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드리스
Mildrith세인트 밀드리스 | |
---|---|
![]() | |
토네 민스터의 아바스 | |
태어난 | 알 수 없음, C.T. |
죽은 | 알 수 없음, c.730 민스터인타넷 |
다음에서 존경됨 |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성찬회 |
주요 사당 | 민스터인타넷 캔터베리 성 아우구스티누스 애비 |
잔치 | 7월 13일 |
특성 | 공주의 왕관, 아베스의 크로지어, 뒷면 |
세인트 밀드리스, 또한 밀드리쓰, 밀드리쓰, 밀드레드, (구 영어: Mild::) (C. 660년생, 732년 이후 사망)는 켄트주 미네르인타네에 있는 수도원의 7~8세기 앵글로색슨 가정주부였다. 그녀는 죽은 후 성인으로 선언되었고, 후에 그녀의 유해는 캔터베리로 옮겨졌다.
삶과 가족
밀드리스는 마고사네테의 메레왈 왕(Mercia)의 딸로, 현재 머시아의 하위 왕국인 히어퍼드셔와 비슷한 지역이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돔네 에페(때로는 세인트 에르멘부르가라고도 불리며,[1] 그녀 자신은 켄트의 æ텔베르트의 증손녀로, 소위 켄티쉬 로얄 레전드에 출연하기도 했다.
무크 웬록과 밀기스의 누이 밀버가 역시 성인으로 여겨졌으며, 밀드리스는 대가족과 함께 '밀드리스 전설'[2]로도 알려진 켄티시 왕실 전설에 등장한다. 11세기에 고셀린은 비타 밀드레타인 밀드리스의 해기술을 썼다.[3] 또 다른 작품인 1516년의 노바 레전다 앙글리는 그녀의 삶에 대해 폭넓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밀드리스의 외척은 가울의 메로빙 왕족 통치자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밀드리스는 명문 메로빙 왕족 수도원 셸레스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1] 그녀는 어머니가 세워 놓은 '민스터인 타넷'의 수도원에 들어가 694년경 그곳에 예식하게 되었다. 밀람을 포함한 파스데칼레에는 밀드리스에 대한 많은 헌신이 존재하므로 가울과의 유대가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 밀드리스는 732년 이후 얼마 후 타네에 있는 민스터인에서 사망하여 성모 마리아 수도원에 묻혔다.[3]
유물유적
밀드리스의 후계자 아베스, 에이드버그(Minster-in-Thanet의 에드부르가, 생 보니파이스 특파원)는, 또한 타넷의 민스터에 새로운 애비 교회를 세우고, 성도 베드로와 바울에게 바치고, 그 곳에 밀드리스의 유골을 748년까지 번역했다.[3] 수도원 안에 있는 사당은 밀드리스가 많은 사랑을 받는 지역 수호성인이 되면서 지역 순례의 명소가 되었다.[4]
타넷에 있는 민스터의 마지막 아바스는 레오프루나였는데, 그는 1011년 데인스에게 붙잡혔다. 사원은 버려졌고 교회는 교구 교회로 격하되었다.[5] 밀드리스의 유골은 지역 내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030년 캔터베리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으로 번역되어 5월 18일에 기념하는 행사였다.[6][1] 캔터베리에 있는 성 밀드레드의 교회는 이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7]
그녀의 유물 중 일부는 11세기에 네덜란드 데브엔터의 한 교회에 보내졌다. 1881년 성탄절. 밀드레드는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복권되었다.[8] 1882년 타넷의 민스터에 있는 베네딕트 수도원의 반란이 있은 후, 수녀들은 타넷에게 그들의 귀환을 허가한 위트레흐트 대주교에게 탄원했다.[9] 1937년 민스터 사원은 베네딕토 수도원 수녀들이 사들였고, 1953년에는 성당의 유물이었다. 밀드레드는 그곳에 끌려왔다.[8]
가계도
7세기 켄트 왕가의 이 부분의 가계도는 후기 고대 영어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에이드볼드는 서기 616년에 왕이 되었고, 서기 640년에 에오르칸트베르흐트에 의해 계승되었다(아마도 밀드리스의 조부인 동생 에오르메네레드와 공동 통치했을 것이다. 심전버트는 664년에 왕위에 올랐고 서기 673년에 죽었다.[10]
밀드리스의 가족 | ||||||||||||||||||||||||||||||||||||||||||||||||||||||||||||||||||||||||||||||||||||||||||||||||||||||||||||||||||||||||||||||||||||||||||||||||||||||||||||||||||||||||||||||||||||||||||||||||||||||||||||||||||||||||||||||||||||||||||||||||||||||||||||||||||||||||||||||||||||||||||||||||||||||||||||||||||||||||||||||||||||||||||||||||||||||||||||||||||||||||||||||
