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브레 델스 피츠

Llibre dels fets
1343년부터의 Old Catalan에 쓰여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Llibre dels Fets의 조각. 이 장면은 아라곤의 제임스 1세가 영주들과 함께 이슬람교도들이 지배하는 말로르카(1229년) 정복 계획을 세운 타라고나에서의 만찬을 그린다.
1313년 라틴어 번역본인 "Cronice Illustriissimi Regis Aragonum"은 도미니카 프리아르 마르실리가 '정복자'라 불리는 제임스 1세의 손자인 아라곤의 제임스 2세의 지시로 번역한 [1]원본의 복사본일 가능성이 있다.

Llibre dels fets (카탈란 발음: [ˈʎiβəəə əlsls ffets])는 원래 Libre dels feyts(영어: "Book of Actions")로 표기된 것으로 아라곤의 제임스 1세 시대(1213–1276)의 자전적 연대기다. 1인칭 올드 카탈루냐어[2] 씌어 있으며, 4대 카탈루냐 연대기로 분류된 4편의 작품 중 연대기적으로 최초의 작품으로,[3][4] 모두 중세 초기 아라곤 왕관(지금의 스페인 북동부에 있음)과 최초의 왕조인 바르셀로나 왕조에 속한다. 제임스 1세는 어릴 적 아라곤 왕, 바르셀로나 백작, 몽펠리에의 영주 칭호를 물려받았으나, 마조르카 왕발렌시아 왕을 정복함으로써 역시 왕위에 올랐다. 제임스는 자신의 연대기에서 마요르카 정복(1229년)과 발렌시아 정복(1238년)을 강조한다.

James I of Aragon dedicates a couple of chapters to his mother Maria of Montpellier and his father Peter II of Aragon (called "Peter the Catholic"), who had been given the title of "Rex Catholicissimus" by the Pope after the Battle of Las Navas de Tolosa in which he helped Alfonso VIII of Castile fight against the Moors, one year before his death. 아라곤의 베드로 2세는 자신의 신하인 오시타니아의 영주들을 변호하다가 죽었는데, 그들은 카타르 이단이 그들의 카운티에서 증식하도록 허용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무레트 전투에서 시몬 몽포르가 지휘하는 십자군 부대와 싸우다 전사했다.[5][6] 비록 Llibre dels fets의 본문은 제임스 1세에 의해 지시되고 편집되었지만, 실제 글은 제임스 자신이 아닌 낙서자들에 의해 쓰여졌다; 쓰여진 것은 구어체 언어로서, 모국어를 말하듯이 나타내며, 그 문체는 직접적이다.

1229년 무슬림 알모하드가 보유한 발레아리아 제도 중 하나인 마요르카 의 제임스 1세에 의한 정복과 그에 따른 마조르카 왕국의 성립은 아마도 그의 연대기를 받아쓰기 시작하도록 영감을 주었을 것이며, 그는 이베리아 반도레콘퀴스타(유럽의 중세 기독교 십자군 맥락에서)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다. Llibre dels fets 이야기는 1276년 제임스의 죽음으로 끝이 난다. 비록 원본을 잃어버렸지만, 많은 고문서 사본은 살아남았다.

현존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1343년에 만들어진 사본으로, 포블렛 수도원 교장의 의뢰를 받았다. 1313년에 만들어진 오래된 필사본인 "Cronice Illustrissimi Regis Aragonum"은 카탈루냐의 원작인 "Llibre dels Feits del Lai en Jacme"에서 라틴어로 번역된 것이다. 라틴어 번역은 도미니카 수도원 페레 마르실리가 서명한 것으로, 아라곤의 제임스 2세(제임스 1세의 손자)로부터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라틴어로 할아버지의 말을 널리 알려 할아버지의 기억을 기리라는 명령을 받았다.

특정 기능

제목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맨 크로니클보다, Llibre dels fets는 사실 "행위의 책"이다. 1980년대에 행해진 연구들은 이 중세 원고가 전적으로 구두로 받아쓰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은 문학 양식의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교양 있는 사람인 아라곤의 제임스 1세는 책 전체를 왕실 서기관들에게 받아쓰게 했는데, 그는 역사에서 그 시점에 종이에 펜으로 왕의 말을 실제로 쓰는 일을 보통 수행했다. 그것의 스타일은 비공식적이고 구어적이다.

