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기누스
Longinus롱기누스 | |
---|---|
태어난 | 카파도키아[2] 산디알레 또는 산드랄레스에서[1] 1세기 |
죽은 | 1세기 |
다음에서 존경됨 | 성공회 성찬회 콥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동양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
주요 사당 | 성 안. 바티칸에 있는 베드로 대성당. |
잔치 |
|
특성 | 군 복장, 랜스[3] |
롱기누스(/ˌlɒnˈdaɪnəs/)는 창으로 예수의 옆구리를 꿰뚫고 중세 및 일부 현대 기독교 전통에서 기독교로의 개종자로 묘사되는 이름없는 로마 군인에게 붙여진 이름이다.[4] 그의 이름은 니코데무스의 음경복음서에 처음 등장했다.[5] 창은 기독교에서는 '성스러운 랜스'(란사)라고 불리며, 이야기는 십자가에 못 박히는 동안 요한복음서에 관련된다.[6] 이 행위는 그리스도의 마지막 다섯 가지 성상을 창조했다고 한다.
복음서에 이름이 없는 이 사람은 전설의 일부 버전에서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7]하여 최초의 기독교인으로 여겨지는 십자가에 못 박혀 있는 백부로 더욱 확인된다. 롱기누스의 전설은 세월이 흐르면서 십자가 죽음 이후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전해질 정도로 성장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그 밖의 여러 기독교 공동화에서는 전통적으로 성인으로 숭배되고 있다.
이야기의 기원
이 병사의 이름은 정론적인 복음서에 나와 있지 않다. 대신 롱기누스라는 이름은 니코데무스의 음울한 복음서에 첨부된 글인 빌라도 법에서 찾을 수 있다. 롱기누스는 성인으로 출발하지 않았다. 6, 7세기 가증인 "빌라도에게 보내는 헤롯의 편지"에서 발견된 초기 전통은 롱기누스가 예수를 꿰뚫어 고통받았고, 매일 밤 사자가 와서 새벽까지 그를 매질하는 동굴에 처박혔고, 그 후 그의 몸은 정상으로 회복되어, 시간이 끝날 때까지 반복될 것이라고 주장한다.[8] 후대의 전통은 그를 기독교 개종자로 만들었지만 사빈 바링 고울드가 관찰한 바와 같이 "롱기누스의 이름은 715년에 총대주교 게르마누스 이전의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것은 니코데무스의 아포크리팔 복음서에서 서양인들 사이에 소개되었다. 이 성자의 법도와 순교에는 믿을 만한 권위가 없다."[7]
그 이름은 아마도 요한 19:34에서 언급된 창살에 쓰이는 단어인 그리스 외톨이( fromλόγχ)에서 라틴어로 되어 있을 것이다.[9] 586년 플로렌스의 로랑트 도서관에서 특정 라불라가 조명한 시리아크 복음서 필사본에 창을 들고 있는 병사의 모습 옆에 아마도 동시대에 가로로 쓴 로게노스(LINGOS, writtenογιννϲϲϲ)가 처음으로 빛을 발한 것으로 보인다. 사용된 창은 성창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6세기까지 예루살렘에서 추앙된 '운명의 말'로, 비록 백부나 '롱기누스'라는 이름은 생존한 어떤 보고서에서도 호출되지 않았지만, 특히 오컬트 서클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롱기누스의 랜스'로서 창은 성배 전설에 등장한다.[citation needed]
실명이나 다른 눈 문제는 10세기 이후에나 언급된다.[10] 페트루스 코메스토르는 이 전설에 시력 문제를 추가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였으며 그의 텍스트는 "맹목", "맹목", "맹목" 또는 "맹목"으로 번역될 수 있다. 황금 전설은 그가 개종하기 전에 천체를 보았고 그의 눈 문제는 병이나 나이 때문에 생긴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11] 예수님의 피에 닿으면 눈병이 낫는다.
