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lynManson.com
MarilynManson.com사이트 유형 | 록밴드 웹사이트 |
---|---|
주인 | 마릴린 맨슨 |
작성자 | Marilyn Manson, Marc Geiger, Rob Anderson, Kurt Dommermuth, Interscope |
URL | marilynmanson |
상업의 | 아니요. |
개시. | 1998 |
MarilynManson.com은 미국 록 밴드 마릴린 맨슨의 공식 웹사이트이다.이 웹사이트는 1998년 개설된 이래 밴드의 홍보와 지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해왔다.과거 마릴린 맨슨은 엄선된 앨범(Mechanical Animals and Holy Wood)을 홍보하기 위해 숨겨진 사이트를 개설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이 방식에 의한 홍보 캠페인은 중단되었다.마찬가지로, 밴드의 셀레브리티즘 시대(Lest We Forget 발매 이후)에는 숨겨져 있다고 생각되는 코드가 발견되었다.
마릴린 맨슨은 최근 히에로판트와의 10페이지에 걸친 단독 인터뷰에서 이 사이트의 숨겨진 코드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된 원인은 그의 의도가 아니며 그가 반드시 승인하지 않는 것으로 발전했다고 밝혔다.맨슨은 또한 2007년 4월 16일에 개설된 웹사이트의 Eat Me, Drink Me에 대한 그의 관여는 매우 높았지만, 그가 만들라고 말한 것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는 웹사이트와 디자이너가 [1]테이블로 가져온 창의성을 매우 좋아했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이력
기계 동물 시대
Manson은 웹의 열렬한 팬이며, 그는 사람들이 언론의 잘못된 정보와 잘못된 정보를 통해 진실을 밝혀내기를 원합니다.그것은 맨슨의 완전한 관여가 될 것이며, 그것은 그의 사이트이며, 그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게시하고 그의 BBS의 모든 게시물을 읽겠다고 맹세했다.
—ArtistDirect founder Marc Geiger on the creation of MarilynManson.com.[2]
마릴린 맨슨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청중과 적극적으로 소통한 최초의 밴드 중 하나였다.첫 번째 웹사이트는 1998년 9월 4일 오후 3시(태평양 표준시)에 시작되었으며 Artist Direct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이 웹사이트에는 마1린 맨5on으로 스타일링된 밴드의 다음 앨범인 Mechanical Animals의 아트워크와 유사한 숫자 1과 5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었다.이 앨범 또한 9월 15일에 발매되었다.이 웹사이트는 게시판 시스템, 가사와 사운드 클립이 포함된 인터랙티브 디스크 목록, 사진, 그리고 온라인 상점을 특징으로 했다.이 사이트는 또한 정기적인 대회를 개최했으며, 다른 팬에게는 밴드의 "Mechanical Animals Tour"의 북미 날짜마다 두 장의 티켓이 주어졌다.1998년 9월 9일,[2] 이 밴드의 익명의 가수는 팬들이 제출한 수많은 질문에 답하며 세계 최초의 라이브 비디오 채팅 중 하나에 참가했다.
Mechanical Animals 앨범은 Coma를 포함한 여러 도메인 이름을 구입했다.White.com 를 참조해 주세요.이러한 페이지에는, 각 페이지간의 네비게이트에 사용되는 시크릿한 임베디드 링크가 빈번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앨범의 플라스틱 케이스에는 파란색으로 썬팅된 전면이 들어있었고, 라이너 노트와 앨범 아트의 특정 부분에 대해 들었을 때 이러한 웹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 드러났다.
성목(죽음의 계곡 그늘에서) 시대
콜럼바인 고등학교 대학살 이후 밴드를 둘러싼 논란 이후, 맨슨은 그들의 웹사이트가 곧 발매될 스튜디오 앨범인 Holy Wood (In the Shadow of the Death)의 녹음에서 인류와의 유일한 접촉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밴드 멤버들은 대중의 시선을 피했다.그 밴드는 앨범의 구성과 녹음에 관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게시했다.1999년 12월 15일, 새로운 소개가 웹사이트에 게재되었는데, 맨슨은 삭발한 머리와 이마에 수은의 연금술 기호를 그렸다.같은 날, 앨범의 이름, 음악 방향, 그리고 여러 [3]곡의 시사회를 알리는 웹캐스트가 시작되었다.
