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셀 르허비어
Marcel L'Herbier마르셀 르허비어 | |
---|---|
![]() | |
태어난 | 프랑스 파리 | 1888년 4월 23일
죽은 | 1979년 11월 26일 프랑스 파리 | (91세)
국적. | 프랑스어 |
직종. | 영화감독 |
배우자. | 마르셀 프라도트 |
상 | Légion d'honneur |
마르셀 르허비어(Marcel L'Herbier) 프랑스어: [l ɛʁ브제](, 1888년 4월 23일 ~ 1979년 11월 26일)는 1920년대에 일련의 무성 영화로 아방가르드 이론가이자 상상력 있는 실천가로서 명성을 얻은 프랑스의 영화 제작자입니다. 감독으로서의 그의 경력은 1950년대까지 계속되었고 그는 총 40편 이상의 장편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동안, 그는 프랑스 텔레비전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을 작업했습니다. 그는 또한 프랑스 영화 산업에서 많은 행정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프랑스 영화 학교 설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었습니다.
초기생
마르셀 르허비어는 1888년[1] 4월 23일 파리에서 전문적이고 지적인 가정에서 태어났고, 자라면서 그는 스포츠, 춤, 토론, 예술에 대한 다재다능한 성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파리에 있는 에콜 데 오트 에튀드 소시오네스(Ecole des Hautes Ettudes Sociales)를 거쳐 마리스트 학교에 입학했습니다.[2] 그는 열심히 교육을 받았고 1910년까지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그는 문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여가 시간에 작곡가가 되겠다는 포부로 자비에 르루와의 조화와 대위법을 배웠습니다. 또 다른 야망은 외교관에 합류하는 것이었습니다.[3]
미래의 무용수 마르셀 라나와의 초기 로맨스는 그녀가 그에게 리볼버를 쏘고 자신에게 총을 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끝이 났습니다. 둘 다 살아남았지만, 르허비어는 손가락 하나를 잃었습니다.[4] 1912년에 그는 모리스 매터링크의 동료였던 조지트 르블랑을 만났고, 그녀의 영향으로 그는 연극, 시, 비평을 쓰기 시작했고, 문학과 연극에서 많은 접촉을 했습니다. 그의 우상은 오스카 와일드, 폴 클라우델, 클로드 드뷔시였습니다.[5]
1914년 전쟁의 발발은 르허비어의 세계를 변화시켰습니다. 사회생활에서 손을 떼고, 손을 다쳐 당장 입대하지 못한 그는 군복을 만드는 공장으로 출근했습니다. 그는 군대의 다양한 보조 부대에서 복무했으며 1917년에서 1918년 사이에 전쟁이 끝날 무렵에 우연히 영화 제작 부문으로 옮겨져 영화 제작에 대한 첫 기술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의 지적인 영화 매체로의 전환은 최근에야 이루어졌는데, 처음에는 여배우 Musidora와의 우정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그녀는 그녀가 그를 Cecil B로 데려갔다고 회상했습니다). 무성영화의 예술적 가능성으로 그를 일깨운 드밀의 치트 (1915)[6]와 그 후 새로운 예술 형식에 대한 그들만의 이론을 개발하던 비평가 루이 델루크와 에밀 뷔예르모즈와의 만남을 통해.
무성영화
군대에 있을 때, 르허비에르는 다른 감독들을 위해 두 편의 영화 시나리오를 썼고, 레옹 가몽이 자금을 지원한 프랑스의 이미지에 대한 선전 영화를 만드는 공식 의뢰를 수락했습니다. 그는 많은 실험적인 카메라 기법을 사용한 매우 독창적이고 시적인 영화인 장미-프랑스 (1918)를 제작했는데,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너무 공상적이라는 것을 증명했지만 재능 있는 혁신가로서의 명성을 확립했습니다. Gaumont을 위해 또 다른 상업 영화인 Le Bercail (1919)을 만든 후, 그는 회사와 2년 계약을 제안 받았고, 이것은 그에게 더 야심찬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주었습니다. 르 베르카일에서 그는 여배우 마르셀 프라도와 처음으로 호흡을 맞췄고, 그 후 그의 무성 영화 대부분에 출연했고 1923년에 결혼했습니다.[7]
1919년에서 1922년 사이에, L'Herbier는 Gaumont를 위해 6편의 영화를 만들었고, 그들의 Série Pax에서 여러 편의 영화를 만들었고, 이 중 3편은 무성 영화에서 그의 시대의 주요한 업적으로 두드러졌습니다. 그는 발작의 이야기를 로메 뒤 라지(L'Homme du large, 1920)로 각색하여 브르타뉴 해안을 배경으로 촬영했습니다. 더 야심적인 것은 안달루시아의 로케이션으로 촬영된 웅장하고 시각적으로 화려한 멜로드라마 엘도라도(1921)였습니다; 그것은 용해되고 흐릿한 이미지(프랑스어로 "플로")를 사용한 시각적 실험으로 유명했습니다. 라에르비에와 가우몽 사이의 긴장은 스페인에서도 부분적으로 촬영된 Don Juan et Faust (1922) 프로젝트로 해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영화가 예산을 초과했을 때, 라에르비에는 계획대로 완성할 수 없었고, 결과적인 작품은 두 문학 원형의 지적인 대립보다 기술적인 숙달로 인해 더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그 후, 르허비어는 그의 창조적인 독립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그는 그의 다음 6편의 영화를 제작한 자신의 제작사인 시네그래픽을 설립했습니다.
