뚜렷한 유사성을 보여 서머셋의 대표적인 장인이 여러 명 채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2]

일부 리모델링 작업은 13, 14세기에 이루어졌지만, 16세기 후반까지 글래모건의 영주 재스퍼 튜더(Jasper Tudor)가 후원한 북서탑으로 교회는 황폐화 상태에 빠졌다.[93]1594년 주교는 성당이 "기도의 집이나 성스러운 운동보다는 황량하고 불경스러운 곳"이라고 불평했다.교회는 계속 가난한 상태로 존재하여 1692년까지 지붕이 무너질 것을 우려하여 합창 예배를 중단해야 했다.서북 탑의 전투는 1703년 폭풍우 중에 폭발했고, 남서 탑은 1722년에 무너졌다.[94]1734년, 성당 복원을 위해 배스의 존 우드를 고용했지만, 1752년까지 신전에 대한 그의 작업은 여전히 완성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 있었다.1840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카디프의 산업 발전으로 성당은 완전한 복원을 시작하기 위해 기금을 모을 수 있었다.[94][71]

란다프 대성당 서쪽 전선의 문; 문 위에 세인트 틸로의 동상이 보인다.

T. H. 와이어트는 1841년 레이디 채플을 복원하기 위해 고용되었지만, 이후 다른 약속 때문에 1840년대와 1850년대에 가장 광범위하게 교회에서 일했던 존 프리차드에게 많은 일을 맡겼다.프리차드는 1850년까지 성소를 복구했고, 1852년경에는 우드가 지은 신전의 상당 부분을 헐면서 나브 작업을 시작했다.[95]라파엘 출신 예술가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토마스 울너를 고용할 수 있었던 런던 소재 존 폴라드 세든과 함께 광범위한 개발이 이루어졌다.모리스사는 1860년대에 스테인드글라스를 제공했다.프리차드는 1867–1869년에 많은 재능 있는 예술가들과 장인들의 도움을 받아 남서쪽 탑의 극적인 재개발을 책임졌다.[95]

1941년 성당 남쪽 통로 부근에서 낙하산 지뢰가 폭발해 나브 지붕이 무너지고 유리창이 산산조각 났다.찰스 니콜슨은 지붕을 재건하기 위해 고용되었고, 로세티가 북쪽 통로에 추가한 제단 조각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1949년에 니콜슨은 요크의 조지 페이스로 교체되었는데, 그는 당시 학장 글린 시몬과 협조하여 많은 부속품들이 여전히 고딕 양식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양식의 많은 발전을 보았다.[95]

챕터 하우스

중세시대부터 남아있는 교회의 재료는 주로 서머셋둔드리석이지만, 서튼석이나 지방청리석 역시 석조물을 구성하고 있으며, 후자는 개혁 후기 석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교회에서 행해진 작업은 주로 콘크리트와 페넌트 사암이다.전후에 추가된 지붕은 웨일스 슬레이트와 납으로 만들어졌다.성당의 서쪽 정면은 그 길이를 따라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넓은 중앙 출입구가 나브의 바닥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고 있다."지속적인 챔퍼 윤곽, 콜론네트, 드리프마울드(dripmoud)"를 가진 "이중 로베드(double lobed)"라고 묘사된다.[86]

나브의 남쪽은 8개의 베이 사이에 버팀목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통로 창문은 레티컬 헤드를 특징으로 한다.[86]성소의 남쪽 통로 옆에는 2층짜리 작은 정사각형 건물인 챕터 하우스가 있다.그것은 13세기[96]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있으며 치핑 캠덴과 배스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라디르에서 가져온 지역 붉은 사암도 있다.[86]팔각지붕은 비록 페이스에 의해 음정이 낮아지고 나중에 도널드 버트레스가 작업했지만 프리차드의 머리손질이었다.그 건물의 버팀목은 재질로 만들어졌다.7개의 스테인드글라스 원형들은 16세기 플랑드르에서 유래되었다.내부에는 모세가 등장하는 강단이 있다.[96]1953~1956년 조지 페이스가 추가한 성다비드 예배당도 주목할 만하다. 이 예배당은 성당의 노르만 북쪽 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86]

