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페스, 퀸즈
Maspeth, Queens마스페스 | |
---|---|
마스페스 연방저축은행 | |
![]() 뉴욕시내 위치 | |
좌표: 40°42′18″N 73°58′30″w / 40.705°N 73.975°W좌표: 40°42′18″N 73°58′30″W / 40.705°N 73.975°W | |
나라 | ![]() |
주 | ![]() |
도시 | ![]() |
카운티/버러 | ![]() |
커뮤니티 구 | 퀸즈 5[3] |
결산 | 1642 |
설립자: | 네덜란드의 정착민 |
에 대해 명명됨 | 매스팟 인디언스 |
인구 | |
• 합계 | 30,516[1][2] |
민족성 | |
• 흰색 | 79.2% |
• 히스패닉계 | 7.6% |
• 아시아인 | 12.0% |
• 검은색 | 0.8% |
• 기타/다인종 | 1.4% |
경제학 | |
• 중위소득 | $92,075 |
시간대 | UTC-5(EST) |
• 여름(DST) | UTC-4(EDT) |
우편번호 | 11378 |
지역 번호 | 718, 347, 929, 917 |
마스페스는 뉴욕시 퀸즈 자치구에 있는 주거 및 상업 공동체다. 17세기 초 네덜란드와 영국의 정착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마스페스와 국경을 공유하는 이웃들은 북쪽으로는 우드사이드, 북서쪽으로는 수니사이드, 서쪽으로는 그린포인트, 남서쪽으로는 브루클린, 남쪽으로는 브룩클린 이스트 윌리엄스버그, 남쪽으로는 프레쉬 폰드와 리지우드, 동쪽으로는 미들 빌리지와 엘름허스트 등이다.
마스페스는 퀸즈 커뮤니티 5구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편번호는 11378번이다.[3] 뉴욕시 경찰청의 104번 구역에서 순찰하고 있다.[6] 정치적으로 마스페스는 뉴욕 시의회의 29구, 30구 등으로 대표된다.[7]
역사

마스페스라는 이름은 롱아일랜드에 살았던 13개의 주요 인디언 부족 중 하나인 메스페치 인디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그것은 그 지역에 존재하는 많은 침체된 늪과 관련하여 "나쁜 물에서"라는 뜻으로 번역되었다.[8]
오늘날 마스페스로 알려진 지역은 17세기 초 뉴네덜란드인들과 영국 정착민들에 의해 임대되었다. 네덜란드는 1635년에 오늘날 퀸즈로 알려진 지역에 토지를 매입했고, 몇 년 안에 도시를 임대하기 시작했다. 1642년, 그들은 마스팟을 정착시켰고, 프란시스 도티 목사에게 부여된 헌장에 따라 마스페스를 여왕에 첫 번째 영국 정착지로 만들었다;[9]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정착민들 사이에 서명한 이 행위는 롱 아일랜드에 서명한 첫 번째 것이었다. 이 행동의 서명의 일환으로, "뉴타운 특허"는 정착민들에게 1만 3천 에이커(5,300 ha)를 주었다.[10] 마스팟 부족과의 분쟁으로 많은 정착민들이 1643년 지금의 엘름허스트로 이주해야 했다.[11] 원주민들의 공격으로 이듬해 정착지가 평준화되었고, 살아남은 정착민들은 맨해튼으로 돌아왔다.
1652년, 정착민들은 그 지역으로 돌아가 이전의 매스팟 위치에서 약간 내륙으로 떨어진 지역을 정착시켰다. 이 새로운 지역은 미들버그라고 불렸고, 결국 마스페스와 국경을 맞대고 지금의 엘름허스트 지역으로 발전했다. 원래 28명의 영국인 퀘이커들이 마스페스 마을을 설립했는데, 마스페스 마을은 뉴타운 크릭과 마스페스 크릭을 따라 상당한 물과 제분업을 하고 있었다.[10] 나다니엘 아자르와 프란시스 T. 18세기 후반 현재 56번째 테라스와 러스트 가에 있는 마스페스 타운 부두에서 음식과 옷을 팔았다.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마을 사람들은 굴 껍질이나 나무 판자로 도로를 재포장했다.[10]
콜럼버스빌은 이전에 마스페스의 한 구역에 적용되었던 이름이었다. 1854–55년에 그랜드 애비뉴와 콜드웰 애비뉴 사이의 69번가(원래 퍼스 애비뉴로 알려진)에서 일어난 에드워드 던의 발전으로, 이후 마스페스에 흡수되었다. 그 이름은 1890년대에 쓰이지 않게 되었다.[12]
19세기 이민의 물결이 이어지자 마스페스는 1925년에서 1939년 사이에 보야시 집시라는 판자촌의 본거지였지만, 결국 불도저로 변했다.[13] 1970년대까지, 이 동네는 주로 독일, 아일랜드, 리투아니아, 폴란드 주민들의 집이 되었다. 마스페스는 다른 뉴욕시 거주지역이 범죄증가를 경험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같은 가족의 여러 세대가 마스페스에 사는 경우가 많았다.[14]
인구통계학
2010년 미국 인구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마스페스의 인구는 30,516명으로 2000년 2만8,916명보다 1,600명(5.5%) 증가했다. 면적은 818.44에이커(331.21ha)로,[1] 이 지역은 에이커 당 372.3명의 인구 밀도를 가지고 있었다.