르허비에르가 자신의 회사와 함께 처음으로 제작한 작품은 톨스토이 소설의 부활(1923)을 각색한 작품이었지만, 촬영은 일련의 좌절을 만났고 르허비에르가 장티푸스에 걸려 몇 주 동안 위독한 상태에 빠지면서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습니다. 이후 1923년, L'Herbier는 Georgete Leblanc-Maeterlink에 의해 주연을 맡을 것이고 또한 미국의 재정을 끌어들일 수 있는 프로젝트를 고려하도록 설득당했습니다; 이것은 L'Herbier의 경력 중 가장 야심 찬 영화들 중 하나인 L'Inhumaine (1924)으로 발전했고, 그는 다른 예술 형태의 주요 인물들과 협력했습니다. 페르낭 레거, 로버트 말레-스티븐스, 다리우스 밀하우드를 포함합니다. 놀라운 시각적 스펙터클은 상상 속의 줄거리를 중심으로 만들어졌고, 그 결과는 관객들과 비평가들 사이에서 모두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르허비어는 1923년에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루이지 피란델로의 작품을 발견했고 그의 아이디어를 영화에 소개하고 싶어 했습니다. 그는 소설 '일푸 마티아 파스칼'을 선택했고, 피란델로의 영화인에 대한 불신이 극복되고 그의 작품 중 하나의 촬영에 처음으로 동의했을 때 기뻐했습니다. 영화 푸 마티아스 파스칼(1925)은 외국인 러시아 배우 이반 모주킨(Ivan Mosjoukine)을 주연으로 출연시켰고, 비평가들과 대중들 사이에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시네그래픽은 꾸준히 손해를 보고 있었고, 그의 다음 영화를 위해 르허비에르는 프랑스 남부에서 촬영한 더 인기 있고 직설적인 주제인 르 베르티제(Le Vertige, 1926)를 선택했고, 이것은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홍플뢰르의 항구를 배경으로 한 해양 드라마, 영국 여배우 베티 발푸르가 출연했습니다. 이것은 팬크로매틱 영화에서 촬영된 최초의 프랑스 영화였습니다.