다음 날 맨슨은 이전에 공개되지 않은 두 곡의 동영상을 게재했다.첫 번째 곡은 앨범의 리드 싱글인 "Disposable Teen"의 클립이고, 두 번째 곡은 프랭키 레인과 지미 보이드의 1953년 싱글 "The Little Boy and the Old Man"의 대략적인 데모곡이다.팬들을 위한 발렌타인 데이 선물로 [4]맨슨은 1970년 앨범 Lie: 사랑과 테러 컬트.[5]2000년 여름, 그들의 웹사이트에서 밴드의 활동량이 증가했다.8월과 9월의 3주 동안, 그들은 앨범의 발매일이 발표된 주간 업데이트와 부분적인 트랙 [6]리스트를 게시했다."불타는 깃발," "우주에서의 크루치-픽션," 그리고 "사랑의 노래"의 사운드 파일도 홀리우드 [8]소설의 표지와 함께 무료 [7]다운로드로 공개되었다.
2000년 11월 11일 발매된 앨범에서는 그들의 웹사이트가 일련의 대회와 경품을 주최했다.11월 1일부터, 영국 인터스코프 레코드 사업부는 숨겨진 메시지로 이어진 일련의 코드화된 단서를 포착하기 위해 팬들이 웹사이트에 매일 접속하도록 초청하는 대회를 열었다.이 수수께끼를 푼 팬들은 독점 다운로드를 받았고,[9] 할리우드에서 그 밴드를 만나기 위해 두 사람이 일주일 동안 여행을 갈 수 있는 추첨에 참여하게 되었다.11월 14일, 밴드는 건스, 갓, 정부 투어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뉴욕시에 있는 사시 나이트클럽에서 열린 친밀한 초대 전용 어쿠스틱 공연에서 짧은 4곡 세트를 공연했으며,[10] 그들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연 티켓을 무료로 배포했다.영국에서 앨범의 세 번째 싱글 "The Nobodies"가 발매될 즈음, 웹사이트는 또 다른 대회를 주최했다.이 곡의 발매는 밴드의 독서 축제 출연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경연대회 우승자에게는 제한 없는 백스테이지 접근권과 개인 [11]수면공간뿐만 아니라 2주 내내 축제 입장권이 주어졌다.
그로테스크 황금시대
The Golden Age of Grotesky 시대의 웹사이트는 가장 주목할 만한 광범위한 사진 갤러리와 맨슨이 소장하고 있는 저널을 특집으로 다루었는데, 맨슨은 앨범 발매 직전에 업데이트를 중단했다.그 저널의 서문은 Marlene Dietrich가 쓴 작은 그림이었다.웹사이트 자체에는 새로운 맨슨 로고(SS 엠블럼처럼 표현)와 디자인에 사용된 당시의 다른 사진(고고걸스, 나치 퍼레이드 포함) 등 30년대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었다.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오라클이라는 코너인데, 이 코너는 팬들이 마릴린 맨슨에게 질문을 할 수 있게 해주었고, 그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맨슨의 답변과 함께 공개되었다.
잊기 전에
오리지널 웹 사이트
새로운 웹사이트는 레스트 위 포겟 책자 디자인을 연상시켰다.인트로 페이지에는 맨슨이 (s)AINT 비디오에서 찍은 사진이 뮤직 드론에 들어갔다 나왔다 했다.첫 번째 코드가 나타난 것은 이 페이지입니다.이 웹사이트에는 "개인 예수" 비디오의 스크린샷과 이전 웹사이트의 맨슨의 일기로만 구성된 작은 사진 갤러리도 있었다.
