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예보 양
Miss Sarajevo"사라예보 양" | ||||
---|---|---|---|---|
![]() | ||||
싱글 바이 승객 | ||||
Original Soundtracks 1 앨범에서 | ||||
B측 |
| |||
방출된 | 1995년 11월 20일 | |||
녹음된 | 1995년 8월 | |||
스튜디오 |
| |||
장르. | 록, 오페라 | |||
길이 |
| |||
라벨 | 섬 | |||
작곡가 | ||||
프로듀서 |
| |||
U2 싱글 연대기 | ||||
| ||||
얼터너티브 커버 | ||||
'미스 사라예보'는 U2와 브라이언 에노가 부른 노래로, '승객'이라는 가명을 얻었다. 1995년 11월 20일 그들의 앨범 Original Soundtracks 1의 유일한 싱글로 발매되었다.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오페라 솔로를 부르며 게스트 보컬로 등장한다. U2의 《The Best of 1990-2000》에도 등장하며, 앨범 《Last Century》에서 조지 마이클에 의해 커버되었다. 이 곡이 빌보드 핫 100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영국 싱글 차트 6위에 올랐고, 다른 많은 유럽 국가들에서 톱 10의 히트곡이었다. U2의 리드 보컬인 보노는 "미스 사라예보"를 가장 좋아하는 U2 곡으로 꼽는다.[1]
역사
미국 언론인 빌 카터는 보노에게 사라예보의 지하 저항 운동을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보노는 이 영화를 제작했을 뿐만 아니라,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자금도 제공했다. 슬리브 노트에서 Original Soundtrack 1로 이동:
이 카메라는 도시의 터널과 지하실을 통해 주최 측을 따라다니며 민간인이 대상인 현대 전쟁 때의 삶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준다. 이 영화는 포위된 사라예바인들의 어두운 유머, 그들의 완강한 사기 저하를 포착하고 초현실주의와 다다이즘이 광신주의에 대한 적절한 대응임을 시사한다.
— Bono[2]
보노는 계속해서 이러한 가사가 당시 사라예보 사람들이 느끼고 있던 것을 반영하고 있음을 느꼈다고 말했다.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1은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 영화를 원작으로 한 곡들의 앨범이지만, '미스 사라예보'는 실제 영화를 원작으로 한 앨범의 4곡 중 하나이다. 영화 미스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가 포위된 가운데 열린 미인대회에 대한 빌 카터의 다큐멘터리다. 우승자는 이넬라 노기치라는 이름의 17세 금발이었다. 카터는 1993년 겨울 인도주의적 원조를 제공하기 위해 사라예보를 방문했고 곧 갈등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그는 불에 탄 사무실 건물에서 6개월 동안 살았는데, 이유식과 강과 하수구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든 물을 먹고 살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음식과 약을 배달했다.
카터는 원래 그들이 동물원 TV 투어를 하는 동안 U2와 접촉해 관객들에게 실제 관련자들을 보여주려고 했는데, 서양 언론이 전쟁의 인간적인 면을 무시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 밴드는 카터가 이 시점에서 약 1년 반 동안 유럽의 나머지 지역과의 통신이 끊긴 지역 주민들에게 몇 개의 위성 연결을 주선해 수천 명의 경기장 앞에서 들을 수 있는 기회였다. 그 연결고리는 간략하고 편집되지 않았다.