그 다음이자 마지막 작품인 Cinégraphic 작품(Société des Cinéromans)은 1860년대부터 현재까지 조라의 동명 소설을 각색한 또 다른 대규모 프로젝트인 라르겐트(L'Argent, 1928)였습니다. 국제적인 캐스팅, 아트 데코 디자인, 파리 증권거래소에서의 일부 화려한 장소 촬영으로, 라르겐트는 라르비에에게 사실상 무성 영화 제작의 끝을 알리는 중요한 작품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영화에서 이 시기의 가장 혁신적인 발전의 일부를 담당했으며, 그의 최종 영화 '인디언먼트'(1923)가 시네그래픽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은 루이 델룩(Louis Delluc)과 같은 다른 영화 제작자들에게도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그는 또한 클로드 오트-라라, 필리프 헤리아트, 그리고 자크 카테린(그의 평생 친구가 되어 그의 20편의 영화에 출연한)을 포함한 정기적인 협력자들을 그의 주위에 모았습니다.[8]
사운드 필름
누이츠 드 프린세스라는 과도기적인 영화가 무성 영화로 촬영되었지만 음악, 노래, 음향 효과의 완전한 사운드 트랙을 제공한 후, 르허비에르는 L'Enfant de l'amour (1929)를 맡았는데, 이것은 사운드 영화의 다른 초기 벤처들과 마찬가지로 무대 연극의 각색이었습니다. 이것은 프랑스 스튜디오에서 처음으로 완전히 말하는 사진이었습니다. 무거운 새로운 사운드 카메라에 의해 제시된 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L'Herbier는 또한 세 가지 다른 언어 버전(프랑스어, 영어, 독일어)으로 동시에 영화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이것은 몇몇 배우들이 일부 역할에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이 영화는 다른 비슷한 제안들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히 성공적이었지만, 르허비에르는 행동의 독립성을 잃었다고 느꼈고, 가스통 르루의 책들을 바탕으로 두 개의 탐정 영화들을 만든 후, 르 미스테에르 드 라 샹브레 자운 [ (1930)과 르 파르품 드 라담 앙 느와르 [ (1931), 그는 2년 동안 영화 제작에서 손을 떼고 다시 글을 썼습니다. 1933년, 그는 영화 사업과 연락이 두절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여러 버전의 무대극인 L'Epervier, Le Scandale, L'Aventurier를 더 만들기 위해 돌아왔고, 그 모두는 상업적인 인기를 누렸지만 그가 추구하는 종류의 영화적 발명에 대한 범위는 거의 없었습니다.
1930년대 르허비어의 가장 성공적인 영화는 샤를 보이어와 가비 몰레이가 주연을 맡은 앙리 번스타인의 연극을 각색한 "재능의 기적적인 결합"[9] ("Le Bonheur")입니다. 촬영 도중, 르허비어는 카메라가 그에게 떨어지면서 부상을 입었고, 그 결과 그는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습니다. 그는 제작자 파테를 상대로 민사적 책임을 주장하며 법정 소송을 시작했고, 최종적으로 그에게 유리한 판결(1938)은 감독이 단순히 회사의 직원으로서가 아니라 그의 영화의 작가로서 간주될 수 있는 권리를 프랑스 법에서 처음으로 인정했습니다. 이것은 영화 제작자들을 창조적인 예술가로서 더 큰 인정을 받기 위한 L'Herbier의 일생의 전투에서 중요한 무대가 되었습니다.[10]
1935년에서 1937년 사이에, 르허비에르는 그들의 애국 정신을 특징으로 하는 3인조, 프랑스 해군을 묘사한 3인조, 프랑스 해군을 묘사한 3인조, 모로코의 평화를 묘사한 3인조, 그리고 다시 해군을 묘사한 3인조를 포함한 7개의 특징들을 감독했습니다. 프랑스에서 좌파와 우파 사이의 극심한 정치적 갈등의 시기에 만들어진 이 영화들은 르허비에르 자신의 인정에 의해 그의 정치적 분열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그의 사회주의적 동정심이 전선 민중의 반군사주의에 대한 그의 조급함에 반대하게 만들었습니다.[11]
이번에는 짧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시네포닉(Cinéphonic)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제작사를 되살리려고 노력한 후, 르헤르비에르(L'Herbier)는 "만성 영화"라고 불리는 일련의 드라마화된 역사에서 자신에게 더 만족스러운 소재를 개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전에 그가 완성한 세 작품은 차르 니콜라스 2세와 라스푸틴에 관한 La Tragédie impériale (1938), 베를린 UFA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Adrienne Lecouvreur (1938), 그리고 Entente cordiale (1939)입니다. 1939년 4월 독일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 에드워드 7세의 생애를 통해 프랑스와 영국의 우호를 입증했습니다.
1939년 전쟁이 발발했다고 해서 곧바로 르허비어의 영화 제작이 중단되지는 않았고, 1940년 봄, 그는 로마의 스칼라 스튜디오에서 오랜 숙원 프로젝트인 라 코미디 뒤 보뇌르를 촬영했습니다. 그러나 독일과 함께 이탈리아의 참전이 임박하자 그는 영화가 완전히 완성되기도 전에 프랑스로 돌아가야 했습니다.