챕터

2022년 1월 28일 현재, 성당의 통치 기구인 장(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97]

음악

합창단

여러 해 동안 성당에는 전통적인 성공회 소년과 남성 합창단이 있었고, 최근에는 걸 합창단이 있었다.소년 소녀들은 웨일즈 교회에서 유일하게 헌신적인 성가대 학교인 성당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80]

성당 합창단은 소년과 알토, 테너와 베이스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요일에는 합창과 합창 에벤송에서 노래한다.풀합창단은 또한 목요일에 에벤송을 위해 노래를 부르는데, 화요일에는 소년들이 혼자 노래하고 금요일에는 낮은 목소리로 노래한다.걸 초리스터와 스콜라 칸토룸은 성당학교의 초리스터 사부님이 지휘하는 월요일과 수요일 에벤송을 위한 SATB 전 서비스를 통해 이번 주 내내 합창 전통을 지킨다.[101]걸 합창단은 성당 합창단과 함께 가끔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2018년 현충일 국가기념사업회를 비롯한 대형 예배에서도 노래를 불러왔다.

또한 교구 합창단은 주간 교구 성찬회에서 노래하며, 소년 소녀 남녀가 혼합된 합창단이다.[80]이 대성당은 12개의 종으로 이루어진 고리(총 13개를 만들기 위해 추가로 "플랫 6"을 달았다)가 재스퍼 타워에 위치한 체인지링을 위해 걸려 있다.현재의 종은 1992년에 설치되었고 이전의 10개의 고리를 대체했다.[6][102][w]웨일스의 다른 한 교회만이 12개의 종을 울리고 있다; 그 성당은 카디프에서 12개의 종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교회다.[104]

성탄절을 닷새 앞둔 2013년 12월, 성당 지부는 성가대(알토스, 테너, 베이스)의 샐러리맨 전원이 보조 오르간 연주자와 함께 중복 제작되고 있다고 발표했다.성당은 재정위기가 한창이었는데, 이 장은 이런 조치를 취함으로써 연간 4만 5천 파운드를 절약할 생각이었다.[105]

녹음

2012년 이 성당은 마제스타스라는 녹음과 함께 자체 음반사를 초연했다.이 음악은 새로운 성당 오르간과 란다프 성가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이 녹음의 제목은 전후 건축물의 갱신 과정의 일부였던 성당 내브에 있는 제이콥 엡스타인 조각에서 따온 것이다.음반 판매 수익금은 아프리카 자선단체에 기부되었다.[106]

2018년 8월, 2010–13 니콜슨 오르간 녹음이 공개되었다.오르간은 스테판 무어 음악감독이 맡았으며, 디오 그라시아스라고 불린다.[107][108]

2018년 12월 성당은 성탄절계절 음악을 선보이는 나돌리그 이엔 란다프라는 성당 합창단의 녹음을 시작했다.[109]2012년 마제스타스 이후 성당 합창단의 첫 CD였다.

장기

메인 오르간

Landaff의 첫 번째 기관은 1861년에 Gray와 Davison에 의해 만들어졌다.1800년대 후반, 이 장기는 고색창연한 것이었고, 파이프는 성으로 옮겨졌다.메리 교회,[110] 우스크

두 번째 오르간은 1900년 호프 존스노먼과 비어드와 함께 만들었다.[110][111]이 장기는 힐, 노먼, 비어드에 의해 1937년에 재건되었다.[110][112]그것은 전시의 성당 파손 이후 건설업자들에 의해 상당한 보수 공사를 받았다; 2007년 번개가 그것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기 전에도 [110][113]이 시점부터 완전히 만족한 적은 없었다.[90][108]원래 그 당시에는 새로운 장기를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전후 영국의 엄격한 기후에서 약 100만 파운드의 비용이 너무 높은 것으로 여겨졌다.[91]