동네의 인종 구성은 백인 79.2%(1만8080명), 흑인 0.8%(253명), 아메리카 원주민 0.1%(31명), 아시아계 12.0%(3676명), 태평양 섬사람 0.0%, 타 인종 0.4%(115명), 2인 이상 0.8%(245명)로 나타났다. 히스패닉계 또는 라틴계 인종이 인구의 27%(8,115명)에 달했다.[4]
매스페스, 리지우드, 미들빌리지, 글렌데일 등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보드 5의 전체 주민은 NYC Health의 2018년 커뮤니티 건강 프로필 기준 16만6924명으로 평균 수명은 81.4세였다.[15]: 2, 20 이는 뉴욕시 전체 지역의 평균수명 81.2명에 해당하는 수준이다.[16]: 53 (PDF p. 84) [17] 주민 대부분이 청년과 중장년층 성인들로 0~17세 사이 22%, 25~44세 사이 31%, 45~64세 사이 26%가 거주하고 있다. 대학생과 고령자 비율은 각각 8%와 13%로 낮았다.[15]: 2
2017년 기준 커뮤니티 보드 5의 가구 소득 중위수는 7만1234달러였다.[18] 2018년에는 마스페스와 리지우드 주민의 19%가 빈곤한 생활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비해 퀸즈 전체의 19%, 뉴욕시의 20%는 빈곤한 생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 17명 중 1명(6%)이 실직 상태였는데, 퀸즈는 8%, 뉴욕시는 9%가 실업자였다. 임대료 부담, 즉 임대료 납부가 어려운 주민의 비율은 마스페스와 리지우드가 46%로 자치구 전체와 시 전체의 요금인 53%, 51%보다 낮다. 이러한 계산에 따르면[update] 2018년 현재 마스페스, 리지우드, 미들빌리지, 글렌데일 등은 젠트리피싱이 아닌 나머지 도시와 비교했을 때 고소득층으로 간주되고 있다.[15]: 7
마스페스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폴란드계, 이탈리아계 또는 아일랜드계 혈통이다. 이것은 아일랜드의 펍이나 이탈리아와 폴란드 특산품 가게와 시장 같은 동네의 많은 사업에 반영된다.[19] 동유럽인, 독일인, 중국인, 히스패닉계 출신(대부분 인근 리지우드 출신의 푸에르토리코인)도 많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5][20][21] 마스페스의 폴란드 인구는 비교적 많다; 뉴욕 대도시 지역에는 시카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폴란드계 미국인들의 공동체가 살고 있다.[22]
토지이용
Maspeth는 여러 용도의 혼합물로 분류된다. 구 푸르만섬을 포함한 43번가부터 58번가까지로 구성된 지역은 대부분 공업 저지대들이다. 60번가에서 74번가까지의 블록은 대부분 주거지지만 그랜드 에비뉴에는 소규모의 공업 입지가 있다.[21][23]
공업
펠프스 닷지 주식회사는 1920년부터 1983년까지 존재했는데, 그 기간 동안 그들의 구역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브룩클린 북부를 퀸즈 서부에서 분리하고 바지선 교통을 제공하는 뉴타운 크릭이 오염되었다. 2000년대 들어 정치인들은 뉴타운과 마스페스 크리크를 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21] 화물열차 교통은 롱아일랜드 철도 로드 몬탁 지점과 가볍게 이용되는 부시윅 지점 둘 다 뉴욕 철도와 애틀랜틱 철도가 이용하고 있다. 화물 전용 철도 지점인 LIRR 베이 리지 지점은 인근과 엘름허스트, 미들 빌리지로 구분된다.[20] 뉴욕을 가로지르는 트럭 교통량을 줄이기 위해 크로스하버 철도 터널과 관련하여 새로운 웨스트 마스페스 철도 화물역이 제안되었다. 마스페스에 더 많은 트럭을 원하지 않는 주민들의 반대다.[19]
엘름허스트 가스 탱크는 이전에 이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2001년에 철거되었다. 지금은 엘름허스트 공원이 있는 곳이다.[24] 마스페스 가스 탱크도 철거되기 전까지 이 지역에 있었다.[20]
주거 및 상업
단독 및 다세대 주택이 마스페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65번가를 따라 있는 리지우드 가든 협동조합을 제외하고는 아파트가 거의 없다.[23] 마스페스에 있는 집들은 40만에서 60만 달러에 이른다.[19] 이 지역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집단은 그랜드 애비뉴, 79번가, 칼라무스 애비뉴 사이에 위치한 2층과 3층 주황색과 노란색 벽돌 건물들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이 건물들은 매튜스 컴퍼니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1930년에 루이 올멘더에 의해 지어졌다.[20]
