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텔루파

Mitteleuropa

미트로파(Mitteleuropa, [ˈmɪtlʔɔɔɔʏʏrororororoːpa]발음됨)는 중유럽을 뜻하는 독일어 용어 중 하나이다.[1] 그 용어는 다양한 문화적, 정치적,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2][3][4]

미테레우로파프러시아 비전은 범독주의 국가 중심 임페리움으로, 이후 국가사회주의 지정학자들이 변형한 형태로 채택한 사상이다.[5][6][7]

기본

독일어 "Mitteleuropa"는 유럽의 모든 지역에서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이해되지 않는다. 이 용어는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부 이탈리아, 특히 프리울리와 트리에스테에서는 공통의 정의가 독일과는 다소 다르다:미트로파는 옛 오스트리아-헝가리 왕정의 후계국들과 동일시된다. 발트해 국가나 북독일-폴란드 평야와 같은 지역은 "북유럽"으로, 독일의 다른 지역은 "서유럽"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오늘날 중부 유럽 (Mitteleuropean) 성 훈장. 게오르그는 주로 옛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역에 그 중심지를 두고 있다. 군주제.[8][9]

개념사

중세 이주

흑사병이 500년의 오스티드룽 과정을 종식시켰던 14세기 중반 무렵, 서유럽의 인구는 엘베 강과 사일 을 훨씬 넘어 게르마니아 슬라비카의 '완디쉬' 중앙유럽 지역으로 이동했다. 그들은 발트 해안을 따라 홀슈타인에서 더어 포메라니아로, 오데르 강을 거슬러 모라비아 문으로, 다뉴브 강을 따라 헝가리 왕국으로, 슬로베니아카르니올라로 이동했다. 비스토라 강 하구와 프러시아 지역에서 테우토닉 기사단은 무력으로 에스토니아 레발(탈린)까지 이주를 계속했다. 그들은 또한 보헤미아모라비아의 산악 국경지역을 정착시켰고 프라하, 하블리치키k프 브로드(독일 브로드), 올로무크(올무츠), 브르노(브룬)와 같은 마을에서 뚜렷한 시민사회계급을 형성했다. 그들은 폴란드 크라쿠프 보이보데쉬프, 서부 카르파티아인, 트란실바니아(시벤뷔르겐)로 이주하여 농작물 순환독일 도시법을 도입하였다.

미트로파의 다른 비전

19세기 전반에는 지리적, 민족적, 경제적 고려를 바탕으로 러시아 제국과 서유럽 강대국 사이에 중앙-유럽 연합의 사상이 대두되었다.

미트로파(Mitteleuropa)라는 용어는 1848년에 시도된 용어의 최초의 이론화인 카를 루트비히브루크로렌츠 스타인에 의해 공식적으로 소개되었으며,[10] 일련의 서로 맞물리는 경제 연합을 목표로 하였다.[11] 그러나 오스트리아의 장관 겸 대통령인 슈바르첸베르크의 펠릭스 왕자가 주창한 계획은 독일 국가들의 저항으로 무산되었다. 1866년 오스트리아-프러시아 전쟁과 1871년 오토비스마르크 총리 휘하의 프러시아 주도의 독일 통일 이후, 오스트리아는 지도력에 대한 주장을 버려야 했고, 이후 다뉴브 유역에 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땅을 지칭하기 위해 미트로프로파를 이용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독일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미트로파 개념이 진화하였는데, 합스부르크 왕조의 확고한 지도하에 독일 연방과 다민족 오스트리아 제국의 주들이 합병된 것에 해당한다.

독일에서는 미트로파에 대한 정치적, 민족적 비전이 지배하기 시작했다. 1848년 혁명 이후 프리드리히 리스트하인리히 가겐과 같은 자유주의 이론가들이 이 아이디어를 채택했다. 그러나, 새로운 정착민 식민주의의 개념을 수반하는 뚜렷한 범독사상이 그 사상과 연관될 것이다. 독일 제국에서 오스포르스충범독연맹이 전파한 반슬래브, 특히 반폴란드적 관념이 현저한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중부유럽의 민족독일이 이룬 업적을 집중 조명했다. 1914년과 9월에 이르러 독일의 지배하에 있는 중부 유럽을 뜻하는 미트로프로파는 독일의 패권 정책의 일부가 되었다.[12]

