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타람 왕국

Mataram Kingdom
마타람 왕국
716–1016
The Mataram Kingdom during the Central Java and Eastern Java periods
중앙 자바 및 동부 자바 시대의 마타람 왕국
자본의맘라티푸라
포 피투
탐블랑
와투갈루
공통 언어고대 자바어, 산스크리트어
종교
힌두교, 불교, 애니즘
정부군주제
마하라자
• 716~746 (최초)
산자야
• 985 ~ 1016 (최종)
다르마왕사
역사 시대중세 동남아시아
· 산자야 왕위 계승 (산자와르사)[1]
716
다르마왕사가 우라와리와 스리비자야에 패배
1016
통화마사와 타힐(토종 금화와 은화)
선행
에 의해 성공자
칼링가
카후리판

마타람 왕국(Mataram Kingdom, /m:tꦩrꦩm/,[2] 자바어: ꦠꦩꦩ jav jav, 자바어 발음: [mthtaram])은 8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번성했던 자바 힌두교-불교 왕국이다.그것은 중앙 자바에 기반을 두고 있었고, 나중에는 동 자바에 기반을 두었다.산자야 왕에 의해 세워진 이 왕국은 샤일렌드왕조와 이샤나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대부분의 역사 동안 왕국은 농업, 특히 대규모 쌀 농사에 크게 의존해 왔고, 나중에 해상 무역의 혜택을 누려왔다.외국의 자료와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그 왕국은 인구가 많고 꽤 번영한 것으로 보인다.그 왕국은 복잡한 [3]사회를 발전시켰고, 문화가 발달했으며, 어느 정도의 정교함과 세련된 문명을 이루었다.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중반 사이에 왕국은 고전 자바 예술과 건축이 꽃을 피웠고, 는 사원 건축의 급속한 성장에 반영되었다.마타람에 있는 중심지의 경치에 사원이 점점이 흩어져 있었다.마타람에 건설된 사원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칼라산, 세우, 보로부두르, 그리고 프람바난으로, 모두 현재의 요기아카르타[4]매우 가까운 곳입니다.전성기에는 자바뿐만 아니라 수마트라, 발리, 태국 남부, 필리핀의 인도화 왕국, [5][6][7]캄보디아크메르족지배적인 제국이 되었다.

이후 왕조는 종교적 후원에 의해 식별된 두 개의 왕국, 즉 불교시바교 왕조로 나뉘었다.내전이 뒤따랐다.그 결과 마타람 왕국은 라카이 피카탄이 이끄는 자바 마타람 왕국의 시바파 왕조와 발라푸트라데와이끄는 수마트라 스리비자왕국의 불교 왕조로 두 개의 강력한 왕국으로 나뉘었다.1016년 스리비자야에 근거지를 둔 샤일렌드라 일족이 마타람 왕국의 가신인 우라와리의 반란을 선동하고 동자바의 수도 와투갈루를 약탈할 때까지 그들 사이의 적대감은 끝나지 않았다.Srivijaya는 그 지역에서 명백한 패권 제국이 되었다.시바왕조는 살아남아 1019년 동자바를 되찾고 [8]발리의 우다야나의 아들 에어랑가가 이끄는 카후리판 왕국을 세웠다.

역사학

1859년경 프람바난 인근의 탠디 수우에 유적 석판화

19세기 초, 요기아카르타중앙 자바에 있는 케두 평원과 케우 평원의 풍경을 지배했던 보로부두르, 세우, 프라만과 같은 수많은 위대한 유적들이 발견되어 일부 역사학자들과 학자들[9]관심을 끌었다.이것은 이 고대 문명의 역사를 밝혀내기 위한 고고학 연구에 박차를 가했다.

중앙 자바 마타람 왕국의 수도로서 마타람 지역의 역사는 또한 역사적인 야바디파 또는 푸미자바(자바의 땅)와 고전 자바 문명의 일부이기도 하다.인도인들은 이들을 Yawadvipa, 크메르인들은 그들을 Chvea, 중국인들은 그들을 Shepo, Chopo 또는 Chao-wa, 아랍인들은 그들을 Jawi, Jawah 또는 Zabag, Srivijayan은 그들을 Bhumijava라고 부른다.자바 원주민들은 그들의 땅과 나라를 단순히 자위(Jawi, Java)라고 부르는 반면, 나가라(Nagara, 나라)의 이름은 종종 그들의 수도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822년 사카(900년)[10]의 필리핀 비문에서 므다에 대해 언급한 유일한 외국 출처가 발견되었다.

마타람 왕국의 샤일렌드라 왕조가 세운 세계 최대의 불교 건축물 중 하나인 보로부두르.

자바에 남아 있는 포괄적인 기록은 돌이나 동판에 쓰인 수많은 프라사스티(비문)를 제외하고는 없다.이 비문들은 통치자들의 정치적, 종교적 행위를 가장 자주 기록하고 있다.비문에 언급된 가장 일반적인 주제는 사마( (馬)의 설립이며, 때때로 이 사마 땅에서 징수되는 세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종교 건축물의 건설과 유지에 충당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 전설과 역사적 기록은 (대부분 후기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론타에서 기록되며, 역사적 사건을 재구성하기 위한 데이터와 출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타람 술탄 시대(17세기경)에 만들어진 자바 원주민 신화와 신앙에는 메당 카물란이라는 이름의 반신화 왕국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 왕국은 자바어로 "기원지 메당" 왕국으로 번역됩니다.이 왕국은 데위 스리와 아지 사카 신화에 언급되어 있다.이것은 아마도 "메당"이라고 불리는 고대 왕국의 존재에 대한 모호한 자바 원주민 집단 기억의 잔재일 것이다.

따라서 자바 문명에 대한 현재의 지식은 주로 다음에서 파생됩니다.

  • 고대 건축물, 특히 칸디(사본)의 발굴, 재건 및 조사, 그리고 원노보요 사재기 등의 고대 유물 발견.
  • 가장 일반적인 비문은 왕의 정치적 종교적 행위를 보고하는 사원의 설립과 자금 지원을 언급하거나 그 혈통을 밝히는 비문이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캉갈, 칼라산, 시바그랴, 발리퉁 헌장이다.
  • Bas는 궁궐, 마을, 사원, 배, 시장에서의 생활과 더불어 사람들의 일상 생활을 묘사하는 일련의 사원 벽에서 안도감을 줍니다.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보로부두르와 프람바난 사원에서 발견된 부조물이다.
  • 의 이야기와 그들의 업적, 공적을 언급하는 원주민의 필사본으로, 석각에서 언급된 설명과 어떻게든 연결된다.주목할 만한 예는 카리타 파라히안이다.
  • 주로 중국, 인도 및 아랍 소식통의 외국 외교관, 무역상 및 여행자에 대한 보고서와 연대기.

어원학

프람바난(Prambanan) 사원 경내(京內)는 원래 수백 개의 사원으로 구성되어 살라두(Saladu)에서 발리퉁(Balitung) 시대 사이에 건축 및 증축되었다

마타람은 산스크리트어로 마타람이다.[11]'어머니'[12]를 뜻하는 '마트'에서 따온 '마트부미'[13]와 같은 뜻이다.비문에는 생명, 자연, [14]환경을 상징하는 어머니의 의인화 형태로서 "마하라자의 나라"를 의미하는 문구인 "카아트완 rrā maharaja i bhumi i mahtaram"으로 언급되어 있다.

The name of the Mataram Kingdom was known during the reign of Sanjaya (narapati rāja śrī sañjaya)[15] which states in the Canggal inscription, dated from 654 Śaka or 732 AD, that he ruled in Java island (āsīddvīpavaraṁ yavākhyam).[16]그리고 나서 서기 829년 ś or 또는 907년에 쓰여진 만티야시의 비문에 따르면 그는 다른 호칭(사sasauuuuññññññññ then then then then then마타람 왕국의 이름은 우아탄 티자 [17]비문 802년 또는 880년 경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The inscription data mentions a number of place names as the center of government located in Central Java, including Shivagrha inscription 778 Śaka or 856 AD and Mantyasih inscription 829 Śaka or 907 AD.비문에는 지명과 그 위계, 즉 맘라티푸라와 포피투가 [14][18]적혀 있다.

메당이라는 이름은 중앙자바뿐만 아니라 동자바에 있는 다양한 비문으로부터 생겨났다.이 이름은 메당궁이 마타람 왕국의 영토에 위치해 있음을 나타냅니다."메당"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19]피비속의 나무를 가리키는 단단한 나무 "메당" 나무의 지역 이름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습니다.

메라피 산을 배경으로 한 플라오산 사원.

EastJava의 통치까지 이름을 마타람은 여전히 글씨에, Turyan 851개는 Śaka 또는 929AD(kaḍatwan śrī mahārāja bhūmi mātaram kita pinakahurip niŋ rāt kabaiḥ)[20]마타람의 수도 Tamwlang(나는 tāmwlaŋśrīmahārāja makaḍatwan)[21]후 Paradah 글에 865Śaka 또는 943에서 언급된 위치한다 발견되죠.AD는마타람의 수도의 위치 Watugaluh(śrīmahārāja makaḍatwan 나는 bhūmi mātaram 나는 watugaluḥ)[22]과 Wwahan의 헌사 907Śaka 또는 995년 광고 안에 이동하였다 또한 마타람의 Watugaluh에 새로운 수도, 즉의 위치에 대해서 보여 주고서도 중심, 이 왕국은 여전히 마타람(mātaram riŋ watugaluḥ)[23][24]라고 불린다. 그의 왕의돔은 동자바로 이사했다.그 오랜 기간부터 지금까지의 [1]마타람 왕국의 구조를 알 수 있는 다양한 비문을 통해 다시 알 수 있다.

"마타람"이라는 이름은 원래 8세기에 힌두교-불교 왕국으로 알려졌고 16세기에 이슬람 왕국 또는 마타람 술탄국으로 다시 나타났다.그 결과, 이 왕국의 역사 [25]기록은 이슬람의 마타람과 구별하기 위해 고대 마타람으로 언급된다.

이 역사적인 자바 왕국인 마타람 왕국은 현재 서누사 텐가라 주의 주도인 롬복 섬에 위치한 마타람 도시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후자는 사실 19세기 초에 롬복의 식민지를 만든 발리 카랑가셈 귀족의 분파인 카크라네가라의 왕도였다.실제로 롬복의 마타람 시는 발리인들이 자바 유산의 이름을 따서 정착촌 이름을 짓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자바에 있는 마타람이라는 역사적인 지역에서 이름을 따왔다.

역사

형성과 성장

싼자야왕이 창시한 캔갈 비문(732년).

마타람 왕국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마젤랑 마을 남서쪽에 있는 캉갈 마을의 군웅 우키르 사원 영내에서 발견된 732년 캉갈 비문에 있다.산스크리트어로 쓰인 팔라바 문자로 쌀과 금이 풍성한 야와드위파(자바)라는 고귀한 섬에 위치한 군자라쿤자 지역의 언덕에 링가(시바의 상징)가 세워졌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링가의 설립은 라카이 마타람라투 산자야(마타람의 산자야 왕)의 명령으로 이루어졌다.이 글귀는 야와드위파가 산나왕에 의해 통치되었고, 산나왕은 그의 오랜 통치기간 동안 지혜와 미덕으로 특징지어졌음을 알려준다.산나가 죽은 후, 왕국은 분열되었다.산나하의 아들 산자야가 왕위에 올랐다.그는 그의 왕국 주변 지역을 정복했고, 그의 현명한 통치는 그의 모든 [26][27]: 87 신하들을 위해 그의 땅에 평화와 번영을 축복했다.

