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U2 앨범)
October (U2 album)10월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81년 10월 12일 ( | |||
녹음된 | 1981년 4월, 7월 – 8월 | |||
스튜디오 | ||||
장르. | 락, 포스트펑크 | |||
길이 | 41:05 | |||
라벨 | 섬 | |||
프로듀서 | 스티브 릴리화이트 | |||
U2 연대기 | ||||
| ||||
10월부터 싱글 | ||||
10월은 아일랜드 록 밴드 U2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1981년 10월 12일 아일랜드 레코드에서 발매되었으며, 스티브 릴리 화이트가 제작하였다. 이 앨범은 '샬롬 펠로우십'이라는 기독교 단체에서 보노, 더 엣지, 래리 멀런 주니어의 멤버십에서 서정적으로 영감을 받았고, 그 결과 영적이고 종교적인 주제를 담고 있다. 이들이 샬롬 펠로우십에 참여하면서 기독교 신앙과 '락앤롤' 생활 방식의 관계에 의문을 품게 됐고, 밴드를 해체하겠다고 위협했다.[1]
U2는 1981년 2월 보이투어 3차전을 마친 뒤 1981년 7월 녹음실에 들어서면서 10월 신소재를 쓰기 시작했다. 그들이 1980년에 데뷔한 보이에서 그랬던 것처럼, 그 밴드는 윈드밀 레인 스튜디오에서 릴리 화이트 프로듀싱으로 녹음했다. 보노가 신곡의 진행 중인 가사가 담긴 서류 가방을 잃어버려 앨범을 제시간에 완성하는 데 급급하고 즉흥적인 접근이 불가피해 녹음 시간이 복잡했다.
10월은 1981년 7월 리드 싱글 '파이어'에 이어 두 번째 싱글 '글로리아'가 발매와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 앨범은 엇갈린 평과 제한된 라디오 플레이를 받았다. 2008년에는 10월 개정판이 발매되었다.
녹음
1981년 2월 그들의 보이 투어가 진행되는 동안 U2는 새로운 소재를 쓰기 시작했다. ("Fire"는 U2가 보이 투어를 쉬는 동안 바하마 컴퍼스 포인트 스튜디오에서 이미 녹음되었다.) 그들은 미니애폴리스의 퍼스트 애비뉴에서 연장된 사운드 체크를 하는 동안 10월의 일부를 썼다.[2] 지난 3월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한 나이트클럽에서 진행 중인 가사와 음악적 아이디어가 담긴 리드보컬 보노의 서류가방을 무대 뒤에서 분실했다.[3][4] 이 밴드는 투어에서 새로운 음악을 작곡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었고 7월에 윈드밀 레인 스튜디오에서 거의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두 달간의 녹음 세션을 시작했기 때문에 [5]보노는 재빨리 가사를 즉흥적으로 작곡할 수밖에 없었다.[3] U2의 데뷔 앨범 '보이'의 프로듀서 역할을 다시 맡은 스티브 릴리 화이트는 이 세션을 "완전히 혼란스럽고 미친"이라고 불렀다.[6]
보노는 10월 녹음 과정에 대해 "압박했던 기억이 나고, 마이크에 가사를 쓴 기억이 나는데, 시간당 50파운드면 상당히 부담스럽다. 릴리 화이트는 스튜디오를 왔다 갔다 하고... 그는 정말 잘했다. 그리고 10월의 아이러니한 점은 앨범이 그 압박 속에서 녹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종의 평화가 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10월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즉, 나는 사람들이 10월을 반대하는 정신적 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재회'라는 단어를 정확히 사용했다. 힘찬 말, 사랑스런 말이다. 그건 '일어나서 춤춰, 아가'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나는 10월이 대부분의 락앤롤 밴드들이 무시하는 지역으로 간다고 생각한다. 'Tomorrow' 같은 앨범을 들으면 정말 감동이야."[7] 서류 가방은 결국 2004년 10월 회수됐고, 보노는 반납을 '은혜의 행위'로 맞이했다.[8] 릴리화이트는 래리 멀런 주니어의 드럼을 윈드밀 레인 스튜디오 for 보이 접수 구역의 계단에서 녹음한 반면, 제작자는 10월 동안 드럼의 녹음을 스튜디오로 옮겼으며, 이후 릴리화이트는 "잘 되지 않은 것 중 하나"[9]라고 불렀다.