오르간 제조업체인 니콜슨앤코퍼레이션은 2008년[91] 가을부터 새로운 오르간 설치를 시작했으며, 완전히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2010년 부활절까지 재생 가능한 무대로 올려졌다.그것의 첫 공연은 2010년 4월 3일 부활절 밤 예배에서 공연된 루이 비에른메세 솔레넬의 글로리아였다.[114]2011년 Landaff 음악 페스티벌의 수익금은 새로운 오르간 완성을 위해 성당에 기부되었다.[115]나머지 정류장은 2013년 늦여름에 추가됐다.[116][117]그것은 1960년대 코벤트리 설치 이후 영국 대성당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오르간이었다.[91][110][108][x]

레이디 채플 오르간

성당의 동쪽 끝에 있는 레이디 채플에서는 두 개의 실내 장기가 사용되었다.1946년 힐, 노먼, 비어드에 의해 만들어진 첫 번째 것은 두 개의 매뉴얼과 페달을 가지고 있었다.[118]이것은 1960년에 Henry Wilis & Sons에 의해 지어진 하나의 수동 실내 장기로 대체되었고,[119]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곳에 남아 있다.

매장

란다프 성당의 무덤

참고 항목

메모들

  1. ^ 란다프 책에 나오는 설명은 156년 루치우스 왕엘레우테리오스 교황에게 엘프와 메드위라는 두 명의 대사를 보내 자신이 기독교인이 되고 그의 신자들도 기독교인이 될 수 있다고 요청했다는 것이다.두 대사 모두 세례를 받고 서품을 받았으며, 엘프가 주교가 되었다.두 사람 모두 영국으로 돌아와, 루치우스 왕의 궁정에서 많은 것을 가르치고 개종하였다.엘판은 란다프의 초대 주교가 되었다고 한다.[7]
  2. ^ 우르반은 주교가 되었을 때 현재의 성당이 반쯤 폐허가 된 상태에서 발견하였다.그는 또한 기존 성당의 규모가 생 두브리치우스의 유해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다고 느꼈다.[11]Urban은 건물의 전체 길이가 약 40피트인 예배당 크기의 구조물을 묘사했다.그는 1119년에 새로운 성당을 짓기 위한 기금을 성당에 호소했다.[10]
  3. ^ 어반(Urban)이 지은 교회의 묘사는 고고학 캄브렌시스에 기록되어 있다.그것은 아마도 하나의 다각형 탑이 있는 나브와 우회로 구성된 작은 교회였다.우르반 교회의 나브는 결국 노회가 되었고 그의 운명은 레이디 채플이 되었다.[14]
  4. ^ 드 브라세는 그가 지은 예배당에 매장되어 있다.[23]
  5. ^ 1719년 브라운 윌리스 계정은 주교 궁전을 성당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1719년 아직도 전체가 서 있는 대문집으로 판단하여 매우 위풍당당한 건물로 묘사했다.주교 궁전이 있던 자리 자체가 1719년 정원이었다.[27]성당 건물에는 란다프 대집사를 위한 대집정 성도 있었는데, 주교 궁전과 동시에 파괴되었다.[28]또 다른 설명은 주교 궁전과 대집사 성이 둘 다 불에 타 죽었다는 것이다.[29]
  6. ^ 이후 매튜스라는 이름의 가족은 북쪽 통로를 유지하고 필요한 수리를 제공한다는 조건으로 북쪽 통로에 매장할 권리를 부여받았다.[31]데이비드 매튜 경은 이 가족 집단의 일원이다.[32] 1594년 부여된 특권은 1686년 가족이 성당의 북쪽 통로를 유지하지 못하자 취소되었다.[33]
  7. ^ 이 탑은 15세기 말에 안전하지 않다고 여겨지고 재스퍼 튜더에 의해 건설된 것이 아니라 다시 지어졌다.[37]
  8. ^ 그 도서관은 나중에 프랜시스 데이비스 주교에 의해 다시 세워졌다.[32][40]
  9. ^ 도표는 합창단이 1층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41]
  10. ^ 1719년 브라운 윌리스가 쓴 성당의 설명은 이 탑이 파멸적으로 보인다고 묘사하고 있다.윌리스는 그 탑이 한때 꼭대기에는 거친 전투가 있었고, 모퉁이에 네 개의 작은 바늘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전투는 무너졌다고 말했다.윌리스는 재스퍼 타워가 1719년에 잘 정비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1703년의 그레이트 스톰으로 인해 탑 꼭대기에 있던 많은 전투와 코너 핀 2개가 제거되었다고 말했다.강한 남풍이 이 돌들을 교회 뜰로 날려보냈다.[36]