10세기 [28]초 닭사왕의 비문에 쓰인 산자야 연대기의 원년인 서기 717년경에 산자야가 권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캉갈의 비문에 따르면 산자야는 남중앙자바에 새로운 왕국을 세웠다.하지만 이는 산자야의 삼촌인 산나 왕이 통치한 초기 정치의 연속인 것으로 보인다.이 초기 정치는 중앙 자바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건축물인 중앙 자바 북부 디엥 고원의 초기 사원 건물과 관련이 있다.마타람 왕국의 전신으로 연결된 초기 왕국은 중앙 자바 북부 해안 어딘가에 위치한 칼링가입니다.

산나와 산자야의 이야기는 주로 파순단의 역사를 기술한 16세기 후반의 후기 책인 카리타 파라호안에도 기술되어 있다.그러나 이 책에서 산자는 조카가 아니라 산나의 아들로 묘사된다.또한 산나는 갈루흐의 왕 푸르바소라에게 패배하여 메라피 으로 후퇴했다고 언급하고 있다.그래서, 그의 아버지의 패배에 대한 복수를 위해, 산자야는 갈루를 공격하고 푸르바소라와 그의 가족을 죽였다.그 후 산자야는 산나의 왕국을 되찾아 서자바, 중앙자바, 동자바, 발리지배했다.그는 또한 말라유족과 켈링족과 싸웠다.비록 이 원고가 낭만적이고 모호하며 시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캔갈 비문이 있는 이야기의 거의 정확한 이름과 주제는 이 원고가 역사적 사건에 기초하거나 영감을 받았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황금시대

마하야나 불교의 여신 타라의 9세기 중앙 자바 금은상

파낭카란 왕으로부터 발리퉁 왕까지 약 150년 동안 지속된 기간은 자바 고전 문명의 정점을 찍었다.이 시기에는 케두 평야와 케우 평야의 스카이라인을 지배하고 있는 웅장한 사원이나 기념물이 다수 세워지면서 자바 예술과 건축이 꽃을 피웠다.이 사원들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세유, 보로부두르, 프람바난 사원이다.샤일렌드라는 열렬한 사원 [27]: 89–90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산자야 왕은 시바교 신자였지만 그의 후계자인 파낭카란은 대승불교 [27]: 89 신자였다.시바교 산자야에서 불교 판앙카란으로의 이러한 신앙의 변화는 학자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중앙 자바에서 정치 지형을 지배한 두 개의 경쟁 왕실이 있었는지, 각각 시바교 힌두교와 마하야나 불교의 후원자인지.또는 최근에 제안된 이론은 샤일렌드라 왕조가 단 한 개의 왕조가 있었고 힌두교나 불교에 대한 왕실의 후원이 바뀌거나 분열되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위대한 건축업자

파낭카란 왕의 후원으로 칼라산 비문칼라산 사원의 건축이 언급되었다.

파낭카란(재위 760–780)은 열성적인 개발자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시행되고 시작된 적어도 5개의 주요 사원 프로젝트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산스크리트어로 프라나가리 문자로 쓰인 칼라산 비문에 따르면 칼라산 사원은 구루상 라자 사일렌드라밤사틸라카(사일렌드라가의 장식 스승)가 파낭카란(산자야의 후계자)을 설득하여 성스러운 여신상을 건립하도록 하여 건립하였다d 샤일렌드라 왕국에서 온 승려들을 위해 비하라(모나스테리)를 건설한다.파낭카란은 또한 칼라사 마을을 상가(불교 수도원 공동체)[29]에게 주었다.이 글귀와 연결된 사원은 타라의 모습을 모신 칼라산 사원과 수도원으로 기능한 것으로 보이는 인근 사리 사원이다.

파낭카란은 또한 현재의 라투 보코와 연결된 아바야기리 비하라의 건설을 담당했다.이 언덕 꼭대기 건물은 사실 종교적인 구조물이 아니었다; 일련의 문, 성벽, 요새화된 벽, 마른 해자, 벽 울타리, 계단, 그리고 건축 기지로 구성되어 있다.이 사이트는 정확한 기능은 알 [30]수 없지만 점령지 또는 정착지의 속성을 표시합니다.이 때문에 이 궁궐이 궁궐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다.처음에는 아바야기리 비하라 비문에 언급된 것처럼 외딴 언덕 꼭대기 불교 사원으로 의도되었을 것입니다.그러나 나중에 요새화된 궁궐이나 성채로 개조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방어 구조물의 [31]잔존을 증명한다.

만주스리그라 사원의 건축은 만주스리그라 비문에 파낭카란 왕의 후원으로 언급되어 다라닌드라 시대에 완성되었다.

파낭카란 왕은 아마도 이 구상에 책임이 있고 792년의 만주스리하 비문에 언급된 대로 웅장한 만주스리하 사원의 건축의 토대를 마련했을 것이다.그러나 왕은 아마도 780년경에 그가 죽은 지 한참 지난 792년에 완공된 이 거대한 사원 단지의 완공을 보지 못했다.총 249개의 건물이 있는 이 거대한 사원 단지는 당대 가장 웅장했고, 아마도 중요한 장엄한 종교의식을 [32]거행하는 공식적인 국가의 사원 역할을 했을 것이다.

위대한 정복자

멘두트 사원의 건축은 샤일렌드라 왕조의 용감한 왕인 인드라 왕(재위 780–800)의 치세에 시작되어 완성되었다.

767년 자바 해군이 트란남, 774년 참파, 787년 [33]참파를 침략했다는 보고가 있다.파낭카란의 후계자는 다라닌드라(재위 780–800) 또는 흔히 인드라 왕으로 알려져 있다.그는 켈루락 비문 (일자 782)에 스리 상그라마 다난자야라는 그의 정식 통치 이름으로 언급되었다.이 글에서 그는 와이라와이라마다나 또는 "용감한 적을 죽인 자"로 칭송되었다.타이 남부 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 리고르 B 비문에서도 같은 인물을 지칭하는 사와리마다위마타나(Sarwwwarimadawimathana)라는 이름이 발견됐습니다.다라닌드라는 해외 해군 원정에 나서 말레이 [27]: 91–92 반도의 리고르에 샤일렌드라의 지배권을 가져온 용감하고 호전적인 성격으로 보인다.

인드라 왕은 전임자의 건축 전통을 이어가는 것 같다.그는 만주스리그라 사원(수우 단지)의 건설을 계속했고, 멘두트 사원 또는 아마도 응웬 사원(Ngawen 사원)과 연결된 베누바나 사원 건축을 담당한 카랑텐가 비문(824년 날짜)에 따르면,그는 또한 보로부두르, 파원사 건립의 구상 및 개시를 담당했을 것이다.

다라닌드라는 스리비자야의 마하라자로 등극한다.샤일렌드라가 수마트라에 기반을 둔 이웃의 스리비자야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은 매우 불확실하고 복잡하다.이전에는 샤일렌드라 가문이 스리비자얀 만다라의 세력권에 속했던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이후 한동안 샤일렌드라의 군주는 스리비자얀 만다라의 수장이 되었다.샤일렌드라가 스리비자야의 통치자가 되는 대가로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는 불분명했다.수마트라의 스리비자야에 대한 다라닌드라의 군사작전이 주도했는가, 아니면 샤일렌드라 가문과 스리비자야의 마하라자 사이의 긴밀한 동맹과 친족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필리핀 루손의 라구나 드 베이 지역에 있는 라구나 동판 비문(약 900 CE).이 비문은 "툰둔"의 "대장 및 사령관"에게 진 빚을 청산하는 권위자 중 하나로 "무당"의 "대장"을 호출한다.

Ligor 비문, Laguna 동판 비문, Pucangan 비문을 바탕으로 메당 왕국의 영향과 지식은 발리, 태국 남부, 필리핀 열도의 왕국, [5][6][7]캄보디아의 크메르까지 미쳤다.851년 아랍 상인인 술라이만(Sulaimaan)은 자바에서 바다를 건넌 후 강에서 수도로 접근하여 자바인 세일렌드라족이 크메르족에게 기습 공격을 가하는 사건을 기록했습니다.젊은 크메르 왕은 후에 마하라자에 의해 처벌되었고, 그 후 왕국은 사일렌드[34]: 35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서기 916년 자바 왕국이 1000척의 중형 선박을 이용해 크메르 제국을 침공했고, 결국 자바인들의 승리로 이어졌다.그 후 크메르 왕의 머리는 [35]: 187–189 자바로 옮겨졌다.

평화주의자 통치자

다라닌드라의 후계자는 발라푸트라데와의 아버지로 나란다 비문(재위 800–819)에 언급된 사마라그라위라(재위 800–819)로, 적(재위 800–819)을 죽인 영웅을 가리키는 양식화된 이름의 샤일렌드라밤사틸라카(사트라 가문의 장식)의 아들이다.다라닌드라처럼 광대한 전쟁을 치르는 전임자와 달리 사마라그라위라는 케두 평야에서 자바의 평화로운 번영을 누리며 보로부두르 프로젝트의 완성에 더 관심이 많은 평화주의자로 보인다.그는 크메르 왕자 자야바르만을 샤일렌드란 통치하에 메콩강 삼각주의 인도푸라 주지사로 임명했다.이 결정은 나중에 자야바르만이 반란을 일으켜 수도를 톤레삽에서 마헨드라파르바타로 내륙으로 더 옮기고 연결을 끊고 802년 캄보디아가 자바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실책으로 판명되었다.사마라그라위라는 다르마세투[27]: 108 딸 타라와 결혼한 자바 왕으로 언급되었다.그는 만타야시 비문에 그의 다른 이름인 라카이 와락으로 언급되었다.

N. J. 크롬과 코데스와 같은 초기 역사학자들은 사마라가와와 사마라퉁가를 같은 [27]: 92 인물로 보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슬라메트 물자나 같은 후대의 역사가들은 마타람 왕국의 5대 왕으로 만타야시 비문에 언급된 사마라퉁가를 라카이 가룽과 동일시한다.사마라퉁가는 사마라그라위라의 후계자였다는 뜻이다.

보로부두르의 거대한 석탑 만다라는 사마라퉁가왕 때인 825년에 완성되었다.

사마라퉁가(재위: 819–838)는 보로부두르의 웅장한 기념물인 거대한 돌 만다라를 완성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사마라가와라처럼 평화로운 대승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 평화주의자와 자애로운 통치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 같다.그의 후계자는 중앙 자바에 있는 영향력 있는 라카이 파타판의 아들인 시바이트 라카이 피카탄과 약혼한 프라모다와르다니 공주였다.마하야나 불교와 시바파 힌두교를 화해시켜 자바에 평화와 샤일렌드란 통치를 확보하려는 정치적 움직임으로 보인다.

시바이스트 라카이 피카탄 (재위 838–850)과 그의 불교 왕비 프라모다와르다니의 통치는 이전 왕인 사마라퉁가 대신 마타람 궁정의 은총을 시바이스트 [27]: 108 힌두교에게 돌려주는 것을 의미했다.이는 마타람의 수도에 있는 거대시바그랴 사원 건물에서 불과 수백 미터 남쪽에 건설된 것에서 잘 드러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카탄 통치 기간 동안의 종교 간 관계는 화해의 정신에서 관용을 조장하는 것으로 보인다.그들의 치세는 서우(만주스리그라) 사원에서 동쪽으로 위치한 플라오산 단지에 적어도 두 개의 퍼와라 사원과 스탑을 건설하고 확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두 개의 주요 사원이 있는 플라오산 사원은 아마도 파낭카란, 사마라그라위라 또는 사마라퉁가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피카탄-프라모다와르다니의 치세에 완성되었을 것이다.

디브이

라투보코는 요새화된 언덕으로 시바그랴 비문에 전투 장소로 언급되었을 이다.