1940년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한 후, L'Herbier는 다른 영화 제작자들과 함께 프랑스 영화 산업을 살리고 기술자들의 직업을 보호하기 위해 일했습니다. 그는 해방 전까지 네 편의 영화를 감독했는데, 그 중 가장 성공적인 영화는 라누이트 판타스틱(La Nuit fantastique, 1942)이었습니다. 이 "현실적인 동화"[12]는 프랑스 영화 제작의 일반적인 스타일과 매우 달랐고, 그것은 그가 그의 무성 영화를 특징지었던 시각적 실험 스타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 그리고 이제 그는 사운드트랙의 혁신적인 사용을 추가할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그의 비판적인 명성을 회복하는 데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전후 시기에, 르허비에르는 "만년의 영화"로 한번 더 돌아갔으나, 감독으로서 그의 남은 영화들은 꽤 전통적인 문학적 각색이었고, 영화계에서 그의 창작 경력은 "Les Derniers Jour de Pompei" (1950)와 "Le Père de Madoiselle" (1953)로 끝이 났습니다. 1918년 데뷔한 이래 35년 동안 그는 14편의 무성영화와 30편의 음향영화를 완성했습니다.
텔레비전
전후 몇 년 동안 영화 감독으로서의 경력이 희미해지자 마르셀 르허비어(Marcel L'Herbier)는 상대적으로 새롭고 개발되지 않은 텔레비전 매체에 에너지를 전달했습니다. 그는 무엇이 텔레비전을 영화와 다르게 만드는지에 관심이 있었고, 각각의 매체가 고유의 미학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발전시키는 글을 썼습니다.[13] L'Herbier에게 영화는 창조적인 예술 형식이었던 반면, 텔레비전은 기록을 위한, 재현을 위한, 광범위한 청중들에게 전파하기 위한 매체였습니다. 텔레비전은 영화를 죽이지 않을 것입니다. 반대로, 그것은 영화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1952년에서 1969년 사이에, L'Herbier는 문화적 주제에 관한 200개 이상의 텔레비전 방송을 제작했고, 그 중 대부분을 발표자로 활동했습니다. 비록 그는 고전 음악과 역사 전기에 몇몇 프로그램을 할애했지만, 그의 작품의 대부분은 영화의 측면을 탐구했습니다. 그는 영화에 대한 비판적인 토론과 인터뷰를 영화의 발췌물과 결합한 8개의 시리즈의 프로그램을 선보였고, 때로는 토론에 등장했던 완전한 영화의 전송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또한 주로 생방송으로 송출되는 다섯 편의 텔레비전 연극을 감독했습니다. 그는 프랑스 텔레비전에서 활동한 최초의 기성 영화 제작자였고, 그 작업에 목적의 명백한 심각성과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가져왔습니다.[14][15]
행정부.
르허비에르는 창작 작업 외에도 프랑스 영화 산업에서 여러 가지 행정적 역할을 맡았습니다. 1929년부터 그는 영화 제작자들의 권위적인 권리를 더 많이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 영화 협회의 사무총장을 맡았습니다. 1930년대 중반, L'Herbier는 국가 영화 산업이 외국 경쟁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더 강력하고 조정된 조직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지지했고, 그는 다양한 범주의 영화 직원들을 위한 조합인 Syndicat genéral des artisants de film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곧 신디캣 데 테크니션스 데 라 프로덕션 시네마토그라피크(Syndicat des techniences de la production cinématographique)로 이름을 바꾸었고, 1937년에 비서가 되었고, 1939년에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노조는 영화 기자들을 위한 언론인 자격증뿐만 아니라 임금, 근무 시간, 직장 내 사고에 대한 보험 계약 등의 개선을 달성했습니다. 노조는 또한 산업의 모든 측면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르허비에르는 프랑스 영화에 대한 로비를 계속하여 프랑스 영화 협회(Comité de de défense du cinéma français)의 회장을 맡았습니다.[16]
점령기 동안, 르헤르비에르는 독일의 승리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프랑스 생활과 프랑스 영화의 연속성을 위한 최고의 조건을 만드는 것을 시작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 이 역할로 그는 비시 정부의 영화 관련 문제에 대한 대변인이 되었고,[17] 1941년 프랑스와 그 미래에 관한 준 공식 간행물에 "시네마토그라피"에 대한 기사를 기고했습니다.[18]