  11. ^ Landaff는 1922년까지 카디프의 일원이 아니었다.[42]
  12. ^ 이 시회는 1721년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웨이크에게 성당을 수리할 자금을 요청하기 시작했다.대주교는 조지 1세로부터 1,000파운드의 약속을 받을 수 있었고, 웨일스 왕자(나머지 조지 2세)로부터 500파운드의 기부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랐다.그는 관람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이것뿐이며 교구 안의 사람들과 그들의 친구들로부터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44]
  13. ^ 올리반트 주교는 1860년에 성당의 서쪽 부분에 대한 우드의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 어떤 모니(monies)가 챕터에 의해 접수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고 썼다.[49]
  14. ^ 이탈리아 사원의 기둥, 필라스터, 콘리스터는 비숍 코트의 도서관에 설치되었다.지붕 위에 서 있던 두 개의 항아리가 주교의 정원으로 옮겨졌다.[50]올리반트 주교는 이탈리아 사원의 일부 부속품 보유에 대해 "주교 궁정의 도서관을 장식한 기둥, 필라스터, 코니체 등이 당시 칙칙한 갈색이었는데, 이 기둥, 필라스터, 코니체 등은 내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의식용 합창단의 부속품이 무엇이었는지 덮을 것"[50]이라고 썼다.오늘날에 관해서는, 항아리 중 하나가 지금 성당의 성당 앞 집에 있다.
  15. ^ 딘의 집무실은 1120년 이후 공석 상태였는데 이때부터 아치디콘은 부관으로도 알려지게 되었다.[57]
  16. ^ 기부를 하거나 기부를 다짐한 사람들의 명단.[62]
  17. ^ 이탈리아 사원의 사후 복원은 1841년 T. H. 와이어트에 의해 시작되었다.프리차드는 1843년에 레이디 채플의 창문을 다시 디자인했다.1845년까지 프리차드는 성당 프로젝트를 담당하게 되었다. 와이어트는 1853년까지 "명예 건축가"로 남았고, 그의 계획은 프리차드에게 유리하게 세워졌다.란다프 대성당 프로젝트는 프리차드의 건축 경력을 시작했다.[52]
  18. ^ 레도스, The Seed of David는 1860년에 시작되어 후에 완성되었다.그것은 로세티의 가장 훌륭한 작품들 중 하나로 묘사된다.[67]
  19. ^ 처음에는 성당 오르가니스트의 사망으로 합창 예배가 중단되었다.[70][71]재정적인 고려가 대 집사와 장으로 하여금 유료 합창단을 단종하게 만들었을 것이다.교장에게 음악을 제공하기 위해 적은 돈을 지불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는 성당의 학생들이 노래하는 동안 베이스 바이올린을 연주함으로써 그렇게 했다.[72]
  20. ^ 1861년 9월 18일 성당에 새로운 오르간을 설치하기에 충분한 돈이 모금되었다.[77][78]
  21. ^ 기뢰는 카디프 폭격 후 며칠이 지나도록 폭발하지 않았다.[82]
  22. ^ 성당은 2016년 1월 3일 폭탄테러 75주년을 맞아 추모행사를 열었다.[85]
  23. ^ 브라운 윌리스의 1719년 구조는 성 베드로 종이라고 알려진 큰 종을 들고 있는 성당의 남서쪽에 위치한 오랜 기간 동안 지어진 탑을 묘사했다.그것은 재스퍼에 의해 제거되어 엑세터에게 옮겨졌고, 거기서 재스퍼 타워에 걸려 있던 다섯 개의 작은 종과 교환되었다.[12]그 종은 1484년경 엑서터 대성당으로 옮겨졌다.[103]
  24. ^ 여기서 사양을 볼 수 있다.
  25. ^ 에드워드 코플스턴은 프란시스 데이비스 이후 란다프에 묻힌 최초의 주교였다.[129]