그러나 발라푸트라는 피카탄과 프라모다워다니의 통치에 반대했다.발라푸트라와 프라모다워다니의 관계는 일부 역사학자들에 의해 다르게 해석된다.Bosch와 De Casparis에 따르면, Balaputra는 Samaratungga의 아들이었고, 이것은 그가 Pramodhawardhani의 동생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반면 물자나 같은 후대의 역사학자들은 발라푸트라가 사마라그라위라의 아들이고 사마라퉁가의 동생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그가 프라모다워다니의 [36]삼촌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라푸트라가 중앙자바에서 추방된 것은 피카탄과의 후계 분쟁 때문인지, 아니면 그가 이미 수완나디파(수마트라)에서 통치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어느 쪽이든 발라푸트라는 결국 샤일렌드라 왕조의 수마트라 가문을 통치하고 스리비자야수도 팔렘방에 왕좌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역사학자들은 발라푸트라의 어머니인 사마라가와이라 왕의 왕비 타라가 스리비자야의 공주였기 때문에 발라푸트라가 스리비자야 왕좌의 후계자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스리비자야의 마하라자 발라푸트라는 나중에 [27]: 108 860년 나란다 비문에 선언된 바와 같이 자바 출신의 샤일렌드라 왕조의 정당한 상속자라는 주장을 밝혔다.

마타람왕국의 역사 자료 중 하나인 778년 사카(856년)의 시바그랴 비문.

시바그라 비문(856년)은 피카탄의 통치에 도전하는 전쟁에 대해 언급했지만, 누가 피카탄의 권위에 도전하는 적이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초기 역사학자들은 피카탄에 대항한 것은 발라푸트라데와였다고 주장하지만, 후대의 역사학자들은 발라푸트라가 이미 스리비자야를 지배했을 때 주장되었던 또 다른 적이라고 주장합니다.시바그라 비문에는 전투가 돌담으로 보호되는 언덕 위의 요새에서 일어났다고만 적혀 있는데, 이 언덕은 라투 보코 유적과 동일하다.피카탄과 프라모다와르다니의 장남은 라카이 구룬왕기 댜 살라두였다.결국 반란은 피카탄의 막내 아들 라카이 카유완기라고도 알려진 용맹한 디아 로카팔라에 의해 성공적으로 진압되었다.그의 영웅적인 행동과 용맹함에 대한 보답으로, 국민들과 많은 피카탄의 국가 고문들은 로카팔라를 구룬왕기 대신 황태자로 임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맏형제임에도 불구하고 구룬왕기가 연달아 총애를 잃으면서 학자들 사이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이전에는 라카이 구룬왕기 댜 살라두라는 이름이 여성 캐릭터(공주)를 지칭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구룬왕기가 왕자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

이 반란은 마타람의 수도를 일정 기간 점령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강탈자를 물리친 후, 피카탄은 이 유혈로 마타람의 수도가 불길하다는 것을 알고, 마타람 북서쪽 케두 평야(프로고 강 계곡) 어딘가에 있는 맘라티 또는 암라티로 카라톤(법정)을 옮겼다.

나중에 피카탄은 그의 막내 아들 디아 로카팔라 (재위 850–890)에게 왕위를 물려주기로 결정했다.라카이 피카탄은 은퇴하고 속세를 떠나 상 프라부 자티닌랏이라는 은자가 되었다.이 행사는 또한 프람바난의 주요 사원에서 시바상을 봉헌하는 의식을 거행했다.보카리는 피카탄에 도전한 적이 강력한 시바파의 지주이자 [21]: 159 자바를 통치한 왕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던 지배 왕조의 분파인 라카이 왈라잉 푸 쿰바요니라고 주장한다.

짧은 평화

프람바난 남동쪽 이조 언덕에 있는 10세기 힌두교 사원 이조

피카탄 이후의 마타람 왕들; 로카팔라, 와투후말랑 (재위 890–898) 그리고 발리퉁은 "자바 [27]: 125–127 중부의 불교 샤일렌드라들의 세력이 쇠퇴한 후" 시바이스트 힌두교의 후원자들이다.그들의 통치는 비교적 평화를 누린 것 같다.트리무르티 힌두 신들의 주요 세 개의 프라사다(타워)를 둘러싸고 수백 개의 페르와라(보완) 사원이 들어서면서 웅장한 시바그라 사원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완성됩니다.삼비사리, 바롱, 이조, 케둘란, 킴풀란, 카디소카, 게방, 메락 사원과 같은 힌두 사원이 이 지역에 건설된 것은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일 것이다.특히 바롱 사찰과 이조 사찰은 언덕 위에 세워져 있고 이전의 사찰과는 다른 배치를 하고 있어 흥미롭다.세운사원과 쁘람바난사원이 동심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그러나 바롱 사찰과 이조 사찰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본전은 가장 높은 지대에 있는 경내 뒤쪽에 위치하고 있고, 퍼와라 사찰은 낮은 지대의 본전 앞에 세워져 있어 지형의 불균형에 대응하고 있다.이러한 사원 배치 스타일은 아마도 이전 형태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 동 자바 사원 건축에서도 계속될 것입니다.

피카탄 왕, 로카팔라(라카이 카유완기), 와투후말랑은 맘라티 또는 암라티의 궁정에서 통치했으며, 그들은 "암라티 왕"으로 알려져 있다.마타람에서 프로고 강 계곡을 따라 북쪽으로 위치한 케두 평야(현재의 마젤랑과 테망궁 지역)의 어딘가로 추정되는 맘라티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암라티는 테망궁 섭정 내에 있는 칼로란 마을 케둥로 마을의 와누아 텐가 3세 비문의 위치 근처에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프람바난의 한 부두에서 묘사된 전투 장면.

몇 세대에 걸쳐 부재하다 발리퉁 시대 자바어 비문에 '마타람'이라는 이름이 다시 나타나 수도 이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발리퉁 왕은 그의 수도를 암라티에서 포 피투로 옮겼고 포 피투는 야와푸라로 개명했다.이 수도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아마 게두 평야 내에 있을 것이다.그러나 포피투는 마젤랑시 북마젤랑구 포트로방산 마을 덤포햄릿에 있는 포피투 비문(905) 주변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발리퉁은 여러 개의 비문을 생산적으로 발행했는데, 그 중에는 텔라합 비문(899년 9월 11일), 와투쿠라 비문(902년 7월 27일), 텔랑 비문(904년 1월 11일), 포 비문(905년 7월 17일), 쿠부쿠부 비문(905년 10월 17일), 만티야시(907년 4월 11일), 루크(907일) 등이 있다.

마타람 왕국을 통치하는 왕들의 이름에 대한 우리의 현재 지식은 발리퉁 왕(재위 898-910)이 발행한 마타람 왕의 계보와 통치 순서를 담은 만타야시 비문(907년 날짜)에 힘입은 바가 크다.이 글귀는 '발리퉁 헌장'이라고도 합니다.발리퉁의 칙령의 동기는 역사학자들로부터 다양한 추측을 불러일으켰는데, 마치 발리퉁이 조상들의 혈통을 말하고 그의 통치의 정당성을 갈망하는 것처럼 말이다.그가 왕실과 혈연관계가 있고 공통의 혈통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그래서, 그는 이전 왕의 딸과 결혼했고, 이것은 그를 왕실의 사위이자 후계자로 만들었다.

부브라 사원

와투쿠라 비문(902)은 자바 국가기법에서 라크리안 카누한(총리)의 지위를 언급한 가장 오래된 비문이며, 발리퉁 시대에는 황태자에 해당하는 라크리안 마파티(Rakryan Mapatih)의 직위는 음푸닭사가 가지고 있었다.역사학자들은 닭샤가 이전 왕(와투후말랑)의 아들이고, 궁정은 아마도 닥사의 처남인 발리퉁이 차지했다는 점에서 발리퉁과 그의 후계자 닥샤의 관계는 상당히 문제가 있다.904년 1월 11일자 텔랑 비문은 벵가완 솔로 강둑에 위치한 라카이 웰라르 음푸 수다르사나가 이끄는 파파라후안 항구의 개발을 보여준다.항해 가능한 벵가완 솔로에 항구와 여객선 건널목을 건설함으로써 해상 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법원의 관심은 동쪽으로 이동했다.

쿠부쿠부 비문(905년 10월 17일)에 따르면 쿠부쿠부는 반탄 정복에 대한 그들의 용맹을 인정받아 락리안 후중다이와 락리안 마투하다 마자운탄에게 주어졌다.반탄의 지명은 불분명하며, 현재 자바 서부의 반텐 지방에 있는 10세기 반텐 지랑 유적지와 일치하거나 다른 장소일 수 있다.반면 다른 역사학자들은 반탄이 발리의 대체 명칭일 수도 있다고 추측했다.옛 자바어로 반탄이란 제물을 의미하며, 종종 바치는 것을 의미하는 발리와 교환할 수 있게 사용된다.

니니 하지 락리안 산지와나 스리 카훌루난과 연계된 사지완 불교 사원

907년 4월 11일 만티야시 비문은 발리퉁의 결혼식 동안 평화를 유지하는데 기여한 다섯 명의 하급 파티(관료)에게 수여된 선물을 밝혔다.또한 907년, 루캄 비문에 발리퉁은 루캄 마을에서 징수되는 사마의 세금을 그의 할머니 니니 하지 락리안 산지와나에게 바치는 사원의 건설과 유지에 배분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여기에 언급된 사원은 프람바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사지완 사원으로, 아마도 라카이 가유왕기(로카팔라 왕) 재위 말기에 지어졌고 발리퉁의 치세에 완성되었을 것이다.이 사원은 니니 하지 락리안 산지와나에게 바쳐져 있으며, 프라모다워다니 여왕의 또 다른 이름인 스리 카훌루난과 연결되어 있다.이 절은 아마도 죽은 왕비를 위한 페다르마안(pedharmaan)을 모신 빈소였을 것이다.

발리퉁과 닭사의 경쟁은 아마도 라카이 구룬왕기와 라카이 가유왕기(로카팔라 왕)의 이전 왕위 계승 경쟁의 결과였을 것이다.둘 다 라카이 피카탄의 후손이다.그의 처남 발리퉁의 통치 기간 동안 음푸닭사는 그와 라카이 구룬왕기 사이의 타지 군웅 지역의 분할에 대해 언급한 타지 군웅 비문에 따르면 라카이 히노라는 직책을 맡았다.라카이 구룬왕기는 조카인 닭사와 동맹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역사학자 외차리는 음푸닭샤의 반란으로 발리퉁의 통치가 끝났다고 확신하고 있다.타지군웅 비문(910년)에 따르면 닭사는 여전히 라카이 히노였고, 팀반안 웅칼의 비석(913년)에는 이미 왕으로 즉위했다.왕국은 비교적 평화와 번영을 누렸지만 발리퉁왕 이후 웅장한 사원의 건설은 질과 양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닥샤는 [27]: 127 자바의 중앙과 동부를 지배했다.닭샤왕(재위 910–919)과 그의 후계자 툴로동왕(재위 919–924)도 포 피투를 통치했다.다음 군주 와왕은 수도를 포 피투에서 마타람으로 돌려보냈다.동자바의 말랑 지역에서 발견된 Sanggurah 비문(928년 8월 2일)은 특히 흥미롭다.왜냐하면 Sri Maharaja Rakai Pangkaja Dyah Sri Wi Wawa Sri Wijayalokottungga (왕 와와)가 시마의 지위를 부여한 행위에 대해 언급되었기 때문이다.이것은 와의 통치 기간 동안 왕국이 벵가완 솔로와 브란타스 강을 따라 정착촌(시마 땅)을 건설함으로써 동쪽으로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흑인 노동과 해외 침략

보로부두르호는 자바인들이 가나까지 항해할 때 사용하는 배입니다.