프러시아 미트로파 계획

1918년 2월 9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1918년 3월 3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1918년 5월 7일 부쿠레슈티 조약 이후 중유럽과 동유럽에서 새로운 정치질서를 위한 독일의 계획으로 추정되는 지도.
독일과 그 동맹국들
폴란드의 러시아 일부 지역 및 독일/터키에 의해 병합되는 아르메니아/조르지아 일부 지역
독일의 완전한 통제 하에 있는 반 자치주 – 계획된 합병
새로운 국가 – 독일에 경제적, 행정적으로 의존하는 국가
우크라이나 – 독일의 경제 통제하에
계획 타타르 공화국 – 독일 통제 지역
독일과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결속된 나라들
계획적인 트라사카시아 공화국 - 독일과 정치적으로 결속됨
러시아 내 반자율 코삭 주 - 독일 영향권

미트로파 계획은 독일 제국[13][14] 의해 중앙유럽에 대한 경제적 문화적 헤게모니를 달성하고 이후 이 지역에 대한 경제적·재정적[15][16] 착취와 직접 합병,[15] 꼭두각시 국가 만들기, 독일과 러시아 사이의 완충을 위한 괴뢰 국가 만들기를 병행하는 것이었다. 중앙유럽의 문제는 1915년 독일의 사상가 프리드리히 나우만(Friedrich Naumann)이 그의 작품 미트로프로파(Mitteleuropa)에서 가져갔다. 그의 생각에 따르면, 유럽의 이 지역은 독일의 지배를 받는 정치 경제적으로 통합된 블록이 되는 것이었다. 나우만은 그의 프로그램에서 독일화, 헝가리화 프로그램도 지원했다.[17] 나우만은 그의 저서에서 자연에 대한 찬사와 비독일인에 대한 제국주의적인 언변, 그리고 비독일인에 대한 제국주의적 거들먹거림을 사용하면서 정치인들에게 비독일어에 대해 어느 정도 '유연성'을 보여 '화합성'[13]을 이루라고 충고했다. 나우만은 그것이 중앙-유럽 지역 전체를 안정시킬 것이라고 썼다.[18] 계획의 일부에는 크림반도에 새로운 주를 만들고 발트 주들을 고객국으로 하는 설계가 포함되어 있었다.[19]

독일의 집권 정치 엘리트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트로파 계획을 수용하면서 유럽의 새로운 질서에 대한 독일의 전쟁 목표와 계획을 이끌어냈다.[17] 미트로파(Mitteleuropa)는 독일제국의 지배하에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측면이 있을 일련의 괴뢰국가를 설립함으로써 창조될 예정이었다.[20] 이 지역 전체가 독일의 경제적 뒷마당 역할을 할 예정이었는데, 그 착취로 독일 세력권영국, 미국 같은 전략적 경쟁자들과 더 잘 경쟁할 수 있게 되었다.[20] 정치, 군사, 경제조직은 독일의 지배에 기초하여,[21] 폴란드나 우크라이나와 같은 나라에 상업조약을 부과하기로 되어 있었다. 독일의 노동계급은 새로운 경제 세력권인 영토 병합과 독일의 물질적 이익을 위한 정복국가의 착취라는 경제적 이익을 통해 독일 정치인에 의해 유화될 수 있다고 믿었다.[22] 이러한 계획의 부분적인 실현은 독일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지배의 보장이 마련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반영되었다.[23] 미트로파 계획은 대영제국에 의해 위협으로 여겨졌는데, 대영제국은 이 계획이 영국 대륙 무역을 파괴할 것이라고 결론지었고, 그 결과 군사력의 원천이 되었다.[14]

미트로파의 다른 비전

미트로파(Mitteleuropa)는 지리적 위치를 기술하고 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활동한 독일 주도의 착취적인 중앙 유럽 연합의 정치적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이기도 하다. 역사학자 요르그 브레히테펠트는 미트로파(Mitteleuropa)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미트로파라는 용어는 결코 단순한 지리적 용어가 아니었다. 또한 유럽, 동, 서양의 정치학자들이 정치적 사상이나 개념의 동의어로 사용하는 용어인 만큼 정치적 용어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미트로파는 동서양의 유로파의 그 부분이었다. 이것이 불경스럽게 들릴지 모르지만, 이것은 아마도 이용할 수 있는 미트로파의 가장 정확한 정의일 것이다.[24]