참조

  1. ^ "Installation of Canon Chancellor". Llandaff Cathedral. Retrieved 8 April 2020.
  2. ^ Williams, John (1844). The ecclesiastical antiquities of the Cymry: or, The ancient British church; its history, doctrine, and rites. London: W. J. Cleaver. p. 69. Retrieved 16 December 2021.
  3. ^ 바트럼(2009), "두비아누스(1)", 페이지 236.
  4. ^ 윌리엄스,사이므리의 교회주의 유물: 또는 고대 영국 교회; 그것의 역사, 교리, 그리고 의식, 73. W.J. 클리버 (런던), 1844.
  5. ^ Ollivant, Alfred (1860). Some Account of the Condition of the Fabric of Llandaff Cathedral chiefly from 1575 to the present time. Rivingtons. pp. 4.
  6. ^ a b c "A short history". Llandaff Cathedral website. Dean and Chapter of Llandaff Cathedr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December 2007. Retrieved 10 October 2007.{{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7.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19.
  8. ^ "Llandaff". Monmouthshire Merlin. 14 May 1870. p. 5. Retrieved 19 May 2016.
  9. ^ "Singular Discovery of an Ancient Cross at Llandaff". Western Mail. 12 May 1870. p. 3. Retrieved 19 May 2016.
  10. ^ a b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0-21.
  11. ^ 제임스 1898 페이지 23.
  12. ^ a b 윌리스 1719 페이지 3
  13. ^ a b 1840 페이지 622.
  14. ^ 아이작 1859, 페이지 97.
  15. ^ 본드 1912, 페이지 455.
  16.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22페이지.
  17. ^ Pearson, M. J. (2003). "The Welsh cathedrals 1066–1300', in Fasti Ecclesiae Anglicanae 1066–1300: Volume 9, the Welsh Cathedrals". British History Online. Retrieved 10 April 2016.
  18. ^ 윌리스 1719 페이지 48-49.
  19.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29.
  20. ^ Logan, Olive (February 1901). "Llandaff". The Cambrian. T. J. Griffiths: 107. Retrieved 9 April 2016.
  21. ^ 데이비스 1987, 페이지 184.
  22.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51.
  23. ^ 에반스 & 험프리스 1997, 페이지 14.
  24.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22-24페이지.
  25. ^ a b 제임스 1898, 페이지 27.
  26. ^ 윌리스 1719 페이지 30.
  27. ^ 윌리스 1719 페이지 30–31.
  28. ^ 윌리스 1719 페이지 33.
  29.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5.
  30.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5-26.
  31. ^ a b c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6.
  32. ^ a b c d 윌리스 1719 페이지 25.
  33.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9-10.
  34. ^ a b 제임스 1898, 페이지 51.
  35.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49.
  36. ^ a b 윌리스 1719 페이지 2
  37. ^ 본드 1912, 페이지 462.
  38. ^ Pierce, Thomas Jones (1959). "TUDOR, JASPER (c. 1431 - 1495), earl of Pembroke".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National Library of Wales. Retrieved 6 April 2016.
  39. ^ 윌리스 1719 페이지 32.
  40. ^ a b 스토어 & 스토어 1817, 페이지 L.
  41. ^ 프리맨 1850, 페이지 16.
  42. ^ "The History of Cardiff's Suburbs-Llandaff". Cardiffians. Retrieved 19 May 2016.
  43.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32~33.
  44.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34-35.
  45. ^ a b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35.
  46. ^ 모울 & 어니쇼 1988, 213페이지.
  47. ^ 제임스 1898, 페이지 29.
  48. ^ 베리 1990, 페이지 109.
  49. ^ a b 올리반트 1860, 페이지 22.
  50. ^ a b c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36.
  51. ^ a b 1873년, 페이지 13.
  52. ^ a b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91.
  53. ^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255.
  54. ^ 제임스 1898 페이지 25.
  55.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8.
  56. ^ "No. 20314". The London Gazette. 6 February 1844. p. 400.