그 지역의 상업의 대부분은 그랜드 에비뉴를 따라 위치해 있다.[21][23]
주변 공단과 공동묘지에 의해 거의 고립되어 있는 이 동네는 일부 주민들에 의해 소도시적 느낌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마스페스의 두 부분은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여러 교차점에 의해 연결되지만, 롱아일랜드 고속도로(로컬칭 LIE)에 의해 2등분된다.[19] 동네의 소도시 같은 성격을 보존한 커뮤니티 단체들이 많은데, 예를 들어 지금의 엘름허스트 공원이 있는 곳에 홈디포 건설을 막았다는 것이다.[21]
묘지
공동묘지는 마스페스의 또 다른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주거지역과 분리되어 있다. 인근 최대 묘지인 올리브트산 묘지는 마스페스의 높은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외나무 휴양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올리베트 산 묘지는 1850년 3월 26일 제임스 모리스가 자신의 마스페스 집에서 모임을 갖고 묘지 형성을 논의하면서 계획되었다. 이 묘지에는 화장품 업계의 거물 헬레나 루빈스타인 쿠리엘리와 1911년 트라이앵글 셔츠와이스트 팩토리 화재의 희생자 16명이 포함돼 있다.[10]
경찰과 범죄
매스페스, 리지우드, 미들빌리지, 글렌데일은 64-02 카탈파 가에 위치한 NYPD 제104 선거구에서 순찰하고 있다.[6] 2010년 104번 선거구는 69개 순찰지역 중 21번째로 안전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경내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스페스와 미들 빌리지가 리지우드보다 안전한 것으로 보인다.[25] 2018년[update] 현재 인구 10만명당 19명의 비사명적 폭행률을 보이고 있는 매스페스와 리지우드의 1인당 강력범죄 발생률은 도시 전체보다 낮다. 인구 10만 명당 235명의 수감율은 도시 전체보다 낮다.[15]: 8
104구는 1990년대보다 범죄율이 낮아 1990~2018년 전체 범주의 범죄가 87.4% 줄었다. 경찰은 2018년 살인 2건, 강간 17건, 강도 140건, 중범죄 168건, 강도 214건, 절도 531건, 절도 123건을 신고했다.[26]
화재안전
마스페스는 56-29번가 68번가에 뉴욕시 소방국(FDNY) 소방서인 스쿼드 288/위험물질 1호기가 있다.[27][28] 또 다른 소방서인 엔진 291/래더 140은 마스페스 국경 바로 외곽 리지우드의 56-07 메트로폴리탄 가에 위치해 있다.[29]
분대 288/하즈마트 1의 소방관은 모건 & 트레이너가 설계하여 1914년에 개관하였다.[30] 2001년 9월 11일 공격 때는 스쿼드 288/하즈마트 1호가 가장 먼저 대응했다. 이 소방서는 이 타워의 붕괴로 19명의 소방관을 잃었는데, 이는 이 도시의 어떤 소방서에서든 가장 큰 손실이다.[31][32] 뉴욕시 랜드마크 보존위원회는 2013년 소방서에서 공식적인 도시 랜드마크 상태를 고려했다.[30]
건강
2018년[update] 현재, 매스페스와 리지우드에서 10대 엄마에 대한 임신 전 출산과 출산은 도시 전역의 다른 곳보다 덜 흔하다. 매스페스와 리지우드에서는 1000명의 생아(도시 전체 1000명당 87명 대비)당 70명의 사전임기 출산이 있었고, 1000명의 생아(도시 전체 1000명당 19.3명 대비)당 17.6명의 10대 산모가 태어났다.[15]: 11 마스페스와 리지우드는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주민의 수가 적다. 2018년 이 무보험 거주자의 인구는 13%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도시 전체의 비율인 12%[15]: 14 보다 약간 높았다.
마스페스와 리지우드의 대기오염물질 중 가장 치명적인 유형인 미세입자 농도는 입방미터당 0.008mg(8.0×10온스−9/cuft)으로 도시 평균보다 높다.[15]: 9 매스페스와 리지우드 주민의 20%가 흡연자로 도시 평균인 14%보다 높다.[15]: 13 매스페스와 리지우드는 주민의 19%가 비만이고 7%가 당뇨, 20%가 고혈압으로 도시 전체의 평균인 22%, 8%, 23%에 비해 월등히 높다.[15]: 16 게다가, 도시 전체 평균 20%에 비해, 어린이의 19%[15]: 12 가 비만이다.