아이디어는 간단했다. 뉴스가 하는 일을 하는 것, 즉 즐거움을 주는 것 대신에, 나는 뉴스가 거의 하지 않는 일을 하고 싶었다. 그 문제에 대해 누군가에게 관심을 갖도록 하고 싶었다. 나는 유럽의 젊은이들이 전쟁 중인 사람들을 보기를 원했다. 나는 그들이 정치인들, 종교 지도자, 군사 대변인을 보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 Bill Carter, [3]
카터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그에게 카메라를 보내서 전쟁으로 살아가고 있는 개인들에게 사람들을 노출시키겠다는 동일한 목표로 다큐멘터리 (보노가 제작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했다. "전쟁은 단지 배경일 뿐이고, 어떤 전쟁일 수도 있고, 중요한 것은 살아남기 위한 인간 정신의 생명력이고, [웃고, 사랑하고, 나아가기 위해] 그것은 우리가 항상 다루고 있는 것이다." 이 노래는 보스니아에서의 전쟁에 반대하며, 전쟁을 멈추거나 그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돕지 못하는 국제 사회를 비판한다. 이 앨범에서 발매된 유일한 싱글이었다. 이 동영상은 빌 카터의 다큐멘터리 동영상과 1995년 모데나에서 열린 파바로티 & 프렌즈 콘서트에서 이 곡의 승객들의 첫 공연 장면을 결합한 것이다. 이 다큐멘터리의 클립에는 싱글의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미인대회 참가자들이 모든 모자에 "그들이 우리를 죽이지 못하게 하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들고 있는 장면과 같은 놀라운 이미지가 담겨 있다. 카터의 사라예보 다큐멘터리는 1995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드림차이저상 후보 2명 중 한 명이었다. 카터는 동료 후보이자 보노의 부인인 알리 휴슨이 만든 체르노빌 다큐멘터리 '블랙 윈드, 화이트 랜드'를 제치고 결국 승리할 것이다.[4]
배경
카터와 보노의 기록적인 협력은 사라예보 포위 당시 현대전으로 찢어진 도시 사라예보의 민간인들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반영한다.[5] 이러한 갈등은 보스니아 세르비아와 보스니아 이슬람 정부군 사이의 민족적 투쟁에서 비롯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을 때 사라예보 교외에서 온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새로운 국가인 르푸블리카 스르프스카의 일부로 이 나라의 영토를 포함시킬 계획으로 수도 사라예보를 포위했다.[6] 이것은 1992년 4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지속된 현대전 역사상 가장 긴 수도 포위전이다.[7] 사라예보의 인구는 빈곤으로 전락하여 더 이상 구호 기관에 크게 의존하여 대중 교통, 수도, 가스, 전기를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1992년 10월까지, 유엔에 의해 비행금지구역이 설립되어, 어떤 언론 보도나 구호 계획도 국내로 보내기가 매우 어려웠다.[8]
라이브 공연
사라예보 팝마트 투어 콘서트
보노에 따르면 파바로티는 협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매우 좋아했다. '미스 사라예보'가 떠오르기 전부터 "그는 노래를 부탁해 왔다. 사실, 묻는 것은 절제된 표현이다. 그는 그 집에 전화를 걸고 있었다. 그는 내가 그에게 노래를 쓰지 않으면 신이 매우 심술궂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9]
"미스 사라예보"는 1995년 9월 12일 이탈리아 모데나에서 열린 연례 파바로티 & 프렌즈 콘서트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보노, 더 엣지, 브라이언 에노가 완벽한 오케스트라와 함께 파바로티와 함께 무대에 올라 새로운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1 미래의 싱글을 초연했다. 세 사람 모두 검은 정장과 흰 셔츠를 입고 있었고 이것은 그의 유명한 헤드기어 없이 The Edge가 공연한 아주 드문 경우 중 하나였다. 이 밴드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마크 콜먼의 아내 안나 콜먼은 이 곡에 이탈리아 리브레토를 썼다. 보노가 대충 번역한 가사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
강물이 바다로 가는 것처럼 말하네
내게로 돌아갈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너는 네가 길을 찾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사랑 난 기도하는 남자가 아니야
그리고 사랑에서 나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어.— Bono[10]
이 곡은 파바로티&프렌즈 공연 외에도 브라이언 에노와 함께 사라예보에서 열린 U2의 1997년 팝마트 투어에서 한 번 연주된 곡이다. U2는 전쟁이 끝난 후 처음으로 도시에서 콘서트를 개최할 수 있는 밴드로, 당시 그 밴드가 그 자리에 참석하게 되어 매우 기뻤다. 사라예반스의 요청대로, 이 공연은 자선 콘서트가 아니었고, 이 밴드는 투어 중 다른 도시에서 했던 것처럼 공연을 했다. 미스 사라예보 대회의 실제 우승자인 이넬라 노기치는 그 쇼에 참석했고, 밴드와 함께 콘서트에 호위를 받았다. 보노는 콘서트 도중 목소리를 잃었고, 불행히도 '미스 사라예보' 공연 도중 엉망이 됐고, 이후 "사라예보, 이 노래는 너를 위해 작곡한 곡이다. 좋아했으면 좋겠는데, 우리가 씨발 못 치니까."[11] 래리 멀런 주니어는 이번 공연에 대해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 그리고 만약 내가 그 쇼를 하기 위해서 20년을 밴드에서 보내야 했고, 그렇게 했더라면 보람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12]
버티고 투어
1997년부터 U2의 유일한 라이브 공연 이후, 이 곡은 밴드의 Vertigo Tour에서 여러 번 라이브로 연주되었다.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투어 2차전에서는 '미스 사라예보'가 투어 중 처음으로 연주돼 평소 야간 공연이었던 'Running to Stand Still'을 대체했고, 투어 내 나머지 86개 공연에 대해서는 매일 밤 연주됐다.[13] 공연 중에는 보노가 오페라 솔로 파트를 부르고, 더 엣지는 기타 대신 피아노로 곡을 연주했다. 매일 밤 공연이 끝날 때면 한 여성이 세계인권선언문을 낭송하는 영상이 상영됐다. 밀라노에서 열린 Vertigo Tour 콘서트의 공연 버전은 U2 앨범에서 찾을 수 있다.통신, 비디오 Vertigo: 밀라노에서 라이브로, 콘서트 영화 U2 3D.