기독교 전설에 따르면 롱기누스는 십자가에 못박히자 창을 그리스도의 옆구리에 찔러넣은 맹목적인 로마 백부였다. 예수께서 흘리신 피 가운데 일부가 눈에 떨어져 나으셨다. 이 기적에 롱기누스는 예수를 믿었다.[12]
롱기누스의 시신은 두 번이나 소실되었다고 하며, 1304년에 그리스도의 피로 얼룩진 홀리 스펀지와 함께 두 번째 회복이 만투아에서 있었다고 하는데, 그곳에서 롱기누스가 십자가에서 내려올 때 그리스도의 몸을 깨끗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의혹은 피해자의 피 유물, corpules은 성창에서 늦은 13세기 볼로냐에서 성배 로맨스, 성체 기적의 지역 전통의 복합적인 추진력 밑에 다시 의식을 즐겼다, 예배당의 롱기누스, 성령 피에 Sant'Andrea,[표창 필요한]의 베네딕틴 수도원 교회와 후원 o.에 바쳐f는 Bonacolsi.[표창 필요한]
유물들은 나누어져 있다가 프라하 등지에 배포된 것으로 전해지며, 시신은 로마의 산타고스티노 대성당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그러나 바실리카의 공식 안내자들은 세인트 롱기누스와 관련된 어떤 무덤의 존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또한 롱기누스의 시신은 사르디니아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리스 소식통들은 그가 카파도키아 가발라에서 순교했다고 주장한다.[citation needed]
현재존경
롱기누스는 일반적으로 순교자로서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 교회 등에서 존경받는다. 그의 잔치일은 10월 16일 순교 징후 없이 그를 언급하는 로마 순교학에서 "예루살렘에서, 십자가에 못박힌 주님의 옆구리를 창으로 여는 군인으로 추앙받는 성 롱기누스를 기념한다"는 용어로 기록되어 있다.[13] 로마 제례에서 1969년 이전의 잔치는 3월 15일이다. 동방 정교회는 10월 16일에 그를 기념한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서 그의 잔치는 10월 22일에 기념된다.[14]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가 조각한 세인트 롱기누스 동상은 바티칸 시 성 베드로 대성당 돔 아래에 있는 네 개의 틈새 중 하나이다. 성당으로부터 전해진 창살 파편도 바실리카 성당에 보존되어 있다.
롱기누스와 그의 전설은 필리핀 마린도케 섬에서 성주간 열리는 모리오네스 축제의 주제다.
브라질
민속역할
'상롱구이뉴'라는 민요명 아래 생롱기누스는 실종된 물체를 찾는 힘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성자의 원조는 다음과 같은 구호에 의해 소환된다.
- "상롱구이뉴, 상롱구이뉴, 세 eu achar[누락물], 더우 트라이스 풀린호스!"
- ("상롱구이뉴, 상롱구이뉴, 만일 [누락물체]를 찾으면 나는 세 번 깡충깡충 뛸 거야!")
민간 전통은 로마에서 성인의 시대에 전해진 이야기와 함께 사라진 물건과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그는 키가 작았고, 그래서 사람들이 붐비는 파티에서 테이블의 아래쪽을 잘 보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그는 다른 수행원들이 땅에 떨어뜨린 물건을 찾아 돌려주곤 했다.[15]
세 홉의 약속된 제의에 대한 설명은 성인의 절름발이에 대한 경의나 성 삼위일체에 대한 탄원을 들어 다양하다.[16]
브라질 정령주의
브라질의 매체 치코 자비에르는 훔베르토 데 캄포스의 정신에 기인하는 저자의 심리학서인 브라질, 코라상 도 문도, 파트리아 도 에반게르요를 저술했다. 이 책에서 세인트 롱기누스는 브라질의 마지막 황제인 페드로 2세로 환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17]
대중문화에서
- 어빙 피켈의 1939년 영화 위대한 계명에서 알버트 데커는 그를 유대에 대한 세자를 호위하는 로마 육군 회사의 지휘관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후 조엘 바 라멕의 친절과 골고타에서의 자신의 경험으로 기독교로 개종한다.
- 1965년 조지 스티븐스의 영화 '역대 최고의 이야기'에서 롱기누스는 골고타에 대해 "진실로 이 사람은 신의 아들이었다"고 공언한 백부장과 동일시된다.[18][19]
- 배리 새들러의 카스카 소설 시리즈에 나오는 카스카 루피오 롱기누스는 그리스도의 혈액을 연결한 후 우연히 섭취한다. 그는 그리스도로부터 그들이 제2의 도래지에서 다시 만날 때까지 군인으로서 지구를 걸어야 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이 소설 시리즈는 영국 작가 토니 로버츠가 배리 새들러의 죽음 이후 계속된다.
-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루이 드 울의 소설 <창>(1955년)의 주인공이다.
-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히스 레저가 주연한 1997년 폭스 시리즈 '로아'의 주인공 중 한 명이다. 이 시리즈에서 롱기누스는 400년 동안 운명의 창을 찾았고 마침내 아일랜드에 도착했다.
- 그는 DC의 '내일의 전설' 두 번째 시즌에 언급되고 있으며, 시즌의 대부분은 그가 그리스도를 죽일 때 사용했던 '운명의 말'을 찾으려는 것이다.
- 역사소설 시리즈 End of the Line(2019년)에서 가이우스 코넬리우스 롱기누스는 다윗 가문의 거의 불멸의 간병인으로 활동하며, 연합국으로부터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물과 유물 복구를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고 있다.[citation needed]
- 뱀파이어에서: 레퀴엠 롤플레잉 책인 롱기누스는 예수가 죽었을 때 흡혈귀의 저주를 받은 신화 속의 인물이다. 롱기누스의 성서로 불리는 그의 이야기는 란사 외 생텀이라고 불리는 현대 기독교 뱀파이어의 종파의 기초가 된다.
- 역사 소설 시리즈 브리타니아에서, 이전 시대로의 플래시백 중에, 젊은 오울러스 플로티우스는 그의 두번째를 퍼펙투스에게 명령하여 예수를 십자가에 태우라고 명령한다. 마지못해 그는 롱기누스가 나중에 자신의 개종을 고려해 느꼈을 갈등을 반영하여 그 행위를 저지른다.