19세기 말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의 시기의 미트로페 문학은 1960년대부터 새롭게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부흥의 선구자는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로베르토 칼라소, 이탈리아 출판사 아델피였다.[25] 1920년대 프랑스의 학자 피에르 레누빈은 세르비아와 다른 민족주의 운동에 의해 경제적 붕괴로 위협받았다고 믿었던 오스트리아를 독일이 구제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하는 11권의 문서를 발표했다. J Keiger는 이러한 의견을 확인한 '피셔 논쟁' 토론에서 독일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의 구실을 찾고 있다는 수정주의자들의 주장을 반박했다.[26]

독일 총리 테오발트베스만 홀웨그의 계획은 중앙 유럽 경제 연합을 위해 준비되었다. 1914년 9월에 출판된 상호의존적 개발 프로그램은 프랑스를 중앙 유럽 관세 연맹에 포함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독일의 벨기에 점령은 이 과정에서 제1단계였고, 결국 결실을 맺지 못했다. 플랑드르 공작과 바르샤바 대공작의 창설 계획은 향후 "지역화된" 행정의 정치적 단위로 논의되었다. 원래의 경제 계획은 발터 라테나우알프레드그위너가 각각 한스 델브뤼크의 법적 지원을 받아 1914년 이전에 구상한 것이다. 독일 철학자들이 대유럽의 더 넓은 지속가능성을 믿었던 19세기 졸베린과 독일 연방의 역사와 일치하는 관세동맹이었다. 쇤베크 등으로부터 독일을 너무 내향적으로 만들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미테레우파는 훗날 수상인 폰 헤링턴과 외교관인 쿠르트 쾰만의 지지를 얻었다. 주요 걸림돌은 지속되었고 오스트리아 시장에 대한 독일이 독점적으로 접근하는 반면, 폰 팔켄하우젠과 같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으로는 유럽의 군사 지배 이전에는 경쟁의 숙달은 불가능했다.[27]

미트로파(Mitteleuropa)의 증축은 롱위-브리 분지였다.Briey) 분지였다. 1871년 이후 이미 합병된 알자스-로레인 서쪽의 광산 지역을 점령한 것은 Schlieffen 계획과 독일의 전쟁 목표의 주요 부분이었다. 높은 고원은 프랑스 내륙을 지배하면서 독일군에 광범위한 화력을 부여했다. 그러나 그 지역에는 또한 엄청나게 귀중한 철분이 매장되어 있었다. 이것들은 프랑스와 독일의 전쟁 노력에 필수적이었다. 중공업의 발전은 "제국 보호 행정하의" 경제 정책의 중심적 특징이었다. 당초 로에데른 제국 재무관은 프랑스 자산을 관세동맹과 연방으로 '합작'하는 계획이 성공할 것이라는 데 크게 회의적이었으나, 1915년 1월, 1916년 8월 26일까지는 공식적인 독일 정책이었다.

미트로파 최초의 항구는 앤트워프였다: 1914년 8월 벨기에의 점령은 칸막이를 연상시켰다. 따라서 앵글로필레 알베르 발린은 "독일-벨기에 무역회사"를 설립하여 점령지의 자산과 사람들을 제국으로 다시 이양했다. 우체국은 독일, 그러니까 철도와 은행들이 모두 경제위원회에 의해 감독되고, 민간기업과 공공 부문 사이의 연락 그룹이 될 것이다. 벨기에 자본시장은 칼 폰 럼의 보고서에 흡수되었고 발행된 모든 통화는 라이히스뱅크의 지원을 받았다. 1915년 11월 25일 마침내 완성된 독일-룩셈부르크 세관 협회에서 지속된 "부탁" 해상보안 양해각서에서 "바다로의 레이스"와 벨기에 항구에 대한 독일의 집착은 주요한 정책 구상이 계속되었다. 이론적 작업의 대부분은 독일을 영국의 지도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지정된 1915년 봄부터 6개 경제 협회가 암기하여 수행하게 될 것이다.