주민의 92%가 매일 일부 과일과 채소를 먹는 것으로 서울시 평균(87%)보다 높다. 2018년에는 주민의 78%가 자신의 건강을 '좋다', '매우 좋다', 즉 '우수하다'고 표현해 도시 평균 78%[15]: 13 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스페스와 리지우드의 모든 슈퍼마켓에는 5개의 보데가스가 있다.[15]: 10
가장 가까운 주요 병원은 엘름허스트의 엘름허스트 병원 센터다.[33]
우체국 및 우편 번호
마스페스는 우편번호 11378로 보호된다.[34] 미국우체국은 매스페스역을 55-02 69번가에 운영하고 있다.[35]
이코노미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 초까지 뉴욕 대도시권의 로드 맵 베스트셀러 브랜드인 해그스트롬 맵은 마스페스를 기반으로 했다.[36]
지역사회 기관
마스페스 타운홀 주민센터는 72번가에 위치하고 있다.[19] 1897년에서 1932년 사이에 원룸으로 된 교사로, 그 후 1936년까지 지역 여자 클럽과 작업 공정 관리국에서 가끔 사용하였다. 1971년까지 뉴욕시 경찰서의 경내였다. 이 건물은 1972년에 보수되어 마을 회관으로 만들어졌다.[37]
다른 인근 기관으로는 지역 상공회의소, 라이온즈 클럽, 마스페스 연방저축은행 등이 있다.[19]
공원 및 광장
지역 FDNY 스쿼드 288과 HAZM을 기념하기 위해 69번가와 그랜드 에비뉴에 9.11 기념비가 세워졌다.FDNY 부대 중 가장 규모가 컸던 세계무역센터에 대한 9.11 테러로 인한 1개 소방서의 사상자.[37][38] LIE와 인접한 이 기념비는 원월드트레이드센터가 보이는 세계무역센터 부지와 마주보고 있다. 매년 9월 11일에 기념비에서 추모식이 열린다.[39] 2006년 현충일에 공개된 '명예의 길'도 광장에 나와 이 지역에 살았던 활동가와 선각자들을 기린다.[10]
뉴욕시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부가 운영하는 공원에는 69번가의 프런테라 공원과 LIE를 비롯해 모리스의 프린시페 공원과 54번 애비뉴스가 있다.[40][41] 전통적으로 모리스 공원으로 알려져 있던 이곳은 2005년 마을 지도자 프랭크 프린시페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바꾸었는데, 그는 평생 동안 이 공원을 만들고 복지를 지속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42]
뉴욕에서 가장 작은 공원인 루크 J. 랭 스퀘어는 프레쉬 폰드 로드, 59번 도로, 61번 가의 교차점에 의해 야기된 삼각형에 위치해 있다.[43] 제1차 세계대전에서 사망한 지역 주민을 기리는 이 공원은 0.001에이커(0.00040ha)의 땅을 차지하고 있다.[44] 루크 J. 랭 스퀘어는 울타리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전에는 "깃대, 여러 개의 벤치, 세 개의 노르웨이 단풍나무"[45]가 들어 있었다. 또 다른 아주 작은 공원인 그랜드와 57번째 아벤데스에 있는 갈링게 삼각지에는 1차 세계대전에서 사망한 다른 거주민들을 기리고 있다.[45] 그것은 월터 A 일병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전쟁 중에 사망한 최초의 마스페스 주민 갈링게.[46]
마스페스는 맨해튼 스카이라인이 한눈에 들어오는 축구선수들의 경기장인 메트로폴리탄 오벌의 고향이기도 하다.[47]
그랜드 애비뉴와 LIE에는 "말 자동차 휴게소"의 명판이 있다. 그랜드 애비뉴에서 동쪽으로 한 블록 떨어진 브라운 플레이스에는 말수레 헛간이 있었다.[20] 지금은 작은 포켓 파크인 피터 찰스 파크다.[48] 1950년대에 LIE가 지어졌을 때, 그것은 또한 많은 거리들을 파괴했다; LIE의 건설은 57번 도로와 73번지, 그리고 다른 포켓 파크인 "퀵 브라운 폭스 파크"가 위치한 곳과 같은 많은 작은 삼각형 광장들을 남겼다. 이 공원의 이름은 빠른 갈색 여우에 대한 이야기를 따서 지어졌다.[20]
관심장소
플러싱, 그랜드, 마스페스 어벤지스의 교차로에 있는 표지판은 전차 노선(지금의 B57, Q58, Q59 버스 노선)이 갈라지던 곳을 표시한다.[20][37]
페리 애비뉴의 변태성당 앞마당에는 1981년부터 리투아니아 길가의 사당 복제품이 세워져 있다.[20][37]
1847년 러스트 스트리트와 57번가에 세워진 세인트 사비우어 교회는 변호사 겸 정치인 제임스 모리스가 이전에 소유했던 땅에 위치해 있었다.[20][37] 1970년 방화로 깨끗이 치워졌다. 그러나 2005년까지 뉴욕시 랜드마크 보존위원회가 교회의 랜드마크 지정을 거부했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이 교회를 철거하기 위해 매입했다. 이것은 크게 반대되었다. 그러나 2008년까지 그것의 정면은 갈라지고 분해되고 모든 신앙 공동묘지에 보관되었다. 주니퍼파크시민연합이 주도해 이 자리에 공원을 만들려는 지역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1년까지 교회의 이전 부지는 창고가 되었고,[49] 올 페이스즈 묘지에 새 교회 부지에 대한 조항이 승인되었다.[50]