인터미션 웹사이트
2006년 1월 19일, 이 웹 사이트는 단일 이미지가 포함된 페이지로 대체되었습니다.이 이미지에는 로레인 십자가를 포함한 것 외에 뉘른베르크[12] 재판 당시 잭슨 판사의 진술과 유사한 문구가 적혀 있었다.
참신하고 실험적인 조사를 통해
추상적 사양의 산물이 아닙니다.
정당성을 입증하는 법리주의 이론도 없다.
이 웹사이트와 여기에 있는 모든 콘텐츠는
로부터의 명시적 명령에 의해 압류되었다.
셀레배리어티 코퍼레이션--
이 재판소는 참신하고 실험적이긴 하지만 추상적인 추측의 산물이 아니며 법리주의의 이론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
2006년 2월 5일, 이미지는 마스크를 쓰고 피범벅이 된 두 나체 소녀를 그린 플래시 기반의 애니메이션으로 바뀌었다.다음 날 새장 안에 있는 흰 토끼의 이미지가 애니메이션에 추가되었다.
2006년 4월 21일, 이 애니메이션은 콜럼바인 고등학교 대학살에 대한 신문 표지와 "다이아몬드는 소녀의 가장 친한 친구"를 부르는 마릴린 먼로의 왜곡된 스틸 프레임, 찰스 맨슨의 눈 사진을 포함한 빠른 영상 시리즈로 대체되었다.
2006년 4월 25일, 두 번째 페이지가 웹사이트에 게재되었습니다.그것은 작은 코드 시퀀스를 특징으로 했고, 그 결과 작은 음악 한 곡(이 곡은 "명예찬가"로 알려짐)이 연주되었다.이 페이지에는 알프레드 히치콕, 알버트 스피어의 목소리 샘플과 히틀러의 [13]죽음을 알리는 스튜어트 히버드의 라디오 번역도 실렸다.이 페이지는 2006년 11월 5일 새로운 웹사이트가 완전히 출시될 때까지 남아 있었습니다.
팬들이 암호를 해독하려는 오랜 시간이 흐른 후, 마릴린 맨슨은 비록 그가 연루되었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그 암호는 그가 반드시 승인하지 않는 것으로 발전했고 더 이상 [1]추구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코드는 제가 몰랐던 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반드시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발전했다고 말하겠습니다만, 그것은 제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알 수 없는 사실일 뿐입니다.나는 그 기간 동안 내가 누군지 몰랐다.나는 그것이 아무 가치도 없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람들이 종종 집을 봐주는 것을 은유적으로 집에 사는 것으로 착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완전 액티브 기동
2006년 11월 5일, 드디어 정식 웹사이트가 개설되었습니다.섹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오늘의 뉴스 - 뉴스 페이지.
- 퍼포먼스 - 이 페이지는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Marilyn Manson이 Eat Me, Drink Me를 투어한다고 발표한 후에 작성되었습니다.
- 아트워크 - 마릴린 맨슨의 그림이 대부분 포함된 페이지입니다. 이 페이지에는 마릴린 맨슨의 얼굴의 추상적인 이미지와 그의 그림들의 애니메이션 그리고 다음과 같은 단어들이 들어 있는 작은 빨간 막대가 있었다."나 어때?" 오른쪽입니다. 이 페이지에는 "나 어때?"라는 여성의 왜곡된 목소리가 반복적으로 나오는 오디오와 다른 오디오 샘플도 더빙됐다.
- 도형 갤러리 - 다음 3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는 페이지입니다.
- 시네마 - 이전에 팬타마고리아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었던 피로 범벅이 된 두 소녀를 묘사한 플래시 애니메이션 페이지와 올해 초 공식 웹사이트.
- Synmessia Archive (공감각 아카이브) - 전체 음반 목록입니다.다른 앨범 페이지에 대한 링크는 Andy Warhol의 Marilyn Monroe 실크스크린 프린트처럼 스타일링된 Marilyn Manson의 사진이었습니다.
