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29 하사
MGM-29 SergeantMGM-29 하사 | |
---|---|
![]() MGM-29의 기동 | |
유형 | 전술 탄도 미사일 |
원산지 | 미국 |
서비스 이력 | |
사용중 | 1962–1979 |
사용처 | 미국 육군 독일 육군 |
생산 이력 | |
디자이너 | 제트 추진 연구소 |
설계된 | 1955 |
제조원 | 스페리 유타 |
No. 구축했다 | ~500 |
사양 | |
덩어리 | 4,600 kg (10,100파운드) |
길이 | 34 피트 10.52 m (6 인치) |
직경 | 79cm(31인치) |
탄두 | W52(M65) 핵 |
블라스트 수율 | TNT 200kt(840TJ) |
엔진 | 티오콜 XM100 200kN(45,000lbf) |
추진제 | 고체 연료 |
동작중 범위 | 75nmi (152km) |
부스트 타임 | 34초 |
지침. 시스템. | 관성 |
MGM-29 병장은 제트추진연구소가 개발한 미국의 단거리 고체연료 지대지 미사일이다.그 미사일은 Sperry Utah Company가 만들었다.이 병장은 일병과 상병으로 시작하는 육군 사병 계급의 진전에 해당하는 일련의 JPL 로켓 중 세 번째이자 마지막이었다.
발전
병장은 1948년 JPL에서 탄생했다.상병 프로그램의 로켓 모터 개발의 큰 업무량 때문에 상병은 티오콜사의 [1]레드스톤 부서로 옮겨졌다.하사관 프로그램의 빠른 발전 실패로 인해,[2] 초기 하사관은 1951년 4월에 퇴역했다.또 다른 육군 미사일 프로그램인 에르메스 프로그램은 에르메스 A2의 또 다른 고체 연료 [3]미사일을 개발했다.에르메스 RV-A-10(A2)은 성공했지만 모터가 미래의 고체 로켓 [4]모터에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하면서 추구되지는 않았다.JPL, [5]상병과 마찬가지로 병장을 "충돌" 프로그램으로 만들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하사 미사일 개발은 1955년 [6]1월에 시작되었다.1955-1957년 타당성 입증, 1958년과 1959년 실험 개발, 1960년과 [7]1961년 최종 엔지니어링 등 세 가지 기본 단계가 계획되었습니다.로켓 모터는 JPL에 의해 설계되었고 티오콜에 의해 제작되었다.Picatinny Arsenal은 탄두와 [8]어댑터를 공급하기로 되어 있었다.지상 지원 장비와 차량은 JPL의 [9]책임이었다.1956년 가을까지, 상병 3세의 조달은 훨씬 더 실용적인 [10]상사의 개발로 미루기로 결정되었다.1956년 초 비행시험이 시작되어 설계상의 중대한 [11]변경이 이루어졌고, 1961년 7월까지 하사 무기 시스템은 체크아웃, 수리 용이성, 대기 준비, 신뢰성 및 저온 저장 제한 등 수많은 결함이 있었다.병장은 제시간에 준비가 되어있어야 했지만, 원래 상상했던 [12]무기가 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비참하게 미달했다.선임병 대비 지상지원장비가 33% 미만으로 필요했고, 발사장소에 도착한 지 몇 시간이 아니라 몇 분 안에 발사할 수 있었다.병장은 비교적 조작과 [13]유지보수가 간단했다.그 병장은 W52 (M65) [14]핵탄두를 운반하기로 되어 있었다.이 병장은 고폭발, 파편화, 생화학 탄두 배치로 고려되었다.생물학적 탄두인 M210과 화학 탄두인 M212는 승인되었지만 [15]구매되지 않았다.
사용중
1962년 미 육군에 의해 MGM-5 상병을 대체하기 위해 창설된 이 전투기는 1963년까지 유럽과 한국에,[16] 1964년까지 독일 부대에 배치되었다.
병장 무기 시스템은 1970년대 초에 MGM-52 랜스로 대체될 예정이었지만 랜스가 지연되면서 계속 [17]작동하게 되었다.마지막 미군 대대는 [18]1977년에 해체되었다.미사일 시스템 병장은 보통 [19]"군단에 대한 일반 지원"이라는 사명으로 야전군에 배치되었다.