1941년 3월, 르헤르비에는 프랑스 파리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의 회장으로 선출되었지만, 그의 대대적인 조직 개편 계획은 곧 그의 비서이자 설립자인 앙리 랑글루아와 갈등을 빚게 했습니다. 랑글루아는 르허비어가 너무 독재적이고 르허비어는 랑글루아가 너무 무질서하다고 생각했습니다. L'Herbier는 1944년까지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했는데, 그 때 마침내 Langlois에 의해 압도당했고, 그는 Jean Grémillon으로 교체되었습니다.[19]
프랑스 영화 산업의 재편에 있어 르허비어의 주요한 기여는 프랑스 국립 영화 학교의 설립이었는데, 그것은 그가 수년간 주장해 온 것이었습니다. 전시 상황에서, 그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1943년 파리에 프랑스 왕립 공과대학교(IDHEC)가 설립되었습니다. 르허비어는 1944년 초대 대통령이 되었고 1969년까지 그 자리를 지켰습니다. IDHEC는 감독 및 제작자, 카메라맨, 음향 기술자, 편집자, 예술 감독 및 의상 디자이너를 위한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그것은 큰 영향력을 갖게 되었고, 프랑스 밖에서 온 몇몇 사람들을 포함하여 많은 유명한 영화 제작자들이 그곳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20]
글
마르셀 르허비어(Marcel L'Herbier)는 그의 경력 동안 영화라는 주제에 대해 다작을 쓴 작가였습니다. 그는 잡지와 신문을 위해 500개가 넘는 글을 썼고,[21] 그 중 일부는 그의 책 "Intelligence duc cinématographe"(파리: 코레아, 1946)에 수집되었습니다. 그가 정기적으로 다룬 주제 중 하나는 영화 제작에 있어서 작가의 개념과 그들의 창조적인 작업에 대한 영화 작가의 권리를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주제는 프랑스 영화의 독특한 국가적 성격과 외국 제작물의 무제한 수입으로 인한 위협이었습니다. 1953년 그는 르몽드 신문의 시네마 섹션을 설립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그의 영화 경력이 시작되기 전, 르허비어는 시 한 권을 출판했습니다: ... a jardin des jeux secret (Paris: Edward Sansot, 1914); 그리고 연극: L'Enfantement du mort: miracle en pourprenoir et or (Paris: Georges Clès, 1917).
그의 마지막 해에, 그는 자서전 La Tétequi tourne (파리: 벨퐁, 1979)을 출판했습니다. [제목은 "영화를 회전/촬영하는 머리"로 번역됩니다.
마르셀 르허비어는 1979년 11월 26일 91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했습니다.
명성.
그의 첫 번째 영화가 있은 후 3년 후인 1921년, 마르셀 르허비어는 프랑스 영화 잡지의 독자들에 의해 최고의 프랑스 감독으로 뽑혔습니다. 다음 해, 비평가 레옹 무시낙은 그를 영화의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을 한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표시했습니다.[22] 이 시기에 르허비어는 프랑스 영화에서 "최초의 아방가르드"의 일환으로 아벨 간스, 저메인 둘락, 루이 델룩과 같은 영화 제작자들과 연결되었는데, 이는 애니메이션 이미지에서 자발적으로 사고하는 첫 번째 세대입니다.[23]
1920년대에 그가 얻은 찬사는 그의 후기 작품에 대한 상대적인 무시와 현저하게 대조됩니다. 침묵의 시대에도 그의 작품은 영화의 주제와 연결되지 않은 미학으로 얼룩지고 매너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22]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그의 공적인 역할과 때때로 그의 정치적 결사체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그에게 불리한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하지만, 프랑스에서는 1960년대까지 영화 산업의 많은 측면에서 그의 지속적인 존재는 그가 잊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했습니다. 최근에는 그의 무성 영화와 음향 영화 모두에 대한 재평가와 재평가가 있었고, 그의 작품에 대한 비판적인 관심이 증가했습니다.