첫 번째 줄의 추출물은 다음과 같다.

...라콘타 몬세뇨르 산자우메 퀘 라 페 센스 오브레스, 모르타 에스. Aquesta paraula voler compler senyor en els nostres fets... 아쿠에스타 파롤라 vo

(영어:...) 성 제임스 경은 행동 없는 믿음은 죽었다고 말한다. 주여, 우리의 행적에 있어서 그가 이루고자 했던 이 말...)

제임스의 스타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종교적인 느낌
  • 왕을 사랑하는 마음은
  • 설명된 이벤트에 직접 참여
  • 군대와 영웅정신
  • 대중적이고 즉흥적인 언어

구조

1619년 주메 페레라가 만든 카탈루냐 원고의 프런트피스

아라곤의 제임스 1세는 Llibre del Fets에서 자신의 삶과 무슬림이 소유한 발렌시아마요르카의 정복과 같은 그의 가장 중요한 행동을 묘사하고 있다. 이야기는 1203년 그의 출생으로 시작해서 1276년 죽음으로 끝난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는 다른 문체로 쓰여져 있고, 나머지 글보다 더 박식하고 완벽주의적이며, 아마도 그가 죽은 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제임스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행위를 암송하는 데서 보여지듯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매우 노골적이었다.

E per tal keo los hmensmens conguessen, Quan hauriem passada aquesta vida petal, eso ceo cue noss hauriem fet [...] e dar eximpli당 e totts los altretres hòmes delmes del mon...

(영어: 그래서 우리가 이 필멸의 삶을 지나갔을 때, 우리가 성취한 것을 사람들이 인정하고, 세계의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본보기를 보여 주기 위해서...)

페레 마르실리가 1313년에 번역한 라틴어 번역본에서, 그 목사는 독자들에게 그가 원고의 장들을 번역한 다음 왕실 기록 보관소에 보관해 두었다는 것을 알리며, 연대기의 본문은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들은 라틴어가 아닌 카탈로니아어로 쓰여졌음을 알려준다.

카탈로니아어로 보존된 원고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포블렛 수도원의 보조원이 제임스가 죽은 지 60년이 넘은 1343년에 주문한 사본이다. 카탈로니아어 원고의 본문은 라틴어 번역본과 거의 동일하지만 카탈로니아어 원고는 1인칭으로 쓰이고, 주로 장엄한 복수형 '우리'를 사용하며 단수형 '나'의 몇 배밖에 안 되기 때문에 라틴어 버전은 3인칭으로 쓰이고, 3인칭은 fi를 사용하므로 라틴어 버전의 사본일 수는 없다.몇 마디 인용문으로 사람을 들먹이다. 이 사실은 카탈루냐 원고가 라틴어 버전에서 온 것이라는 것을 있음직하지 않게 만든다.

두 버전의 내부 구조는 시간의 두 순간을 가리키는 것 같다:제1부는 제임스가 발렌시아를 정복한 직후인 1240년경에 지시되었을지도 모른다. 1228년 이전의 사실들은 중대한 오류가 있더라도 간략하게 부정확하게 설명되는 반면, 그때부터 서술은 더 큰 상세함과 정밀함을 보여준다.

2부는 1274년경에 지시되었을지도 모르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1242년부터 1265년까지의 사실들은 몇 페이지에 요약되어 있는 반면, 후기는 다시 매우 상세하게 설명된다. 프롤로그와 그의 병과 죽음을 묘사한 부분은 아마도 제임스가 신뢰하는 누군가에 의해 쓰여지거나 받아쓰여졌을 것이다. 1343년의 카탈로니아어 사본과 1313년의 라틴어 번역본은 후세에도 같은 내용을 남겼다.[7]