10세기 아랍의 기록인 Ajayeb al-Hind (인도의 마벨스)는 945년부터 946년까지 아마 스리비자야의 말레이인 또는 마타람 왕국의 [38]: 39 자바인 등 와크왁 또는 [37]: 110 와크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아프리카에 침입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그들은 1000척의 배를 타고 탕가니카모잠비크 해안에 도착해 칸발로의 요새를 점령하려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공격 이유는 상아 거북 등 조국과 중국에 적합한 상품과 함께 반투족(아랍인으로는 쩡젠즈, 자바인으로는 징기)의 흑인 노예를 [37]: 110 원했기 때문이다.와하루 4세 비문 (931년)과 가라만 비문 (1053년)[39][40]에 따르면, 마타람 왕국과 에어랑가 시대의 자바 카후리판 왕국 (1000년-1049년)은 오랜 번영을 겪었기 때문에 특히 농작물, 포장을 가져와 항구로 보내는 데 많은 인력이 필요했다.흑인은 옌기(잔지바르), 푸주트(호주), 본단(파푸아)[38]: 73 등에서 수입됐다.나에르센에 따르면, 그들은 무역을 통해 자바에 도착하거나 전쟁 중에 포로로 잡혀 [41]노예가 되었다.

동쪽으로 이동

프라바난 프라사드 타워가 내려다보이는 우뚝 솟은 메라피 화산.메라피 화산 폭발이 마타람 수도를 초토화시켜 동쪽으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29년 무렵, 이샤나 왕조를 세운 음푸 [27]: 128 신독에 의해 왕국의 중심이 중앙 자바에서 동 자바로 옮겨졌다.이 같은 움직임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역사학자들은 자연재해, 전염병, 정치와 권력투쟁, 종교적 또는 경제적 동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능한 원인을 제시했다.

반 베멜렌의 이론에 따르면, 그것은 교수의 지지를 받았다.메라피 화산의 심각한 폭발이 보카리 화산의 [42]이동의 원인일 것이다.역사학자들은 마타람의 와왕 (924–929년) 기간 동안 메라피 화산이 폭발하여 마타람에 있는 왕국의 수도를 초토화시켰다고 주장한다.역사적인 대규모 화산 폭발은 일반적으로 프랄라야 마타람으로 알려져 있다.이 폭발의 증거는 삼비스리, 모란간, 케둘란, 카디소카, 킴풀란 사원과 같은 메라피의 라하르와 화산 잔해 아래에 사실상 묻혀 있던 몇몇 사원에서 볼 수 있다.

삼비사리 사원은 메라피 화산의 화산 잔해 밑에 5미터나 묻혀 있었다.

고고학자 아구스 아리스 무난다르는 이러한 움직임이 종교적 동기에 의한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했다.그는 끊임없이 분출하는 메라피 화산이 왕국을 [42]움직이게 했다고 말한다.고대 자바인들의 믿음에서, 메라피는 고대 마타람 사람들의 마하메루로 여겨졌다고 지적했습니다.힌두교의 가르침에 따르면, 마하메루 봉우리는 우주의 중심, 즉 신들이 사는 신성한 영역을 상징합니다.중앙 자바에 있는 그들의 마하메루가 계속 폭발했기 때문에, 그들은 이동하기로 결정했지만, 여전히 다른 마하메루를 찾고 있었다.동자바는 여전히 마타람 영토의 일부였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중앙 자바 왕국에 동쪽에 또 다른 마하메루가 있다고 알렸을 가능성이 있다.그는 새로운 신성한 산이 마하메루를 [42]닮은 동자바의 페낭궁간 산이었다고 암시한다.

N.J. 크롬이 제안한 또 다른 가설은 사망이 전염병의 발생으로 인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사람들은 새로운 [42]살 곳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반면에 B.Schrieke는 이러한 움직임은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일어났다고 말합니다; 샤일렌드란 왕 시대 동안 활발한 사원 건설 붐은 농민들에게 엄청난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었습니다.백성들은 농사를 짓지 않고 왕에 의해 웅장한 절을 짓도록 강요받으면서 고통에 시달렸다.그들은 왕의 [42]명령을 피해 천천히 동쪽으로 이동했다.

테라스 위에 지어진 바롱 힌두 사원.

권력투쟁도 이 같은 움직임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코데스는 동자바로의 이동은 아마도 불교 샤일렌드[27]: 79, 90 왕조에 대한 대응일 것이라고 주장했다.이 이론은 J.G. de Casparis가 제안한 것과 일맥상통하는데, 이는 수도의 동쪽으로의 이동이 [42]수마트라로부터의 스리비자야의 침략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암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아마도 경제적인 이유로 동기부여가 되었을 것이다.드 카스파리스는 중앙 자바에 있는 왕국의 위치가 동 자바보다 접근하기 어려웠다고 그의 이론을 확장했다.브란타스강 계곡은 동자바의 북쪽 해안과 자바해의 항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으로 군도 동부로 가는 해상 무역로의 통제에 전략적이고, 특히 말루쿠 향신료 무역의 통제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전략적인 장소로 여겨졌다.이는 중앙 자바 북부 해안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된 마타람의 케두 평야와 대조적이다.쌀 농업 왕국에 이상적인 비옥함에도 불구하고, 마타람 평원은 상당히 고립되어 있고, 북쪽 국경은 메라피, 메르바부, 섬빙, 순도로, 디엥, 웅가란 화산의 자연 장벽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내향적인 농업 정책에는 이상적이지만 해상 무역 [42]왕국을 발전시키기에는 불충분합니다.

8세기경 동자바 말랑 근처의 바두트 사원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동쪽으로의 이동은 갑작스러운 일이 아니었다.중앙 자바의 마타람 시대 동안, 왕국은 이미 동쪽으로 확장되었고 동 자바의 브랜타스 강을 따라 정착지를 건설했을 가능성이 높다.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움직였을 가능성이 높다.이러한 움직임의 원인은 또한 자연, 경제 또는 정치의 여러 요소에서 비롯되었다.19세기 초 동자바의 말랑에서 발견된 982년의 민토석(Minto Stone)으로 알려진 상구라 비문은 자바 왕 스리 마하라자 라카이 팡카자 스리와와 스리 위자얄로코퉁가(당시 [43]와자와왕)의 이름을 나타낸다.이는 와왕 시대에도 동자바의 말랑 지역이 이미 마타람 왕국의 영토에 속했음을 시사한다.비문에는 동자바로 [44]이어지는 권력의 이동에 관한 요소들이 담겨 있다.

정치적 중심이 중앙에서 동자바로 옮겨간 진짜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이 사건은 한 시대의 종말을 의미했다.사실, 발리퉁왕 시대부터 사원 건축 활동은 규모, 질, 양 면에서 감소했지만, 마타람왕국의 동부 자바 시대에는 이전 중앙 자바 사일렌드라 시대에 견줄 만한 사원 건축물의 뚜렷한 흔적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왕국은 더 이상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착수할 의도와 자원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동쪽 나라를 세우다

신덕왕이 동자바에서 권력을 공고히 할 때 내린 안죽라당 비문(937).

투리아어 비문에 따르면, 신덕은 수도를 탐블랑으로 옮겼다가 나중에 다시 와투갈루로 옮겼다.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이름들을 동자바의 현대 좀방 근처의 탐벨랑과 메가루 지역에서 확인했습니다.신덕이 새로운 왕조를 세웠지만 그의 딸 마타람의 이름을 딴 이시야나 왕조는 마타람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 산자야왕으로부터 이어진 자바 왕가의 긴 혈통의 연속이라고 볼 수 있다.신덕(新德)은 재위 중 사마(四馬) 땅과 관련된 비문을 많이 만들었는데, 그 중에서도 링가수탄(929), 굴룽걸룽(929), 쿵랑(929), 즈루즈루(930), 와하루(931), 섬부트(931), 위그(9 () 등이 있다이 비문의 대부분은 사마나 스와탄트라 땅의 설립을 언급하고 있다.이는 마을들의 수집이 사마땅으로 선언됨에 따라 신덕이 동자바에 대한 그의 권위를 공고히 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신덕의 왕국의 일부로써 마을들이 젖은 쌀 재배를 발전시키고 세금을 부과받고 충성을 맹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안죽라당은 안죽라당 마을에 사마 지위를 부여하고 말류의 침략군을 격퇴한 공로를 인정받아 절을 세웠다는 점에서 흥미롭다.여기에 언급된 사원은 아마도 은간죽 [45]리젠시의 칸디레호 마을에 있는 벽돌로 만들어진 칸디 로르일 것입니다.말레이 침략군에 대한 언급은 수마트란 말레이 왕국의 옛 이름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아마도 스리비자야를 의미할 것이다.이는 동자바 마타람 왕국과 스리비자야의 관계가 적대적인 상태로 심각하게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발리로의 확장

발리 고아 가자 동굴의 보살 만주슈리는 자바 마타람 사일렌드란 예술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신덕은 그의 딸 이시야[27]: 129 퉁가위자야에 의해 계승되었다.게단간 비문에 따르면, 이시야나 여왕은 발리 출신의 귀족인 스리 로카팔라와 결혼했다.그녀는 나중에 그녀의 아들 마쿠타왕사 와르하나에 의해 계승되었다.푸캉간 비문에 따르면, 마쿠타왕사 와다나 왕에게는 마헨드라다타라는 딸이 있고, 마쿠타왕사 와다나는 그의 아들 다르마왕사 뚜에 의해 990년대에 교체되었다.

후세의 왕 다르마왕사는 수도를 현대 마디운 근처의 와탄 지역으로 다시 옮겼다.다르마왕사의 여동생인 마헨드라다타는 나중에 발리 왕 우다야나 워마데와와 약혼하게 된다.이 보고서는 발리가 어떻게든 마타람 왕국의 만다라 세력권에 흡수되었음을 시사했다. 아마도 속국일 것이다.문학 발전에서, 다르마왕사 왕은 또한 996년에 마하바라타를 고대 자바어로 번역할 것을 명령했다.

접다

10세기 후반, 수마트란 스리비자야와 자바 마타람 사이의 경쟁은 더욱 [27]: 130 적대적이 되었다.반감은 아마 자바에 있는 사일렌드라 땅을 되찾으려는 스리비자야의 노력, 발라푸트라와 그의 자손들(스리비자야 마하라하스의 새 왕조)이 사일렌드라 왕조에 속했기 때문이거나, 지역 권력으로서의 스리비자야의 지배에 도전하려는 마타람의 열망 때문일 것이다.앞서 937년 안죽라당 비문에는 스리비자야의 공격을 의미하는 말레이의 침투 공격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스리비자야와의 전쟁

보로부두르에 묘사된 고대 자바 선박.990년 다르마왕사는 수마트라의 스리비자야에 해군을 공격했고, 두 왕국 사이의 적대감은 마타람 왕국을 붕괴시켰다.

990년 다르마왕사는 팔렘방을 점령하기 위해 스리비자야에[27]: 130 해군을 침공했다.자바인의 스리비자야 침공 소식은 송나라의 중국 기록에 기록되어 있다.988년, 스리비자야의 사신이 광저우의 중국 궁정에 보내졌다.약 2년 동안 중국에 체류한 후, 사신은 자신의 나라가 사포(자바)의 공격을 받아 귀국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992년, 스리비자야와의 계속적인 전쟁에 관여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스리바에서 온 사절은 중국 법정에 도착했다.999년 스리비자야 사절은 귀국하기 위해 중국에서 참파로 항해했지만, 그는 그의 나라의 상태에 대한 소식을 듣지 못했다.그 후 스리비자얀 특사는 중국으로 돌아가 중국 황제에게 자바 [46]: 229 침략자들로부터 중국을 보호해 달라고 호소했다.

다르마왕사의 침략으로 스리비자야의 마하라자 스리 쿠다마니 워마데와는 [27]: 141 중국으로부터 보호를 구하게 되었다.Srivijayan Maharaja, Sri Cudamani Warmadewa는 능숙한 외교 기술을 가진 유능하고 예리한 통치자였다.자바 침공이 몰고 온 위기 속에서 그는 중국 황제를 달래 중국의 정치적 지지를 확보했다.1003년 스리 쿠다마니 와마데와 왕이 파견한 삼포기의 사신이 중국 천황의 장수를 기원하는 불교 사원이 세워졌다는 사실을 알려 그를 기리는 이 사원의 이름과 종을 천황에게 알려달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기뻐한 중국 황제는 이 사원을 청천완수(ten天-水, 즉 하늘의 축복을 받은 만년)라고 이름 지었고, 즉시 종을 던져 스리비자야로 보내져 [46]: 6 이 사원에 설치되었다.