Mitteleuropa는 또한 독일 내에 그들의 적들을 가지고 있었다. 마그데부르크 출신의 역사가이자 SPD의 일원인 에리히 마르크는 전쟁 전에 "그 위대한 유럽의 사상"을 언급했었다. 그리고 1916년 3월에 그는 재상에게 전쟁의 목적에 대한 공개적인 토론을 위한 제국주의자들의 전화를 다시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문화

미트로파는 또한 많은 과일과 예술, 문화를 가져온 비옥한 지역을 나타내기 위해 문화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때로는 합스부르크 사상과 문화라는 표현으로 나타내기도 한다.[28] 풍부한 미트로페아 문학과 문화 전통에는 폴란드 철학, 체코 아방가르드 문학, 헝가리 사회 이론과 과학, 오스트리아의 서정시, 그리고 아이러니와 언어적 능력의 공통 역량이 있다.[29]

유대계 헝가리 작가 콘라드에 따르면 미트로페아 정신은 "복수를 가치로 받아들이는 것을 협의하는 정신"[30][31]으로, 복잡성과 다언어주의를 허용하는 심미적 감수성, 심지어 자신의 치명적인 적까지 이해하는 전략이다. 1984년 프라하에서는 1918년 이전의 합스부르크 제국을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가톨릭 수정주의자의 시각으로 특징지어지긴 했지만, 저널 스테드니 에브로파(Mitteleuropa)가 창간되었다.[32] 폴란드 시인 즈비그뉴 허버트(Zbigniew Herbert)는 1992년 저서 로비고(Wrocwww)에 수록된 시 미트로파(Mitteleuropa)를 썼다.

문학 미트로파의 주요 작가로는 조셉 로스(1894–1939), 스테판 즈바이그(1881–1942), 아놀드 즈바이그(1887–1968)와 라이온 푸치트왕거(1884–1958)가 있다.[33] 로스의 소설 '라데츠키 행진곡'은 한 가족이 귀족으로 승격하는 이야기를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쇠퇴와 몰락을 연구한 작품이다.[33]

Other authors that have been catalogued as of Mitteleuropean literature are the Hungarians Sándor Márai (1900–1989), János Székely (1901–1958), Milán Füst (1888–1967), Ödön von Horváth (1901–1938); the Polish-Yiddish Israel Joshua Singer; the Czech-Austrians Leo Perutz (1882–1957), Alfred Kubin (1877–1959), Franz Werfel (1890–1945), Johannes Urzidil (1896–1970), Ernst Weiss (1882–1940); the Austrians Arthur Schnitzler (1862–1931), Alexander Lernet-Holenia (1897–1976), Hermann Broch (1886–1951), Soma Morgenstern (1890–1976), Karl Kraus (1874–1936), Hugo von Hofmannsthal (1874–1929), Peter Altenberg (1859–1919); the Croatian Miroslav Krleža (1893–1981); the Bulgarian Elias Canetti (1905–1994); 독일계 프랑크 웨데킨드(1864–1918), 이탈리아계 이탈로 스베보(1861–1928), 클라우디오 마그리스(1939–), 로베르토 칼라소(1941–), 스위스계실릭(1894–1962) 등이다.

소설 이외에는 옛 오스트리아의 괴짜 학자들로는 레오폴트 스존디, 유겐 하인리히 슈미트, 요제프 포퍼-린케우스 등이 있다.[28]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1. ^ 레오 에르헤비네스 퓌르 "미트로파"
  2. ^ Wendt, Jan 'Wspowpraca regionalna Polski w Europie środkowej' Centrum Europejskie University of 바르샤바, Studia Europejskie, nr 4/1998.
  3. ^ 존슨, 로니(1996) 중부 유럽: 적, 이웃, 프렌즈pp.6–12 인용구:

    그것은 다른 사람들을 위해 다른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그것의 의미는 다른 국가 및 역사적 맥락에서 변화한다. 또는 자크 루프닉이 관찰한 바와 같이 "중앙유럽이 어디에 있는지 말해줘, 그리고 나는 당신이 누구인지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인들이 중부유럽이나 미트로파, 혹은 '동양'과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할 때, 이것은 필연적으로 중세 테우토닉 기사단의 정복으로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독일 제국주의로 끝나는 부정적인 역사적 연관성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긴장하기 시작한다.엔투리, 제1차 세계 대전, 제3제국, 나치 제국주의, 제2차 세계 대전, 홀로코스트.