U2 360° 둘러보기
이 곡은 이탈리아 토리노의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에서 열리는 2010년 투어 첫 쇼에 첫 선을 보이며 밴드의 U2 360° 투어 3번째 레그에 돌아왔다. Vertigo Tour에서의 공연과 다소 비슷한 이 공연에서는 The Edge가 피아노로 연주하고 보노가 전곡+오페라 솔로로 노래한다.
조슈아 트리 투어 2017
이 곡은 시리아 난민 위기를 알리기 위해 The Joshua Tree Tour 2017에서 연주되었다. 보노는 이번 투어에서 이 곡이 "시리아양"으로 리타이틀 되었다고 말했다.
리셉션
스티븐 토머스는 그 협업이 서류상으로는 "너무 멀리 한 걸음"처럼 보였지만, 최종 결과는 U2의 록과 에노의 분위기, 파바로티의 감정을 결합시켰다고 언급했다. 그는 "전반적으로 결과는 오페라, 록 등 두 음악 장르가 서로 양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보노와 파바로티의 매우 다른 노래 스타일과 역량이 의외로 서로 잘 어울리는 놀라운 현실"이라고 썼다.[14]
트랙리스트
모든 음악은 "One"(Bono의 lyrics, U2의 music)을 제외한 승객들이 작곡한다.
No. | 제목 | 아티스트 | 길이 |
---|---|---|---|
1. | "사라예보 양" | 승객들이 재주를 부리다. 루치아노 파바로티 | 5:19 |
2. | "원" (이탈리아 모데나에 살고, 1995년) | U2 | 5:38 |
3. | 「바텀즈(와타시타치노오키나유메)」(주역 리믹스) | 승객들 | 4:11 |
4. | "비바 다비도프" | 승객들 | 4:29 |
B사이드
"미스 사라예보" 싱글은 다음과 같은 B-Sides로 뒷받침되었다.
- "원" – 이탈리아 모데나에서 열린 파바로티 앤 프렌즈 콘서트의 공연으로, 보노, 더 에지, 브라이언 에노, 파바로티 자신이 총출동한 오케스트라로 곡을 연주한다.
- "바텀즈 (Watashitachi no Ookina Yume)" (Zoo Station Remix) – 이 트랙은 단순히 Achung Baby 앨범의 "Zoo Station"의 기악 리믹스 버전이며, 따라서 "Zoo Station Remix"는 변위된 것이다. 일본어 자막인 "와타시타치노 오오키나 유메"는 "우리의 큰 꿈"으로 번역된다. 이 곡은 일본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1 발매의 보너스 트랙으로도 수록되었다.
- "Viva Davidoff" – 이것은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1곡 "Theme from the Swan"과 흡사하게 에노와 같은 분위기의 악기 트랙이다. 그 노래 제목은 다비드오프 담배회사에 대한 찬사였다.
대체 버전
이 곡은 6가지 버전이 있다.
- 스튜디오 버전
- 앨범 버전 – Original Soundtracks 1 앨범에 수록됨
- 싱글 편집 – 약 20초 단축, 싱글 앨범과 프린세스 오브 웨일즈 전용 컴파일 앨범에 수록
- 라디오 편집 – 앨범 버전보다 1분 이상 짧음, 1990-2000년 The Best of 90-2000 컴파일에 수록됨
- 라이브 버전
- Pavarotti and Friends – Pavarotti & Friends 콘서트에서 라이브로, 앨범에 수록된 Pavarotti and Friends: 보스니아의 아이들을 위해 함께
- Vertigo Tour – 2005년 7월 20일, Milan에서 Bono가 Pavarotti의 솔로곡으로 라이브로, "All Because of You" 싱글과 앨범 U2에 수록되었다.커뮤니케이션
- Vertigo Tour – Milan에서 2005년 7월 21일 생방송으로, 전날의 버전과 비교된다. Vertigo: 라이브 프롬 밀라노
뮤직비디오
모리스 린네(Maurice Linnane)가 연출한 이 곡의 뮤직비디오는 곡에 묘사된 뷰티 콘테스트, 파바로티&프렌즈 콘서트의 원곡 공연, 인근 부대의 포격을 받아 전쟁으로 피폐해진 사라예보 거리를 순회하는 등 세 가지 이벤트의 몽타주다. 이 비디오는 감독의 해설과 함께 1990-2000년 베스트 DVD에 실렸고, 사라예보 실종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에 실렸다.
이 비디오의 또 다른 버전은 모데나 콘서트의 영상만을 특징으로 한다.