16년간의 전쟁 끝에 1006년 스리비자야는 마타람의 침략자들을 격퇴하고 팔렘방을 해방시켰다.이 공격은 마타람 왕국이 얼마나 위험한지 스리비자얀 마하라자의 눈을 뜨게 했고, 그는 그의 새로운 자바 적수를 파괴할 계획을 세웠다.

마하프라야

마타람왕국 말기의 10세기 보살을 그린 청동불상

이에 대한 보복으로 1016-1017년 스리비자야 군대는 하지 우라와리(왕)가 반란을 일으키도록 도왔다.그는 라람에서 침략을 감행했고, 마타람 궁전을 공격하고 파괴했으며, 다르마왕사와 [27]: 130 왕실의 대부분을 죽였다.우라와리는 카랑코바르 [21]: 201 남쪽의 오늘날의 반유마스 지역에 위치한 속국이었다.Lwaram은 중앙 Java Blora의 Cepu 지역에 있는 오늘날의 Ngloram 마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이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공격은 다르마왕사 딸의 결혼식 중에 일어났고, 법정은 준비되지 않은 채 충격을 받았다.

이 재앙은 자바어 설명에 마타람 [27]: 144 왕국의 죽음으로 기록되었다.다르마왕사가 죽고 수도가 함락되면서 스리비자야의 군사적 압력으로 왕국은 붕괴되고 혼란에 빠졌다.마타람의 최고 통치자의 부재와 함께, 지방의 군벌들과 자바 중부와 동부의 정착촌들이 반란을 일으켜 중앙 마타람 정부로부터 이탈하여 지역 왕조를 섬기는 그들만의 정치를 형성했다.습격과 강도는 그 나라를 황폐화시키고 있었다.왕국이 멸망한 지 몇 년 후에 더 많은 불안과 폭력이 있었다.

발리우다야나 워마데와 왕과 살해된 다르마왕사의 조카인 마헨드라다타 [27]: 129 여왕의 아들인 에어랑가는 가까스로 파괴를 피해 중부 자바에 있는 바나기리 숲으로 망명했다.그는 이후 대중의 지지를 얻어 마타람 왕국의 잔재를 재통합하고 1019년 카후리판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왕국을 재건했다.카후리판 왕국은 마타람 왕국의 후계국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때부터 수도는 동자바의 수라바야, 시다르호,[27]: 144–147 파수루안 근처인 브란타스 강 하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다이너스티

쌍왕조설

플라오산 쌍둥이 사원

보쉬는 그의 저서 "Srivijaya, de Sailendravamsa en de Sanjayavamsa"(1952)에서 산자야 왕조가 산자야 왕조의 시조이며, 중앙 자바를 지배한 왕조는 불교 샤일렌드라 왕조와 시바주의 산자야 [47]왕조 두 개였다.비문에는 산자야가 샤이즘의 열렬한 추종자였다고 적혀 있다.8세기 초 건국 이후 928년까지 산자야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초대 왕은 산자야로 현대의 족자카르타와 프람바난 인근 마타람 지역을 통치하며 캉갈 비문에 기록된 기록을 남겼다.그러나 8세기 중반 무렵 중부 자바에 샤일렌드라 왕조가 등장해 산자야의 지배에 도전했다.

지배적인 역사적 해석은 샤일렌드라 왕조가 중앙 자바의 산자야 왕조 옆에 공존했고, 그 기간의 대부분은 평화적인 협력으로 특징지어졌다는 것이다.샤일렌드라는 스리비자야와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중앙 자바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하여 산자야를 포함한 라카이(자바 현지 영주)의 지배자가 되었고, 마타람의 산자야 왕은 그들의 신하가 되었다.샤일렌드라의 지배로 인해 왕국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샤일렌드라는 이 시기에 불교 기념물인 보로부두르를 건설했다.샤일렌드라의 군주였던 사마라퉁가는 그의 딸 프라모다워다니와 피카탄의 결혼을 주선함으로써 산자야와의 동맹을 공고히 하면서 자바에서 샤일렌드라의 지위를 확보하려고 했다.

9세기 중반 무렵, 산자야와 샤일렌드라 사이의 관계는 악화되었다.852년, 산자야의 통치자 피카탄은 샤일렌드라 군주 사마라퉁가와 공주 타라의 자손인 발라푸트라를 물리쳤다.이로 인해 자바에서 샤일렌드라의 존재는 끝이 났습니다; 발라푸트라는 수마트라의 스리비자얀 수도로 후퇴했고, 그곳에서 그는 최고의 [48]통치자가 되었습니다.피카탄의 승리는 피카탄의 후계자인 라카이 카유완기가 만든 856년의 시바그랴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단일왕조설

보로부두르 부조로 묘사된 자바 궁정 풍경

하지만, 보쉬와 드 카스파리스가 제안한 이 이중 샤일렌드라-산자야 왕조 이론은 후기에 몇몇 인도네시아 역사학자들에 의해 반대되었다.푸에르바자라카에 의해 제안된 다른 이론은 마타람이라 불리는 왕국과 지배 왕조가 샤일렌드라 왕조라는 하나의 왕국과 하나의 왕조가 존재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이론은 소조메르토 비문에 대한 보에차리 해석과 카리타 파라한안 필사본에 대한 푸에르바자라카 연구에서 뒷받침된다.포에르바자라카는 산자야와 그의 모든 자손은 처음에는 시바이스트 힌두교였던 사일렌드라 가에 속한다고 주장한다.그러나 라자 산카라 비문에 따르면 (현재 행방불명)산자야의 아들인 파낭카란은 대승불교로 개종했다.그리고 그 개종 때문에 마타람을 통치했던 이후의 일련의 사일렌드라 왕들도 마하야나 불교 신자가 되어 사마라퉁가의 [49]통치 말기까지 자바에서 왕실의 후원을 받았다.시바교 힌두교도들은 마타람 왕국이 끝날 때까지 지속된 피카탄의 통치와 함께 왕실의 지지를 되찾았다.피카탄과 발리퉁 왕의 통치 기간 동안, Prambanan의 왕실 힌두교 트리무르티 사원이 요기아카르타 근처에 건설되고 확장되었습니다.

정부와 경제

예술과 문화에 대한 세련된 미적 취향을 지닌 복잡한 계층화 고대 자바 사회는 마타람 시대의 여러 사원에 새겨진 서사적 부조들의 다양한 장면을 통해 증명된다.

자본의

라투보코 언덕에서 바라본 프람바난 프라사다는 마타람 수도의 위치였다.

이 기간 동안 유럽, 중동 또는 중국에서 정치, 행정, 종교 및 경제 활동의 도시 중심지로 알려진 도시의 공통 개념은 고대 자바에서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도시로서의 적절한 도시 개발은 13세기 말 마자파히트트로울란에서 이루어졌다.

수도 자체는 왕궁, 산스크리트어로 푸라라고 불리는 벽으로 둘러싸인 복합 건물, 또는 자바어로 카라톤 또는 카다트완이라고 불리는 궁궐을 지칭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곳은 왕과 그의 가족이 거주하며 그의 궁궐을 통치하는 곳이다.궁궐 자체는 벽으로 둘러싸인 펜도포식 누각의 집합체이다.이 정자와 홀은 유기 나무와 초가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세기에 걸쳐 썩어 돌담, 문, 계단, 바닥만 남았다.이런 유형의 세속적인 건물의 예는 라투 보코 복합 건물에서 찾을 수 있다.이 시기의 자바 도시 중심부는 중국이나 인도의 도시와 같이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를 인정하지 않았고, 성벽으로 둘러싸인, 잘 보호되고 보호되는 유일한 장소는 왕의 궁전과 사원 건물이었다.나가라 또는 수도 자체는 푸라(왕의 궁전)를 둘러싼 인구 밀도가 높은 마을들의 집합체였다.

사원이 서 있는 위치를 가리키는 종교 활동 센터는 행정이나 경제 중심지를 의미하지는 않았다.비문에 따르면, 토지 수가 사마(四馬)로 지정되었고 쌀 세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찰 건립과 유지에 충당하였다.그러나 마탐의 수도는 삼비사리, 칼라산, 사리, 세운, 룸붕, 프람바난, 플라오산, 사지완, 반유니보, 라투보코, 바롱, 이조마이트사원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다른 전문가들은 프람바난 지역이 실제로 왕국의 종교적 중심이었지만 행정 중심지는 아니라고 주장했고,[50] 문틸란의 다른 장소들은 왕국의 가능한 정치적 중심지로 제안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마타람 왕국의 궁정은 마타람에 위치했고, 아마도 문틸란이나 현대의 요기아카르타 근처의 프람바난 평원에 위치했을 것이다.그러나 라카이 피카탄의 치세에 궁정은 맘라티로 옮겨졌다.이후 발리퉁의 치세에 궁정은 다시 포피투로 옮겨갔다.마타람과 달리,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맘라티와 포 피투가 현대 마젤랑이나 테망궁의 섭정 지역 근처인 케두 평야에 위치했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마타람과 포 피투의 가능한 위치를 정확히 알아낼 수는 없었다.후자의 전문가는 북부 마젤랑 리젠시의 프로고 강 상류 계곡에 있는 세캉 지역이 비교적 높은 사원 밀도를 가진 왕국의 [50]제2의 정치적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후기 동자바 시대에는 탐블랑과 와투갈루(좀방 근처), 그리고 와탄(마디운 근처)과 같은 다른 중심지가 언급되었다.

행정부.

8세기 보로부두르의 부조화는 궁중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자바 정치의 행정 수준은 오직 두 단계로 구성되었습니다. 중앙 정부 수준은 왕의 궁정을 중심으로 하고, 와누아 또는 마을 수준은 왕국의 영역 내에 흩어져 있는 정착촌의 형태를 취했습니다.왕이 살았던 궁전은 카다트완 또는 카라톤으로 언급되었고, 궁정은 왕국 행정의 중심지였다.와누아 또는 마을은 넓은 논 한가운데에 주택과 과수원으로 가득 찬 "섬"의 모양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마을 배치는 현대의 자바 데사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플라오산 사원의 보살상.

왕은 최고의 권력과 권위가 있는 최고의 통치자 혹은 차크라바르틴으로 여겨졌다.그는 왕국을 뜻하는 나가라 또는 카다트완을 그의 푸리에서 통치했다.왕의 아래에는 왕의 법과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국가 관리들이 있다.그들은 Rakai 또는 Samget이라는 타이틀을 사용하고 있다.라카이족와탁이라는 행정단위를 지배했는데 와탁은 여러 마을이나 와누아의 집합체로부터 형성되었다.라카이는 많은 마을을 지배하고 있는 지역 지주나 토지 신사라고 할 수 있다.라카인들은 왕의 명령을 라마족이나 카라만 또는 와탁이라고 불리는 자신들의 영토를 지배하는 마을 지도자들에게 전한다.발리퉁 시대 10세기에 들어서면서 왕국이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일련의 국가 관리들이 [51]위계질서를 추가하였다.