일반내용

제임스 1세의 연대기인 Llibre dels fets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1208–1228: 그가 몽펠리에 영주였던 그의 조상과 부모, 그의 어머니(몽펠리에의 마리아), 그리고 그의 아버지(아라곤 "가톨릭"의 피터 2세)에게 바쳐진 일부 장으로, 그는 아라곤의 왕, 바르셀로나 백작, 푸르벨 백작이었다. 제임스의 예상 밖의 출생. Chapters dedicated to his father's death, known as Peter "The Catholic" (title of "Rex Catholicissimus" given to him by the Pope, after the battle of Las Navas de Tolosa against the Moors), and his death at the battle of Muret, while defending his vassal Lords of Occitania against the invading crusader troops, mostly Frankish, commanded by Simon d캐서 십자군(혹은 남부 도시 알비에서 시작된 알비겐스 십자군)의 맥락에서 레스터의 제5대 백작인 e 몽포르트(e Montfort)는, 무심코 당시 프랑크족의 섭정 여왕은 카스틸의 블랑쉬였다. 제임스는 아버지가 죽은 후 5살 때 감금되었고, 시몬 드 몽포르가 어떻게 딸과 결혼하고 싶었는지(데 몽포르 가문을 아라곤의 왕관으로 끌어들였을 계획 실패). 마침내 제임스는 중세 아라곤 왕관 내의 강력한 군사 종교 질서인 템플 기사단이 그를 지키고 키워준 아라곤으로 돌아갔다. 제임스의 어린 시절 몬존 캐슬(템플러스의 본성)에서 말이다.[8] 그는 또한 카스티야의 엘레노어와의 추가 결혼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2. 1229–1240: "Libre dels fets"의 가장 상세한 부분. 마요르카의 정복(1229년). 이것이 아라곤 왕관 역사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그 직후인 1238년에 발렌시아를 정복했다. 이 책은 제임스 왕이 어떻게 신성한 의지를 성취했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한다.
  3. 1240–1265: 발렌시아에서 온 사라센 반군과의 갈등을 기술한다.
  4. 1265–1276: 다시 무어와의 전투를 묘사한 서술이다. 무르시아의 정복. 또한 그의 행동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하는 많은 정치적 사건들이 있다. 왕의 병과 죽음을 설명하는 마지막 장들은 쓰여졌고 아마도 제임스가 죽은 후 크로니클에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언어와 스타일

교의적이고 정당한 의도는 대체로 종교적 충동으로 연대기에 반영되어 있는데, 이는 제임스 1세가 그 작품의 집행이 신의 섭리에 의해 인도되었다고 믿었음을 나타낸다. 평소 서사시적 영웅으로 출연하기를 원했던 왕은 서사시 속에서 군사와 정치사를 재조명할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의 사소한 부분까지 자주 언급하고, 가장 친밀한 생각들도 일부 언급한다.

속담과 구어적 표현으로 가득 찬 '인기 있고 생생한 언어'가 연대기에 사용되는데, 아라곤어, 갈리아어-포르투갈어(카스티야 왕관이 사용), 아랍어 또는 고대 프랑스어 등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외국인을 인용하기도 한다.

챕터

제1장: 프롤로그

2~4장:조상

제5장: 그의 관념과 세례의 거룩함

6-7장: 그의 부모인 아라곤 "가톨릭"의 피터 2세몽펠리에의 마리아에게 바친다.

8~9장: 1213년 무레트의 전투에서 그의 아버지 베드로 2세 "가톨릭"의 왕이 알비겐스 십자군(카타르 십자군이라고도 함)의 맥락에서, 그의 신하의 영주들을 방어하고, 오시타니아를 침공하고 있던 프랑크 십자군에 대항하여 죽은 비극적인 죽음. 제5대 레스터 백작, 프랑크 십자군 사령관 시몬몽포르에 의한 아라곤 왕 제임스 1세의 포로.

10장: 아라곤의 제임스 1세 해방, "정복자"(그는 6, 7세)

11장: 코르테스레리다 (레리다의 코르테스)

12장 14절: 제임스는 템플 기사단에 의해 양육된 몬손 성에 머물렀다.

