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 교감

Spiritual Communion
빌헬름 리스트의 빵과 와인을 곁들인 예수 c.(1905)

영적 교감예수 그리스도와 성체 안에서 연합하기를 바라는 기독교의 실천이다. 미사를 위한 준비와 성찬식을 받을 수 없는 개인에 의해 사용된다.[1]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따르면 이러한 관습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 교회뿐 아니라 많은 성도들이 적극 추천한 가톨릭 교회에서도 잘 확립되어 있다고 한다.[1][2][3] 그는 예수님을 향한 이 끊임없는 욕망을 성찬에서 실천하는 것은 모든 인간의 욕망의 궁극적인 목표인 성찬식의 궁극적인 완성도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4]

영적 교감의 실천은 특히 동구권의 국가 무신론 시대와 같은 박해의 시기뿐만 아니라 현재의 COVID-19 대유행과 같은 역병의 시기에도 기독교인들이 미사에 참석할 수 없어 주의 D에 따라 성찬을 받을 수 없는 때에 사용되어 왔다.ay.[4]

교리

토마스 아퀴나스는 영적 교감을 "성스러운 성찬에서 예수를 받고자 하는 간절한 욕망과 우리가 이미 예수를 받은 것처럼 애정 어린 포옹"[5]이라고 정의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그의 백과사전에클레시아 에우차리스티아에서 이러한 관행에 대한 근거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성찬에서는 "다른 성찬과는 달리 [성찬의 신비]는 너무나 완벽해서 모든 좋은 것을 최고조로 끌어올린다. 여기에 모든 인간의 욕망의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우리가 여기서 하나님을 이루고 하나님께서 가장 완벽한 결합으로 우리와 함께 하시기 때문이다.' 정확히 이러한 이유로 성찬의 성찬에 대한 끊임없는 욕망을 우리 마음속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다. 이것이 수세기 동안 교회에서 행복하게 정착해 영적 삶의 주인이었던 성도들이 추천한 '영적 교감'의 실천의 기원이었다. 예수의 성 테레사는 다음과 같이 썼다. "당신이 성찬식을 받지 않고 미사에 참석하지 않을 때, 당신은 영적인 성찬을 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장 유익한 실천이다. 그것으로써 신의 사랑은 당신에게 큰 감명을 받을 것이다." [원문에 강조되어 있다].[6]

따라서 성도들이 '혼자만족자'로 보아 온 성도들, 그리고 성도 안에서 '기독교 생활의 진정과 원천'이 되는 하나님을 향한 열정적인 열망이 이 실천의 근원이 되고 있다. 파드레 피오의 경험은 성도들이 하나님의 사랑의 그림을 그리고 힘을 끌어들이는 앞에서 느끼는 강렬한 욕망을 잘 보여준다.

내 마음은 매일 아침 복된 성찬에서 그와 단결하기 직전에 우월한 힘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나는 그를 받기 전에 너무나 갈증과 배고픔이 있다. 불안으로 죽지 않는 것이 신기하다. 나는 미사를 축하하기 위해 신수의 손에 거의 닿을 수 없었다. 미사가 끝나자 나는 예수께 감사를 드리기 위해 남아 있었다. 내가 성찬에서 주님을 받은 뒤에 갈증과 배고픔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꾸준히 증가한다. 아, 오늘 아침 파라다이스와 나눈 대화는 얼마나 달콤했는가. 예수님의 마음과 내 마음이, 그 표현을 용서해 주신다면, 융합된 것이다. 그들은 더 이상 심장이 두 개 뛰는 것이 아니라 한 개만 뛰고 있었다. 내 마음은 마치 바다 한 방울처럼 사라져 버렸다.[7]

마리 비안니는 영적 교감을 다시 타오르게 하기 위해 불이나 불씨가 꺼지기 시작하는 것에 비유했다.

