룽구족
Lungu people룽구족은 추장 타푸나의 룽구족과 추장 무쿠파 카오마의 룽구족 등 두 개의 반투족 부족입니다.이 기사의 주요 초점이 되는 맘베 룽구는 탄자니아의 루카 지역 칼람보 지역의 탕가니카 호수 남서쪽 해안과 잠비아 북동부의 음풀룬구와 음발라 지역에 주로 위치합니다.1987년 탄자니아의 룽구 인구는 34,000명으로 추정되었습니다.잠비아의 룽구의 수는 독립적으로 추정되지 않았지만,[1] 1993년에 잠비아의 맘웨와 룽구의 수를 합친 것은 262,800명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역사
오리진스
타푸나 왕조는 무쿠파 카오마 왕조와 타브와 왕조와 함께 모계의 짐바 씨족에 속합니다.그러나 타푸나 아래의 평민들은 부계이며 맘베족과 가까운 반면, 무쿠파 카오마의 말라일라 룽구는 모두 모계이며 벰바족과 훨씬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룽구의 두 주요 집단은 짧은 역사를 통해 뚜렷하고 분리되어 왔으며 벰바에 대한 공동의 노력에 대한 기록이 없습니다.초기 영국 관리는 "말랄라 알룽구는 모든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아엠바, 타푸나의 룽구는 때때로 맘브 또는 맘브-룽구로 [2]불립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추장 타푸나의 왕실 혈통의 조상들은 현재 콩고 동부에 있는 탕가니카 호수의 서쪽에 있는 우자오라고 불리는 땅에서 왔다고 합니다.이 땅의 사람들은 탄드웨 레사 족장이 이끄는 아자오족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그들은 아짐바 [3]일족의 세 왕녀가 이끄는 무리로 왔습니다.무쿨루 칼와는 타브와 사람과 결혼하여 은사마의 추장국을 세웠고, 무쿨루 리안세라고도 알려진 무쿨루 무나킬레는 무쿠파 카오마와 치토시의 추장국을 세웠습니다.자매 중 가장 나이가 많은 무쿨루 음웨냐는 현재의 음풀룬구 지역의 탕가니카 호수를 따라 음베테에 정착했습니다.그녀는 치부나 음판도 신양웨와 결혼했습니다.그들에게는 딸 칠롬보가 있었는데, 그에게는 응골웨라는 아들이 있었습니다.1800년대 후반에 신양위 일족은 설명할 수 없는 죽음을 많이 겪었고, 조카 응골위가 그들을 홀렸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그가 그의 삼촌 중 한 명의 아내인 그의 이모와 성관계를 가졌다는 의심을 했습니다. 그의 일족의 우두머리였습니다.관습이 요구하는 대로, 그는 치명적인 독극물인 움와비를 마셨습니다.그래서 만약 그가 죽는다면 그는 유죄로 간주되지만, 만약 그가 토하고 살아남았다면 그는 무죄였습니다.그들은 그가 독약을 토하고 살아났기 때문에, 그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그에게 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서, 그들은 그를 잘못 고발하였습니다.아버지와 상의한 후, 그는 씨족의 지도력을 요구했고 그래서 최초의 추장 타푸나(우쿠타푸나라는 단어에서 온 타푸나, 씹거나 [4]삼키거나 먹는 것)가 되었습니다.
19세기 후반, 타푸나의 가장 중요한 지위를 명목상으로 받아들인 룽구족 사이에 많은 갈등이 있었습니다.1860년대에 작은 추장 충우 1세는 타푸나 3세가 되었지만, 그는 왕실의 수도인 이소코에서 그의 지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1867년까지 그는 리푸부 강에 정착하기 위해 서쪽으로 이동했습니다.카슨소, 치딤바, 치브웨와 같은 다른 룽구 족장들은 타푸나 3세로부터 독립한 것으로 보입니다.얼마 지나지 않아 타푸나 3세는 죽었지만, 그의 충우 칭호 보유자로서의 후계자는 동쪽으로 이동하여 타푸나 칭호를 주장하는 것보다 서쪽에 있는 그의 나라를 벰바 약탈자들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대신, 1870년경에 또 다른 룽구 왕족 카쿤구는 티푸 팁으로부터 도움을 얻었고 지역의 반대에 부딪혀 이소코에서 타푸나 4세로 스스로를 세웠습니다.
벰바와의 전쟁
룽구족은 맘베족과 마찬가지로 전쟁을 통해 [6]벰바족에게 많은 영토를 빼앗겼습니다.