마타람 시대의 비문은 대부분 시마땅의 설립과 관련된 것이다.이는 이 기간 동안 이 지역에 자바 농촌 마을이 형성되고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숲을 열거나 라당사와로 바꾸거나 둘 중 하나입니다.시마는 쌀 잉여가 과세 가능한 경작 가능한 젖은 쌀 농경지이며, 왕실 칙령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된다.이들 섬나라의 대부분은 지역 라카이 또는 그들의 영토에 있는 삼겟에 의해 지배된다.왕으로부터 명망 있는 시마 지위를 획득함으로써, 와탁 지역 단위는 비시마 정착지에 비해 더 높은 위신을 가졌지만, 이것은 또한 그들의 땅에 대한 왕국의 지배권을 인정하고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이 땅을 통치하는 라카이인들은 세금을 징수할 수 있는 왕실의 허가를 받았지만, 이러한 세금 중 일부는 정기적으로 왕의 궁정(수도 중앙 정부)에 납부해야 한다.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비문 중 일부는 이 에서 모아진 쌀 수확 잉여금이 종교 건물을 짓거나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는 대가로 이 비과세 땅이 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이는 전통적으로 이 땅을 지배하던 라카이족이 세금을 징수하거나 최소한 그들의 세입을 줄일 권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왕과 왕실은 행정 및 군사 방어 기능 외에도 예술과 종교적 경건함의 후원자로도 알려져 있다.왕과 왕족 그리고 왕국의 관리들은 관개 공사나 절 건축과 같은 공공 사업을 시작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왕실 예술과 종교적 후원은 사찰 건축을 후원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그 왕국은 여러 개의 사원과 기념물을 남겼다.가장 눈에 띄는 것은 보로부두르, 쁘람바난, 세운, 그리고 플라오산 사원 단지입니다.

경제.

고대 자바에서 쌀 농사를 묘사한 8세기 보로부두르의 부조.

서민들은 대부분 농업, 특히 쌀 농사꾼으로서 생계를 유지했지만, 일부는 사냥꾼, 상인, 장인, 무기 제조업자, 선원, 군인, 무용수, 음악가, 음식 또는 음료수 판매업자와 같은 다른 직업을 추구했을 수도 있다.9세기 자바의 풍부한 일상 묘사는 많은 사원 부조물에서 볼 수 있다.쌀 재배는 왕국 경제의 기반이 되었고, 왕국 전역의 마을들은 연간 쌀 수확량에 의존하여 조정에 세금을 납부했다.중앙 자바의 비옥한 화산 토양과 집중적인 습윤 쌀 재배(사와)를 이용하여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는 주 공공 프로젝트에 노동력과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일부 마을과 토지는 비문으로 된 칙령을 통해 하사받은 사마땅이라는 지위를 부여받았다.시마 땅의 쌀 수확량은 보통 특정 종교 건물의 유지에 할당되었다.

자바 통화 시스템의 초기 증거 - 9세기 경 자바 골드마 또는 타힐 잉곳

경제활동은 또한 수도의 단일 시장에만 집중된 것이 아니었다.참여 마을들 사이에서 파사란이라고 불리는 자바 제도에서 시장이 일주일 안에 매일 순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이 시스템은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영구적인 시장으로 바뀌기 전에 여전히 자바 시골 마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시장에서의 경제 거래 관행은 대부분 물물교환과 화폐사용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자바 경제는 부분적으로 수익화되었다.

이 시기의 사원, 특히 보로부두르프람바난에서 나온 부조물은 농업 이외의 직업과 직업을 묘사하고 있다.군인, 공무원, 궁중종, 마사지 치료사, 여행 음악가와 무용단, 음식 및 음료 판매자, 물류 배달원, 상인, 심지어 깡패, 롭과 같은에르는 9세기 자바의 일상생활에서 묘사된다.이러한 직업들은 화폐를 사용하는 경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1990년에 발견된 황금 공예품인 Wonoboyo 사재기에서는 옥수수 씨앗과 비슷한 모양의 금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9세기 자바 경제가 부분적으로 화폐화되었음을 시사한다.문자 "ta"가 새겨진 금화의 표면에는 고대 자바어 화폐 단위인 "tahil" 또는 "tahil"의 짧은 형태가 새겨져 있습니다.

문화와 사회

사회의

수행원과 하인을 동반한 귀족, 보로부두르의 부조.
외딴 숲에서 명상을 하고 있는 불교 은둔자 보로부두르 부조

고대 자바인들의 복잡하고 계층화된 사회와 그들의 사회 질서는 이 시기의 부조물에 대한 풍부한 묘사와 비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그 왕국은 복잡한 사회를 발전시켰다; 그것은 그들 사회의 이질성, 사회 계층의 불평등, 그리고 그들의 [3]왕국에서 국가 행정 기관의 형성을 특징으로 했다.고대 자바인들은 힌두교 카투르 바르나 또는 카스트 사회 계층을 인정했다; 브라흐마나, 크샤트리야, 바이샤, 그리고 슈드라.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자바의 사회 계층 체계는 덜 [52]엄격하기 때문에 인도와는 약간 다르다.

피고는 고대 자바 사회를 지배 계급, 종교 권위자, 평민, 노예의 [53]4가지 계급으로 나눕니다.de Casparis가 제안하는 반면, 고대 자바 사회는 카스트 차이를 인정했지만, 그들의 규칙과 시행은 인도의 카스트 제도에 비해 덜 엄격했다.De Casparis는 이들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눕니다.

  1. 왕국 인구의 대다수를 형성한 평민들.
  2. 국왕은 귀족, 지주, 왕의 궁정과 그의 왕조에 의존하는 엘리트 지배계급의 일원을 포함한 왕족과 함께.흔히 궁궐/궁정족이라고 불릴 수 있다.
  3. 종교계 인사들과 종교 당국들.성직자 계급; 브라만과 승려들은 사원 건물과 [54]수도원에 고용된 하급 하인들을 포함합니다.

사원의 부조(특히 보로부두르 부조)에 묘사된 사람들이 착용한 옷과 보석의 스타일과 종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고대 자바 사회는 대략 다음과 [55]같이 나눌 수 있다.

  1. 귀족들, 왕과 왕실들, 지주들, 귀족들, 그리고 지배 엘리트들과 관련된 사람들.이들은 발목부터 허리띠, 허리띠, 허리띠를 두르고 허리띠를 두르거나 왼쪽 어깨부터 엉덩이까지 몸에 두르는 고급스러운 옷을 입었다.자망, 왕관, 귀걸이, 켈랏바우, 목걸이, 우파비타, 팔찌, 반지, 발목 팔찌 등 복잡한 황금 장신구로 꾸며졌다.신들과 신들은 또한 그들의 머리에 프라바만달라 (신성한 후광)가 둘러져 있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귀족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2. 의 신하나 하급 귀족들은 왕의 신하, 신하 또는 왕실 수행자들이다.그들은 다양다양(女 royal大 (), 호위병 또는 국가 관료의 직책을 맡았다.그들은 엉덩이에 긴 천을 두르고, 귀걸이, 목걸이, 팔찌와 같은 장신구와 장신구를 착용했지만, 왕과 귀족들이 착용한 것만큼 완벽하고 호화롭지는 않았다.
  3. 승려, 브라만, 승려, 또는 사원이나 수도원에 고용된 종교인.그들은 보통 신헬이라고 불리는 예복이나 망토를 입었다.승려들은 대개 대머리 남성들이 오른쪽 어깨가 열린 옷을 입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고, 브라만은 보통 터번을 쓴 수염이 난 남성들로 묘사되었다.
  4. 평민들, 대다수의 사람들은 대부분 마을 주민들로 묘사된다.그들은 엉덩이 둘레에 간단한 옷을 입었고, 때때로 짧은 로인백을 만들기 위해 아랫부분을 위로 묶었다.보통 그들은 보석이나 장신구를 착용하지 않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목걸이나 팔찌, 허리띠로 묶은 밧줄 등 간단한 장신구를 착용했다.

종교

두 사원 안에 있는 비로자나, 관세음보살, 바지라파니 불상

힌두교와 불교는 왕국의 통치자와 사람들이 신봉하는 두 종교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민들의 종교적 관습은 여전히 토착 샤머니즘과 토착 선다르믹 신앙과 혼합되어 있었을 것이다.설립 초기부터 마타람 왕들은 산자야 왕의 캉갈 비문에 언급된 군웅우키르 힌두 사원에 링가를 건설하는 등 시바주의 힌두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판앙카란의 통치 기간 동안 대승불교는 꽃을 피우기 시작했고 궁중의 환심을 사기 시작했다.칼라산, 사리, 세우, 멘두트, 파원, 그리고 웅장한 보로부두르 사원은 중앙 자바 지역의 불교 부흥을 증언합니다.판앙카란 시대부터 사마퉁가 시대까지 불교에 대한 궁중의 후원이었다.피카탄의 통치 기간 동안, 시바주의 힌두교는 그랜드 시바그라의 건설로 상징되는, 궁정의 환심을 되찾기 시작했다.

프람바난의 본실에 있는 시바상.

왕국은 사제 계급인 브라만 계급의 종교적 권위를 인정했다.불교는 또한 사리와 플라오산 같은 비하라에 살고 궁중의 후원을 받는 불교 승려들로 구성되어 있는 상하의 불교계를 통해서도 잘 표현되었다.이들 힌두교와 불교 종교 당국은 사원에서 국가 및 지역의 종교 의식과 의식을 행했다.크샤트리야 왕실의 지배층도 정신주의에 빠져들었다.어떤 군주는 정신주의와 종교에 몰두하는 것처럼 보인다.예를 들어 판앙카란 왕은 대승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고 말년에는 은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사마라가와와 사마라퉁가 같은 다른 왕들도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자애로운 지도자가 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라카이 피카탄도 노년에 세상을 버리고 상 프라부 자티닝랏이라는 이름의 리시 은자가 되었다.

파낭카란 왕의 통치 기간부터 발리퉁 왕의 통치 기간 (8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초반) 사이에 왕국에 열렬한 사원 건축이 있었다.이것은 아마도 종교적 열정, 왕국의 막대한 부와 자원 또는 사회 정치적인 이유 중 하나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을 것이다.무노즈 등 역사학자들은 이 열렬한 사원 건설 계획이 실제로 라카이 지방의 지주들을 통제하고 [56]왕에게 반항하는 것을 막기 위한 종교적 정치적 수단이었다고 주장한다.이 기간 동안 각 지역의 와탁은 그들 자신의 왕조를 육성하는 라카이 지주들에 의해 통치된다.칸디 종교 건물의 건설과 유지에 자금을 대기 위해 라카인의 시마 땅을 지정함으로써, 마하라자는 라카인이 거액의 세금을 징수할 수 있는 능력을 박탈하고, 이는 마하라자의 권위에 도전하기 위해 일어날 수 있는 몇몇 군대의 자금을 마련하는 데 잠재적으로 악용될 수 있다.라카이는 왕의 뜻에 따르거나 마지못해 복종할 수 있는데, 종교 건축을 거부하는 것은 그들의 명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을 왕의 적으로뿐만 아니라 신이나 부처의 적으로도 던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술과 건축

원노보요 사재기는 마타람 왕국의 엄청난 부와 예술적 성취를 보여준다.

사원의 벽에 새겨진 부조를 조사하는 것 외에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고대 자바 사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Wonoboyo는 황금 유물들을 보관하고 있으며, 마타람 왕국의 미적 성취뿐만 아니라 부, 예술, 문화를 증명합니다.이 공예품들은 고대 자바 금세공장의 정교한 예술작품과 기술적 숙달도를 보여준다.이 사재기는 발리퉁 [57]왕의 치세로 추정되었다.그 보물은 귀족이나 [58]왕가의 것으로 밝혀졌다.

남부 중앙 자바 마타람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은 힌두교 시바이스트 구웅 우키르 사원으로, 산자야 왕이 지은 캉갈 비문과 연결되어 있다.거의 50년 후, 가장 오래된 불교 사원이 프라만 지역에 세워졌고, 칼라산 불교 사원은 칼라산 비문 (778 CE)과 파낭카란 왕과 연결되었다.이때부터 왕국은 사리, 만주스리그라, 룸붕, 응원, 멘두트, 파원 등의 절 건설 프로젝트를 보았고, 825년경에 완공된 거대한 석조 만다라보로부두르의 건설에서 절정을 이뤘다.

9세기 힌두교의 웅장한 사원인 프람바난의 족자카르타는 마타람 왕국의 주요 힌두교 기념물이었다.