리지우드 고원으로 알려진 언덕에 있는 리지우드 가든 아파트/코오프 단지는 제임스 모리스가 소유한 72에이커(29ha)의 숲에 지어졌고 1850년 성공회에 기부했다.[51] 모리스 우즈는 모리스 애비뉴, 제이 애비뉴, 66번가, 보든 애비뉴와 경계를 이루었다. 53번가는 64번가로 비탈길을 내려갔다. 그 아파트 단지는 나중에 지어졌다.[20] 언덕을 내려가는 계단길뿐만 아니라, 낙서로 뒤덮인 아주 오래된 가로등도 그 거리에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51]
제임스 모리스는 힐 가 1번지에 있는 집에서 살았었다. 1909년에 팔렸다.[37]
안톤 포스너의 바퀴자국과 마차 메이커의 가게가 있던 집은 LIE의 바로 남쪽에 있는 그랜드 에비뉴에 있다. 그 후, 그 건물에는 마스페스 오토 부품이라는 자동차 가게가 들어섰다. 2006년에 그 집은 헐려서 은행으로 대체되었다.[20][52] 휠라이트는 1851년 그랜드 에비뉴를 따라 지어진 퀸즈 카운티 호텔에 머물던 롱아일랜드 출신 농부들이 시장으로 가는 길에 애용했다.[37]

1920년대 동네에서 가장 큰 극장인 마스페스 극장은 1924년 스트라우스와 스트라스버그가 그랜드 애비뉴와 69번가에 1,161석 규모로 지어졌다. 1965년 문을 닫기 전까지 3개 회사가 소유하고 있었다. 저명한 연주자 중에는 주디 갈랜드가 있었다.[20][37] 1920년대 마스페스에는 다른 극장들도 많이 있었다.[20]
이전의 마스페스 슈퍼마켓인 비엘백 식료품점은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슈퍼마켓 중 하나였으며, 그 후 그리프의 하드웨어가 되었다. 2000년 이 건물은 10년도 안 돼 문을 닫은 빨래방 '그리프스 세탁소'가 돼 철거가 예정돼 있었다.[37] 그 건물은 전면에 네온사인이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53]
1920년대 지어진 실내 발코니와 대형 샹들리에가 있는 클린턴 홀에는 현재 실험실과 산업 사무실이 있다. 조셉 베켓 판사가 지은 저택에서 따온 이름이다. Sabett은 그 홀 뒤에 나무로 둘러싸인 저택을 지었다. 후에, 뉴욕 주지사 DeWitt Clinton은 에리 운하를 계획했다. 이 저택이 불린 대로 1910년경에는 베켓-클린턴 주택의 땅이 공원으로 변했고, 1933년 저택이 불타버렸다.[37]
마스페스와 모리스 어벤지스에 있는 클린턴 다이너는 1935년에 지어졌으며 다른 영화뿐만 아니라 영화 굿펠라스에도 등장한 트럭 정류장이다. 근처에 있는 퀸즈 헤드 선술집은 미국 독립 전쟁 시대의 선술집이었고 나중에 무대 코치의 정류장으로 사용되었다.[37]
주목할 만한 거리
- 프레쉬 폰드 로드는 머틀 애비뉴로 남하하며 "프레쉬 폰드"라는 이름의 이전 연못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 플러싱 에비뉴는 브루클린 시내로 서쪽으로 간다.
- 그랜드 에비뉴는 곧게 펴지기 전에 구불구불한 길이었다.[20]
- 마스페스 에비뉴는 뉴타운 크릭과 옛 마스페스 탱크의 위치 때문에 이 지역에서 불연속적이다.[20]
- 마스페스 플랑크 로드는 나무 판자로 만들어진 더 길지 않은 도로로 윌리엄스버그에서 뉴타운까지 가서 잉글리시 킬을 건넜다.[20]
- Maspeth Avenue에서 떨어진 멜비나 플레이스는 Maspeth의 작은 구역에서 따온 이름인데, Maspeth Plank Road와 Rust Street의 대략적인 교차점 동쪽에 있었다.[20]
- North Hempstead Plank Road, present-day 57th Avenue, split off of Grand Avenue at Mazeau Street and extended to Corona; the road was named after North Hempstead, New York, now in Nassau County, which split from Queens in 1898. 57th Avenue has a lot of old houses dating from the 1850s, as well as some former barns that were later repurposed for othe차고와 같은 r 용도.[20]
교육
마스페스와 리지우드는 일반적으로 2018년[update] 현재 다른 도시보다 대학 교육을 받은 거주자 비율이 낮다. 25세 이상 주민의 33%가 대학 교육을 받은 반면 16%는 고등학교 이하, 50%는 고졸 또는 일부 대학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퀸즈 거주자의 39%와 도시 거주자의 43%가 대학교육 이상을 받고 있다.[15]: 6 마스페스와 리지우드 학생의 수학 우수 비율은 2000년 36%에서 2011년 67%로, 독서 성취도는 같은 기간 42%에서 49%로 높아졌다.[54]
마스페스와 리지우드의 초등학생 결석률은 뉴욕시의 다른 지역보다 적다. 마스페스와 리지우드에서는 초등학생의 14%가 1년에 20일 이상 결석해 도시 전체의 [16]: 24 (PDF p. 55) [15]: 6 평균인 20%보다 낮았다. 또한 마스페스와 리지우드의 고등학생 중 82%가 정시에 졸업하는데, 이는 도시 전체의 평균인 [15]: 6 75%보다 많은 것이다.
