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S
SOSSOS is a Morse code distress signal ( ▄ ▄ ▄ ▄▄▄ ▄▄▄ ▄▄▄ ▄ ▄ ▄ ), used internationally, originally established for maritime use.공식 표기법에서 SOS는 "SOS"의 개별 문자에 대한 모스 부호 등가가 [1]문자 사이에 공백이 없이 3개의 점/3개의 점/3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끊기지 않은 시퀀스로 전송됨을 나타내기 위해 오버스코어 라인으로 작성됩니다.국제 모스 부호에서는 세 개의 점이 문자 "S"를 만들고 세 개의 점이 문자 "O"를 만들기 때문에 "SOS"는 점과 대시의 순서를 기억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습니다. (IWB, VZE, 3B, V7이 동등한 순서를 이루지만 전통적으로 SOS가 가장 기억하기 쉽습니다.)
SOS는 1906년 국제 전파 전신 협약에 의해 처음으로 합의되었을 때, 단지 독특한 모스 부호열일 뿐이었고, 처음에는 약어가 아니었습니다.이후 대중적인 용법에서는 "Save Our Souls", "Save Our Ship"[2]과 같은 기억력을 강조하는 문구들과 연관 지어졌습니다.게다가, 긴급 상황에서의 높은 인지도의 사용으로 인해, "SOS"라는 문구는 비공식적으로 위기나 조치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법으로 들어갔습니다.

SOS는 1905년 4월 1일에 발효된 독일 정부의 해상 전파 규칙에서 비롯되었습니다.1908년 7월 1일 발효된 1906년 11월 3일에 체결된 제1차 국제전파전신협약의 서비스 규정에 포함되면서 전 세계적인 표준이 되었습니다.현대 용어로 SOS는 모스 "절차적 신호" 또는 "프로시그널"[3]로, 생명의 손실이나 재산의 치명적인 손실이 [4]임박했을 때 도움을 요청하는 송신을 위한 메시지 시작 표시로 사용됩니다.다른 접두사는 기계 고장, 의료 지원 요청 및 원래 다른 방송국에서 전송한 릴레이 조난 신호에 사용됩니다.SOS는 1999년에 Global Maritime Dearson and Safety [5]System으로 대체될 때까지 해상 무선 조난 신호로 남아있었습니다.
SOS는 여전히 모든 시그널링 [6]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디스트레스 신호로 인식되고 있습니다.이 신호는 시각적 디스트레스 신호로 사용되었으며, 생존 미러에서 나오는 빛과 같이 세 번의 짧은/[7]세 번의 긴/세 번의 짧은 섬광으로 구성됩니다.어떤 경우에는 "SOS"라는 개별 문자가 예를 들어 스노우 뱅크에 찍히거나 해변의 통나무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SOS"는 오른쪽 측면을 위로 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거꾸로 읽을 수 있는 것이 시각적 인식을 위한 장점입니다.
역사

라디오(처음에는 "무선 전신"으로 알려짐)는 189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고, 해상 통신의 중요한 보조 수단으로 빠르게 인식되었습니다.이전에 항해하는 선박들은 세마포 깃발, 신호 신호 신호기, 종, 안개 뿔과 같은 다양한 표준화된 시각적 및 음성 조난 신호를 채택했습니다.그러나, 초기에 무선 조난 신호 표준화에 있어서의 협력은 경쟁하는 무선 회사들 간의 국가적인 차이와 경쟁에 의해 제한되었습니다.
1903년, 베를린 무선 전신 예비 회의의 이탈리아 대표인 퀸티노 보노모 선장은 "조난 중인 선박은 SSS DDD 신호를 [8]몇 분 간격으로 전송해야 한다"는 제안을 포함하여 공통적인 운영 절차의 필요성을 논의했습니다.그러나, 절차적 질문은 이 회의의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회의의 최종 의정서 제4조는 "무선 전신국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다면,[9] 해상에서 선박으로부터 받은 도움 요청에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고 명시했지만, 당시 표준 신호는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국제적인 규제가 없으면, 개별 조직들은 그들의 관행을 발전시킬 수 밖에 없었습니다.1904년 1월 7일, 마르코니 국제 해양 통신 회사는 회사의 전 세계적인 설비에 대해 1904년 2월 1일부터 "조난에 처한 선박 또는 도움이 필요한 어떤 방법으로든 제공되는 호출은 CQD가 [10]되어야 한다"고 명시한 "순환 57"을 발행했습니다. 1906년 미 해군에 의해 제안된 대안 제안은 다음과 같습니다.NC를 포함한 무선 용도로 국제 신호 코드 플래그 신호를 채택해야 한다고 추정했습니다. NC는 "조난 중; 즉각적인 [11]도움을 원합니다."를 의미했습니다.
