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치카어

Mochica language
모치카
치무
융가
네이티브:페루
지역람바예케
사멸된ca. 1920년경
치무안?
  • 모치카
언어 코드
ISO 639-3omc
omc
글로톨로지moch1259
Mochica language.png
스페인어로 대체하기 전의 모치카의 대략적인 범위.

모치카(Yuna, Yunca, Chimu, Muchika, Muchika, Chimu)는 이전에 페루의 북서쪽 해안과 내륙 마을에서 사용된 멸종된 언어다. 1607년에 처음 문서화 된 이 언어는 17세기에서 18세기 초에 이 지역에서 널리 쓰였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그 언어는 소멸되어 치클라요에텐 마을에서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말을 하고 있었다. 1920년경에는 구어로 소멸되었지만, 1960년대까지 특정 단어와 구절이 계속 사용되었다.[1]

그것은 치무 문화/치모어뿐만 아니라 모체 문화의 추정 언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분류

모치카는 보통 언어의 고립으로 여겨지지만,[2] 더 넓은 치무안어과에 속한다고 가정하기도 했다. 스타크(1972)는 우루-치파야와의 연계를 마야인의 일부로 제안한다.융가-치파얀 거시 가족 가설.[3]

어학연락처

졸크스키(2016년)는 트루마이, 아라왁, 칸도시, 무니체, 바르바코아, 콜론히비토, 케추아, 마푸둔군, 가니차나, 쿤자어족과 접촉으로 어휘적으로 유사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졸크스키(2016년)는 또 아마존 언어와 유사점이 모치카 스피커가 마라뇨솔리메제스 강으로 조기 이주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시사한다.[4]

품종

루코트카(1968)가 열거한 '남부 치무' 품종은 아래와 같다.[5]

  • 치무 - 페루 트루히요 주변
  • 에텐 - 루코트카(1968)는 람바예케의 에텐과 몬세푸의 마을에서 몇 명의 연사를 보고하였다.
  • 모치카 - 한때 리베르타드 부서 해안에서 사용되기도 함
  • Casma - 한 때 Casma 강에서 Ancash 부서(참고되지 않음)에서 발언한 적이 있음
  • 파라몽가 - 한때 포탈레자 강에서 사용되었던 안카시 주(참석하지 않음)

유형학

모치카는 남아메리카 서해안의 다른 주요 언어인 퀘추아어, 아이마라어, 마푸체어와는 유형적으로 다르다. 또한 다음과 같은 희귀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 예를 들어, 케이스 접미사가 위치 케이스에 추가되고, 사선 케이스 형태에 차례로 추가되는 케이스 시스템
  • 모든 명사에는 두 개의 줄기가 있다.
  • 수동 절에서 주로 대리인에게 사용되는 대리 사례 접미사
  • 모든 유한한 형태가 코풀라와 함께 형성되는 언어 체계

음운론

모치칸 사운드의 재구축이나 회복은 문제가 있다. 그 언어를 연구한 학자들마다 다른 명언을 사용했다. 미덴도르프와 같은 두 카레라 다자는 그들이 사용하는 기호의 음성적 가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할애했지만, 이들 기호의 해석에 대한 의구심을 완전히 해소하는 데는 어느 것도 완전히 성공적이지 못했다. 사실 그들의 해석은 현저하게 다르며, 어떤 소리에는 의심을 품게 한다.

리만은 1929년의 관찰로 풍부해진 기존 출처를 유용하게 비교했다. 1904년부터 2005년까지 브뤼닝이 오랫동안 기다려온 현장 노트는 아직 출판되지 않았지만 함부르크의 민족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다른 학자들의 철자 해석에 있어서 추가적인 복잡성은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언어가 오래된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 최신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훨씬 더 위험하게 만드는 놀라운 음운론적 변화를 경험했다는 사실이다.[6]

모음.