학교
뉴욕시 교육부는 공립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IS 73, 프랭크 산시비에리 중등학교(The Frank Sansivieri Medium School)는 구역화된 중학교다.[55]
- PS 58, The School of Heroes는 2002년에 원래의 Finast 슈퍼마켓 현장에서 9.11 테러의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헌납되었다.[56] 다양한 과외 활동과 프로그램으로 마스페스에서 가장 우수한 학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PS 153 마스페스 초등학교[57]
- 마스페스 고등학교는 마스페스에 있는 최초의 공립 고등학교다. 2012년 9월 6일 개관하였다. 그것은 원래 미들 빌리지에 위치해 있었다.[58]
이 지역의 사립학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홀리 크로스 R.C. Church—Maspeth: 폴란드 학교와 CCD 주말 수업.
- 세인트 스타니슬라우스 코스트카 학교(로마 가톨릭 브루클린 교구 후원 하에 뉘르제리–8 가톨릭 학교)[59]
- 마틴 루터 고등학교 (9–12 사립 학교)[60]
도서관
퀸즈 공공도서관의 마스페스 지점은 69-70 그랜드 에비뉴에 위치해 있다.[61]
교통
마스페스에는 뉴욕시 지하철역이 없고, 마스페스에는 고속버스 정류장이 없기 때문에 맨해튼까지 직통 환승 연결이 없다. 지역 버스는 지하철과의 연결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버스들의 오프피크 서비스는 종종 신뢰할 수 없다.[62][63] 시내버스 노선은 다음을 포함한다.
- 플러싱 가를[64] 따라가는 B57 버스
- Q18버스는 65번가와 69번가를[64] 거친다.
- Q39 버스: 58번가, 그랜드 애비뉴, 그리고[64] 신선한 연못 길
- Q47 칼라무스 가와 69번가를[64] 따라가는 버스
- 그랜드 애비뉴와 프레쉬 폰드[64] 로드를 따라가는 Q58 버스
- 그랜드 애버뉴를[64] 따라 Q59 버스
- 메트로폴리탄 가, 69번가, 롱아일랜드 고속도로를[64] 따라 가는 Q67 버스
그 좁은 그랜드 스트리트 다리는 영국 킬즈와 뉴타운 크릭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그랜드 스트릿을 가로질러 윌리엄스버그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그곳에서 마스페스의 식사 및 사업 중심 거리인 그랜드 애비뉴가 된다. 그랜드 에비뉴는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엘름허스트의 퀸즈 대로에서 끝난다.[20] 또한 브루클린-퀸즈 고속도로인 I-278과 롱아일랜드 고속도로인 I-495에 접근할 수 있다. 전자는 코시우스코 다리의 뉴타운 크릭을 건넌다.[65]
저명인사
- June Blum (1929–2017), 예술가.[66]
- 헤르미네 브라운슈티너(1919~1999)는 라벤스브뤼크와 마자네크 강제수용소의 여성 야영 경비원, 미국에서 송환돼 독일에서 재판을 받는 최초의 나치 전범이다.[67]
- 조 마시노(Joe Massino, 1943년 출생) 전 보난노(Bonanno) 범죄 집단의 두목은 마스페스에서 자랐다.
- 존 J. 페슈(1921~2010년)는 1974년부터 1977년까지 공군 국가방위대 국장이었다.[68]
- 빈센트 피아자(1976년 출생)는 TV 시리즈 보드워크 엠파이어, 2007년 영화 로케트 사이언스, 그리고 저지 보이즈의 영화 각색에서 토미 드비토 역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69]
- 필립 라스텔리(1918~1991)는 조폭이자 보난노 범죄 가족의 전 보스였다.[70]
- 지미 링(1895~1965) 메이저리그 선수[71]
- 마스페스를 배경으로 한 제3의 기적(The Third Miracle)의 극작가 겸 작가 리처드 베테레(Richard Vetere, 1952년 출생).[72]
참조
- ^ a b 표 PL-P5 NTA: Acre 당 총 인구 및 인구 수 계산 지역*, 2010, 인구 부서 - 뉴욕 도시 계획부, 2012년 2월 2016년 6월 16일에 접속.
- ^ a b c Data Access and Dissemination Systems (DADS). "U.S. Census website". census.gov.
- ^ a b "NYC Planning Community Profiles". communityprofiles.planning.nyc.gov. New York City Department of City Planning. Retrieved April 7, 2018.
- ^ a b 표 PL-P3A NTA: 상호 배타적 인종과 히스패닉 출신별 총 인구 - 뉴욕시 근린 표 계산 지역*, 2010, 인구 부문 - 뉴욕시 도시 계획부, 2011년 3월 29일 2016년 6월 14일에 접속.
- ^ a b c "Maspeth, New York, NY Population & Demographics". areavibes.com.
- ^ a b "NYPD – 104th Precinct". www.nyc.gov.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Retrieved October 3, 2016.
