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르코드
Misericord
미사코드(때로는 성경 속 물건처럼 머시시트라고도 함)는 교회에서 접이식 좌석의 밑면에 형성된 작은 나무 구조물로, 좌석을 접었을 때, 오랜 [1]기도 기간 동안 부분적으로 서 있는 자세로 사람을 지탱하는 선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었다.
오리진스
중세 초기 교회에서 매일의 신성한 사무실(마틴스, 라우드, 프라임, 테르체, 섹트, 없음, 베스퍼스, 컴플라인)에서 기도하는 것은 손을 들고 서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노약자들은 목발을 사용하거나, 시간이 흐르면서, 미사르디아를 사용할 수 있었다.이러한 스탠딩 시간을 위해 좌석을 위로 올릴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다만, 언더사이드는 때때로 작은 선반인 미스리코드(misericord)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그것에 기대어 불편함을 약간 줄였다.교회의 다른 중세 목공예품과 마찬가지로, 그것들은 좌석 아래에 숨겨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제단 주변의 성가대 좌판에 정교하게 조각되었고 종종 세부적인 장면들을 보여준다.
역사
메시코드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영국 교회에서 살아남은 미사리코드는 13세기 초부터 2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17세기 이후에는 역사적 중요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현대 사본으로 여겨진다.Rembant의 1969년 카탈로그는 그 이후의 모든 것을 "현대적"으로 치부하고, 묘사조차 거의 제공하지 않지만, 빅토리아 시대부터 심지어 현대의 멋진 조각품들이 많이 있습니다.최초의 미사리코드는 13세기 중반부터 엑세터 대성당의 성가대 좌판에서 볼 수 있다.대부분의 영국 여성 작가들은 14세기와 15세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특이하게도 세속적이거나 이교적인 이미지와 장면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그들을 둘러싼 기독교의 도상학이나 심미학과는 완전히 상충된다.
한때는 수도원이나 대학 교회의 일부였지만, 종교 개혁 하에서는 많은 노점들이 파괴되거나 해체되어 교구 교회로 흩어졌습니다.살아남은 사람들은 17세기의 우상 숭배자들과 빅토리아 시대의 개혁가들에 의해 더욱 고갈되었다.비록 43개의 중세 장면들이 남아 있지만 딘 하우슨에 의해 체스터의 한 세트가 부적절하다고 여겨 파괴되었다.목각공들은 14세기 후반 링컨에서 왔고 3년 후 합창단을 마친 후 웨스트민스터 홀로 옮겨갔다.좌판을 조각하는 것은 견습생들이 맡았고, 도련님들은 더 인상적인 작업을 했다고 한다[by whom?].
동방 정교회 사용
미사리코드는 오늘날까지 동방정교회의 모나스틱에 의해 사용되는 성가대 좌판인 카티스마타에서 발견된다.이것들은 서양의 것들보다 훨씬 단순한 경향이 있는데, 보통 장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둥근 나무 조각이다.비록 러시아 정교회 수도원들은 개별 성가대 좌판이 아닌, 형제들이 앉을 수 있는 간단한 벤치가 있는 경향이 있지만, 그리스 정교회에서 그들의 사용은 매우 흔하다.정통 기독교인들은 노약자들을 위해 일부 좌석이 제공되기는 하지만 앉거나 무릎을 꿇는 대신 오랜 신성한 예배 내내 서 있다.그리스 승려들은 예배 중에 좌판에 기대는 경향이 있는 반면, 러시아 승려들은 보통 똑바로 선다.
Misericord(룸)
이 단어의 구별되는 (그러나 관련이 있는) 용도는 중세 베네딕토 수도원의 한 방을 가리키는 것이다.성 베네딕토 규칙은 수도승들이 음식점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에 대한 엄격한 규칙을 포함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아픈 사람들을 제외한 네 발 달린 동물들의 육식을 완전히 금지하도록 규정했다.중세 후기 수도원에서는, 일정표에 따라 모든 승려의 절반은 식당으로, 나머지 절반은 성 베네딕토 규칙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고기에 탐닉할 수 있는 미사리코드로 보내졌다.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미사리코드는 [2]1230년에서 127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문화적 영향
'숨겨진' 입장과 '엄청난' 아이콘그래피가 그들을 파괴적인 예술형태로 보이게 하면서 현대 미술과 문학에서 모티브로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갤러리
시트를 들어 올린 상태(왼쪽)에서 메시코드는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레지를 제공합니다(보스턴, 링컨셔).
링컨셔 주 보스턴의 세인트 보톨프 교회: 교장이 학생을 때리다
독일 벡톨하임(Bechtolsheim)의 심플한 브래킷 모양의 미사코드
옥스퍼드 매그달렌 칼리지: 백조, 옆에는 엽상 "서포터즈"가 있다.
모 성당, 프랑스
성가대 좌석은 성당에 있다.피에르, 쿠탕스, 프랑스, 좌석 아래로
성 오르소, 아오스타, 이탈리아: 낙타?
스페인, 레옹 성당: 고양이를 잡는다?
16세기 초 프랑스 파리의 생드니 대성당의 미사코드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Inside the church: What do you need to know?". BBC iWonder. BBC. Retrieved 2016-07-18.
- ^ 영국에서 살고 죽는 1100-1540: 수도원 경험, 바바라 F.하비, 1993년, 38~41페이지
- ^ Misericods for Ninevah, Mike Freeman, Poety Nation Review, pp 24-25, 2009).
- Remant, G. L. (1969)영국의 Misericords; Mary D에 의한 그들의 아이콘그래피에 대한 에세이와 함께.앤더슨(1998년 재발행)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0-19-817164-1
추가 정보
- 일레인 C.프랑스의 중세 미사코드의 말뭉치 블록: XIII - 16세기(2003) ISBN 2-503-51239-9
- 일레인 C.블록, 중세 Misericords 이베리아의 말뭉치: 포르투갈 – 스페인 XIIII. (2004) ISBN 2-503-51499-5
- 일레인 C.블록, 중세 미사리코드 말뭉치: 벨기에 (B) – 네덜란드 (NL). (2010) ISBN 978-2-503-51600-4
- 일레인 C.라인랜드에 있는 미스리코즈 블록.(1996) ISBN 1-883300-06-1
- 마이클 카밀, 이미지 온 더 엣지: 중세미술의 여백(1992) ISBN 978-0-674-443624
- Gordon Emery, Curious Chester(1999) ISBN 1-872265-94-4
- Gordon Emery, Chester Inside Out (1998) ISBN 1-872265-92-8
- Gordon Emery, Chester Guide (2003) ISBN 1-872265-89-8
- Christa Grössinger, The World Upped Down: 영어 메시지 코드. (1997년) ISBN 1-872501-98-2
- 폴 하드윅, 영국 중세 미사리코드: 의미의 한계.(2011) ISBN 1-84383-659-9
- 도로시와 헨리 크라우스, 스페인의 고딕 초어스. (1986) ISBN 0-7102-0294-6
- 도로시와 헨리 크라우스, '미세리코드의 숨겨진 세계'(1975년) ISBN 0-8076-0804-1
- 페르난도 로페스 리오스 페르난데스, 아르테 이 메디시나 인 라스 미세리코르디아스 데 로스 코로스 에스파놀레스(1991) ISBN 84-7846-064-0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