1872년, 벰바의 최고 통치자인 치타판과는 양갈릴레의 피파 추장을 돕기 위해 북쪽으로 출발했습니다.벰바 군대의 대부분이 피파 국가로 들어가는 동안, 치타판크와와 그의 아들 마카사 4세는 좀베에 의해 도발되어 루체체 강을 따라 그의 마을을 공격했습니다.그들은 포위된 상태에서 버티는 상대 좀베를 과소평가했습니다; 그는 결국 침바와 카손소에 의해 안도되었습니다; 그리고 룽구 족장들은 함께 치타판과를 패배시켰습니다.그는 그를 돕도록 강요했던 스와힐리족과 함께 거의 모든 총을 남기고 도망쳤습니다.룽구족은, 한 번 연합했지만, 벰바족은 아니었습니다.치타판크와의 형 음맘바 2세는 이 전투에 참여하기를 거부했고, 벰바의 패배 소식을 들었을 때 너무 충격을 받아 반란을 일으키겠다고 위협했습니다.치타판과는 결국 이 굴욕을 앙갚음했습니다.약 10년 후, 그는 마카사와 은쿨라로부터 지원군을 모집했습니다.그리고 나서 그는 거대한 군대를 좀베의 마을로 이끌었습니다.벰바족은 큰 성공을 거둔 미끼를 사용하여 참패를 당했는데, 그들은 좀베가 살해되고 그의 마을이 완전히 [7]파괴되었다고 주장합니다.
1860년대 초, 룽구는 맘부, 이나왕가, 이와와와 함께 벰바를 망가에서 성공적으로 물리친 대규모 응고니 군대의 일부였고, 그들은 츠타판과의 여동생인 무쿠캄푸무 카손데 2세를 죽이고 그녀의 딸 침바반투를 붙잡았고, 마카사 자신은 이미 도망쳤습니다.[8]
1893년, 치티무쿨루 삼파는 마카사와 함께 룽구 지방 북쪽으로 합동 탐험대를 이끌었습니다.이것은 명백히 매년의 습격이었고, 이 기회에 약탈의 전망이 가장 좋을 때 수확 직후에 이루어졌습니다.벰바는 탕가니카 호숫가에 있는 룽구 마을인 루펨베까지 북쪽으로 행진한 것으로 보입니다.그리고 나서 그들은 동쪽으로 올라가 폭포 위의 칼람보 강을 건너 독일과 영국의 영향권 사이의 국경의 약간 북쪽으로 갔습니다.이 시점에서, 벰바는 독일 동아프리카의 제국 위원 헤르만 폰 비스만을 만났습니다.말라위 호수와 탕가니카 호수 사이의 노예제 반대 캠페인을 지휘하고 있던 비스만은 다른 두 명의 장교와 60명의 훈련된 군인으로 구성된 군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또한 대포와 맥심 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그는 룽구 족장 논도의 울타리가 쳐진 마을에 야영을 하고 있었습니다.독일군이 추산한 5천 명의 벰바 부대는 이제 논도의 마을에 접근했습니다.7월 6일 밤, 독일군이 내부를 감시하는 동안, 벰바는 논도의 울타리에 몇 발의 총격을 가했고, 마카사는 삼파를 단념시키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습니다.다음날 아침, 벰바는 그들의 부하 몇 명을 울타리에서 50야드 밖에 떨어지지 않은 개미 언덕 주변에 배치했고, 이 전사들 대부분은 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그리고 나서 비스만은 이 감시자들을 토론에 참여시켰습니다.그들은 비스만의 통역사를 통해 삼파가 논도 마을을 즉시 떠나면 독일군과 싸우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벰바는 룽구와 독일군을 함께 공격할 것입니다.비스만은 이에 따르기를 거부하고 유럽인들과 싸우는 것은 중대한 문제라고 벰바에게 경고했습니다.한편, 그의 동료 장교들과 일부 벰바도 이 파티에 초조한 기색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그러나 지연은 잘 계산되었지만, 벰바의 거대한 덩어리가 계속해서 가까워질수록 그들은 비스만의 화력에 더 취약해졌습니다.논도의 의원이 울타리에서 첫 번째 총알을 발사했고, 비스만은 벰바 지도자들에게 수류탄을 던졌고, 독일군과 룽구는 두 개의 큰 총을 들고 울타리에서 나왔습니다.맥심은 파괴적인 효과로 사용되었습니다.몇 분 안에 벰바는 혼란스럽게 도망쳤고, 몇 명의 사망자와 부상자를 남겼습니다.그들의 수많은 포로들과 많은 다른 약탈품들을 버렸습니다.벰바 주력 부대는 4일간의 행진 거리인 벰바 국경에 도달할 때까지 멈추지 않고 강행군을 계속했습니다.삼파 자신은 늪에 갇혔고, 그가 돌아왔을 때, 그의 사람들은 그를 죽은 것으로 간주했습니다.독일인들은 그의 아들들 중 세 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하강 시스템
룽구족은 다수의 외혼적이고 분산된 부계 씨족(엄위코)으로 나뉘는데, 거의 모두 남성의 경우 '시'(아버지), 여성의 경우 '나'(어머니)라는 음절이 접두사로 붙습니다.더 일반적인 것으로는 신양웨, 시카즈웨, 시무첸제, 실루피아, 시울랍와, 람웨, 심푸타타, 심베야, 시칠리마, 심푸케, 치수 [10]등이 있습니다.