매일 축복받은 빵으로 영적 교감을 하는 이들이 있다. 만약 우리가 성찬식을 빼앗긴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영적인 교찬으로 그것을 대체하도록 하자. 우리는 항상 선한 하나님을 받으려고 불타는 욕망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성찬은 꺼지기 시작하는 불을 뿜는 것과 같은 것이지만, 그것은 아직도 뜨거운 불씨를 많이 가지고 있다. 우리는 불었고, 불은 다시 타오른다. 성찬의 영접 후,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으로 느슨해진다고 느낄 때, 영적 교감에 즉시 의지하도록 하자. 우리가 교회에 갈 수 없을 때에, 성막 쪽으로 돌아서게 하여라. 어떤 벽도 우리를 선한 하나님께 가까이 가지 못하게 할 수 없다.[This quote needs a citation]

호세마리아 에스리바는 영적 교감에서 신의 존재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르쳤다. "영적 교감에는 얼마나 은총의 원천이 있는가! 그것을 자주 실천해 보아라. 그러면 너는 더 많은 신의 존재를 갖게 될 것이고, 너의 삶에서 그와 더 가까운 결합을 하게 될 것이다."[8] 그는 또 "예수, 나는 너를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을 게을리 하지 말고, 그가 우리와 함께 있고 싶어 하는 모든 폭언과 신성모독에 대한 속죄로서 적어도 매일 하나의 영적 교감을 만들어라"[9]고 가르쳤다.

가톨릭 신학자들에 따르면 영적 가치가 성찬식 그 자체만큼이나 클 수 있다고 한다. 스테파노 마넬리는 이렇게 썼다.

성인의 영적 교감 토마스 아퀴나스와 세인트 알폰수스 리구오리는 가르치며, 성찬성사와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 내고, 그것이 만들어지는 성향, 예수가 바라는 더 크거나 덜 진지함, 그리고 예수가 환영받고 적절한 관심을 받는 더 크거나 덜 사랑하게 된다.

영적 교감의 특별한 이점은 우리가 좋아하는 만큼 자주(하루에 수백번이라도) 밤늦은 시간에도 그리고 어디에서나 사막이나 비행기에서나 우리가 좋아하는 곳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7]

영국 성공회 모교회인 영국교회는 영적 교감에 대해 "육체적으로 성찬을 받을 수 없는 신앙인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대한 믿음과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전하는 이익에 대한 믿음으로 파티스트임을 확신해야 한다"[10]고 가르친다.

영국 감리교회는 "영적 성찬은 우리가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우리 자신을 제자로 다시 한번 하나님께 맹세하고 하나님께서 우리가 물리적으로 성찬을 받을 때 나누는 영적 은총을 우리에게 주실 수 있도록 기도하는 실천"이라고 가르친다.[11] 이 관습은 감리교 신학과 일치하는데, 감리교 신학에서는 "신학은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어떤 것이든 할 수 있다"[11]고 신은 은총을 베풀

면죄부를 위한 가톨릭 공식 안내서(엔치리디온)에 따르면, "영적 교감법"은 어떤 경건한 공식에 따라, 부분 면죄부로 풍요로워진다.

또한 알폰수스 리구오리가 권고한 이 영적 교감법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나의 예수님, 나는 네가 성찬식에 예술을 받으리라 믿는다. 나는 무엇보다도 테를 사랑하고 내 영혼 속에 테를 원한다. 나는 이제 성찬을 받을 수 없으니, 적어도 영적으로 내 가슴에 와라. 네가 이미 거기에 있는 것처럼, 나는 너를 껴안고, 너를 전적으로 너에게로 단결한다. 내가 너와 헤어지지 않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아멘

라파엘 메리 추기경은 이런 영적 교감을 작곡했다.

주님, 나의 주님, 나는 주님의 발 앞에 엎드려서, 주님의 거룩한 면전에서 겸손한 나의 회개하는 마음을 주님께 드린다. 나는 당신의 사랑의 성찬에 있는 테를 존경한다. 그것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성찬이다. 나는 내 마음이 테에게 주는 가난한 주거지로 테를 받고 싶다. 성찬식의 행복을 기다리는 동안 정신으로 테를 소유하고 싶다. 나의 주님, 나에게로 오십시오. 내 몫으로 내가 너희에게 오니, 나에게로 오십시오. 당신의 사랑이 내 삶과 죽음 속에 있는 모든 존재를 감싸주길. 난 테를 믿어, 테에서 내가 테를 사랑하길 바래. 아멘[This quote needs a citation]