세 번째 버전의 비디오는 전쟁으로 피폐해진 사라예보와 미인대회 장면만 보여준다.
차트 및 인증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인증
|
참고 항목
참조
- ^ "Just the 2 of U". The Irish Times. 27 February 2009. Retrieved 9 March 2009.
- ^ Stokes, Niall "Into the Heart: The Story Back Every U2 Song."136. CarltonBooks Limited, Dubai. 1996.
- ^ Smith, Devlin (March 2004). "Interview: Bill Carter, author and filmmaker". Inter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pril 2004. Retrieved 4 April 2007.
- ^ 플래너건, 빌 "세상 끝에서 U2" 513 1995년 뉴욕 주 딜라코르테 프레스
- ^ 로겔, 캐롤 "유고슬라비아의 분열과 보스나에서의 전쟁" 35. 코네티컷 주 그린우드 프레스1998
- ^ 버지, 스티븐 L 슈프, 폴 S.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민족 갈등과 국제 인터뷰" 35. M. E. 샤프, 1998년 뉴욕
- ^ 로겔, 35세
- ^ 로겔, xxii.
- ^ McCormick, Neil, ed. (2006). U2 by U2. London: HarperCollins Publishers. p. 262.
- ^ 스톡스, 161번지
- ^ "U2 DISCOnnect POPmart SARAJEVO 1997". U2 Romania (in Romanian). 24 March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October 2007. Retrieved 4 April 2007.
- ^ "U Asked U2!". MSN.com Musi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07. Retrieved 4 April 2007.
- ^ "Miss Sarajevo – U2 on tour". U2-Vertigo-Tour.com. Retrieved 4 April 2007.
- ^ Ryan, Stephen. "Dancing about architecture: Postmodernism and Irish popular music". Irish Communications Review. Retrieved 6 February 2010.
- ^ "승객 – 사라예보 양" ARIA Top 50 싱글.
- ^ "승객 – 사라예보 양"(독일어) ö3 오스트리아 탑 40.
- ^ "승객 – 사라예보 양" (네덜란드어). 울트라탑 50.
- ^ "승객 – 사라예보 양" (프랑스어). 울트라탑 50.
- ^ "최고 RPM 싱글: 발행 2872."RPM. 캐나다 도서관 및 자료실. 2019년 11월 26일 회수.
- ^ "최상위 RPM 성인 현대: 발행 2879."RPM. 캐나다 도서관 및 자료실. 2019년 11월 26일 회수.
- ^ "Hits of the World: Eurochart Hot 100 (IFPI/Nielsen Marketing Research) 01/13/96". Billboard. Vol. 108, no. 2. Nielsen Business Media. 13 January 1996. p. 47. ISSN 0006-2510.
- ^ "승객: 사라예보 양" (핀란드어로) Musiikitutuottajat – IFPI 핀란드.
- ^ "승객 – 사라예보 양" (프랑스어). 레즈 클라스싱 싱글.
- ^ "승객 – 사라예보 양"(독일어) GfK 엔터테인먼트 차트.
- ^ "Irish Singles Chart". The Irish Charts. Retrieved 25 November 2009. 참고: 승객은 수동으로 검색해야 한다.
- ^ "Top National Sellers" (PDF). Music & Media. Vol. 12, no. 51/52. 23 December 1995. p. 11. Retrieved 26 November 2019.
- ^ "Nederlandse Top 40 – 승객" (네덜란드어). 더치 탑 40.
- ^ "승객 – 사라예보 양" (네덜란드어). 싱글 탑 100. 2019년 11월 26일 회수.
- ^ "승객 – 사라예보 양" 싱글 탑 40.
- ^ "승객 – 사라예보 양" VG-lista.
- ^ "승객 – 사라예보 양" 싱글 탑 100.
- ^ "승객 – 사라예보 양" 스위스 싱글 차트.
- ^ "PASSENGERS".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1 March 2015.
- ^ "Tops de L'année Top Singles 1995" (in French). SNEP. Retrieved 1 May 2021.
- ^ "Top 100 Singles 1995". Music Week. 13 January 1996. p. 9.
- ^ "Jaaroverzichten 1996" (in Dutch). Ultratop. Retrieved 29 February 2020.
- ^ "Rapports Annuels 1996" (in French). Ultratop. Retrieved 29 February 2020.
- ^ "Top 100 Single–Jahrescharts 1996" (in German). GfK Entertainment. Retrieved 7 August 2015.
- ^ "Top 100-Jaaroverzicht van 1996". Dutch Top 40. Retrieved 29 February 2020.
- ^ "Jaaroverzichten – Single 1996" (in Dutch). MegaCharts. Retrieved 29 February 2020.
- ^ "British single certifications – Passengers – Miss Sarajevo".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외부 링크
- U2.com 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