구성
"인플루언스, 주로 조이 디비전, 보이지 않는 소녀들. 어떤 노래에 대해 쓰고 있는지 모르는 훌륭한 예. '내일'이라는 노래는 어머니의 장례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다. 하지만 언제 쓰는지 전혀 몰랐어."
—Bono[10]
이 음반은 특히 "글로리아, te domine"의 라틴어 합창곡인 "Gloria, in te domine"과 "With a Shout"(예루살렘) 그리고 "Tomorrow"에서 종교와 영성을 강조하였다. 보노는 2005년 이 앨범에 대해 "2집, 즉 어려운 2집 앨범이 신에 관한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겠느냐"[11]고 선언했다.
이 곡들은 주로 '글로리아', '레조이스' 등의 곡으로 U2의 리프 로커 공식을 다듬지만, 밴드 역시 몇 가지 방법으로 음악적 팔레트를 확장했다. 특히 기타리스트 The Edge는 'I Fall Down', 'Stranger In a Strager Land', 'Scarlet', '10월' 등의 곡에 피아노를 접목했다. 어릴 적 세상을 떠난 보노의 어머니에 대한 한탄인 '내일'에는 인투아누아 후작 비니 킬두프가 연기한 우일란 파이프가 등장한다.[12] 'I Turn a Brick Through a Window'는 밴드 최초로 드러머 래리 뮬런 주니어를 부각시킨 곡 중 하나였으며, '글로리아'는 베이시스트 아담 클레이튼을 한 곡에 3가지 스타일의 연주(대부분 픽을 사용, The Edge의 슬라이드 기타 연주 중 손가락 연주, 그리고 마지막을 향한 '슬랩&팝' 솔로곡으로 돋보이게 했다.
"그것이 전부인가?"는 밴드가 라이브로 "The Electric Co."의 소개로 사용했던 오래된 노래인 "Cry"의 리프를 차용했다.
해제
10월은 1981년 10월 12일에 개봉되었다.[13] 이 앨범의 두 싱글은 모두 앨범 발매 전에 발표되었다; "Fire"와 "Gloria"는 1981년 7월과 10월에 각각 싱글로 발매되었다.
10월은 MTV가 라디오처럼 처음 인기를 얻고 있던 시기에 발표되었기 때문에 이 뮤직비디오를 밴드의 창작 작업에 필수적인 부분으로 보는 U2의 비전의 시작이었다. '글로리아'의 비디오는 메이어트 에이비스가 감독을 맡았고 더블린의 운하 분지에서 촬영되었다.
2008년에는 앨범의 리마스터판이 발매되었는데, 리마스터된 트랙과 함께 비사이드와 래리츠가 함께 리마스터된 곡이 수록되었다. 리마스터의 세 가지 다른 포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임계수신호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오스틴 크로니클 | ![]() ![]() ![]() ![]() ![]() |
A.V. 클럽 | B+[16] |
시카고 트리뷴 | ![]() ![]() ![]() ![]() |
크리스토퍼 레코드 가이드 | B−[18]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B[19] |
피치포크 | 7.1/10[20] |
구르는 돌 | ![]() ![]() ![]() ![]() ![]() |
롤링스톤 앨범 안내서 | ![]() ![]() ![]() ![]() ![]() |
소리. | ![]() ![]() ![]() ![]() ![]() |
개봉 당시 10월은 전작보다 평가가 엇갈렸다. Sounds의 Dave McCullough는 이 앨범을 높이 평가하면서 "그때의 절정 팝의 일종으로, 반절정도는 아니다. '글로리아'가 '최고의 순간'이 될 수도 있고 '내일'이 낮고 음소거된 감정으로 부드럽게 스며드는 등 양편의 시작에 나타나는 두 가지 두드러진 모습에서 회복하면서 이 모든 것이 불을 뿜는다. McCullough는 "올 10월은 영원할 것"[23]이라고 결론지었다. 멜로디메이커의 애덤 스위팅도 "그들의 전체 음악적 감성은 그들의 고국과 전통에 대한 강한 감정적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대부분의 그룹과는 전혀 다른 기준의 프레임을 부여하고, '10월'에는 혼란의 빗장을 동화시켜 그것을 응집력 있는 음악의 몸통으로 만들 수 있는 힘이 주어진다."[24]