---|---|---|---|---|---|---|---|---|---|---|---|---|---|---|---|---|---|---|---|---|---|---|---|---|---|---|---|---|---|---|---|---|---|---|---|---|---|---|---|---|---|---|---|---|---|---|---|---|---|---|---|---|---|---|---|---|---|---|---|---|---|---|---|---|---|---|---|---|---|---|---|---|---|---|---|---|---|---|---|---|---|---|---|---|---|---|---|---|---|---|---|---|---|---|---|---|---|---|---|---|---|---|---|---|---|---|---|---|---|---|---|---|---|---|---|---|---|---|---|---|---|---|---|---|---|---|---|---|---|---|---|---|---|---|---|---|---|---|---|---|---|---|---|---|---|---|---|---|---|---|---|---|---|---|---|---|---|---|---|---|---|---|---|---|---|---|---|---|---|---|---|---|---|---|---|---|---|---|---|---|---|---|---|---|---|---|---|---|---|---|---|---|---|---|---|---|---|---|---|---|---|---|---|---|---|---|---|---|---|---|---|---|---|---|---|---|---|---|---|---|---|---|---|---|---|---|---|---|---|---|---|---|---|---|---|---|---|---|---|---|---|---|---|---|---|---|---|---|---|---|---|---|---|---|---|---|---|---|---|---|---|---|---|---|---|---|---|---|---|---|---|---|---|---|---|---|---|---|---|---|---|---|---|---|---|---|---|---|---|---|---|---|---|---|---|---|---|---|---|---|---|---|---|---|---|---|---|---|---|---|---|---|---|---|---|---|---|---|---|---|---|---|---|---|---|---|---|---|---|---|---|---|---|---|---|---|---|---|---|---|---|---|---|---|---|---|---|---|---|---|---|---|---|---|---|---|---|---|---|---|---|---|---|---|---|---|
|
참조
- ^ a b c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원, 성서, A&C 블랙, 1921년 런던
- ^ 홀리스 1998, 페이지 42.
- ^ a b c 롤라손(1982) 페이지 16
- ^ 아마존닷컴은 2014년 10월 12일에 접속했다.
- ^ 롤라손(1982) 페이지 53
- ^ 롤라손(1982) 페이지 36
- ^ www.stpeters-stmildreds.org.uk St. 밀드레드 처치 웹사이트.
- ^ a b 민스터 사원 연대기 표 민스터 사원의 베네딕틴 수녀들 2014년 10월 11일 액세스
- ^ 1903년 세인트 밀드레드와 킨스포크
- ^ 가계도는 롤라손, 1982, 페이지 45에서 왔다.
문학
- 브룩스, 베다: 세인트 밀드레드의 세계, C. 660–730. 영국 교회의 황금시대인 배스 1996년에 앵글로색슨 수녀에 대한 연구 ISBN1-898663-08-4.
- 롤라손, 데이비드 W: 밀드리스의 전설이지 중세 초기의 영국의 하지그래피에 관한 연구. 레스터 1982, ISBN 0-7185-1201-4
원천
- Love, R. C. Michael Lapidge 등의 "Mildrith, St" 영국의 블랙웰 백과사전. 옥스퍼드: 블랙웰, 1999. ISBN 0-631-22492-0
- Rollason, D. W., The Mildrith Legend: a study in early medieval hagiography in England (series "Studies in the Early History of Britain",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82. (This includes the full Latin text of the 13th century Bodley 285 Text and the Vita Mildrethae of Goscelin of Canterbury.)
- 725년에서 974년 사이에 만들어진 세인트 밀드레스의 세 가지 앵글로색슨 생활 소개 및 주요 본문: þ아 할간(Kentish Royal Legendar); 칼리굴라 '성 밀드레스의 삶'(번역 포함); 라베스 궁전 문자야
- O.S.B, "성 밀드레드와 그녀의 킨스폴크", 베네딕트 훈장 성모 마리아 성도, 가톨릭 진리학회, 1903년 런던,
- 노바 레전다 앙글리 (1516년 처음 출판) 이 에드 1901.) De Santa Mildreda의 엔트리는 Vol에 있다. II 페이지 193–197
외부 링크
- 영국 앵글로색슨 영국 프로소포그래피에서 밀드리스 1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