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루성
Mirativity문법상의 특징 |
---|
명사와 관련됨 |
동사와 관련됨 |
일반 기능 |
구문 관계 |
의미론 |
현상 |
처음에 스콧 랑시에 의해 제안된 미라티즘은 언어의 문법적 범주로, 증거성과는 무관하게 화자의 놀라움이나 마음의 준비되지 않은 상태를 암호화하는 것이다. 신기루성의 의미 범주를 인코딩하는 문법적 요소를 신기루(약칭 MIR)라고 한다.[1][2]
랑시(1997)는 먼저 이 대미를 교차언어 범주로 홍보하면서 터키어, 하어, 순워어, 라사 티베트어, 한국어를 이 범주를 나타내는 언어로 식별했다.[1] 델랜시를 전임자로 인용하면서, 많은 연구자들은 다른 언어, 특히 티벳-부르만 언어의 묘사를 보고했다. 그러나 라자드(1999년)와 힐(2012년)은 이 범주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라자드는 범주를 중재자와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며, 힐은 디란시와 아이켄발드(2004년)가 제시한 증거가 부정확하거나 불충분하다고 판단한다. 델랜시(2012년)는 티벳어에 대한 그의 분석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하레, 캄, 마가르를 명료한 묘사의 사례로 선전한다. 그는 터키어, 선와르어, 한국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힐(2015년)은 '기적성'에 대한 디랜시의 증거를 직접 증거로 재분석하여 헤어의 대체 분석을 제공한다.
알바니아어는 신기루 또는 찬양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동사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화자의 입장에서 놀라움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아이러니, 의심, 보고 등의 다른 기능도 가지고 있을 수 있다.[3] 그러므로 그것들은 때때로 "명료하게" 영어로 번역될 수도 있다.
참조
- ^ a b DeLancey, Scott (1997). "Mirativity: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Linguistic Typology. 1: 33–52. doi:10.1515/lity.1997.1.1.33. S2CID 122264213.
- ^ Peterson, T. (2016). "Mirativity as Surprise: Evidentiality, Information, and Deixis".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45 (6): 1327–1357. doi:10.1007/s10936-015-9408-9. PMID 26645464. S2CID 26783093.
- ^ Friedman, Victor A. (1986). "Evidentiality in the Balkans: Bulgarian, Macedonian and Albanian" (PDF). In Chafe, Wallace L.; Nichols, Johanna (eds.). Evidentiality: The Linguistic Coding of Epistemology. Ablex. pp. 168–187. ISBN 978-0-89391-203-1. 페이지 180.
- Aikhenvald, Alexandra Y. (2004).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6388-2.
- DeLancey, Scott (1997). "Mirativity: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Linguistic Typology. 1: 33–52. doi:10.1515/lity.1997.1.1.33. S2CID 122264213.
- DeLancey, Scott (2001). "The mirative and evidentiality". Journal of Pragmatics. 33 (3): 369–382. doi:10.1016/S0378-2166(01)80001-1.
- DeLancey, Scott (2012). "Still mirative after all these years". Journal of Pragmatics. 33 (3): 529–564. doi:10.1515/lity-2012-0020. S2CID 53078131.
- Dickinson, Connie (2000). "Mirativity in Tsafiki". Studies in Language. 24 (2): 379–422. doi:10.1075/sl.24.2.06dic.
- Hill, Nathan W. (2012). "'Mirativity' does not exist: ḥdug in 'Lhasa' Tibetan and other suspects". Linguistic Typology. 16 (3): 389–433. CiteSeerX 10.1.1.694.8358. doi:10.1515/lity-2012-0016. S2CID 55007142.
- Hill, Nathan W. (2015). "Hare lõ: the touchstone of mirativity". SKASE Journal of Theoretical Linguistics. 13 (2): 24–31.
- Lazard, Gilbert. (2009). "Mirativity, evidentiality, mediativity, or other?". Linguistic Typology. 3 (1): 91–109. doi:10.1515/lity.1999.3.1.91. S2CID 119980238.
- Slobin, Dan I.; Aksu, Ayhan A. (1982).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use of the Turkish evidential". In Hopper, Paul J. (ed.). Tense-aspect: Between semantics & pragmatics (PDF). Amsterdam: John Benjamins. pp. 185–200. ISBN 978-90-272-286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5-30. Retrieved 2015-06-12.
외부 링크
![]() | Wiktionary, 무료 사전에서 신기함을 찾아 보십시오. |
- LanguageistList에 게시된 미러링 게시물 요약(라이브러리그래피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