- 처방전 - 마릴린 맨슨 상품을 취급하는 가게 링크.
유명 인사들의 언급은 다음과 같다.
- 뉴스 페이지에는 롤링스톤 등 외부 소식통이 아닌 밴드 자체에서 취합한 뉴스 기사가 'The Celebritarian Corporation'에 게재됐다.
- 로레인의 십자가는 모든 페이지에 "뒤로" 단추 역할을 했다.
- 그 뉴스 페이지에는 존 F의 짧은 동영상이 실렸다. 케네디 연설에 투나잇 쇼의 비디오가 삽입되었다.
Eat Me, Drink Me 시대
2007년 4월 16일, 그 웹사이트는 다시 재개발되어 시작되었다.이 사이트는 Eat Me, Drink Me 앨범에 표현된 주제를 연상시키는 이미지(앨범 소책자에 수록된 이미지는 없음)를 특징으로 했다.맨슨은 2007년 4월 16일 개설된 웹사이트의 Eat Me, Drink Me에 대한 그의 관여도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새로운 홈페이지는 2007년 5월 8일에 개설되었습니다.
이 론칭에서는 다음과 같은 섹션이 소개되었습니다.
- 홈:
- 첫 번째 홈페이지에는 핏자국 같은 M이 2개 있고 아래 모든 섹션으로 연결되는 링크가 있습니다.
- 이 새로운 홈페이지는 2007년 5월 8일에 만들어졌으며 병원 복도로 보이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들것에 실려 있는 절단된 시체가 실려 있는데, 절단된 시체는 스크린 밖으로 옮겨지는 끈에 붙어있는 사진들로 "접합된" 것으로 보인다.들것에 실려 있는 시체는 뉴스 섹션에서 본 남자의 것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왜냐하면 두 실체 모두 머리가 있어야 할 곳에 심장이 있기 때문입니다.벽에는 핏줄과 근육인 "0550"과 맨슨의 사진, 분침과 시침이 없는 시계, "Eat Me"의 거친 "M M" 그림, Drink Me 앨범 표지, 말벌집 등이 있다.이 복도 장면에서 발견된 일부 객체는 클릭하면 다음 섹션으로 링크됩니다.
- 뉴스 - 뉴스 페이지; 왼쪽에는 "3577"이라고 적힌 꼬리표가 셔츠에 붙어 있고 머리가 앞뒤로 기울어져 있어야 할 곳에 확장된 심장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벌떼는 또한 끊임없이 심장 구멍에서 바깥쪽으로 날아갈 것이다.이 시체 뒤에는 반투명한 정맥과 그 주위를 둘러싼 근육이 있는 주행 기록계가 보였다.이 이미지의 오른쪽에는 뉴스 섹션이 있습니다.면도칼은 스크롤 막대로 사용되었고, 그것을 아래로 향하면 막대의 가장자리에서 피가 새어 나옵니다.홈페이지에서 들것에 있는 시체들을 클릭해서도 연결된다.
- 투어 날짜 - 마릴린 맨슨이 Eat Me, Drink Me를 홍보하기 위해 다음 투어에서 공연할 장소 및 각 티켓 공급자와 링크하는 페이지입니다.홈페이지 벽에 걸려있는 시계를 클릭해서도 연결된다.
- Video Premiere - 이 페이지는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이 페이지는 2007년 5월 9일에 작성되었으며 "Heart-Shape Glass (When the Heart Guides the Hand)"의 뮤직 비디오 전체를 다루고 있습니다."V"를 클릭하여 에도 링크됩니다.'하트모양 안경(마음이 손을 안내할 때)'을 클릭합니다.
- 아트 - 마릴린 맨슨의 그림이 대부분 포함된 페이지입니다.이 페이지는 이전 버전의 웹사이트에서 남아 있었다.홈페이지 복도에 있는 벌집에서 눈을 클릭해서도 연결된다.