  4. ^ 비쇼프 (2000) 페이지 558 인용:

    나는 "중부 유럽"의 최소 7가지 다른 "정의"를 확인했다: Mitteleuropa (독일 제국주의 의미에서의); German-Jewish Central Europe; the Central Europe of small (non-Germanic) nations (the Palacky-Masaryk tradition); the nostalgic, k.u.k. or Austro-Hungarian version of Mitteleuropa (without imperial Germans) which is related to the Austro-Hungarian version of Mitteleuropa in the 1970s and 1980s (Kreisky-Kadar-Busek); the Mitteleuropa of the West German 좌익과 1980년대 평화운동, 동유럽 반체제 인사와 지식인(예: 밀로즈, 쿤라드)의 '중앙유럽',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럽연합의 '중동유럽'을 들 수 있다.

  5. ^ Hann, C. M. and Magocsi, Paul R. (2005) 갈리시아: 다원화 토지, 페이지 178–9 인용구:

    미트로파의 개념은 긍정과는 거리가 먼 다양한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다…… 합스부르크 시대의 향수에 의해 애틋하게 회상미트로파는 미트로파에 대한 프러시아인의 이해에 분명한 반대 입장에 서 있다. 합스부르크의 다국적 비전은 프리드리히 나우만 등이 처음 추진한 프러시아 국가 중심 이상에 대한 부정이며, 이후 나치 지정학자들이 채택한 것이다.

  6. ^ 에더, 클라우스와 스포언, 윌프리드 콜렉티브 메모리, 유럽 아이덴티티프.90–1, 인용:

    중앙유럽이 망각에서 회복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와 다른 미테로페아 국가들, 즉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간의 과거의 연결고리, 친근감, 문화적 공통점에 대한 기억도 다시 전면에 등장한 것 같다…… 이탈리아에서 미트로페아 문학의 역할과 무게를 언급해야 한다. 이 장르는 미텔페스트와 같은 문학 축제와 아델피와 같은 중요한 출판사의 지원 덕분에 1960년대 초부터 이탈리아 독자들 사이에서 그리고 문화 논쟁에서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 ...와 같은 작가들은 모두 이탈리아인, 오스트리아, 체코인, 헝가리인 등으로 읽혀지고 이탈리아인들에게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미테레무로페안으로도 알려져 있다. 잘 알려진 작가 클라우디오 마그리스는 1960년대 미트로페아 문화의 부흥과 한 때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였던 그 영토들 사이에서 공통된 문화적 코이네의 존재에 대한 인식에 누구보다도 기여했다… 미트로파의 개념은 마그리스와 같은 작가들이 상상하듯이 프레데리히 나우만의 미트로파(Le Rider 1995:97–106)로 거슬러 올라가는 악명 높은 범독일적 해석과는 무관하다. 참조의 요지는, 그 대신, 초국가적이고 국제적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그 구체적인 '문화적이고 영적인 코이네'이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둘러싼 당혹감은 없다.

  7. ^ 비쇼프, 귄터, 펠린카, 안톤과 스티펠, 디터(2000) 오스트리압.552마셜 플랜 인용:

    독일어를 사용하는 세계는 서유럽 사상이 중부 유럽으로 전달되는 여과였다.미트로파의 변경은 좀 더 온순한 합스부르크 또는 1867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버전의 미트로파 뿐만 아니라 나우만의 독일 "경제적 공간"이나 히틀러의 레벤스라움에서 보다 공격적인 독일판과 일치할 수 있다.