- ^ 현재 뉴욕시 퀸즈 카운티의 시 의회 구역 2017년 5월 5일 접속.
- ^ "History of Maspeth". queensnewyork.com.
- ^ "Maspeth, Queens County, New York". rootsweb.com.
- ^ a b c d e "History of Maspeth". Maspeth Chamber of Commerce. Retrieved May 7, 2015.
- ^ "Maspeth – A Tour of New Netherland". nnp.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8, 2012.
- ^ Jackson, Kenneth T., ed. (1995). The Encyclopedia of New York C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55366., 페이지 26}
- ^ "The Ludar". smithsonianeducation.org.
- ^ Schiumach, Murray (October 20, 1971). "Neighborhoods: Safe, Proud Maspeth".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March 17, 202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Maspeth and Ridgewood (Including Glendale, Maspeth, Middle Village and Ridgewood)" (PDF). nyc.gov. NYC Health. 2018. Retrieved March 2, 2019.
- ^ a b "2016-2018 Community Health Assessment and Community Health Improvement Plan: Take Care New York 2020" (PDF). nyc.gov. New York City Department of Health and Mental Hygiene. 2016. Retrieved September 8, 2017.
- ^ "New Yorkers are living longer, happier and healthier lives". New York Post. June 4, 2017. Retrieved March 1, 2019.
- ^ "NYC-Queens Community District 5--Ridgewood, Glendale & Middle Village PUMA, NY". Census Reporter. Retrieved July 17, 2018.
- ^ a b c d e f Lisa Fraser (March 25, 2015). "City Living: Maspeth is a caring community bordering a thriving industrial zone". AM New York. Retrieved May 7, 201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Walsh, Kevin (April 2002). "Maspeth, Queens". Forgotten NY. Retrieved May 7, 2015.
- ^ a b c d e Gregory Beyer (May 4, 2008). "Yes, Manhattan's Over There. What of I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y 8, 2015.
- ^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11 Supplemental Table 2".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Retrieved November 2, 2012.
- ^ a b c "NYC's Zoning & Land Use Map". nyc.gov. Retrieved November 17, 2018.
- ^ Hevesi, Dennis (September 20, 1993). "Memory-Filled Tanks; Queens Loses 2 Roadside Landmark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rch 24, 2008.
The Elmhurst tanks — those 200-foot monoliths that stood sentinel to the changing landscape of Queens and as harbingers of hair-tearing delay on the highway to Manhattan — are down, deflated forever, their skeletal remains waiting to be dismantled.
- ^ "Middle Village, Ridgewood, Glendale, and Maspeth – DNAinfo.com Crime and Safety Report". www.dnainf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17. Retrieved October 6, 2016.
- ^ "104th Precinct CompStat Report" (PDF). www.nyc.gov.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Retrieved July 22, 2018.
- ^ "Squad 288/Hazardous Materials Co. 1". FDNYtrucks.com. Retrieved March 7, 2019.
- ^ "FDNY Firehouse Listing – Location of Firehouses and companies". NYC Open Data; Socrata. New York City Fire Department. September 10, 2018. Retrieved March 14, 2019.
- ^ "Engine Company 291/Ladder Company 140". FDNYtrucks.com. Retrieved March 7, 2019.
- ^ a b Dunlap, David W. (October 9, 2013). "Seeking to Preserve a Plain Brick Firehouse With a Painful History".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December 2, 2020.
- ^ "Go inside: FDNY reveals 'dramatic' changes in protocol inspired by 9/11". WPIX. September 11, 2015. Retrieved December 2, 2020.
- ^ Gannon, Michael (September 8, 2011). "The Fallen 19 never forgotten in Maspeth". Queens Chronicle. Retrieved December 2, 2020.
- ^ Finkel, Beth (February 27, 2014). "Guide To Queens Hospitals". Queens Tribu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4, 2017. Retrieved March 7, 2019.
- ^ "Zip Code 11378, Maspeth, New York Zip Code Boundary Map (NY)". United States Zip Code Boundary Map (USA). Retrieved March 10, 2019.
- ^ "Location Details: Maspeth". USPS.com. Retrieved March 7, 2019.
- ^ Nobel, Philip (February 17, 2002). "Maps Gain in Clarity But Lose a Bit of Art".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June 7, 2021.
- ^ a b c d e f g h i j k Walsh, Kevin; Wilkinson, Christina. "Forgotten New York Tour of Maspeth". Juniper Park Civic Association. Retrieved May 8, 2015.
- ^ Kayla Borg (October 9, 2009). "Somber 9/11 Memorial in Maspeth". Queens Ledger. Retrieved January 26, 2012.
- ^ "9/11 Memorial in Maspeth". Queens Ledger. August 23, 2011. Retrieved January 26, 2012.
- ^ "Frontera Park". NYC Parks. Retrieved May 7, 2015.
- ^ "Frank Principe Park". NYC Parks. Retrieved May 7, 2015.
- ^ "Frank Principe Park Highlights : NYC Parks". www.nycgovparks.org. Retrieved January 13, 2021.
- ^ "Luke J. Lang Square".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and Recreation. Retrieved August 3, 2017.