- 책자 - 이 페이지는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이 페이지는 2007년 5월 18일에 작성되었으며, Eat Me, Drink Me의 16페이지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홈페이지에서 "Eat Me, Drink Me" 표지를 클릭해야만 링크할 수 있습니다.
하이엔드 오브 로우 시대
2009년 3월 27일, 밴드의 웹사이트 섹션이 수정되었다. 홈페이지의 병원 장면은 새로운 사진으로 대체되었다.사진에서 맨슨은 군복을 입고 두 손에 휘감긴 미국 국기를 들고 있다.그의 뒤에 누워 있는 것은 맨슨이 주로 보는 이를 막는 란제리 차림의 여성으로 보인다.Adobe Flash Player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된 두 개의 벽면에는 또한 휘갈겨진 글자들이 있다.
이 론칭에서는 다음과 같은 섹션이 소개되었습니다.
- Download Exclusive Track – 이 페이지는 방문자가 "We'm from America"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는 대가로 이메일 주소를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2009년 4월 7일, "We're from America"는 디지털 다운로드로 재발행되었고, 이와 동시에 "Download Exclusive Track" 링크는 밴드의 웹사이트에서 삭제되었다.
- MySpace – 이것은 Marilyn Manson의 공식 MySpace 프로필에 링크됩니다.
- Tour Dates – The High End of Low를 홍보하기 위해 다가오는 투어에 마릴린 맨슨이 출연하는 장소와 각 티켓 공급자에게 링크된 페이지. 이 페이지는 Eat Me, Drink Me 시대로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 아트 – 이것은 마릴린 맨슨의 그림 공식 웹사이트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MarilynManson.com의 재출시에 맞추어 3개의 새로운 작품이 카탈로그에 추가되었습니다.
- 2009년 4월 15일 웹 사이트가 업데이트되었을 때 아트 링크가 "아트 스토어"로 변경되었습니다.
- 머천다이즈– 마릴린 맨슨 머천다이즈를 판매하는 온라인 소매점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 아트갤러리– 처음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이 페이지는 2008년 12월 맨슨의 마이애미 전시회에서 이전에 본 두 개의 새 작품을 포함하여 마릴린 맨슨의 대부분의 그림을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로 연결된다. 이 페이지는 이전 두 버전의 웹사이트에서 남아 있습니다.
- 트랙 리스트: 웹사이트는 현재 앨범의 15개 트랙을 확인했습니다.
The High End of Low가 개봉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이전 웹사이트를 대체했는데, 이 웹사이트에는 푸른 얼굴의 마릴린 맨슨, 가슴을 가리고 있는 여성, 그리고 흐릿한 TV 화면이 등장한다.이 애니메이션은 이중 톱날, 히스테릭하게 웃는 아이들, 이상한 목소리, 맨슨이 직접 말할 수 있는 이해할 수 없는 언어로 된 연설에 대한 허구적인 광고의 일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트랙을 수반한다.
자매 사이트
기계동물과 성목(죽음의 계곡의 그림자) 시대에는 추가 웹사이트가 개설되었다.이들 사이트에 제공되는 다음 링크는 중요한 마릴린 맨슨 팬 사이트인 Nachtkabarett에서 가져온 아카이브된 사이트입니다.
ComaWhite.com
Mechanical Animals [14]앨범 소책자를 통해 발견된 ComaWhite.com은 Mechanical Animals 앨범의 인레이에서도 볼 수 있는 차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트의 여러 셀을 클릭하면 특정 이미지가 공개되었다.공식 [14]마릴린 맨슨 게시판에 연결된 이미지 중 하나.
TheLambOfGod.com
2000년 여름에 시작된 이 웹사이트는 앨범 Holy Wood (In the Shadow of the Death)의 전주곡 역할을 했고 업데이트 중 하나가 Kern Gate의 이미지를 추가하고 맨슨이 밴드가 Death Valley에 있으며 새로운 앨범을 쓰고 있다는 메시지를 추가했다.