요기아카르타 근처에 있는 기념비적인 힌두교 사원인 프람바난은 처음에는 피카탄 왕(838–850) 기간 동안 지어졌고 로카팔라(850–890)에서 발리퉁(899–91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고대 마타람 예술과 건축의 좋은 예이다.시바 공에게 바쳐진 웅장한 사원 건물과 사원 근처의 강(오팍 강)을 서쪽으로 직진하는 공공 프로젝트도 시바그랴 비문에 언급되었다.이 거대한 사원 단지는 힌두교의 판테온에서 가장 높은 세 신인 트리무르티에게 바쳐졌다.그것은 인도네시아에 세워진 힌두교 사원 중 가장 큰 것으로, 왕국의 막대한 부와 문화적 성취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마타람 왕국 시대의 다른 힌두 사원은 삼비사리, 게방, 바롱, 이조, 그리고 모랑간입니다.비록 시바교 신자가 환심을 샀지만, 불교는 여전히 왕실의 후원을 받고 있다.켈루락 비문에 따르면 만주리에 바쳐진 세우 사원은 처음에는 파낭카란이 지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후에 사마퉁가의 딸인 불교 공주 프라모다워다니와 결혼한 라카이 피카탄의 통치 기간 동안 확장되어 완성되었다.그들의 신하들은 대부분 그들의 오래된 종교를 유지했다; 시바교 신자들과 불교 신자들은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플라오산, 반유니보, 사지완의 절은 아마도 발라푸트라에 대한 피카탄-프라모다와르다니의 후계 분쟁 이후 종교적 화해의 정신으로 건립되었다.

문학.

라마야나에서 찍은 장면을 묘사한 프람바난의 베이스 릴리프.인도 서사시를 자바어 카카윈 라마야나로 번역한 것은 마타람 왕국에서 일어났다.

9세기부터 10세기 중반까지, 마타람 왕국은 주로 힌두교-불교 경전의 번역과 힌두교-불교 사상의 고대 자바어 텍스트 및 시각적 기초 부조를 통한 예술, 문화 및 문학의 개화를 목격했다.를 들어 민두사원 계단의 양옆과 소지완 사원에 새겨진 부조(ief-)는 유명한 자타카불교의 설화, 부처의 전생에 대한 이야기를 사람과 동물 양식으로 서술하고 있다.특히 보로부두르 유적지는 불교 경전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다.카르마비방가(Karmavibanga), 랄리타비스타라(Lalitavistara), 마노하라(Jataka), 자타카말라(Jatakamala), 아바다나(Avadana), 간다유하(Sodawuha) 등 다양하다.

힌두교의 서사시 라마야나의 서사시, 또한 프람바난 사원의 시바와 브라흐마 사원 벽에 새겨진 반면, 바가바타 푸라나에서 가져온 크리슈나의 이야기는 비슈누 사원에 새겨졌다.이 기간 동안 자바어 렌더링인 카카윈 라마야나가 쓰여졌다.요게스바라 라마야나라고도 불리는 이 카카윈 라마야나는 중앙 자바 마타람 궁정에서 일했던 서기 9세기 요게스바라 경의 서기가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자바어 산문이 혼합된 마니프라발라 형식의 2774개의 이 있다.라마야나의 가장 영향력 있는 버전은 바티라바나바담으로, 일반적으로 바티카비야로 알려져 있다.자바 라마야나는 원래의 힌두교와 확연히 다르다.

지역 강국과의 관계

마타람 왕국은 수마트라의 지역 패권자 스리비자야와 유난히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일찍이 자바 왕 샤일렌드란 왕들이 스리비자야의 마하라자와 동맹을 맺고 두 왕실이 합병된 것으로 보이는 등 친밀하고 친밀한 관계였다.그러나 이후 다르마왕사가 발사한 팔렘방 점령 시도가 실패했고, 스리비자야의 치밀한 보복이 뒤따르면서 관계는 전쟁으로 악화되었다.동쪽 경계에 있는 마타람 왕국은 이웃한 발리를 정복하고 섬을 세력권으로 끌어들인 것으로 보인다.

왼쪽: 자바의 보로부두르(825년)와 오른쪽: 캄보디아의 바콩(881년)의 비교, 두 사원 모두 계단식 피라미드의 기본 디자인과 유사한 콜벨링 방법을 가지고 있어 고대 자바와 캄보디아 사이에 기술적, 문화적 영향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초기 앙코르 시대의 크메르 미술과 건축도 자바 미술과 건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캄보디아바콩 사원이 보로부두르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얻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캄부자와 자바 사이에는 선교가 아니더라도 여행자들의 교류가 있었을 것이다.캄보디아에 아이디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아치형 관문을 포함한 기술적, 건축적 세부사항을 콜벨링 [59]방식으로 전달한다.

칼라디 비문(909년경)에는 캄파(참파), 만()과 함께 크메르 제국크메르인(Kmir)이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무역을 위해 자주 온 외국인으로 언급돼 있다.이 비문은 동남아시아 본토와 [60]자바 왕국 사이에 해상 무역망이 구축되었음을 시사한다.

메당 왕국의 이름은 필리핀 라구나의 룸반에서 발견된 822년(기원전 900년)의 필리핀 톤도 라구나 동판 비문에 언급되었다.산스크리트어로부터의 수많은 외래어와 고대 자바어고대 타갈로그어 사이의 기원이 애매한 몇몇 비말레이어 요소가 포함된 카위 문자로 쓰여진 비문이 발견된 것은 마타람 왕국의 사람들 또는 관리들이 국제 무역과 외국 무역에 나섰음을 시사한다.필리핀과 같이 멀리 떨어진 지역의 티온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고대 왕국 사이의 연관성이 [61]존재했다.

레거시

마타람 왕국에서 유래한 힌두교-불교 사원인 보로부두르의 국가 베삭 의식은 인도네시아 불교힌두교의 순례와 의식에 특히 중요하다.

고대 인도네시아 문명의 황금기, 더 정확히는 자바 문명의 황금기로 기념되는 마타람 왕국은 인도네시아 문화역사영원한 흔적과 유산을 남겼습니다.특히 웅장하고 웅장한 보로부두르와 프람바난은 현지 자바인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인 [62]모두에게 국가적 자부심의 원천이 되었습니다.캄보디아의 크메르인들이 앙코리아의 유산에 자부심을 갖는 과 같은 패션일 것이다.이 기념물들은 오늘날 이 나라의 주요 명소가 되었다; 보로부두르는 인도네시아에서 [63]가장 많이 방문하는 관광 명소이다.

인도네시아는 개발 및 사원 건설에 대한 열정을 보인 적이 없습니다.이러한 열정은, 이 시대를 제외하고, 이러한 기술적 숙달, 노동 및 자원 관리, 미학 및 예술적 정교함, 그리고 건축적 성취를 증명합니다.파낭카란에서 발리퉁까지의 8세기 후반부터 9세기 후반까지의 기간 동안 인상적인 종교적 기념물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그들 중에는 Manjusrha, Bhumisambarbudhara, Shivagrha가 있습니다.

자바네시안 라마야나 발레단은 프람바난 야외무대에서 공연한다.마타람 왕국 시대는 자바 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마타람 시대는 자바 문명의 고전적인 시대로 칭송됩니다.이 기간 동안 자바 문화, 예술 및 건축은 꽃을 피우고 발전했으며, 그들의 토착 요소들을 다아믹 영향과 통합하고 혼합했습니다.문화, 예술, 건축에 힌두교-불교적 기준과 요소를 통합하고, 산스크리트어화를 통해 자바어는 그들만의 힌두교-불교적 자바어 스타일을 형성하고 기발한 문명을 발전시켰다.이 자바 스타일의 Sailendran 예술은, 그 대가로 지역 예술, 특히 수마트라와 남태국 말레이 반도의 스리비자얀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

힌두교 또는 불교 경전이 인도에서 자바 문화로 유입된 것도 이 시기였다.예를 들어, 불교 서사시인 자타카스랄리타비스타라, 힌두교의 서사시인 라마야나마하바라타의 이야기가 자바어 버전으로 채택되었다.이러한 이야기와 서사시는 자바 문화와 자바 춤과 와양 예술과 같은 공연 예술을 더욱 형성할 것입니다.

통치자 목록

마타람 [27]: 88–89, 91, 92, 108, 126–130 [64][65]왕국의 지배자.

통치 기간 킹/퀸 비문 및 이벤트
716–746 라카이 마타람 섬 라투 사냐야
나라파티 라자 사냐
(산자야)
캉갈(732년), 만타야시(907년), 타지군웅(910년)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자신을 차크라바르틴이라고 선언하고 산나가 통치했던 이전 정부로부터 계속된 것이다.

746–784 【르】마하라하야야파냐파냐카라야 사그라하나냐야
(디아 판카파나)
칼라산(778년), 켈루락(782년), 아바야기리(792년), 만티아시(907년), 와누아텐가(908년) 등의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타라바남, 압하야기리위하라, 만주스리그라를 포함한 프라만 평야에 마하야나 사원 건립.

784–803 【르】 마하라하 라카이 파나라반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03–827 마하라자 라카이 와락디아 마나라
(디아 마나라)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27–829 댜에굴라
(디아 굴라)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29–847 【르】마하라하 라카이 가루】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47–885 【르】마하라하 라카이 피카탄 디아【살라두 사】프라부 자티니【랏】
(디아 살라두)
시바그르하(856), 만티아시(907), 와누아 텐가(908)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맘라티푸라에 궁전을 짓고 시바와 마하야나, 즉 시바그라플라오산을 건설합니다.

885–885 【르】 마하라하 레이크 카유와ṅi Dya lo 로카팔라【르】사자노츠와투가
(디아 로카팔라)
시바그르하(856년), 살링징안(880년), 우아탄티자(880년), 응아반(882년), 만타야시(907년), 와누아텐가(908년)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85–885 【르】마하라야 【타그와스】【르】자야키르티워드다나
(Dyah Tagwas)
어항가트(888)와 와누아 텐가(908)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그의 통치 기간에는 와누아 텐가 비문이 8개월 정도로 매우 짧았다고 한다.

885–887 마하라자 레이크 파눔와안 디아 드웬드라
(디아 드웬드라)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서기 885년 8월 25일 왕위에 올랐고, 그 후 궁궐에서 쫓겨났다.

887–887 마하라자 레이크 구룬와이 디아바드라
(디아 바드라)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87년 1월 18일 왕위에 올랐으나, 887년 2월 14일 궁궐에서 도망쳤다.

894–898 【르】마하라자 레이크 우【칼후말라】【디아】자】
(다이야짱)
Wanua Tengah(908)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898–908 【르】마하라자 레이크 와투쿠라 【발리투】【르】다모다야 마하삼부
(디아발리퉁)
아얌차(900), 타지(901), 와투쿠라(902), 텔랑(904), 쿠부(905), 포(905), 루캄(907), 만티야시(907), 와누아텐가(908), 칼라디(909) 등의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908–919 마하라자 레이크 히노 다이야 닥소타마 바후바 랩라티파카야 마호투가위자야
(다이야 닥소타마)
팡구물란(902년), 럼위가(905년), 팔레판간(906년), 투랑간(910년), 티항(914년)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919–924 【르】마하라하 라카이 라야【디아】틀로둥【르】사자나타나 산나타누라가 우투가데와점
(Dyah Tlodhong)
수카부미(804)와 린타칸(919)의 비문에 기재되어 있다.
924–929 【르】마하라하 라카이 파카야 【와】와【르】위자얄로카나모투가
(디아와)
수카부미(927년), 상구란(928년), 울라칸(928년)의 비문에 기재되어 있다.
이샤나 왕조를 중심으로 한 동방의 권력 이양
929–947 【르】마하라자 레이크 히노 다이노 시옥 다모투 가데와위자야
(디아 신덕)
린타칸(919), 투리안(929), 링가수탄(929), 굴룽(929), 쥐루(930), 안죽라당(937), 우란둥간(944) 등의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왕국의 중심을 자바 동부로 옮겼습니다.전 정권에서 계승하여 이하나 왕조를 세우다.