독일은 [12][13]1905년 4월 1일에 발효된 국가 전파 규칙에 포함된 세 개의 모스 부호 시퀀스 중 하나로 노타이첸 신호라고 불리는 SOS 조난 신호를 채택한 최초의 국가였습니다.1906년 베를린에서 최초의 국제 전파 통신 협약이 열렸고, 이 협약은 1906년 11월 3일에 체결되어 1908년 7월 1일에 발효되었습니다.협약은 16조를 포함한 광범위한 서비스 규정집을 채택했는데, 여기에는 "조난 선박은 다음 신호를 사용해야 한다: repeated at intervals ". brief the : the use following signal : conv regul adopted ships ention ion of an " collect read distress , shall ations service xvi extensive , which article in including

1905년 4월 1일 독일법과 1906년 국제 규정에서 조난 신호는 3개의 점/3개의 대시/3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연속 모스 부호 시퀀스로 명시되어 있으며, 알파벳 등가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그러나 국제 모스에서는 세 개의 점이 문자 "S"로 구성되고 세 개의 점이 문자 "O"로 구성되는 관습이 있었고, 곧 조난 신호를 비공식적으로 "SOS"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고, 1907년 1월 12일 일렉트릭 월드는 "조난 중인 선박은 짧은 [15]간격으로 반복되는 특수 신호인 SOS를 사용한다"고 명시했습니다.20세기 전반까지 미국의 많은 연안 선박에서 사용된 미국 모스 부호에서 세 개의 대시는 숫자 "5"를 의미하므로 몇몇 경우 조난 신호는 비공식적으로 "S 5 S"[16]로 불렸습니다.)
SOS 조난 신호를 보낸 최초의 선박은 1909년 6월 10일 아조레스 [17][18]해협을 항해하던 쿠나드 원양 여객선 RMS 슬라보니아호와 노스캐롤라이나 [19][20]해안을 항해하던 1909년 8월 11일 기선 SS 아라파호였습니다.아라파호의 신호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해터러스에 있는 유나이티드 무선 전신 회사의 방송국에서 수신되어 기선 [21]회사의 사무실로 전달되었습니다.그러나, 마르코니 운항사들 사이에 새로운 신호를 채택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있었고, 1912년 4월 RMS 타이타닉 침몰 때까지만 해도 선박의 마르코니 운항사들은 CQD와 SOS 조난 신호를 혼용했습니다.일관성과 해상 안전을 위해, CQD의 사용은 그 후 사라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의 발전
SOS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경고 및 조난 신호가 이어졌습니다.1914년 1월 20일,해양에서의 생명 안전에 관한 런던 국제 협약은 모스 부호열 "TTT" three sp ) — as ( the " to and with confused the — be o d of " to letter sea in of ashes ships for messages used letters ving as aced ur as normally " so three not the intern sequence " safety mor ) se on london ention t ( signal tt adopted three the the code vol safety of " at of t " ation ' ( and safety being conv an " ) s"젠트 캐릭터"[22]이지만 비상사태는 아닙니다.
"Mayday" 음성 코드
오디오 라디오 송신기의 발달로, 음성 조난 문구가 필요하게 되었고, 1927년 국제 라디오 협약에서 "Mayday"(프랑스의 안내자 "도와주세요"에서)가 [23]SOS의 음성 등가물로 채택되었습니다.TTT의 경우 이와 동일한 음성 신호는 항해 안전을 위해 "세쿠리테"(프랑스 세쿠리테 "안전"에서 유래)이고, 판판(프랑스 판네 "파괴"에서 유래)은 긴급하지만 즉각적으로 위험하지 않은 [24]상황을 나타냅니다.프랑스어는 이것들이 공식화된 그 당시의 국제 언어였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접미사 부호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특히 대서양 전투에서 적함의 공격에 대한 즉각적인 세부 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추가 코드가 사용되었습니다.SSS는 잠수함의 공격을, RRR은 지상공격기의 공격을, QQQ는 알 수 없는 공격기(일반적으로 보조순양함)를, AAA는 항공기의 공격을 경고했습니다.그들은 보통 SOS 조난 신호와 함께 보내졌습니다.이 모든 코드는 나중에 문자의 세 번의 반복에서 네 번의 반복(예: "RRRR")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 신호들 중 어떤 것도 자체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SOS는 물론 긴급 신호(CW에서는 "XXX",[25] 음성에서는 "PAN-PAN")와 안전 신호(CW에서는 [26]"TT", 음성에서는 "SECURITE")를 전송하는 것도 효과를 위해 비슷한 절차를 사용했습니다.이것들은 항상 정확하게 지켜졌습니다.다음은 SOS 신호의 가정적인 예입니다. 괄호 안의 부분은 설명일 뿐입니다.