- 일본의 애니메이션 네온 제네시스 에반게리온에서 롱기누스의 랜스는 제2천사의 복부에서 발견된 창이다.
갤러리
성 베드로 대성당의 프레스코와 비셰흐라드의 성 바오로(Prague)의 성 바오로.
참고 항목
- 성서 이름 없는 사람들의 이름 목록
- 모리오네스 축제
- 떠돌이 유대인, 가끔 그와 동일시되는 인물.
참조
- ^ "Sandrales/Sandiale: A Pleiades place resource". 23 July 2012.
- ^ «Pago autem nomen est Sandiale» «Σανδιάλη τῇ κώμῃ τό ὃνομα» from «month March» ΙΑ' page. 41 (in pdf page 17). 2016년 7월 1일 보관됨. 2018년 2월 6일 회수
- ^ Stracke, Richard (2015-10-20). "Saint Longinus". Christian Iconography.
- ^ Fuhrmann, Christopher (11 April 2014). Policing the Roman Empire: Soldiers, Administration, and Public Order (Reprint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231. ISBN 978-0199360017.
- ^ Barber, Richard (2004). The Holy Grail: Imagination and Belief. Harvard University Press. p. 118. ISBN 9780674013902. Retrieved 24 March 2019.
gospel of nicodemus Hello
- ^ 존 19:34.
- ^ a b 바링 굴드, 성도들의 삶, vol. III (에딘버그) 1914년, 하위 "3월 15일: S[aint] 롱기누스 M[Artyr]"; 바링 굴드는 덧붙인다, "그리스 법은 S에 의한 것처럼 가장한다. 헤시치우스(3월 28일)는 뻔뻔스럽게도 연월일을 위조한 것이다.(온라인 문자)
- ^ 에르만, 바르트 D, 즐라트코 플레쉬. 아포크리팔 복음서: 텍스트 및 번역.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1년, 페이지 523
- ^ 1872:160 예술작품에 예시된 우리 주님의 역사인 엘리자베스 제임슨은 "이 이름은 어떤 전통에도 기인할 수 없다. 창이나 창으로 된 통나무에서 유래한 것은 그것이 마치 성 베로니카의 그것과 같았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Sticca, Sandro (1970). The Latin Passion Play: Its Origins and Develop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 159. ISBN 978-0873950459. Retrieved 27 March 2018.
Longinus Jesus Christ blind.
- ^ Ruth House Webber (1995). "Jimena's Prayer in the Cantor de Mio Cid and the French Epic Prayer". In Caspi, Michael (ed.). Oral Tradition and Hispanic Literature: Essays in Honor of Samuel G. Armistead. Routledge. p. 633. ISBN 978-0815320623. Retrieved 27 March 2018.
- ^ Godwin, Malcolm (1994). The Holy Grail: Its Origins, Secrets & Meaning Revealed. Viking Penguin. p. 51. ISBN 0-670-85128-0.
- ^ "Hierosolymae, miles colitur lattus domini cruci appixi appixi arpixi aperiens" – Martitalium Romanum (Libreia Editrice Vaticana 2001 ISBN 88-209-7210-7) Die 16옥토브리스
- ^ 성도 달력(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 "São Longuinho e a tradição dos 3 pulinhos". Aleteia. 2018-03-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31.
Diz-se que ele era um homem baixinho e que, servindo na corte de Roma, vivia nas festas. Nesses ambientes, por sua pequena estatura, conseguia ver o que se passava por baixo das mesas e sempre encontrava pertences de pessoas. Os objetos achados eram devolvidos aos seus donos. Assim, teria surgido o costume de pedir-lhe ajuda para encontrar o que se perdeu.
- ^ "São Longuinho e a tradição dos 3 pulinhos". Aleteia. 2018-03-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31.
Diz-se também que essa forma de agradecimento seria pelo fato de o soldado ser manco. Outra explicação afirma que os pulinhos remetem à Santíssima Trindade.
- ^ Xavier, Francisco Cândido (1938). "D. PEDRO II" (PDF). Brasil, Coração do Mundo, Pátria do Evangelho (PDF) (in Portuguese). Brazil: Federação Espírita Brasileira. ISBN 978-857328796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2-01-31.
Foi assim que Longinus preparou a sua volta à Terra, depois de outras existências tecidas de abnegações edificantes em favor da humanidade, e, no dia 2 de dezembro de 1825, no Rio de Janeiro, nascia de D. Leopoldina, a virtuosa esposa de D. Pedro, aquele que seria no Brasil o grande imperador e que, na expressão dos seus próprios adversários, seria o maior de todos os republicanos de sua pátria.
- ^ Clarke, Howard W. (2003). The Gospel of Matthew and Its Readers: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First Gospel. Indiana University Press. p. 241. ISBN 0-253-34235-X.
- ^ 레너드 말틴, 2004 Movie & Video Guide (뉴욕: New American Library, 2003), 558 sub loco.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세인트 롱기누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