  8. ^ 에르하르트 부섹스, 에밀 브릭스: 프로젝트 미트로파 비엔나 1986.
  9. ^ 르 라이더, 자크 "미트로파"(1995), 페이지 7.
  10. ^ 리바르디, 마시모, 오를란디, 페르난도(2011년) '미트로파, 미토, 레터타투라, 필로소피아' 페이지 19
  11. ^ 앳킨슨, 데이비드, 도드즈, 클라우스(편집자) 지정학적 전통: 지정학적 사고 통치의 세기(2000년)의 비판 (2000) p41
  12. ^ 앳킨슨, 데이비드, 도드즈, 클라우스(편집자) 지정학적 전통: 지정학적 사고 통치의 세기(2000년) p43-44
  13. ^ a b 동유럽의 역사: 위기와 변화 로버트 비들룩스, 이안 제프리스, 12페이지, 1998 루트리지
  14. ^ a b 헤게모니의 도전: 그랜드 전략, 무역, 국내 정치, 스티븐 로벨, 52페이지, 미시간 대학교 출판부
  15. ^ a b 전쟁 및 처벌: 프린스턴대 하인 에리히 괴먼스, 116페이지, 2000년 보도
  16. ^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Gerd Hardach, 235페이지 of California Press 1981.
  17. ^ a b "합스부르크 제국의 역사, 1526–1918." 로버트 아돌프 칸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80
  18. ^ 보시오^ 나오만, 미트로파. 1915년 베를린 라이머
  19. ^ 체스와프 마다지크 'Generalna Gubernia w planach hitlorowskich. 스터디아", Wydawnictwo Naukowe PWN, 1961, 페이지 88–89
  20. ^ a b Imanuel Geiss, 'Tzw. polski pas graniczny 1914–1918' 바르샤바 1964
  21. ^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4, 페이지 16, Bismarck and Mitteleuropa.
  22. ^ 전쟁 및 처벌: 전쟁의 종식과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들. 하인 에리히 괴먼스,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2000페이지 115페이지
  23. ^ 연합 전쟁: 불안한 협정. Roy Arnold Prete, Keith Neilson, 1983년,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4. ^ J. Brechtefeld, Mitteleuropa 독일 정치. 1848년 현재(London 1996년)
  25. ^ (1983) 클라우디오 마그리스와의 인터뷰, Dziduszycki Michelle Pagine 스파이스. Fatti e figure di fine secolo, [1]
  26. ^ J.F.V. 카이거 "피셔 논쟁: 전쟁 기원 논쟁과 프랑스: 케임브리지의 비역사", 현대사 저널 (2010), 페이지 373
  27. ^ 피셔, 페이지 251
  28. ^ a b 존스턴, 윌리엄 M. (2006) 외스테라이시체 쿨투르-게이스테슈치히테: Gesellschaft Ideen im Donauraum 1848 bis 1938, 페이지 xxxii.
  29. ^ 귄터 비쇼프, 안톤 펠링카(에드스) 신유럽의 오스트리아, p.17 인용:

    누구 미트로파? 미트로프로파라면 레인스도르프 백작의 것이 아니라 아르하임의 것이 될 것이라는 데는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다. 폴란드 철학이나 체코 아방가르드 문학, 헝가리의 사회 이론과 과학, 오스트리아의 서정시, 아이러니와 언어 능력의 공통 능력, 씁쓸한 신경과민적 연애와 초콜릿 불법행위 등 의심할 여지 없이 풍부한 문학적 문화적 전통을 택하는 것이 더 낫다.

  30. ^ 사라 B. 젊은 문화 기억 연구: 국제 학제간 지침서 페이지 40
  31. ^ 콘라드 교르지 (1984) 데르 트라움미트로파
  32. ^ 신유럽의 신우파: 체코의 변혁과 우익 정치, 1989-2006, 페이지 51
  33. ^ a b 체임벌린, 존 (1933년) "The Times", 뉴욕 타임즈, 1933년 10월 17일 인용: {{quotation. 그것은 조셉 로스(Joseph Roth)가 제국의 붕괴에 대한 그의 연구를 한데 묶는 장치들 중 하나이다. '라데츠키 행진곡'은 좋은 사회학 소설이 어떻게 쓰여져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다. 위대한 사건들은 등장인물들의 삶에 반영될 때에만 존재한다... "라데츠키 행진"은 유럽의 과거에 대해 많은 것을 설명한다. ... 조셉 로스(Joseph Roth)는 미트로파(Mitteleuropa)의 위대한 소설가들 중 한 명이다.

참고 문헌 목록

  • JFV 카이거, 피셔 논쟁, 전쟁 기원 논쟁, 프랑스: 케임브리지, 현대사 저널 (런던 2010), 페이지 363–375
  • 프리츠 피셔, 독일 전쟁 목표, 1914–1918, (1967)
  • J. Brechtefeld, Mitteleuropa 독일 정치. 1848년 현재(London 199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