15장~16장: 제1차 귀족 반란

17장 19절: 카스티야의 엘리너와 결혼

20장 25절: 제2차 귀족 반란

26~34장: 제3차 귀족 반란

35장 46절: 푸르셀 군을 위한 전쟁

47장 117절: 말로르카 정복

118~124장: 메노르카 섬(발레아 제도 내, 카프데페라 조약에 의한 무슬림 타이파스로부터의 제출

제125장 126장: 발레아 제도의 이비자 섬 정복, 무슬림 타이파스로부터, 세 섬 모두 마조르카 기독교 왕국을 형성하고 있다.

127~289장: 무어족의 '타이파'(발렌시아 왕국의 성립)에서 발렌시아의 남부 정복

코드 및 에디션

1313 라틴어로 번역된 '렐리브레 델스 페츠'는 아라곤의 제임스 2세(아라곤의 제임스 1세의 손자)의 명령에 따라 프리아르 페레 마르실리크로니체 일러스트리시미 레지스 아라곤움(Cronice Illustrissimi Regis Aragonum)을 번역하였다.

14세기 본문의 다섯 구절과 15세기 본문의 두 구절은 보존되어 있는데, 모두 제임스 왕의 손자(이름을 아라곤의 제임스 2세)의 명에 따라 도미니카 수교 페레 마르실리가 카탈로니아 원문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에 기초하고 있다. 그는 원문을 현대의 예절과 스타일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읽을 작정이었다.

[...] 그리하여 진실하지만 저속한 문체로 수집된 그의 영광스러운 할아버지(제임스 1세)의 행위를 최신의 것으로 하고 라틴어로 번역한 후에는 단일 역사책, 즉 왕 할아버지의 모든 행동이 함께 엮어지는 완전한 연대기를 형성하게 된다.[9]

페레 마르실리 추기경은 1313년 4월 2일 이 왕실의 임무를 마치고, 자신의 고향인 마요르카프리스트들에게 "기구의 축제" 당일 사용할 원고 사본을 만들어 줄 것을 왕에게 청원했다.

[...] 그 해의 마지막 날을 목표로, 하나님의 영광과 그의 가장 운 좋은 왕자(제임스 1세)의 영원한 경배를 위해, 소르카 도시의 정복을 기념하는 연례 잔치, 그리하여 이 의미 있는 엄숙한 날을 온 성직자와 사람들 앞에서 설교하는 사제들은 이 책에 의지할 수 있었고, 더 많은 f.사실의 진상을 어설프게 알리다."[9]

크로니체 일러스트리시미 레지스 아라곤움 도메니 야코비 빅토리시미 공국의 공식 배달은 1314년[10] 6월 2일 발렌시아의 프리스트교 교회(에스글레시아프레셔스 포식자)에서 이루어졌다.

페레 마르실리의 라틴어 번역본 6권이 있다. 14세기부터[citation needed] 4개의 연대기(각각 국립 카탈로니아 도서관, 마요르카 왕국 기록관, 팔마 마요르카 대성당 기록관, 바르셀로나 대학 도서관에서 보존) 17세기 사본은 아라곤 왕관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고, 또 다른 사본은 19세기 스페인 역사학회에 보관되어 있다.

  • 1343 포블렛 수도원 교장이 주문한 카탈로니아 최초의 원본. 원고에 남아 있는 유일한 삽화. 그것은 타라고나에서의 만찬을 묘사하고 있는데, 제임스는 그의 영주들과 함께 마요르카 정복 계획을 세웠다.
    1343년 카탈로니아 필사본 프롤로그
    134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원래의 카탈로니아어로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코덱스는 포블렛 수도원의 수도원장인 폰스 드 코폰스가 주문한 카피다.

Aquest libre féu escriure l'onrat en Ponç de Copons, per la gràcia de Déu, abbat de l'honrat monestir de Sancta Maria de Poblet, en lo qual monestir jau lo molt alt senyor En Jaume, aqueyl que aquest libre parla, dels feyts que féu ni li endevengueren en la sua vida

(영어: 이 책은 명예로운 폰스 드 코폰스의 명령으로, 성 마리아 포블렛 수도원의 교장인 성 마리아 포블렛 수도원의 교장이었는데, 그곳에는 제임스 경이 가장 높이 누워 있는데, 제임스 경은 이 책이 누구한테 말하는지, 그가 일생 동안 마주친 행동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1343년 9월 17일에 이 원고를 완성한 프리아 셀레스티 데 토렌츠.