또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오늘 내가 할 수 없는 일이니, 오, 나의 하나님, 거룩한 미스터리를 보좌하는 기쁨을 누려라. 나는 스느 제단 기슭에서 영으로 나를 수송하며, 나는 성직자의 손으로 테느의 사랑스러운 아들을 바치는 교회와 단결하고, 그와 함께, 그분과 그의 이름으로 나를 바친다. 나는 경외하며, 찬송하며, 테이에에게 감사하며, 당신의 자비를 간청하고, Thine의 원조를 불러 일으키고, 테에에게 빚진 경의를 나의 창조주로서, 테에에게 바쳐진 사랑을 나의 구세주로 바친다. 나의 영혼에 적용하여라. 나는 테아, 자비로운 예수님, 무한한 공로, 그것을 내가 특별히 기도하고 싶은 사람에게도 적용하라. 나는 영적으로 소통하기를 원한다. 당신의 피가 정화되기를, 당신의 육체가 강화하기를, 그리고 당신의 영혼이 나를 거룩하게 하기를. 나의 신성한 구세주, 소인이 나를 위해 목숨을 바친 것을 내가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내가 이 다음에 영원히 테와 함께 살 수 있는 테가 아닌 모든 것을 위하여 죽기를 바란다. 아멘[12]

피아리스트의 아버지들은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에 의해 대중화된 이 짧은 영적 교감을 가르쳤다.

주님, 가장 거룩하신 어머니께서 성도들의 영과 열정으로 받아주신 순결함과 겸손함, 헌신으로 여러분을 영접하시기를 소망한다.[13]

성공회 말라이타 교구영적 교감 형식에서 받은 기도는 다음과 같다.[14]

사랑하는 주님, 여러분의 복된 몸과 피가 아버지께 바쳐지는 교회의 모든 제단에 충실한 사람들과 연합하여, 나는 여러분에게 찬사와 감사를 드렸으면 한다. 나는 영원히 그대와 단결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담아 내 영혼과 몸을 그대에게 선물한다. 그리고 나는 지금 성찬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나는 이에게 영적으로 내 가슴에 와달라고 간청한다. 나는 그대와 단결하고, 그대를 내 영혼의 모든 애정으로 감싸안는다. 그 무엇도 나를 테와 갈라놓지 못하게 하소서. 그대의 사랑 속에 나를 살고 죽게 하소서. 아멘[14]

주 예수 그리스도여, 주 예수 그리스도는 믿음으로 너희 옷자락으로 너희의 몸을 만지지 못하는 여인을 고쳐 주었으니, 이제 내가 성찬히 받을 수 없는 너희에 대한 믿음처럼 너희 종의 영혼이 치유될 수 있을 것이다. 너희의 부드러운 자비를 통하여, 너희의 부드러운 자비를 통해, 너희의 아버지와 함께 살아가고, 하나님께서 합심하여 다스릴 수 있을 것이다. 아멘[14]

감리교 장로인 미첼 루이스는 감리교 전통에 사용하기 위한 영적 교감 행위를 저술했다.[2]

맙소사, 무엇보다도 널 사랑해. 네가 준비한 식탁에서 형제 자매들과 함께 너를 맞이하게 되어 얼마나 좋을까. 나는 지금 이 순간 성찬의 성찬에서 너희의 약속대로 너희를 빵과 포도주로 받을 수 없으니 너희의 성령의 마나로 나를 먹이고, 너희의 성스러운 존재로 나에게 자양분을 주시기를 청한다. 나는 전적으로 너와 단결한다. 절대로 내가 너의 사랑과 분리되는 것을 허락하지 마라. 아멘[2]

퐁파노 해변에 있는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의 신도인 성 스티븐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다음과 같은 영적 교감 행위를 발표했다.[3]

주 예수님, 우리는 여러분이 세상에서 가장 거룩한 제단 성찬에서 자녀들을 위해 준비한 천상의 잔치에 손님으로 여러분의 사랑을 경험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 날에 너희의 식탁에 모일 수 없듯이, 우리가 너희를 믿음으로 맞아들이기를 빈다. 너희의 약속은 나를 사랑하는 자들이 지켜 주실 것이며, 나의 아버지께서도 그들을 사랑하실 것이다. 우리가 그들을 찾아와서 그들과 함께 우리의 집을 만들 것이다. 우리의 믿음을 강화하고, 사랑과 희망을 높이며, 이 생명이 끝나면, 우리가 영원한 마나를 먹고, 주님의 기쁨의 강을 영원히 마실 수 있는, 주님의 하늘 식탁에 자리를 주옵소서. 네 이름을 위해 우리를 들어라. 아멘[3]