TheLoveSong.com
같은 이름의 Holy Wood(죽음의 계곡에서)의 노래의 시사회가 있는 웹사이트.웹사이트에 게재된 이미지는 앨범과 함께 발매될 예정이었던 책 "Holy Wood"의 표지였지만, 2007년 현재 미공개 상태로 남아 있다.
크루치 픽션InSpace.com
성목(죽음의 계곡의 그림자)의 같은 이름의 노래의 프리뷰와 원숭이에서 인간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일 이미지를 수록한 웹사이트로, 노래의 주제를 묘사하고 있다.
YourBurningFlag.com
같은 이름의 Holy Wood(죽음의 계곡에서)의 노래의 시사회가 있는 웹사이트.이 웹사이트에 게재된 한 장의 사진은 콜럼바인 고등학교 대학살 직후 열린 연예계 폭력 관련 상원 기자회견으로 맨슨이 비난받는 맨슨에게 영감을 준 것이다.이 이미지는 상원의원인 조 리버먼과 오린 해치를 묘사하고 있는데, 오린 해치는 마릴린 맨슨의 '안티크리스트 슈퍼스타' 앨범을 들고 있다.
TheDeathSong.com
같은 이름의 Holy Wood(죽음의 계곡에서)의 노래의 시사회가 있는 웹사이트.웹사이트에 게재된 이미지는 곡의 주제를 반영한 공동묘지 이미지입니다.
ThisAsValentinesDay.com
2001년 2월 14일 맨슨이 공식 BBS에 올린 글을 통해 "They'd Remember 'This As Valentine's Day"라는 제목의 게시물을 통해 발견되었다.이 웹사이트는 마리나 오스왈드가 표지에 실렸던 1964년 2월 14일자 타임지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브로치를 클릭하면 소설 '홀리우드' 10장(앨범과 함께 발매 예정)이 표시된다.또, 매거진의 날짜를 클릭하면, 유저는 「Coma」로 리다이렉트 됩니다.White.[14]com 를 참조해 주세요.
Celebritarian.com
이 웹사이트의 원본에는 광범위한 설문지와 사망한 정치 지도자들의 사진을 담은 비디오 인트로가 포함되어 있었다.배경음악은 Daly and Grace의 I'm Leaving it Up To You이다.이 곡은 1963년 11월 22일 존 F.가 1위를 차지했다. 케네디는 암살당했다.Lest We Forget 발매 후, 이 웹사이트는 맨슨 공식 웹사이트와 링크된 로레인 십자가의 단일 이미지로 대체되었다.현재 Manson 공식 웹사이트로 리다이렉트 됩니다.
MarilynMansonVault.com
2007년 5월 22일, 이 공식 Eat Me, Drink Me는 유럽 싱글 "Heart-Shape Glass (When the Heart Guides the Hand)"에서 발견된 링크를 통해 발견되었다.이 사이트에는 2007년 5월 28일부터 가사, 미술관, 모자이크, 하루에 2곡까지 스트리밍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모자이크가 완성되면, Eat Me, Drink Me의 벽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되고, 3곡의 프리뷰 트랙(하트 모양의 안경(When the Heart-Shape Gases, When the Hand), "If I Was Your Vampire", "Evidence")을 스트리밍 할 수 있게 된다.
등록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은 도메인 이름
맨슨의 경력 전반에 걸쳐 추가 "자매 사이트"를 만들 목적으로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이 등록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았다.