947–985 【르】【나투】가위자야
(이샤나퉁가)
게단안(950년)과 부단안(1041년)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985–990 【마쿠자와】【와르다나】
(마쿠타왕사)
부강안 비문(1041년)에 언급되어 있다.
990–1016 아난타위크라모투가데와
(다마왕사)
부강안 비문(1041년)에 언급되어 있다.

루람의 하지 우라와리의 반란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참고 문헌

  • 수크모노, R, Dr., Pengantar Sejarah Kebudayan Indonesia 2, 2ed.Penerbit Kanisius, Yogyakarta, 1973, 1988년 제5쇄판.
  • 트리아스탄티, 아니퍼다간간 인터내셔널 파다 마사 자와 쿠노 Tinjauan Terhadap 데이터 Tertulis Abad X-XII.문화학부 논문.가자마다 대학교 요기아카르타, 2007년

인용문

  1. ^ a b Boechari (2012). “Kerajaan Matarām Sebagaimana Terbayang dari Data Prasasti”. Melacak Sejarah Kuno Indonesia Lewat Prasasti, Kumpulan Tulisan Boechari. Jakarta: Kepustakaan Populer Gramedia. pp. 183–196. ISBN 978-979-91-0520-2.
  2. ^ "Mataram Define Mātaram at Sanskrit Dictionary". sanskritdictionary.org. Retrieved 26 July 2020.
  3. ^ a b Rahardjo, Supratikno (2002). Peradaban Jawa, Dinamika Pranata Politik, Agama, dan Ekonomi Jawa Kuno (in Indonesian). Komuntas Bambu, Jakarta. p. 35. ISBN 979-96201-1-2.
  4. ^ Media, Kompas Cyber (18 February 2012). "Kisah Mataram di Poros Kedu-Prambanan - Kompas.com". KOMPAS.com (in Indonesian). Retrieved 8 September 2018.
  5. ^ a b 라구나 동판 비문
  6. ^ a b 리고르 비문
  7. ^ a b Coedés, George (1968).월터 F.벨라, ED동남아시아의 인도화 국가. 트랜스.수잔 브라운 카윙.하와이 대학 출판부ISBN 978-0-8248-0368-1.
  8. ^ 브라운(2003), 페이지 23 :
  9. ^ Thomas Stamford Raffles (1817). The History of Java (1978 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80347-7.
  10. ^ Antoon, Postma.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Loyola Heights, Quezon City, the Philippines: Philippine Studie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 186. Retrieved 24 June 2014.
  11. ^ "Sanskrit Dictionary". sanskritdictionary.org. Retrieved 26 July 2020.
  12. ^ "Wisdom Library". wisdomlib.org/. Retrieved 26 July 2020.
  13. ^ "Wiktionary". wiktionary.org. Retrieved 26 July 2020.
  14. ^ a b Rahardjo, Supratikno (2002). Peradaban Jawa: Dari Mataram Kuno sampai Majapahit Akhir (in Indonesian). Jakarta: Komunitas Bambu. p. 148. ISBN 979-3731-90-7.
  15. ^ Poerbatjaraka (1951). Riwajat Indonesia 1. Jakarta: Jajasan Pembangunan Djakarta.
  16. ^ Zakharov, Anton O. (8 November 2012), "Epigraphy, Political History and Collective Action in Ancient Java", Connecting Empires and States Chapter 7: 82{{citation}}: CS1 유지보수: 날짜 및 연도(링크)
  17. ^ Soekarto, M.M.; Suhadi, M. (1986). Berita Penelitian Arkeologi Laporan Penelitian Epigrafi Jawa Tengah No. 37. Jakarta: Pusat Penelitian Arkeologi Nasional.
  18. ^ Tjahjono, Baskoro Daru (2013), "Syailendrawangsa: The Ruler of Ancient Mataram", Balai Arkeologi Medan: 190
  19. ^ "Medang". KBBI.
  20. ^ Poesponegoro, Marwati Djoened; Notosusanto, Nugroho. (2008). Sejarah Nasional Indonesia II: Zaman Kuno. Jakarta: Balai Pustaka.
  21. ^ a b c Marwati Djoened Poesponegoro; Nugroho Notosusanto (2008). Sejarah Nasional Indonesia: Zaman Kuno (in Indonesian). Balai Pustaka. ISBN 978-9794074084. OCLC 318053182.
  22. ^ Oud-Javaansche Oorkonde, nagelaten transcripties van wijlen Dr. J.L.A. Brandes, uitgegeven door N.J. Krom. VBG, 60. 1913.
  23. ^ Kartakusuma, R.; Suhadi, M. (1985). Berita Penelitian Arkeologi Laporan Penelitian Epigrafi Jawa Timur No. 47. Jakarta: Pusat Penelitian Arkeologi Nasional.
  24. ^ Boechari (1985). Prasasti Koleksi Museum Nasional, volume 1. Jakarta: Proyek Pengembangan Museum Nasional.
  25. ^ Adji, Krisna Bayu; Achmad, Sri Wintala (2014). Sejarah raja-raja Jawa : dari Mataram Kuno hingga Mataram Islam. Yogyakarta: Araska Publisher.
  26. ^ Drs. R. Soekmono.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2nd ed (1973, 5th reprint edition in 1988 ed.). Yogyakarta: Penerbit Kanisius. p. 40.
  2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Cœdès, George (1968).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03681.
  28. ^ Marwati Djoened Poesponegoro; Nugroho Notosusanto (2008). Sejarah Nasional Indonesia: Zaman kuno (in Indonesian). Balai Pustaka. p. 131. ISBN 9789794074084. Retrieved 10 June 2014.
  29. ^ Soetarno, Drs. R. (2002). "Aneka Candi Kuno di Indonesia" (Ancient Temples in Indonesia) (second ed.). Dahara Prize. Semarang. p. 41. ISBN 979-501-098-0.
  30. ^ Didier Millet (August 2003). John Miksic (ed.). Indonesian Heritage Series: Ancient History. Singapore: Archipelago Press. p. 74. ISBN 981-3018-26-7.
  31. ^ Soetarno, Drs. R. (2002). "Aneka Candi Kuno di Indonesia" (Ancient Temples in Indonesia), second edition (in Indonesian). Dahara Prize, Semarang. p. 67. ISBN 979-501-098-0.
  32. ^ Gunawan Kartapranata; Septa Inigopatria; Emille Junior (20 April 2015), "Candi Sewu Mandala Suci Manjusrigrha", Harian Kompas via Youtube, retrieved 8 September 2018[죽은 유튜브 링크]
  33. ^ Maspero, G. (2002). The Champa Kingdom. Bangkok: White Lotus Co., Ltd. p. 48,166,50. ISBN 9747534991.
  34. ^ Rooney, Dawn (16 April 2011). Angkor, Cambodia's Wondrous Khmer Temples. www.bookdepository.com. Hong Kong: Odyssey Publications. ISBN 978-9622178021. Retrieved 21 January 2019.
  35. ^ Munoz, Paul Michel (2006).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Malay Peninsula. Singapore: Editions Didier Miller.
  36. ^ Muljana, Slamet (2006). Sriwijaya (in Indonesian). Yogyakarta: LKiS. p. 21. ISBN 979-8451-62-7.
  37. ^ a b Kumar, Ann(2012).Geoff Wade(편집), Anthony Reid, 동남아시아 과거 연구(싱가포르: 싱가포르: 팜과 소나무에 대한 지배: 초기 인도네시아 해양 지역)의 'Dominion Over Palm and Pine: Early Indonesia's Maritar Reach'입니다.동남아시아 연구소), 101~122.
  38. ^ a b Nugroho, Irawan Djoko (2011). Majapahit Peradaban Maritim. Suluh Nuswantara Bakti. ISBN 9786029346008.
  39. ^ Nastiti(2003), Ani Triastanti, 2007, 페이지 39.
  40. ^ Nastiti(2003), Ani Triastanti, 2007, 페이지 34.
  41. ^ 카르티카닝시(1992)페이지 42, Ani Triastanti(2007), 페이지 34.
  42. ^ a b c d e f g Handewi Soegiharto (13 June 2006). "Merapi and the demise of the Mataram kingdom". The Jakarta Post. Retrieved 31 August 2015.
  43. ^ Brandes, J.L.A. (1913). "Oud-Javaansche Oorkonden. Nagelaten Transscripties". Verhandelingen van Het Bataviaasch Genootschap van Kunsten en Wetenschappen. 60: 12–.
  44. ^ de Longh, R.C. (1977).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Part 3. Brill. p. 55.
  45. ^ "Prasasti Anjukladang". Museum Anjuk Ladang (in Indonesian). 13 February 2016. Retrieved 21 May 2018.
  46. ^ a b Hermann Kulke; K Kesavapany; Vijay Sakhuja, eds. (2009).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to Southeast Asia, Volume 1 of Nalanda-Sriwijaya serie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ISBN 9789812309372.
  47. ^ 보쉬 박사, "Srivijaya, de Sailendravamsa en de Sanjayavamsa", 1952.
  48. ^ cf. De Casparis, 1956; Hall, 1985:111
  49. ^ 푸에르바자라카, 1958년: 254-264
  50. ^ a b Degroot, Véronique (2009). Candi, Space and Landscape: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rient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Central Javanese Temple Remains. Leiden: Sidestone Press, Issue 38 of Mededelingen van het Rijksmuseum voor Volkenkunde. p. 85. ISBN 978-9088900396.
  51. ^ Rahardjo, Supratikno (2002). Peradaban Jawa, Dinamika Pranata Politik, Agama, dan Ekonomi Jawa Kuno (in Indonesian). Komuntas Bambu, Jakarta. p. 111. ISBN 979-96201-1-2.
  52. ^ Inda Citraninda Noerhadi (July 2012). Busana Jawa Kuna (in Indonesian). Jakarta: Komunitas Bambu. pp. 49–50. ISBN 978-602-9402-16-2.
  53. ^ 피고, 1958년: 195
  54. ^ de Casparis, 1954년: 56
  55. ^ Inda Citraninda Noerhadi (July 2012). Busana Jawa Kuna (in Indonesian). Jakarta: Komunitas Bambu. pp. 55–56. ISBN 978-602-9402-16-2.
  56. ^ Munoz, Paul Michel (2006).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Singapore: Editions Didier Millet. ISBN 981-4155-67-5.
  57. ^ "Warisan Saragi Diah Bunga". Majalah Tempo. 3 November 1990. Retrieved 21 July 2010.
  58. ^ 자카르타 국립박물관의 '인도네시아 금' 보물 grafico-qld.com 2010년 7월 접속
  59. ^ David G. Marr; Anthony Crothers Milner (1986). Southeast Asia in the 9th to 14th Centurie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Singapore. p. 244. ISBN 9971-988-39-9. Retrieved 5 June 2014.
  60. ^ Fujita Kayoko; Shiro Momoki; Anthony Reid, eds. (2013). Offshore Asia: Maritime Interactions in Eastern Asia Before Steamships, volume 18 from Nalanda-Sriwijaya serie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 97. ISBN 978-9814311779.
  61. ^ Antoon, Postma.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Loyola Heights, Quezon City, the Philippines: Philippine Studie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 200. Retrieved 24 June 2014.
  62. ^ ̣"The Extraordinary Cultural Heritage of Central Java".
  63. ^ Mark Elliott ... (November 2003). Indonesia. Melbourne: Lonely Planet Publications Pty Ltd. pp. 211–215. ISBN 1-74059-154-2.
  64. ^ Muljana, Slamet (2006). Sriwijaya (in Indonesian). Yogyakarta: LKiS. pp. 243–244. ISBN 979-8451-62-7.
  65. ^ Kusen (1994), "Raja-raja Mataram Kuna dari Sanjaya sampai Balitung, Sebuah Rekonstruksi berdasarkan Prasasti Wanua Tengah III", Berkala Arkeologi,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