병장의 작전은 전장 미사일 개발의 중간 단계로 인정되었다.상병의 액체 연료 취급 단점은 피했지만, 여전히 발사 전에 광범위한 설정과 점검이 필요하며, 세미 트레일러 지원 [20]차량도 필요합니다.현대의 블루워터나 후에 랜스와 같은 더 진보된 미사일은 설치 시간을 단축할 것이다.
이 병장은 200킬로뉴턴(45,000파운드f), 4,530kg(9,990파운드), 직경 790mm(31인치), 길이 10.52m(34.5피트), 핀 범위 1.80m(5ft 11인치)의 이륙 추력을 가졌다.하사 미사일의 사거리는 최소 40km, 최대 사거리는 135km였다.티오콜은 [21]앨라배마주 헌츠빌 근처의 레드스톤 아스널에서 하사 로켓 모터와 그로부터 파생된 캐스터 로켓 스테이지를 개발했다.
파생상품
중사 파생 모델인 카스터 로켓 무대는 스카우트 위성 발사대의 2단으로 사용되었다.주피터-C 발사 로켓의 2단계와 3단계, 그리고 미국 최초의 위성 익스플로러 1을 발사한 주노 I과 주노 II 발사체의 2단계, 3단계, 4단계에 중사 유래 로켓군('아기 병장')이 사용되었다.
연산자
- 제150로켓포대(1964년-1976년)
- 제250로켓포대(1964년-1976년)
- 제350로켓포대(1964년-1976년)
- 제650로켓포대(1965년-1976년)
- 제30야전포병연대 제5대대 1963-1975 - 이탈리아 비첸차
- 제38야전포병연대 제3대대(1962-?) - 포트실
- 제68야전포병연대 1대대(1964년-1970년) - 서독
- 제73야전포병연대 5대대(1963년-1975년) - 서독
- 제77야전포병연대 5대대(1963년-1975년) - 서독
- 제80야전포병연대 3대대(1964년-1970년) - 서독
- 제81야전포병연대 3대대(1963년-1976년)[24] - 대한민국
레퍼런스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11페이지,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15페이지,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14페이지,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15페이지,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32,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36,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Cagle, Mary T, History of the Hister Weapon System, 페이지 97,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앨라배마,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113-117,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120,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130,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 무기 시스템 역사, 109-111,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앨라배마, 레드스톤 아스널, 1972
- ^ Cagle, Mary T, History of the Hister Weapon System, p 199,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앨라배마,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202,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미 육군 미사일사령부, 1972년
- ^ Hansen, Chuck, "1945년 이후 아마겟돈 미국 핵무기 개발의 칼", 제7권, 페이지 125-126, 1995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페이지 234,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Cagle, Mary T, History of the Hister Weapon System, 페이지 216,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앨라배마,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캐글, 메리 T, 병장병기체계사, 244, 미국 육군 미사일사령부,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아스널, 1972년
- ^ Kennedy, Gregory P. (28 March 2009). The Rockets and Missiles of White Sands Proving Ground 1945–1958. Schiffer Publishing. ISBN 978-0-7643-3251-7. LCCN 2008943511. OCLC 488934901. OL 23908772M. Wikidata Q107604474.
- ^ "Weapons of the Field Artillery (1965)". US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December 2021. Retrieved 11 May 2013.
- ^ "Sergeant electrodynamics". Flight: 643–644. 23 April 1964.
- ^ "Thiokol". Box Elder County, Uta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09.
- ^ http://www.usarmygermany.com/Units/FieldArtillery/Org%20Charts_Sergeant%201.htm
- ^ http://www.usarmygermany.com/Units/FieldArtillery/Org%20Charts_Sergeant.htm
-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E–12, Documents on East and Southeast Asia, 1973–1976 - Office of the Historian".
추가 정보
- Hansen, Chuck (2007) [1995]. Swords of Armageddon: 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ince 1945 (PDF: CD-ROM & download available) (2nd ed.). Sunnyvale, CA: Chukelea Publications. ISBN 978-0-97919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