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테르 2세
Peter II of Aragon피터 2세 | |
---|---|
![]() 베드로의 유일한 현대적 이미지인 리베르 앙코룸 세리타니아에(1200-1209) 페이지 64v.[1] | |
아라곤의 왕 바르셀로나 백작 | |
군림하다 | 1196년 4월 25일 – 1213년 9월 12일 |
대관식 | 로마로1205번길 |
전임자 | 알폰소 2세 |
후계자 | 제임스 1세 |
태어난 | 1178년 7월 후에스카 |
죽은 | 1213년 9월 12일 무레트 | (35세)
매장 | 산후안 데 시제나에 대한 전리 |
배우자 | 몽펠리에의 마리 |
이슈 | 제임스 1세 |
집 | 바르셀로나 |
아버지. | 알폰소 2세 |
어머니 | 산차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가톨릭 신자 피터 2세(스페인어: 페드로 2세 데 아라곤, 엘 카톨리코, 카탈로니아어: 페레 2세 다라고, 데 말놈 «엘 카틀릭 ») (1178년 7월 - 1213년 9월 12일)는 1196년부터 1213년까지 아라곤 왕과 바르셀로나 백작이었다.
배경
베드로는 아라곤의 알폰소 2세와 카스티야의 산차의 아들로 [2]후세카에서 태어났다. 1205년 그는 교황의 봉건적 패권을 인정하고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로마에 즉위하여 가톨릭 신앙을 수호하기 위한 욕설(그의 비방을 "천주교"로 칭함)을 했다.[3] 그는 교황에 의해 왕위에 오른 아라곤의 첫 번째 왕이었다.[4]
13세기 첫 10년 동안 베드로가 세르다뉴, 콘클렌트, 루실론 주를 위한 삽화 코덱스 상서인 세리타니에를 의뢰했다.
결혼
1204년 6월 15일 피터는 에우도키아 콤네나가 몽펠리에의 윌리엄 8세의 상속녀인 몽펠리에의 마리(세 번째 남편으로)와 결혼했다.[5] 그녀는 그에게 아들 제임스를 주었지만, 피터는 곧 그녀를 배척했다. 마리는 경건함과 부부간의 고통으로 성인으로 널리 존경받았지만 결코 시성되지 않았다. 그녀는 1213년 로마에서 죽었다. 마리는 또한 1205년 10월, 크리스티안 니케에 따르면 콜리우레에서 "산차"라는 딸 피터 2세를 낳았을 것이다.[6] ("산차"는 다른 설명에 따르면 1206년에 태어났고, 마크 그레고리 페그에 따르면 1208년 2월은 이 부부의 아들이 태어난 해일 가능성이 더 높다.)[7] 산차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툴루즈의 아들 레이몬드 6세와 약혼한 것으로 니케에 따르면 며칠밖에 되지 않았다(자원은 얼마나 차이가 난다). 니케는 1850년 발견한 문서를 인용, "피터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즉시 아이에게 전해주기로 한 마리의 유산인 몽펠리에가 결혼 계약서에 포함되었다"고 말했다.[8][6] 그러나 니크의 정보에 따르면 아이의 남동생 제임스는 그녀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고 산차는 새해 전에 죽은 것으로 보인다.[6]
전쟁
베드로는 1212년 이베리아 반도에서 무슬림 지배의 전환점을 맞은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 참가했다.[9]

아라곤 왕관은 현재 프랑스 남서쪽에 있는 지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당시는 툴루즈 백작과 같은 지방 왕자들의 지배하에 있었다. 카타르나 알비겐은 가톨릭 교회의 권위와 가르침을 거부했다. 인노첸시오는 프랑스의 필립 2세에게 알비겐스를 억압하라고 요구했다. 몽포르의 사이먼의 주도하에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1209년에 시작된 알비겐스 십자군은 약 2만명의 남녀와 어린이, 카타르와 카톨릭을 학살했다. 20년 동안 군사 운동은 본질적으로 이전에 번성했던 오시타니아 문명을 파괴했고 1229년까지 이 지역은 프랑스 왕과 프랑스 북부의 카페티아 왕조의 지배를 확고히 받았다.