포블렛 수도원에서 가져온 이 사본은 왕실 찬스베리 소유의 원본 원고로 만들어졌다. 1343년 11월 11일 아라곤의 피터 4세가 포블렛 수도원 교장에게 원본 코덱스의[11] 반환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1585년 스페인의 필립 2세가 포블렛 수도원을 방문하여 마드리드 산 로렌초 에스코리알의 왕립 도서관 연대기 사본을 주문했다.

1380년 카탈로니아 카피에는 두 명의 도미니카 프리아 미겔 파브라 이 베렌게르 드 카스텔비스발을 그린 그림이 있다.
1380년 카탈로니아 필사본 1면: "...행동이 없는 믿음은 죽었다고 성 제임스 경에게 말한다. 주여, 우리의 행적에 있어서 그가 이루고자 했던 이 말씀은..."

138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두 번째 카탈루냐 코덱스 필사본 출처는 아라곤의 피터 4세 왕의 왕실 찬스릴러리(Royal Chancelery)에서 직접 나온 것으로, 왕이 직접 요한 드 바르바스트로에게 그것을 만들라고 명령한 것처럼 원본의 직접 사본임에 틀림없다. 라틴어로 된 텍스트:

Mandato serenissimi domini petri dei gratir regis Aragonum valentiae, Majoricarum, cardinieae et Corsicae, Comitisque Barchinonae, Rossilionis et Ceritaniae [...] Ego Iohannes de Barbastro de scribania predicti domini Regis Aragonum, oriundus Cesaraugustae scripsi Ciuitate Barchinonae Anno a Nativitate Dmi. 모. CCCo. 옥투아게시모 슬립시

(English: By order of Peter, by God's Grace King of Aragon, Valencia, Majorca, Sardinia and Corsica, Count of Barcelona, Roussillon and Cerdanya [...] I Johan de Barbastro, scribe chosen by the King of Aragon [...] in the City of Barcelona, year of The Lord's Nativity, 1380)

카탈로니아의 프롤로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Aquest es lo començament del prolech sobre el libre que feu el rey en Jacme per la gracia de Deu rey de Arago e de Mallorches e de Valencia, comte de Barchinona e d'Urgell e senyor de Muntpesler de tots los fets e de les gracies que Nostre Senyor li féu en la sua vida

(영어: 이것이 제임스 왕이 생전에 우리 주님이 그에게 주신 모든 행적과 선물 가운데 성 그레이스, 아라곤 왕, 소령발렌티아의 왕, 바르셀로나와 푸르셀 백작, 몽펠리에의 왕에 의해 만든 책에 대한 프롤로그의 시작이다.)

이 카피에 관한 관련 사실은 요한 드 바르바스트로가 로얄 챈슬러리의 공식 코덱스를 사용했다는 것이다(지금은 사라졌다). 페레 4세("공식주의")는 세 권을 주문했는데, 하나는 마요르카, 하나는 바르셀로나, 다른 하나는 발렌시아였다. Majorcan 사본만이 살아남았고, 현재는 카탈로니아 국립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첫 번째 인쇄판은 1557년 발렌시아 시의 쥬리가 주문하고 지불했다. 역사적 탐문 기간으로 제작되어 일단 인쇄가 끝나면, 포블렛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던 원고 코덱스에도 관심이 많았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스페인 왕 필립 2세(카스티엘의 필립 2세)에게 한 권이 보내졌다.

1619 포블렛 수도원 원고의 자움 페레라에서 발췌한 카탈로니아 사본. 이 충실한 묘사는 이 책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이며, 다른 사본에서 사라졌다.