사용법

영적 성찬의 실천은 기독교인, 특히 루터교인, 가톨릭교인, 성공회교인, 감리교인 등에 의해 사용되는데, 특히 병에 걸렸을 때와 종교에 적대적인 국가의 박해 중에 성찬식을 받을 수 없을 때 사용된다.[4][11][3] 성공회 신부 조나단 워렌 파간은 소련 국가무신론 시대에 월터 시스텍이 영적 교감을 통해 경험했던 기쁨을 예로 들며 동구권 기독교인들의 박해를 초래했다.[4]

성공회 신부 조나단 워렌 파간은 그리스도신학과 성찬에 관련된 신학을 언급하면서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공익을 위해 온라인 형식으로 옮겨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긴 했지만, "말과 성찬으로 예배를 드리는 것은 그러므로 기독교인들에게 선택적인 부가물이 아니다"라고 썼다.[4] 그는 특히 영국 성공회에서 아침기도를 하는 동안 유행병 속에서 영적 교감을 실천하도록 격려했다.[4] 프란치스코 교황은 또한 신자들이 COVID-19 대유행 기간 동안 영적 교감 기도를 말하라고 제안했고, 이는 이 관행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했다.[15][16] 감리교 성직자들은 또한 영적 교감을 장려했다.[2]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Tovey, Phillip (24 February 2016). The Theory and Practice of Extended Communion. Routledge. p. 61. ISBN 9781317014201. Spiritual Communion is another part of the Anglican tradition. The 1549 Prayer Book said that if the person is so sick as to be unable to receive the elements but is repentant, they eat and drink spiritually. This statement is incorporated into many prayer books of the Communion. Anglican devotional material developed this into a set of prayers.
  2. ^ Jump up to: a b c d Lewis, Mitchell (20 March 2020). "An Act of Spiritual Communion". Wordpress. Retrieved 21 March 2020.
  3. ^ Jump up to: a b c d "Spiritual Communion" (PDF). St. Stephen Evangelical Lutheran Church. Retrieved 16 April 2020.
  4. ^ Jump up to: a b c d e f Pagán, Jonathan Warren (21 March 2020). "Spiritual Commun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glican Compass.
  5. '^ 코스타, F.D. (1958) 영적 교감의 본질과 효과, 미국 가톨릭 신학회의 의사록, 140.
  6. ^ "Ecclesia de Eucharistia (17 April 2003) John Paul II".
  7. ^ Jump up to: a b "3: Jesus In Me". Jesus Our Eucharistic Lo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18.
  8. ^ 에스크리바, 더 웨이, 540년 마닐라 시나그 탈라 출판사. ISBN 971-554-017-1
  9. ^ 에스크리바, 후로 689세 마닐라 시나그 탈라 출판사. ISBN 971-117-040-X
  10. ^ "Ministry to the Sick". Church of England. Retrieved 21 March 2020.
  11. ^ Jump up to: a b c "Spiritual Communion" (PDF). Methodist Church in Great Britain. p. 1. Retrieved 15 April 2020.
  12. ^ "ASSISTING IN ABSENTIA (Absentia.HTM)".
  13. ^ "Opus dei - Saint Josemaría".
  14. ^ Jump up to: a b c Cecil Wood (1916). "A Form of Spiritual Communion Compiled by the Bishop of Melanesia". Wilson & Horton. Retrieved 27 January 2017.
  15. ^ Lamb, Christopher; Heneghan, Tom; Pongratz-Lippitt, Christa; Luxmoore, Jonathan; Roberts, James (15 March 2020). "Pope Francis urges Catholics to unite in spiritual communion". The Tablet. Retrieved 21 March 2020.
  16. ^ Wooden, Cindy (17 March 2020). "Public Mass ban in Italy leads to new focus on 'spiritual Communion'". Crux. Retrieved 21 March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