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링고이
Melingoi멜링고이족 또는 밀링고이족은 중세 그리스 남부의 펠로폰네소스에 정착한 슬라브 부족이다.7세기 초, 몇몇 집단이 펠로폰네소스까지 도달하면서, 비잔틴 제국의 다뉴브 [1]강 변방 수비가 무너진 후 슬라브 부족들이 발칸 전역에 정착했다.스클라베니족은 종종 작은 집단(즉, 가족과 씨족)으로 정착했고 그리스 본토에서 인구학적 영향은 약하고 [2]확산되었다.이들 중 멜링고이족과 에제리타이족이라는 후대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멜링고이족은 타이게토스 산의 서쪽 경사면에 정착했다.멜링고이(Melingoi)라는 이름의 유래와 어원은 알려지지 않았다.[3]
역사
에제리타이처럼, 멜링고이족은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겐네토스(재위 945–959)에 의해 쓰여진 국가 기법에 관한 설명서인 De Administando imperio에서 처음 언급된다.황제는 그의 시대에 그들이 60개의 금 노미스마타를 바쳤지만,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재위 920–945)의 통치 기간 동안 스트래티고스 크리니테스 아로트라스에 의해 반란을 일으켜 패배한 후, 그들은 600개의 노미스마타를 [4]지불해야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비잔틴의 통치하에서, 멜링고이족은 자치적인 존재를 유지했지만, 기독교를 받아들였고 언어와 [5]문화에서 헬레니즘화 되었다.
13-14세기 프랑크 통치 기간 동안, 그들은 아카이아 공국의 프랑크 영주들과 모레아 전제국의 비잔틴 그리스인들에 의해 병사로 고용되었다.예를 들어, 모레아 연대기에 따르면, 빌하르두앵의 윌리엄 2세 왕자 (재위 1246–1278)는 [4]군 복무를 제외한 모든 의무에서 "멜링고족의 위대한 드롱고[a]" 면제를 수여했다.멜링고이족은 1330년대에 라코니아의 교회에 붙어있는 많은 설립자의 비문에 여전히 증명되어 있다.그들 중 한 명인 콘스탄틴 스패네스는 유명한 스패네즈 가문 출신으로 "멜링고이족의 드롱고족의 조우시오스"라고 불리며, 독립된 공동체로서 계속 존재함을 암시한다.N. N. 니콜루디스는 중세 후기 킨스터나 또는 기세나(라틴어 시스테나, "cistern")의 테마를 마니 [4][6]반도 북서부의 멜링고이 지역과 동일시한다.멜링고이족의 엘리트들은 부유했고 비잔틴과 프랑크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평범한 목가적 산골짜기는 더 보수적이고 외딴 곳으로 남아있었다.그들의 슬라브어는 여행자 라스카리스 카나노스가 그들의 혀가 웬드족 혀와 비슷하다고 주장했던 15세기까지 여전히 사용되었다.오늘날까지 많은 슬라브어 플래카네임이 보존되어 있다.[7]
메모들
^a: 드롱고스는 원래 대대 규모의 군사부대를 뜻하는 후기 로마/비잔티어 용어였지만, 12세기부터는 zygos("산맥 지대")와 동일시되어 그리스 대륙의 다양한 산악지역과 민병대(옛 클레이수라 [8]참조)에 적용되었다.
레퍼런스
인용문
원천
- Kazhdan, Alexander, ed. (1991).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4652-6.
- Nicoloudis, N. (2003). "The 'Theme of Kinsterna'". In Dendrinos, Charalambos; Harris, Jonathan; Harvalia-Crook, Eirene; et al. (eds.). Porphyrogenita – Essays on the History and the Literature of Byzantium and the Latin East in honour of Julian Chrysostomides. Aldershot and Burlington: Ashgate Publishing Limited. pp. 85–89. ISBN 978-0-7546-3696-0.
- Trombley, Frank R. (1993). "Byzantine "Dark Age" Cities". In John S. Langdon; et al. (eds.). ΤΟ ΕΛΛΗΝΙΚΟΝ: Studies in Honor of Speros Vryonis, Jr: Vol. 1: Hellenic Antiquity and Byzantium. New Rochelle, NY: Artistide D. Caratzas. pp. 429–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