영어권에서는 21세기 초에 르헤르비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로 남아 있습니다. 그의 영화들은 DVD 재발행과 마찬가지로 상영이 드물었고, 그에 관한 비평적인 문헌들은 영어로 거의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표준 영화 역사는 특히 엘도라도, 리누메인 및 라아르젠트에서 무성 영화에 대한 그의 기여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확인합니다.[24]
필모그래피(감독)
- 환상 (1918, 미완성)
- 부클레트(Infatition, 1918; 시나리오 전용, 배우)
- 로즈-프랑스 (1919)
- 르 베르카일 (1919, 미신용)
- 르 카르나발 데 베리테(Le Carnaval des Vérités, 1920)
- L'Homme du large (1920)
- 빌라 데스틴 (1920)
- 엘도라도 (1921)
- 프로메테...방키에 (1921)
- 돈 후앙 외 파우스트 (1922)
- 부활(1923, 미완성)
- L'Inhumaine (1924)
- 푸 마티아스 파스칼 (1925)
- 르 베르티제(Le Vertige, 1926)
- Le Diable auc œur (작은 악마 메이 케어) (1927)
- L'Argent (1928)
- 누이트 드 프린스 (프린세스의 밤) (1930)
- L'Enfant de l'amour (1930)
- La Femed d'uneuit (1931년; 독일어와 이탈리아어 버전으로도 제작)
- 르 미스테르 드 라 샹브레 자우네 (1930)
- 르 파르품 드 라담 앙누아르 (1931)
- L'Épervier (1933)
- 르 스칸데일 (The Scandale) (The Scandal) (1934)
- L'Aventurier (1934)
- 르 보뇌르(Le Bonheur) (1934)
- 라 루트 임페리알 (1935)
- 베일 달르메스 (희생 도뇌르) (1935)
- 레 옴므 누보(Les Hommes nouveaux) (1936)
- 라 포르테 뒤 라지 (1936)
- 누이츠 데 푸 (불의 밤) (1937)
- 라 시타델 뒤 침묵 (고요의 성채) (1937)
- Forfait (The Chirt) (1937)
- 라 트라게디 임페리알 (라스푸틴) (1938)
- 아드리앙 르쿠브뢰르 (1938)
- 테라 디 푸오코 (Terre defeu) (1939, 이탈리아; 1942, 프랑스)
- 어린이 코너 (1939, 단편)
- La Mode revée (1939, 짧게)
- 라 여단 수바게 (1939)
- 엔트코디알레 (1939)
- 라 꼬메디 뒤 보뇌르(La Comédie du bonheur) (1942)
- 히스토리의 욕망 (바보 같은 남편들) (1941)
- 라누이트 판타스틱 (1942)
- 카트린 여제 (1943)
- 라비 드 보엠 (1945)
- 오페티트 보뇌르(Aupetit bonheur) (1946)
- L'Affair du collier de laine (여왕의 목걸이) (1946)
- 라 레볼테 (La Révoltée) (1948)
- 레 데르니에 주르 드 퐁페이 (폼페이의 마지막 날들) (1950)
- 르 페르 드 마드모아젤 (The Father of the Girl) (1953)
- Adrienne Mesurat (1953, TV용)
- Cequ'a vuel event d'est, Ou Zamore (1954, TV용)
- Le Ju de l'amour et du hazard (1954, TV용)
- 레 파우제스 컨피던스 (1955, TV용)
- 르 시엘 드리트 (1955, TV용)
- 옴마주 아 드뷔시 (1963, 다큐멘터리)
- 르 시네마 다이더블(Le Cinéma duiable, 1967, 다큐멘터리)
- La Féérie des fantases o 80 ans de film fantastique français (1975, 문집; TV용)
참고문헌
- ^ 일부 참고 자료는 르허비어의 생년월일을 1890년으로 잘못 표기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날짜는 그의 자서전, La Tétequi tourne, 16쪽에서 확인됩니다.
- ^ 마르셀 르허비어, 라테키 투르네. 파리, 벨퐁, 1979년 16-17쪽.
- ^ 자크 카테린, 자크 카테린 프레젠트 마르셀 르허비어. 파리, 보트레인, 1950년 8월
- ^ 자크 카테린, 자크 카테린 프레젠트 마르셀 르허비어. 1950년 10월 10일 파리, 보트레인
- ^ 로이 아르메스, 프랑스 영화사. 런던: 세커 & 워버그, 1985년 44쪽
- ^ 마르셀 르허비어, 라테키 투르네. 파리, 벨퐁, 1979년 19-21쪽.
- ^ 마르셀 르허비어, 라테키 투르네. 파리: 벨포드: 1979. 123쪽.
- ^ 비평가 노 ë 버치에 따르면 마르셀 르허비어와 자크 카테린은 동성애 관계였다고 합니다. 노 ë 부르치, 마르셀 르베르비에 감독: 라르트 뒤 시네마, 로랑 베레이. 파리: 프랑세즈 데 레체르쉬르 알 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 pp.201-216.
- ^ N.T. 빈, "Le Bonheur: la plus belle mise enabyme", 마르셀 르허비어: l'art duccinéma, sous la direction de Laurent Véray.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 surl'Histoire du Cinéma, 2007. p.272 "...une miracleuse conjection dealts dents don'marcel L'Herbierne retravuana pass sould equivalent."
