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베로어

Jebero language
제베로
시윌루
네이티브:페루
지역제베로스
민족성2,500 (2000)
원어민
30 (2011)[1]
카후파판
  • 제베로
언어 코드
ISO 639-3jeb
글로톨로지jebe1250
ELP시윌루

제베로(체베로, 세베로, 시후일라)는 페루 제베로족의 빈사 아마존어이다. 소수의 노년층만이 사용하는 말로 차야와이타와 함께 카후아판 가문에 속한다.

음운론

모음.

모노프송 음소[2]
앞면 중앙 뒤로
가까운. i u
중앙의 ɘ
개방하다 a
  • /i/ 비원형 전방 근접 비원형[i], 비원형 전방 근접 근접 [iround] 및 비원형 전방 근접 중간 전방[e][2] 간에 차이가 있다.
  • /u/ 근접한 전방 반올림[ʊ][2]과 약하게 반올림[o̜]된 후방 반올림[o̜]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후자의 깨달음이 가장 일반적이다.
  • /csv/는 중심 중심 중심 중심 중심 중심 비원형 비원형[ɘ]과 거의 전방에 가까운 비원형[ɘ] 사이에 차이가 있다.[2]
    • /ɘ/는 특히 무성 자음 사이에 있는 다른 모음보다 짧다.[2]
    • /ɘn/ 순서는 때때로 음절 [n̩][2]로 실현된다.
  • /a/ 비원형 중앙[a]과 거의 개방된 전면[æ] 사이에 변화한다.[2] Valenzuela & Gussenhoven(2013)의 모음 차트는 /a/를 거의 개방된 중앙 위치에 놓는다[ɐ].
    • 닫힌 음절에서 /a/는 중간의 중심 비원형[ɜ]으로 실현된다.[2]

자음

자음 음소[3]
라비알 치조류 구개체 벨라르 글로탈
콧물 m n ɲ
멈추다 p t t k ʔ
프리커티브 s ʃ (h)
트릴 평이한 r
광택이 있는 rr
근사치 중심부의 w ð j
측면의 l ʎ
  • /m, p/양면체인 반면 /w/면체화된 벨라이다.
  • /tʃ/는 단결형이라기보다는 단결형이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테이블에 놓여졌다.
  • /n, t, ð, l/laminaldenti-alveolar[n̪, t̪, ð̪, l̪][4]이다.
    • 음절 코다에서는 /n/가 보다 넓은 접촉으로 실현되며, 최대 덴토올볼로-벨라[n̪ŋ][4]가 된다.
    • /u, a/ 이후, 치골-치골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n/는 더 벨라 비음[ŋ][4]과 같은 소리를 낸다.
    • /ð/ 때로는 가로자음처럼 들릴 수 있지만 결코 가로자음으로 실현되지 않는다.[2]
  • /ɲ, ʎ/는 덴토발볼로-팔경 [ [ɲ, ʎ̪][4]이다.
    • /ʎ/는 때때로 약한 마찰력[̪˔ as][2]으로 실현된다.
  • /h/는 긍정 간섭 [ahang][3]에서만 발생한다.
  • /r/는 음절 개시에서는 플랩[ɾ]으로, 음절 코다에서는 수조[r]로 실현된다.[4]
  • /ˀr/는 글로탈화 플랩 [ˀɾ]이다. 인터뷰에서는, 순서 [ɾʔ]로서 실현된다.[4]

참조

  1. ^ "Jebero". Ethnologue. Retrieved 2018-07-23.
  2. ^ a b c d e f g h i j 발렌주엘라&구센호벤(2013), 페이지 101.
  3. ^ a b c 발렌주엘라 & 구센호벤(2013), 페이지 98.
  4. ^ a b c d e f 발렌주엘라&구센호벤(2013), 페이지 100.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