그 언어는 아마도 6개의 간단한 모음과 6개의 더 긴 모음들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i, iː, ä, ː, eø, ø, ø, ø, ø, ø, u, :. Carrera Daza와 Middendorf는 대략적인 서신 교환을 할 수 있는 일치하지 않는 시스템을 제공했다.

카레라 다자 a, â e i 오, ô u, û œ
미덴도르프 a, ā, ă e (iii) ī, (i), ĭ 오, (오), 우 u, u, ŭ ä, ů

형태학

Hovdhaugen(2004)에 의해 재구성된 Mochica의 일부 접미사:[7]

  • 순차 접미사: -top
  • 목적 접미사: -nnm
  • 동종 접미사: -læc 및 -ssæc
  • 동명 접미사: -(iii)zcæf
  • 동명 접미사: -(수)d

렉시콘

Hovdhaugen(2004)의 Mochica에서 어휘 항목의 몇 가지 예:[7]

명사들

모치카에 있는 소유명사와 소유하지 않은 명사:

광택을 내다 보유명사 비수명사
'주인님' ç 셰키크
'아버지' 에프 에프크의
'아들' 아이즈 에이즈퀘어의
'nostrils' 퐁당 ænic의
'eyes' 로케이트 뤼코퀸의
'soul' 뜸을 뜨다 수크식의
'손' mæcɥ mæcɥquic
'농장' uiz 위즈퀘어의
'음식, 음식' 크릴론 Xllonquic
'머리' 팔팽이 치다 팔랑팔랑말랑한
'다리' 토닝 강장제
'인육' æreng ærquic
'귀(Ear)' (그러나 '귀(Earned in medec in the ear) 중용의 메드큐어의
'마음, 심장'(폴링이 동등한 것으로 나타남) 폴링/폴링 폴퀴크의
'변호사' capæcnencæpcssss. capæcnencæpæc.
'heaven' 쿠시아스 차아
'개' 부채질하다 팡우
'duck' 펠로우즈 fellu
'servant' 이안러스 야나
'죄' ixllowss. ixll
'ribbon' 라프투스 라프투
'말' 콜리드 망토를 입히다
'물고기' Xllachtd. Xllac
'돈' xllaxllæd. Xllaxll
'마이즈' 망지 망을 치다
'ceiling' capæn. c cap
'creator' 치코프스키스 치코픽
'잠자는 이불' 쿠누르 쿠누크
'의자'(< 앉는 것>을 좋아함) 필러로 처리하다 필루크
'컵'(<마시는 남자, 먹는 남자) 마네르 정신없다
'놀다' (<놀다') 뇨르 냐누크

모치카 명사의 위치 형식:

명사 줄기 위치 형태
퐁당 'nostrils'하다 펑펑' 콧구멍에'
로크 '발' '발 위에'라고 뤽상부르다.
ssol 'forehead' ssulæc '이마에'
'눈'을 위치시키다. '눈이 부시게'를 쿡쿡 찌르다.
mæcɥ '손' mæcɥæ '손에'
먼 '오직' farræc '휴일에'
올레코 'outside' olecɥæc 'outside'
ssap '입' ssapæc '입에'
lec le 'head' leconc '머리 위에'
'집' '집 안에'라고 칭하다.
'귀'를 메우다 '귀에'를 메우다.
neiz '밤' 냐이작 '밤중에'
Xllang '태양' xllangic의 '태양에서'

정량자

Mochica의 정량자:

계량기 의미와 의미 범주
흉악범 짝짓기(새, 벌레 등)
옻칠을 하다 쌍(배합 접시, 음료수 그릇, 오이, 과일)
코화셀 10개(수확한 과일, 옥수수 이삭 등)
sss. 십일(십일)
퐁을 치다 10개(과일, 코브스 등
쌈을 치다 10(사람, 소, 갈대 등, 즉 돈, 과일, 일수가 아닌 모든 것)
치앙 100개(과일 등)

숫자

모치카 숫자:

숫자 모치카
1 오노크, 나-
2 아푸트, pac-
3 ç,l, ç-
4 노핏, 노크-
5 exllmætzh
6 차셀츠하
7 냐이트
8 랑그로스
9 톡톡 두드리다
10 çc, -퐁, ss, -fælæp, cɥokixell.
20 팍퐁, 팍삭 등
30 쵸퐁, 쵸쇼프 등
40 nocpong, nocssop 등
50 exllmæzhpong, exllmæzhssop 등
60 tzhaxllzhapong, tzhaxllzhassop 등
70 뇨테퐁, 뇨에솝 등
80 랑그스퐁, 랑그스톱 등
90 태퐁, 탑송 등
100 팰리스크
1000 쿤스트

잔존기록

이 언어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곡은 18세기 치무족의 삶을 보여주는 많은 수채화 중 코덱스 마르티네스 콤파뇨에 보존된 토나다 델 치모다.

야야 런치, 야야 러치
인포차탄무슬페칸
피칸 에 네캄을 뮤슬레로 만들다.
야야 런치, 야야 러치
에멘스포치파마 르 콰이
10 큐 콘스무이플 쿠에르포 렌즈
에멘스 locunmunom chi perdonar moitin ha.
야야 런치, 야야 러치
콘도콜로 메체크제 수크리프토
po que ta malli muis le Mey po lem.
lo는 아오쇼 퍼도나르를 기다린다.
미에 녜페 체 타스
야야 런치, 야야 러치

렌구아(연가) 페스카라도라와 같을 수도 있는 취잉남은 때로는 사투리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2010년에 발견된 징남이나 페스카라도라로 의심되는 숫자 목록은 모치카가 아니다.

학습 프로그램

페루 모로프의 게스티온 데 컬투라(Gettion de Cultura)는 이 지역의 고대 문화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이 언어를 배우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많은 학교에서 채택되었으며, 도자기 개발, 짝짓기 등의 다른 활동도 시작했다.

추가 읽기

  • 브뤼닝, 한스 하인리히(2004년). 모치카 뷔르터부치 / 디치오나리오 모치카: 모치카 카스텔라노 카스텔라노 모치카 리마: 산 마르틴 드 포레스 우주선.
  • Hovdhaugen, Even (2004). 모치카. 뮌헨: LINCOM Europa.
  • 슈마허 드 페냐, G. (1992년). El vocabulario mochica de Walter Lehmann (1929년) convertado con otras fuentes léxicas. 리마: UNSM, Instituto de Institutiona de Linguistica Applicada.

참조

  1. ^ Adelaar, Willem F. H. (1999). "Unprotected languages, the silent death of the languages in Northern Peru". In Herzfeld, Anita; Lastra, Yolanda (eds.). The social causes of the disappearance and maintenance of languages in the nations of America: papers presented at the 49° International Congress of Americanists, Quito, Ecuador, July 7–11, 1997. Hermosillo: USON. ISBN 978-968-7713-70-0.
  2. ^ Campbell, Lyle (2012). "Classification of the indigenous languages of South America". In Grondona, Verónica; Campbell, Lyle (eds.). The Indigenous Languages of South America. The World of Linguistics. 2. Berlin: De Gruyter Mouton. pp. 59–166. ISBN 978-3-11-025513-3.
  3. ^ Stark, Louisa R. (1972). "Maya-Yunga-Chipayan: A New Linguistic Alig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38 (2): 119–135. doi:10.1086/465193. ISSN 0020-7071.
  4. ^ Jolkesky, Marcelo Pinho de Valhery (2016).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Ph.D. dissertation) (2 ed.). Brasília: University of Brasília.
  5. ^ Loukotka, Čestmír (1968).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Los Angeles: UCLA Latin American Center.
  6. ^ Cerrón Palomino, Rodolfo (1995). The language of Naimlap. Reconstruction and obsolescence of the mochica. Lima: Fondo Editorial de la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l Perú. ISBN 978-84-8390-986-7.
  7. ^ a b Hovdhaugen, Even (2004). 모치카. 뮌헨: LINCOM Europa.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