- ^ N.T. 빈, "Le Bonheur: la plus belle mise enabyme", 마르셀 르허비어: l'art duccinéma, sous la direction de Laurent Véray.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쪽 265쪽.
- ^ 마르셀 르허비어, 라테키 투르네. 파리: 벨퐁, 1979. 251쪽.
- ^ 마르셀 르허비어, 라테키 투르네. 파리: 벨퐁, 1979년 284쪽.
- ^ 예: "L'Ogresstétélévision", 르 몽드, 1950년 9월 22일, "Passé d'un art futur", 르 몽드, 1951년 10페리에.
- ^ 미셸 도자츠, 마르셀 라에르비에서 "마르셀 라에르비에, 피오니에 드 라텔레비전": 라르트 뒤치네마, 수라 방향 드 로랑 베레이.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 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 p.327-332
- ^ 도미니크 무스타치, 마르셀 라에르비에어로 "Uncinéast engagé au service du petitécran", "L'art du cinéma, sous la direction de Laurent Véray".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 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쪽. 333-343.
- ^ 미레유 베올리외, 마르셀 르베르비에의 "르 롤 센트럴 드 마르셀 르에르비에 당스 라 구조 데 신디캣츠 데 인더스트리 시네마토그라피크", 마르셀 르베르비에: 라르트 뒤 시네마, 수 라 방향 드 로랑 베레이.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 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쪽 285-294.
- ^ 진에이. 길리, "점령하라 해방: 마르셀 르헤르비에 등의 르네상스 드'"IDHEC", 마르셀 르헤르비에: 라르트 뒤 시네마, 수 라 디렉션 드 로랑 베레이.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 299쪽.
- ^ 1941년 프랑스. 라 레볼루션 국가 건설적. Unilanetun 프로그램. 파리: Alsatia, 1941. pp.292-314.
- ^ 진에이. 길리, "점령하라 해방: 마르셀 르헤르비에 등의 르네상스 드'"IDHEC", 마르셀 르헤르비에: 라르트 뒤 시네마, 수 라 디렉션 드 로랑 베레이.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 페이지 309-310.
- ^ 진에이. 길리, "점령하라 해방: 마르셀 르헤르비에 등의 르네상스 드'"IDHEC", 마르셀 르헤르비에: 라르트 뒤 시네마, 수 라 디렉션 드 로랑 베레이.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 p.305-309.
- ^ 마르셀 르허비어의 "Bibliographie de écrites et entretiens de Marcel L'Herbier": l'art duccinéma, sous la direction de Laurent Véray.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 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쪽 367-382.
- ^ a b 로랑 베레이, 마르셀 르헤르비에의 "서론": 로랑 베레이, 수라 방향. 파리: 프랑세즈 드 레체르쉬르 알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2007. 9쪽.
- ^ 리차드 아벨, 프랑스 영화: 1차 파동 1915-1929.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279쪽
- ^ 예를 들어, Roy Armes, French Cinema. 런던: Seker & Warburg, 1985. pp. 45,60; Liz-Anne Bawden [ed.], Oxford Companion to Film. 옥스포드: OOP, 1976. p.419; 마이클 템플과 마이클 위트 [eds.], 프랑스 시네마 북. 런던: BFI, 2004. 15페이지
더보기
- 버치, 노 ë. 마르셀 르허비어. 파리: Seghers, 1973. (Cinéma d'aujourd'hui: 78) [프랑스어로].
- 케틀린, 재크. Jaque Catelain present Marcel L'Herbier. 파리: 보트린, 1950. [프랑스어로.
- 르허비어, 마르셀. La Tête qui tourne. 파리: 벨퐁, 1979. [프랑스어로. ISBN2-7144-1215-7
- 베레이, 로랑[에드]. Marcel L'Herbier: l'art duccinéma. 파리: 2007년 프랑세즈 데 레체르 서르 '히스토아르 뒤 시네마' 협회. [프랑스어 텍스트, 영어 초록]. ISBN 978-2-913758-73-5
외부 링크
- IMDb의 마르셀 르허비어
- Ciné-Resources의 Marcel L'Herbier [프랑스어]
- Les Independent du premier siècycle
- filmdefrance.com
- filmreference.com
- 움직이는 이미지 소스 "Obscure objects": Jonathan Rosenbaum의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