성목(죽음의 계곡 그늘에서) 시대
그로테스크 황금시대
- web.archive.org/web/20071020081020/http://www.doll-daggabuzz-buzzziggety-zag
.com/ - web.archive.org/web/20071009184709/http://www.ghettodracula
.net/ - helpmebuddy.in/services/web-development
[영구 데드링크]// - www
.gloominati .com - web.archive.org/web/20050130215928/http://gloominati
.net/ - web.archive.org/web/20110201164522/http://goldenageofgrotesque
.com/ - web.archive.org/web/20130823140825/http://goldenageofgrotesque
.net/ - www
.grotesqueburlesque .com - web.archive.org/web/20070928222338/http://www.ka-boom-ka-boom
.com/ - web.archive.org/web/20050213235951/http://www.para-noir
.net/ - www
.scabaret [영구 데드링크].net - web.archive.org/web/20050213054633/http://thegloominati
.com/ - www
.thegloominati [영구 데드링크].net - www
.thegoldenageofgrotesque .com - web.archive.org/web/20030502193526/http://thegoldenageofgrotesque
.net/ - www
.themobscene .com - web.archive.org/web/20090909235820/http://www.thirdnostril
.com/
플래시 카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마릴린 맨슨은 6장의 플래시 카드를 출시했는데, 이 플래시 카드는 "모브씬" 플래시 카드를 제외하고 대부분 그려진 이미지와 노래의 작은 부분을 특징으로 했다.출시된 플래시 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The Last Tour on Earth' 프로모션 플래시 카드, 'Astonishing Panorama of the Endtimes' 노래 프리뷰.
- 사진 교환이 빠른 "The Love Song" 플래시 카드.
- 원숭이 이미지, 총 이미지, 인간 두개골 이미지 등을 담은 '크루시 픽션 인 스페이스' 플래시 카드.
- 미국 국기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들의 모습을 담은 '불타는 깃발' 플래시 카드.
- 종교적 이미지를 담은 "Godetgod" 플래시 카드.
- "Disposable Teen" 플래시 카드. John F의 단일 커버 이미지를 특징으로 합니다. 케네디 부검과 그 노래의 동영상에서 나온 스틸.
- 맨슨의 자서전 지옥에서 나온 표지 이미지와 챕터 인덱스 디자인이 특징인 "The Fight Song" 플래시 카드.
- 밴드 샷과 다양한 오컬트 이미지가 특징인 "The Nobodies" 플래시 카드.
- 뮤직 비디오의 밴드 샷과 스틸을 특징으로 하는 "모브씬" 플래시 카드.
레퍼런스
- ^ a b 레드 카펫 그레이브 단독 인터뷰 마릴린 맨슨, 7페이지
- ^ a b Kaufman, Gil (September 4, 1998). "'98's Best: Marilyn Manson's Numbers May Be Up: And They're '1' and '5'". MTV. Viacom. Retrieved April 7, 2017.
- ^ Basham, David (December 16, 1999). "Manson To Walk In The "Valley Of Death" For Next LP". MTV.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8, 2016. Retrieved May 15, 2012.
- ^ VanHorn, Teri (December 16, 1999). "Marilyn Manson: Upcoming Album 'Unlike' Predecessors". VH1. MTV Networks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1, 2011. Retrieved April 5, 2011.
- ^ Moss, Corey (February 17, 2000). "Marilyn Manson Covers Charles Manson Song". MTV.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1, 2017. Retrieved May 1, 2017.
- ^ Saidman, Sorelle (September 18, 2000). "Manson Moves "Holy Wood" Date, Preps Tour Plans". MTV.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1, 2017. Retrieved May 1, 2017.
- ^ Basham, David (August 25, 2000). "Manson Expands On "Adam" Concept For New LP". MTV News. MTV Networks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6, 2012. Retrieved April 1, 2011.
- ^ "Manson Brings You ' ... Love'". NME. IPC Media. August 10,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4, 2016. Retrieved April 1, 2011.
- ^ "Teenage Sensation!". NME. IPC Media. October 24,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1, 2017. Retrieved March 30, 2011.
- ^ Mancini, Robert (November 15, 2000). "Marilyn Manson Marks Holy Wood Release With Acoustic Set". MTV. V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3, 2015. Retrieved April 1, 2011.
- ^ "Nobodies Here!". NME. IPC Media. August 21,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1, 2017. Retrieved May 9, 2017.
- ^ "Nuremberg Tria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7, 2007. Retrieved May 18, 2007.
- ^ 혁신 I – Nachtkabarett
- ^ a b c Marilyn Manson.com 등– Nachtkabare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