다른 원고들은 살아남았는데, 1343년 포블렛 수도원을 위해 만들어진 필사본의 모든 사본은 살아남았다. 바르셀로나 대학의 도서관에는 그의 스승인 Pretious Jaume Ramon Vila의 명령에 의해 만들어진 관련 코덱스가 보존되어 있는데,[12] 그는 그것의 독특한 특징인 프롤로그를 추가했다. 선지는 그가 현재 릴리브레 델스 펫을 주문했던 이유를 "카스틸리아 역사학자들이 카탈루냐인들에게 던지고 있던 위조 문제를 부인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그는 또한 그 삽화가 포블렛 수도원에서 1343년 날짜의 원고의 충실한 사본임을 나타낸다. 이 코덱스의 또 다른 관련 특징은 포블렛 원고에서 살아남지 못한 두 번째 원본 삽화다. 이 사진에서 궁전 시장 휴 드 포칼퀴어와 블라스코 드 알라곤이 제임스 1세 앞에 무릎을 꿇고 있다.

메모들

이 글카탈루냐어 위키피디아 대한 해당 기사에서 번역된 정보를 통합한 것이다.
  1. ^ Jordi Bruguera; Maria Teresa Ferrer i Mallol (2007). Les quatre grans croniques: Llibre dels feits del rei En Jaume. Institut d'Estudis Catalans. p. 44. ISBN 978-84-7283-901-4.
  2. ^ David S H Abulafia; David Bates (17 June 2014). The Western Mediterranean Kingdoms: The Struggle for Dominion, 1200-1500. Routledge. p. 263. ISBN 978-1-317-89741-5.
  3. ^ Ramón Muntaner (2006). The Catalan Expedition to the East: From the Chronicle of Ramon Muntaner. Tamesis Books. p. 9. ISBN 978-1-85566-131-8.
  4. ^ Sharq al-Andalus, estudios árabes: anales de la Universidad de Alicante. Secretariado de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Alicante. 1987. p. 49.
  5. ^ Samuel N. Rosenberg; Margaret Switten; Gérard Le Vot (5 September 2013). Songs of the Troubadours and Trouveres: An Anthology of Poems and Melodies. Routledge. p. 118. ISBN 978-1-134-81914-0.
  6. ^ Malcolm Barber (2 August 2004). The Two Cities: Medieval Europe 1050–1320. Routledge. p. 181. ISBN 978-1-134-68751-0.
  7. ^ Marti de Riquer, Antoni Comas, Joaquim Molas (1984). El Llibre dels feyts de Jaume I. A: Història de la literatura catalana. Barcelona: Ariel, S.A. pp. tom 1, pàg. 394–429. ISBN 84-344-7600-2.
  8. ^ Damian J. Smith (1 February 2010). The Book of Deeds of James I of Aragon. Ashgate Publishing, Ltd. p. 3. ISBN 978-1-4094-0150-6.
  9. ^ a b 라틴어는 아라곤의 프리아 페레 마르실리와 제임스 2세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었다. 카탈루냐어 위키백과의 번역
  10. ^ Daniel Genís i Mas (2012). La Història de Cataluña de Rafael Cervera (Ph.D. Thesis). 2. Universitat de Girona, Institut de Llengua i Cultura Catalanes. hdl:10803/96917.
  11. ^ Gimeno Blay, Francisco M. (2007-06-30). "Entre el autor y el lector: producir libros manuscritos en catalán (siglos XII-XV)". Anuario de Estudios Medievales (in Spanish). 37 (1): 326. doi:10.3989/aem.2007.v37.i1.41. ISSN 1988-4230.
  12. ^ (1208-1276), Jaume I, Rei de Catalunya- Aragó; Jaume, Farrera. "Historia del molt alt y invictissim senyor lo Rey Don Jayme de Aragon primer de aquest nom cognomenat lo gran Conquistador. Composta y Ordenada per lo mateix Rey que la escrigue de sa propia ma. Escrita en Barcelona per Jaume Farrera, studiant, natural de Gronollers, en lo Any 1619. Per orde y manament del senyor Jaume Ramon Vila, Sacerdot. [Manuscrit]". www.cervantesvirtual.com. Retrieved 2017-01-08.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