  57.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33.
  58.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8-29.
  59.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36.
  60.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31.
  61. ^ 클리프톤 & 윌모트 1907, 페이지 29.
  62.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38~39.
  63.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38.
  64. ^ "Llandaff Cathedral". Monmouthshire Merlin. 14 July 1866. p. 2. Retrieved 15 April 2016.
  65. ^ "Landaff Cathedral". The Cardiff and Merthyr Guardian. 17 July 1869. pp. 5–7. Retrieved 15 April 2016.
  66. ^ 데이비스, 젠킨스 & 베인스 2008 페이지 710.
  67. ^ a b 제임스 1898, 페이지 52.
  68. ^ Treuherz, Bendiner & Thirlwell 2011, 페이지 107.
  69. ^ a b Pepin 2008, 페이지 89.
  70. ^ 제임스 1898, 페이지 28.
  71. ^ a b 해켓 1823 페이지 36.
  72.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31-32.
  73. ^ a b 윌리스 1719 페이지 21.
  74.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28.
  75.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광고"
  76. ^ Ellis, Thomas Iorwerth (1959). "OLLIVANT, ALFRED (1798 - 1882), bishop".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National Library of Wales. Retrieved 6 April 2016.
  77. ^ "Llandaff Cathedral". Monmouthshire Merlin. 10 August 1861. p. 2. Retrieved 15 April 2016.
  78. ^ "Llandaff Cathedral". Monmouthshire Merlin. 21 September 1861. p. 8. Retrieved 15 April 2016.
  79.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75-76.
  80. ^ a b c "Music at Llandaff Cathedral". Llandaff Cathedr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rch 2007. Retrieved 9 April 2016.{{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81. ^ a b c d e "Cardiff Blitz 1941". Llandaff Cathedral. Retrieved 9 April 2016.
  82. ^ "Llandaff Cathedral-Back From the Ashes". South Wales Echo. 9 April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6.
  83. ^ "Llandaff cathedral". Retrieved 9 May 2009.
  84. ^ 윙크 1984, 페이지 350.
  85. ^ Wightwick, Abbie (4 January 2016). "Nazi Bombing Raid on City Remembered 75 Years on; 75 Years Ago, a Nazi Bombing Raid on Cardiff Left 165 People Dead, Many More Wounded and Badly Damaged Llandaff Cathedral. It Was the Worst Attack on Any UK Cathedral, Apart from Coventry". South Wales Ech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6.
  86. ^ a b c d e "Cathedral Church of St Peter and St Paul, Llandaff". British Listed Buildings. Retrieved 18 May 2016.
  87. ^ Cadw. "Cathedral Church of St. Peter and St. Paul (13710)". National Historic Assets of Wales. Retrieved 3 April 2019.
  88. ^ "The Majestas". Llandaff Cathedral. Retrieved 11 April 2016.
  89. ^ Collins Peter (15 May 2012). "Peter Collins: Llandaff Cathedral organ lightning strike illuminates capitalism's woes". Wales Online. Retrieved 9 April 2016.
  90. ^ a b Williams, Kathryn (27 February 2014). "It's a Pipe Dream". South Wales Ech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6.
  91. ^ a b c d e "The Cathedral organ appeal". Llandaff Cathedral website. Dean and Chapter of Llandaff Cathedral. 13 Jul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08. Retrieved 10 October 2007.{{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92. ^ a b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239.
  93. ^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248.
  94. ^ a b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240.
  95. ^ a b c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241.