SOS SOS SOS SOS (긴급 디스트레스 콜이 이어짐)
DE (from) GBTT GBTT GBTT (GBTT는 퀸 엘리자베스 2 라디오 룸을 식별하며, 3번 반복)
(선박) 엘리자베스 여왕ETH 2PSN (위치) 49 06 30 N (북위) 04 30 20 W (서경)
(우리 배는) 불타고 있고 승무원들은 배를 버리고 있습니다.
AR (End of Message) K (응답하라, 아무나)
오디오 신호음 및 자동 알람
선박과 연안국에서는 보통 한 시간에 두 번 500kHz 및 2182kHz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간에 3분 동안 우선순위 신호를 듣기 위해 조용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많은 상선들이 한 두 명의 무선 교환원만을 태웠기 때문에, 두 배 모두 비번일 때 아무도 조난 신호를 들을 수 없었습니다.결국, 작업자의 객실과 다리 위에서 경보를 울려서 작업자를 소환하는 장비가 개발되었고, 경보를 해제할 수 있는 유일한 스위치는 무선 [27]전신실에만 허용되었습니다.이 경보는 조난당한 선박의 운항자가 무선전신 경보 신호(자동 경보)를 전송하여 전송한 것으로, 각각 1초 간격으로 4초씩 지속되는 12개의 추가 대시가 있으며, A2(변조된 CW)[28]로 전송되었습니다.경보 신호는 기계적 또는 전자적 타이밍 회로와 함께 전송되어 정확하게 전송되었습니다.그러나 선박용 무선실 시계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수동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다이얼에 표시가 있었습니다.자동경보기에 대한 규정은 1927년 SOLAS(Safety of Life at Sea) 국제해사규정에 규정되었고, 1927.55.[27] 국제전파전신협약에 부속된 일반규정 제19조 § 21.에서 규정되었습니다.
자동 경보 수신기는 4개의 대시를 수신하면 활성화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유효한 대시 4개가 감지되면 자동 알람이 활성화됩니다.그 후, 재난을 겪고 있는 선박의 운영자는 시계를 벗어난 라디오 운영자들이 자신들의 라디오 방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 SOS 메시지 자체의 전송을 지연시킬 것입니다.
무선전신 경보 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전신 경보 신호는 무선전신 경보 신호로, 2200Hz와 1300Hz의 톤이 번갈아 전송되며, 각 톤의 지속 시간은 250ms입니다.선박에 탑재된 자동 경보 시스템은 이러한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 선박이 송신 선박 위치로부터 500nmi(930km) 이내에 있거나 조난 위치가 극지방(위도 70°N 또는 70°S 이상)에 있을 때 활성화되어야 합니다.또한 호출이 수신되고 조난 중인 선박과 수신 선박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29]수 없을 때 경보가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과거 SOS 호출
- 증기선 켄터키호는 1910년에 침몰했고, 배에 타고 있던 46명의 생명을 구한 SOS의 초기 사용.
- RMS 타이타닉 (CQD도 사용)
- 1915년에 어뢰 공격을 받은 RMS 루시타니아
- HMHS 브리타닉호, 1916년 침몰
- SS 안드레아 도리아, 1956년 침몰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미 해군, 해군 인사국, 라디오맨 3 & 2, NAVPER 10228-B, 워싱턴 D.C.: U.S.G.P.O, 1957, 135, 177, 402쪽.
- ^ "SOS", The Seamers' Magazine and Seaman's Friend, 1915년 10월 158페이지
- ^ Weik, Martin (2012). Communications Standard Dictionary (3rd 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760. ISBN 9781461304296.
- ^ 긴급 전송의 경우 SOS가 CT = KA = , ct which messages for is sos the for trans the marker replaces routine of emergency start , missions ka messages for <nat> ct <nat><hnr>
- ^ "Discontinuation of Morse code services in the MF radiotelegraphy band" (PDF). GMDSS. GMDSS Resolution. 10 February 1993. COM/Circ.1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20-06-10. Retrieved 2019-08-18.