반면 NME는 부정적인 리뷰를 발표했는데, 이 리뷰에서 바니 호스킨스는 "보노의 목소리의 과도한 구슬픔과 U2의 소리의 강제력"에 주목했다. 그는 결론을 내렸다: "분명 록은 그룹들이 그것을 바꿀 방법이 없다고 해서 만료되지는 않는다... U2는, 라이브 공연에서는 계속 '움직임'하겠지만, 그들은 가장 가벼운 표면에서만 움직일 것이다. 그들의 음악은 '소리'를 낸다. 그러나 '신'은 다른 종교가 있다는 것을 안다"[25]고 말했다. 롤링스톤의 존 파렐스는 강력한 기타 연주에 대해 "에지와 영광에 젖어 있다"고 칭찬했지만, 보노의 보컬은 그가 자신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가사가 어리석고 진부한 것이라고 말했다. 파렐스는 이 밴드가 자신들의 음향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인정하면서도 "기본적인 파워트리오 역학만큼 잘 작동하는 전략은 아직 없다"[21]고 말했다. 올뮤직의 스티븐 토머스 얼루인은 회고평에서 10월 보노가 거창한 발표를 하기 위해 발버둥치고 음악은 "너무 거만하다"고 말했다. Erlewine은 "메시지, 멜로디, 그리고 소리를 함께 결혼"하는 어떤 "엄청나게 인상적인" 노래들을 강조했었다.[14]
트랙리스트
모든 트랙은 U2에 의해 쓰여진다.
No. | 제목 | 길이 |
---|---|---|
1. | "글로리아" | 4:14 |
2. | "나는 넘어진다" | 3:39 |
3. | "창문으로 벽돌을 던졌다" | 4:54 |
4. | "리조이스" | 3:37 |
5. | "불" | 3:51 |
No. | 제목 | 길이 |
---|---|---|
1. | "내일" | 4:39 |
2. | "10월" | 2:21 |
3. | 외침과 함께 (예루살렘) | 4:02 |
4. | "이상한 나라의 경비원" | 3:56 |
5. | "스칼렛" | 2:53 |
6. | "그게 다야?" | 2:59 |
총 길이: | 41:05 |
2008년 개정판
2008년 4월 9일, 아마존닷컴은 10월이 밴드의 첫 세 앨범 중 다른 두 앨범과 함께, 새롭게 리마스터된 버전으로 다시 발매될 것이라고 확인했다.[26] 리마스터된 앨범은 2008년 7월 21일 영국에서 발매되었으며, 다음날 미국 버전이 그 뒤를 이었다. 리마스터 버전의 커버 아트워크는 공백과 트랙 이름을 자르도록 변경되었다. 10월의 리마스터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식으로 발매되었다.[26]
- 표준 형식: 오디오가 재생되고 패키지가 복원된 단일 CD. 이전에 보지 못했던 사진, 전체 가사, Neil McCormick의 새로운 라이너 노트 등을 담은 16페이지 분량의 책자를 포함한다. 11곡은 앨범의 이전 발매와 일치한다.
- 디럭스 형식: 표준 CD(위의 내용) 및 보너스 CD. 보너스 CD에는 해머스미스 팔레의 라이브 5곡, BBC의 라이브 3곡, 10월 이후 발매된 "Trash, 트램폴린, 파티 걸" 싱글, 앨범 싱글의 B-side 2곡, 보스턴 파라다이스 쇼의 라이브 4곡, 기타 2곡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이전에 보지 못했던 사진, 전체 가사, 닐 맥코믹의 새로운 라이너 노트, 그리고 더 엣지의 보너스 자료에 대한 설명 노트가 포함된 32페이지의 소책자도 포함되어 있다.
- 비닐 형식: 한 장의 앨범이 180그램의 비닐에 복원된 포장이 담긴 버전을 다시 매스터링했다.
보너스 CD
모든 트랙은 U2에 의해 쓰여진다.