  96. ^ a b 뉴먼, 휴즈 & 워드 1995, 페이지 254.
  97. ^ "Chapter & Greater Chapter". Llandaff Cathedr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22. Retrieved 28 January 2022.
  98. ^ "New Dean of Llandaff installed". Anglican Communion News Service. 4 March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22. Retrieved 28 January 2022.
  99. ^ "Majestas, Issue 2". issuu. 6 April 2019.
  100. ^ "Majestas, Issue 3". issuu. 16 September 2019.
  101. ^ "The Cathedral School Girl Choristers". llandaffcathedral.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02. ^ "Dove details: Llandaff Cath, Metropolitical, and Parish Ch of SS Peter & Paul". Dove's Guide for Church Bell Ringers. Central Council for Church Bell Ringers. 27 August 2007. Retrieved 10 October 2007.
  103. ^ "Llandaff Cathedral". The Saturday Magazine: 115. 27 September 1834. Retrieved 8 April 2016. llandaff cathedral.
  104. ^ Conner, Rachel (22 March 2011). "Good Chimes". South Wales Ech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16.
  105. ^ "BBC News announcement of redundancies at Llandaff Cathedral". BBC News. 20 December 2013. Retrieved 21 December 2013.
  106. ^ "New Record Label From Llandaff Cathedral". Planet Hugill. 22 December 2012. Retrieved 9 April 2016.
  107. ^ "Deo Gracias – Stephen Moore plays The Nicholson Organ of Llandaff Cathedral Britain's Premier Church Music Label". www.prioryrecords.co.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08. ^ a b c "The Cathedral Organ". llandaffcathedral.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09. ^ "Nadolig yn Llandaf". regent-records.co.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0. ^ a b c d e "Cardiff". Nicholson & Co. Ltd.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1. ^ "Main Organ Builders 1900 Hope Jones/Norman & Beard". National Pipe Organ Register – NPOR npor.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2. ^ "The National Pipe Organ Register – NPOR Survey date: 1938 Main Organ". npor.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3. ^ "Visit to Llandaff Cathedral Pipe Organ". Viscount Organs. 18 October 2018.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4. ^ "The Cathedral Organ Appeal". Llandaff Cathedral.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10. Retrieved 9 April 2016.{{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115. ^ "Preview: Llandaff Festival of Music". Wales Online. 25 June 2011. Retrieved 9 April 2016.
  116. ^ "Cathedral Organ Appeal". Llandaff Cathedral.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3. Retrieved 9 April 2016.{{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117. ^ "The National Pipe Organ Register – NPOR Main Organ- Organ maintained Photographs of this organ". npor.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8. ^ "The National Pipe Organ Register – NPOR Survey date: 1946 Lady Chapel Organ no longer present". npor.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19. ^ "The National Pipe Organ Register – NPOR Survey date: 1998 Lady Chapel Photographs of this organ". npor.org.uk. Retrieved 23 September 2020.
  120. ^ 올리반트 1860, 페이지 26.
  121. ^ 윌리스 1719 페이지 40.
  122. ^ 윌리스 1719 페이지 119.
  123. ^ a b 윌리스 1719 페이지 28.
  124. ^ 윌리스 1719 페이지 27–28.
  125. ^ 윌리스 1719 페이지 55.
  126. ^ 윌리스 1719 페이지 60.
  127. ^ a b 윌리스 1719 페이지
  128. ^ 윌리스 1719 페이지 61.
  129. ^ a b 제임스 1898, 페이지 17.
  130. ^ 콤프턴-데이비즈 1897, 페이지 64.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