- ^ Schlossberg, Tatiana (April 7, 2015). "New York Today: Striving for Success". City Room. Retrieved August 3, 2017.
- ^ a b Dailey, Jessica (September 22, 2016). "New York City's 20 tiniest parks, mapped". Curbed NY. Retrieved August 3, 2017.
- ^ "Garlinge Triangle".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and Recreation. Retrieved August 3, 2017.
- ^ Malone, Michael (2004). "Best full soccer field in the middle of a residential neighborhood – Metropolitan OvalL". Village Vo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4, 2005.
- ^ "Peter Charles Park: History". NYC Parks. Retrieved May 7, 2015.
- ^ Walsh, Kevin (July 2005). "St. Saviour's Church, Maspeth". Forgotten NY. Retrieved May 8, 2015.
- ^ "St. Saviour's Saved". New York Landmarks Conserva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8, 2015. Retrieved May 8, 2015.
- ^ a b "커밍 순: 또 다른 집 너무 좁다", 퀸즈 헛소리(2007년 1월 31일). 2015년 5월 8일 접속.
- ^ 마스페스 상공회의소 "올드 마스페스" 갤러리
- ^ Marlock, Ron (February 19, 2015). "Griff's Hardware was a Maspeth icon". Queens Chronicle. Retrieved May 8, 2015.
- ^ "Ridgewood/Maspeth – QN 05" (PDF). Furman Center for Real Estate and Urban Policy. 2011. Retrieved October 5, 2016.
- ^ IS 73 프랭크 산시비에리 중등학교
- ^ PS 58
- ^ PS 153
- ^ "Maspeth High School :: Salve!". maspethhighschool.org.
- ^ "About Our School". ststansschool.org.
- ^ Pat Cheeweewat. "Martin Luther High School – Welcome to Martin Luther School!". martinluthernyc.org.
- ^ "Branch Detailed Info: Maspeth". Queens Public Library. Retrieved March 7, 2019.
- ^ "Overlooked Boroughs Technical Report" (PDF). Regional Plan Association. February 10, 2015. Retrieved October 13, 2015.
- ^ Stringer, Scott M. (November 2017). "The Other Transit Crisis: How to Improve the NYC Bus System" (PDF). Office of the New York City Comptroller Scott M. Stringer. p. 22. Retrieved March 9, 2018.
- ^ a b c d e f g "Queens Bus Map" (PD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September 2019. Retrieved December 1, 2020.
- ^ Google (May 8, 2015). "Maspeth, NY"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May 8, 2015.
- ^ 브루클린 박물관 준 블럼입니다 2016년 6월 15일에 접속. 준블럼은 1929년 뉴욕 마스페스에서 태어났다.
- ^ 마틴, 더글라스 2005년 12월 2일자 뉴욕타임스의 "나치 과거, 퀸즈 홈 라이프, 간과된 죽음" 2016년 6월 15일에 접속. "발견 당시 라이언 부인은 마스페스에서 전기 공사 인부의 아내로 살고 있었는데, 그곳에서 꼼꼼한 집 청소와 친절한 태도로 유명했다."
- ^ 크렌케 중령 엘렌. "2010년 1월 13일, 미국의 국가 방위군, "전 ANG 국장이 88세로 사망" 2016년 6월 15일에 접속. "페슈는 1921년 뉴욕 마스페스에서 태어났다."
- ^ 레니슨, 빌리 2012년 9월 14일 퀸즈 쿠리어 "빈센트 광장은 퀸즈에서 '보드워크'로 가는 요리를 한다. 2016년 5월 22일 접속. "빈센트 피자(Vincent Piaza)는 얼마 지나지 않아 이웃인 마스페스로 이사하기 전 미들 빌리지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족이 아직 살고 있는 마틴 스콜세지의 영화를 보면서 자라났으며, 언젠가는 그가 영화계의 거인이 감독하게 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 ^ 대아스토리아 역사 학회 2016년 1월 24일, 타임즈레저는 "어떻게 마스페스 소년이 '최후의 돈'이 되었는가"라고 말했다. 2016년 6월 15일에 접속. 마스페스에서 자란 소년 3명 중 한 명인 마시노는 자신이 12세까지 비행 청소년이며 15세 때 고등학교 중퇴자였다고 주장했다.
- ^ 미국야구연구회 지미 링. 2021년 10월 11일에 접속. "그는 세인트루이스에 묻혔다. 은퇴 생활을 했던 마스페스 지역에서 멀지 않은 퀸즈 중심부의 동네인 미들 빌리지의 존 묘지."
- ^ 셰리던, 딕 1999년 11월 8일 뉴욕 데일리 뉴스, "Home, Sweet Home Boro Native Writing About He Knows & Loves" 2016년 12월 31일에 접속. "그가 마스페스에서 자라면서 기억나는 사람들과 장소들은 그의 어머니와 두 형제 중 한 명이 아직 살고 있는 곳인데, "퀸즈 앤 갱스터 의류에서 데이트를 하는 방법"을 포함한 그의 작품들 중 많은 곳에 등장한다.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퀸즈주 마스페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