- ^ 2018년 10월 24일 미국 해안 경비대, 국제 연합 및 미국 내륙 항해 규칙 부속서 IV, 회수
- ^ "How to Signal SOS With a Flashlight [Complete Guide]". Lumen Authority. 2021-04-15. Retrieved 2021-07-07.
- ^ "The Wireless Telegraph Conference". The Electrician: 214. 27 November 1903.
- ^ Howeth, Linwood S. (1963). "Appendix B: Final Protocol, Article IV". History of Communications-Electronics in the United States. First International Radio Telegraphic Conference, Berlin, 1903. p. 547.
- ^ Turnbull, G.E. (1913). "Distress signalling". The Yearbook of Wireless Telegraphy and Telephony. pp. 318–322.
- ^ Robison, S.S. (1906). "Codes". Manual of Wireless Telegraphy for the Use of Naval Electricians (1st ed.). p. 112.
- ^ "Regelung der Funkentelegraphie im Deutschen Reich". Elektrotechnische Zeitschrift: 413–414. 27 April 1905.
- Ruhezeichen ("발신 중지") , oo ; ru he (" ic ze " hen ce
- Notzeichen ("스트레스") , sos not ; and (" ze ic dist SOS; 및
- Suchzeichen ("calling") ▄ ▄ ▄ ▄▄▄ ▄▄▄ ▄▄▄ ▄ , SOE.
- ^ "German regulations for the control of spark telegraphy". The Electrician: 94–95. 5 May 1905.
- ^ Service Regulation XVI (Report). 1906 International Wireless Telegraph Conventi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38.
- ^ "The International Radio-Telegraphic Convention". Electrical World. 12 January 1907. pp. 83–84.
- ^ "'S 5 S' rivals 'C Q D' for wireless honors". Popular Mechanics. February 1910. p. 156.
- ^ "Notable achievements of wireless" (PDF). Modern Electrics. September 1910. p. 315.
- ^ Edwards, John (9 June 2020). "Slavonia sends an SOS". Oceanliners Magazine – via oceanlinersmagazine.com.
- ^ Baarslag, Karl (1935). SOS to the Rescue. pp. 10–12.
- ^ "Distress signal SOS first heard at Hatteras, 1909". ncdcr.gov (blog). 11 August 2015.
- ^ "Notices". The Pacific Commercial Advertiser. 27 August 1909. Retrieved 20 August 2019.
- ^ "규정: 제2조: Safety Signal", Washington D.C. 정부인쇄국, 바다에서의 생명안전에 관한 국제회의, 1914년 37페이지
- ^ "Distress call". International Radiotelegraph Convention. Washington, DC. 1927. p. 51 – via hathitrust.org.
- ^ "Urgent signal". International Radiotelegraph Convention. Washington, DC. 1927. p. 54 – via hathitrust.org.
- ^ "1421. 긴급 해양 정보 방송 포맷", 미국 해안경비대 통신 매뉴얼(CG-233), 1959년판, 14-3페이지
- ^ "1422. 안전 해양 정보 방송 포맷", 미국 해안경비대 통신 매뉴얼 (CG-233), 1959년판, 14-4페이지
- ^ a b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PDF). Library of Congress. 31 May 1929.
- ^ Jeffrey Herman (1994). "Reports from NMO - 500 kc Procedures". RadioMarine.org.
- ^ "Recommendation ITU-R M.493 Digital selective-calling system for use i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tu.in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추가열람
- Baarslag, Karl, SOS to the Rescue, Cadmus Books, Chicago, 1935. (이후 판은 유명한 바다 구조라는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 Collins, Francis A., "Some String Wireless Rescues", The Wireless Man, 1912, 104-141쪽.
- Dilks, John H. III, QST, "Why SOS?", 2007년 6월 88-89페이지 (상기 Barslag의 특정 섹션 재인쇄)
- Herman, Jeffrey, "NMO에서의 나의 첫 SOS", 1994 (radiomarine.org ).
- 리치, 아서, "SOS와 함께 하는 스릴: 메리다가 격침되었을 때 생긴 일", 라디오 에이지, 1924년 12월, pp. 29–30, 67–69.1911년 메리다 충돌과 침몰을 검토합니다.
- Worts, George F., "무선 프리랜스의 모험: 하룻밤에 세 번 찾아온 스릴", 라디오 방송, 1924년 6월, pp. 147-151.단일 선상 운영자가 3개의 동시 태평양 비상사태에 대한 대응을 조정해야 했던 c. 1913년 에피소드에 대한 최초의 설명.
외부 링크
Wiktionary에서 SOS의 사전적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