언어
룽구족은 맘웨룽구어를 말합니다.
문화
음악
룽구족에는 빙웬궤라고 불리는 전통 음악이 있습니다.그들은 또한 맘베 룽구 전통 음악을 연주하는 칼람보 히트 퍼레이드, 솔로 칼렝게, 에스더 나문가와 같은 다양한 예술가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통 의식
왈라모
이것은 추장 타푸나를 설치하기 위해 열리는 전통 의식입니다.옛날에는 지명된 추장이 두 개의 카누를 잡고 탕가니카 호수와 신성한 음비타 섬 사이의 물길을 건너야 했습니다.만약 그가 악어에게 먹히거나 넘어져 익사하지 않고 그 여행에서 살아남았다면, 그것은 그가 선조들의 승인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섬에 도착했을 때 그는 카펨바, 음비타, 나무칼레에게 룽구족의 [11]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허락을 구했습니다.
우무토몰로
이것은 맘웨와 타푸나의 룽구의 전통적인 의식으로, 성공적인 수확을 축하하고 다음 농사철에 비가 오기를 기원하기 위해 행해집니다.그것은 매년 6월의 마지막 토요일 음발라에 있는 칠라 호숫가에서 열립니다.그 의식 동안에 추장들의 부인들은 추장들이 그들을 축복하고 성공적인 수확을 위해 조상들의 영혼들에게 감사를 드릴 수 있도록 추장들의 나라에서 자란 음식의 샘플을 제공합니다.추장들은 음식을 맛보고 그 다음에 피실험자들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습니다.그 의식은 또한 전통 춤과 [12]음악을 포함합니다.
종교적 신념
룽구족은 전통적으로 레자라고 불리는 최고의 신을 믿습니다.그는 인간사와 거리가 멀어서 숭배받지 못합니다.울룽구의 주요한 작은 신성은 카펨브와라고 불립니다.다른 조상의 영혼은 음비타, 나무칼레 [13]등이 있습니다.
레퍼런스

- ^ [1]
- ^ Roberts, Andrew (1973). A history of the Bemba; political growth and change in north-eastern Zambia before 1900.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 148. ISBN 0299064506.
- ^ Brelsford, W. V. (1956). The Tribes of Northern Rhodesia. Lusaka: The Government Printer. p. 67.
- ^ Gondwe, TJ (2022). "4". Traditional succession disputes: an analysis of its causes in senior chief Tafuna chiefdom of Isoko village in Mpulungu, Zambia (Thesis). UNZA Repository Ho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9, 2022. Retrieved July 15, 2023.
- ^ Roberts, Andrew (1973). A history of the Bemba; political growth and change in north-eastern Zambia before 1900.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 148. ISBN 0299064506.
- ^ Roberts, Andrew. "Chronology of the Bemba (N.E. Zambia)". The Journal of African History: 221. Retrieved 15 August 2023.
- ^ Roberts, Andrew (1973). A history of the Bemba; political growth and change in north-eastern Zambia before 1900.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p. 149–151. ISBN 0299064506.
- ^ Roberts, Andrew (1973). A history of the Bemba; political growth and change in north-eastern Zambia before 1900.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 145. ISBN 0299064506.
- ^ Roberts, Andrew (1973). A history of the Bemba; political growth and change in north-eastern Zambia before 1900.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p. 233–235. ISBN 0299064506.
- ^ Willis, Roy (1966). The Fipa and related peoples of South-west Tanzania and north-east Zambia. London: International Institute. p. 42.
- ^ https://www.nor.gov.zm/ ?page_id=1571
- ^ https://patintheworld.com/2017/06/20/umutomolo/
- ^ Willis, Roy (1966). The Fipa and related peoples of South-west Tanzania and north-east Zambia. London: International Institute. p.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