No. | 제목 | 원본 브로드캐스트/릴리스 | 길이 |
---|---|---|---|
1. | "글로리아" (1982년 12월 6일 런던 해머스미스팔레스에 산다) | BBC 라디오 1 (1983년 1월 8일) | 4:43 |
2. | "I Fall Down" (1982년 12월 6일 런던 해머스미스팔레스에 산다) | BBC 라디오 1 (1983년 1월 8일) | 3:02 |
3. | "나는 창문을 통해 벽돌을 던졌다."(1982년 12월 6일 런던 해머스미스팔레스에 산다) | BBC 라디오 1 (1983년 1월 8일) | 3:52 |
4. | "불이야" (1982년 12월 6일 런던 해머스미스팔레스에 산다) | BBC 라디오 1 (1983년 1월 8일) | 3:32 |
5. | "10월" (1982년 12월 6일 런던 해머스미스팔레스에 산다) | BBC 라디오 1 (1983년 1월 8일) | 2:22 |
6. | 외침과 함께 (1981년 9월 3일 BBC 세션) | BBC 라디오 1 (1981년 9월 8일 방송) | 3:34 |
7. | "Scarlet" (1981년 9월 3일 BBC 세션) | BBC 라디오 1 (1981년 9월 8일 방송) | 2:46 |
8. | "창문으로 벽돌을 던졌다"(1981년 9월 3일 BBC 세션) | BBC 라디오 1 (1981년 9월 8일 방송) | 4:18 |
9. | "축하" | "축하" 싱글 | 2:57 |
10. | "J. 스왈로" | 파이어 싱글 | 2:20 |
11. | "트래시, 트램펄린 그리고 파티 걸" | "축하" 싱글 | 2:36 |
12. | "I Will Follow" (1981년 3월 6일 보스턴 더 파라다이스에서 산다) | "글로리아" 싱글 | 3:44 |
13. | "더 오션" (1981년 3월 6일 보스턴 더 파라다이스에서 라이브) | 파이어 싱글 | 2:15 |
14. | "The Cry / The Electric Co." (1981년 3월 6일 보스턴 더 파라다이스에서 라이브) | "불꽃" 싱글 ("광대를 들여보내" 없이) | 4:28 |
15. | "11시 틱톡" (1981년 3월 6일 보스턴 파라다이스에서 라이브) | 파이어 싱글 | 4:57 |
16. | "따라갈게" (1982년 5월 14일 Hattem에서 라이브) | "I Will Follow"(라이브) 싱글 | 3:52 |
17. | "내일" (Common Ground remix) | Common Ground 컴파일 | 4:36 |
총 길이: | 59:55 |
인원
U2[27]
- Bono – 리드 보컬
- The Edge – 기타, 피아노, 백 보컬
- Adam Clayton – 베이스 기타
- 래리 멀런 주니어 – 드럼
추가 음악가[27]
기술
- Steve Lilywhite – 프로듀서
- 폴 토마스 – 엔지니어
- Kevin Maloney – 보조 엔지니어
- 이언 쿠퍼 – 마스터링
차트
차트 | 피크 포지션 |
---|---|
오스트레일리아(켄트 음악 보고서)[28] | 34 |
벨기에 앨범(Ultratop Flanders)[29] | 56 |
벨기에 앨범(Ultratop Wallonia)[30] | 47 |
네덜란드 앨범(앨범 Top 100)[31] | 31 |
독일 앨범(Offizielle Top 100)[32] | 96 |
아일랜드 앨범(IRMA)[33] | 17 |
이탈리아 앨범(FIMI)[34] | 35 |
뉴질랜드 앨범(RMNZ)[35] | 6 |
스페인 앨범(PROMUSICAE)[36] | 41 |
스웨덴 앨범(Sverigetophlistan)[37] | 40 |
영국 앨범(OCC)[38] | 11 |
미국 빌보드 탑 LP & 테이프[39] | 104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오스트레일리아(아리아)[40] | 금 | 35,000![]() |
프랑스(SNEP)[41] | 금 | 100,000* |
영국(BPI)[42] | 백금 | 300,000^ |
미국(RIAA)[43] | 백금 | 1,000,000^ |
* 인증만으로 판매 수치를 산출한다. |
참고 항목
참조
각주
- ^ 플래너건(1995), 페이지 46-48
- ^ Keller, Martin (4 August 1999). "Young Spuds in a Longhorn Daze". City Pages. Village Voice Media. p. 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09. Retrieved 16 November 2009.
- ^ a b 맥코믹(2006), 페이지 113–120
- ^ Rose, Joseph (22 March 2016). "How U2, a Portland bar and a missing briefcase altered music history (photos)". OregonLive.com. Advance Internet. Retrieved 31 March 2016.