베드로는 1212년 가을 라스 나바스에서 돌아와 시몬 드 몽포르트가 툴루즈를 정복한 것을 발견하고, 베드로의 처남이자 신하였던 툴루즈의 레이몬드 6세 백작을 추앙했다.[11] 베드로가 피레네를 건너 1213년 9월 무레트에 도착하여 몽포르의 군대와 대치하였다.[9] 그는 툴루즈의 레이몬드와 동행했는데, 그들은 전투를 피하고 대신 몽포르의 군대를 굶겨 없애기 위해 피터를 설득하려 했다. 이 제안은 거절당했다.
무레트 전투는 1213년 9월 12일에 시작되었다.[9] 아라곤 세력은 몽포르 편대의 습격으로 흐트러지고 해체되었다.[9] 베드로 자신도 싸움의 늪에 빠져 용기 있는 최후의 저항의 결과로 죽었다. 그는 땅에 떨어져 죽었다.[9] 아라곤 세력은 왕이 살해되고 몽포르의 십자군이 참패하면서 패닉 상태에 빠졌다.[9]
아라곤 왕관의 신하인 툴루즈의 귀족들은 패배했다. 이 분쟁은 1229년 메오-파리 조약에서 절정에 이르렀는데, 이 조약에서는 프랑스 왕관에 대한 서양 영토의 통합이 합의되었다.
베드로가 죽자 왕국은 미래의 정복자 제임스라는 몽펠리에의 마리에게 그의 외아들에게 물려주었다.
참조
- ^ Alvira Cabrer, Martín (2008). Muret 1213. La batalla decisiva de la cruzada contra los cátaros. Barcelona: Ariel. pp. 128–129.
5th illustration
- ^ 안토니오 우비에토 아르테타, 크레아시온 이 데사롤로 데 라 코로나 데 아라곤, 사라고사, 아황(히스토리아 데 아라곤), 1987년 파그스 187-188. ISBN 84-7013-227-X.
- ^ 아라곤의 왕관, 로빈 슬래글, 스페인 제국: 역사 백과사전, Vol. I, Ed. H. Micheal Tarver와 Emily Slape, (ABC-CLIO, 2016), 9.
- ^ Moore, John Clare (2003). "Chapter 6: Jews and Heretics (1205-1207)". Pope Innocent III (1160/61-1216): To Root Up and Plant. The Medieval Mediterranean. Brill. p. 135. ISBN 97-8900-412-9252.
- ^ Damian J. Smith, Crusion, Heresy and Insurge in the Lands of the Aragon (c.1167~1276) (Brill, 2010), 31.
- ^ a b c Nique, Christian (2013). "Les deux visages de Marie de Montpellier (1182-1213)" (PDF) (in French). Académie des Sciences et Lettres de Montpellier.
- ^ Pegg (2008). A Most Holy War: The Albigensian Crusade and the Battle for Christendom. Oxford. ISBN 9780195171310.
- ^ André Germaine (1996) [1884]. Preface, le Liber instrumentorum memorialium (in French). Translated by Rouquette. la Société archéologique de Montpellier.; 누락 또는 비어 있음(도움말)에 인용됨
- ^ a b c d e f 글로벌 갈등 연대기, Vol. 나, 에드 스펜서 터커, (ABC-CLIO, 2010), 269.
- ^ 1860년 루이스 블랑카드에서 온 아이코노그래피 데스코 외 불레.
- ^ 레이몬드 6세는 페레르 2세의 누이 엘리노르와 결혼했었다.
원천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아라곤의 피터 2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요약, 조나단. 알비겐스 십자군. 2000.
- (스페인어) 마르틴 알비라-카브르, 12 데 셉티엠브레 데 1213: 엘 주베스 드 무레트, 바르셀로나, 2002.
- (스페인어) 마르틴 알비라-카브러, 무레트 1213. La batalla decisiva de la Cruzada contra los Cahtaros, Ariel, Barcela, 2008년과 2013년.
- (스페인어) 마르틴 알비라-카브르, 페드로 엘 카톨리코, 레이 드 아라곤 이 콘데 바르셀로나(1196-1213). Documentos, Referenceonios y Memberia Historica, 6권, Zaragoza, Institutucion El Catolico(CSIC), 2010년(온라인).
- Nique, Christian (2013), Les deux visages de Marie de Montpellier (1182-1213) (PDF) (in French), Montpellier: Académie des Sciences et Lettres de Montpell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