- ^ 맥기(2008) 페이지 46–47
- ^ Savage, Mark (18 July 2008). "U2's producer reveals studio secrets". BBC News. BBC. Retrieved 24 December 2016.
- ^ "U2 at the RDS". U2 Magazine, No. 2. 1 February 19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1. Retrieved 5 November 2007.
- ^ "U2 lyrics returned after 23 years". BBC News. 22 October 2004. Retrieved 20 May 2010.
- ^ Lillywhite, Steve (29 June 2005). "The U2 I Know". Hot Press. Vol. 29, no. 12. Retrieved 19 July 2017.
- ^ Wenner, Jann (3 November 2005). "Bono on the Records". Rolling Stone. No. 986. p. 60.
- ^ 뉴스: 대본: U2의 로큰롤 명예의 전당 유도 연설
- ^ 맥기(2008), 페이지 76
- ^ "October (1981)". U2.com. Live Nation. Retrieved 10 August 2011.
- ^ a b Erlewine, Stephen Thomas. "October – U2". AllMusic. Retrieved 28 December 2010.
- ^ Hess, Christopher (30 March 2001). "U2: October (Island)". The Austin Chronicle. Retrieved 7 February 2011.
- ^ Hyden, Steven (28 July 2008). "U2". The A.V. Club. Retrieved 16 December 2020.
- ^ Kot, Greg (6 September 1992). "You, Too, Can Hear The Best Of U2". Chicago Tribune. Retrieved 16 December 2020.
- ^ Christgau, Robert (1990). "U2: October".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Pantheon Books. ISBN 0-679-73015-X. Retrieved 30 December 2010.
- ^ Wyman, Bill (29 November 1991). "U2's Discography".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24 September 2015.
- ^ Tangari, Joe (24 July 2008). "U2: Boy / October / War". Pitchfork. Retrieved 30 December 2010.
- ^ a b Pareles, Jon (4 February 1982). "October". Rolling Stone. No. 362. Retrieved 29 August 2018.
- ^ Considine, J. D.; Brackett, Nathan (2004). "U2". In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eds.).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th ed.). Simon & Schuster. pp. 833–34. ISBN 0-7432-0169-8.
- ^ a b McCullough, Dave (24 October 1981). "Bono Fide". Sounds.
- ^ Sweeting, Adam (10 October 1981). "The Art of Survival". Melody Maker.
- ^ Hoskyns, Barney (10 October 1981). "Fade to Grey". NME.
- ^ a b "Boy, October, War: Remastered". U2.com. 9 April 2008. Retrieved 9 April 2008.
- ^ a b October (Vinyl release liner notes). U2. Island Records. 1981.
{{cite AV media notes}}
: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317. ISBN 0-646-11917-6.
- ^ "울트라톱.– U2 – 10월(네덜란드어).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울트라톱.– U2 – 10월(프랑스어).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Dutchcharts.nl – U2 – 10월"(네덜란드어).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Offiziellecharts.de – U2 – 10월"(독일어) GfK 엔터테인먼트 차트.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Irish-charts.com – Discography U2".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Italiancharts.com – U2 – 10월"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Charts.nz – U2 – 10월"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Spanishcharts.com – U2 – 10월"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Swedishcharts.com – U2 – 10월" 헝 메디엔. 2019년 11월 20일 회수.
- ^ "U2 full Official Charts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20 November 2019.
- ^ "U2 October Chart History". Billboard. Retrieved 20 November 2019.
- ^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19 Albums" (PDF).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6 November 2019.
- ^ "French album certifications – U2 – October" (in French). InfoDisc. Retrieved 3 January 2021. U2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십시오.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U2 – October".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Retrieved 6 November 2019.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U2 – October".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Retrieved 6 November 2019.
참고 문헌 목록
- Flanagan, Bill (1995). U2 at the End of the World. New York: Delacorte Press. ISBN 0-385-31154-0.
- McGee, Matt (2008). U2: A Diary. London: Omnibus Press. ISBN 978-1-84772-108-2.
- U2 (2006). McCormick, Neil (ed.). U2 by U2. London: HarperCollins. ISBN 0-00-719668-7.
외부 링크
- 10월 U2.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