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 1822 머스킷
Model 1822 Musket스프링필드 모델 1822 | |
---|---|
![]() | |
유형 | 머스킷 |
원산지 | 미국 |
서비스 이력 | |
가동중 | 1822–1865 |
사용자 | 미국 남부 연방 |
전쟁 | 아메리카 인디언 전쟁 멕시코-미국 전쟁 미국 남북 전쟁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일라이 휘트니 |
설계된 | 1822 |
제조사 | 스프링필드 아모리 하퍼스 페리 무기고 다양한 민간 계약자 |
생산됨 | 1822–1835 |
사양 | |
미사 | 9파운드(4.1 kg) |
길이 | 58 in (1,500 mm) |
배럴 길이 | 42 in (1,100 mm) |
카트리지 | 용지 카트리지, 벅 및 볼/머스킷 볼(.65/16.510mm)이 부족하여 파우더 파울링 효과를 감소시킴 |
칼리버 | .69인치(17.526 mm) |
액션 | 플린트락/타일락 잠금(변환) |
화재율 | 사용자 종속성: 보통 분당 2~3라운드 |
입마개 속도 | 1,000ft/s(300m/s) ~ 1,400ft/s(최대 m/s) |
유효 사격장 | 50 ~ 100 yd(46 ~ 91m) (smoothbore)[1] 200~400yd(180~370m) (감기)[1] |
최대 사격 범위 | 150 ~ 300 yd(140 ~ 270m) (smoothbore)[1] 800~1000yd(730~910m) (분해)[1] |
공급 시스템 | 주둥이가 달린 |
볼거리 | 상부 배럴 대역에 주조된 전면 시야, 후면 시야(영향력/감압 전환) |
스프링필드 모델 1822는 19세기 초 미국이 제조한 69구경 플린트락 머스킷총이었다.
모델 1822는 스프링필드 모델 1816의 개량형이었다. 일부 문서에서는 모델 1822를 자체 별개의 모델로 언급하지만, 다른 문서에서는 타입 II로 지정된 모델 1816의 변형으로 언급하고 있다.[2]
모델 1816과 마찬가지로 모델 1822는 .69구경 평활 보어 플린트락으로 42인치(110cm) 배럴과 전체 길이 58인치(150cm)로 구성됐다. 모델 1822에서 가장 눈에 띄는 차이 중 하나는 하부 슬링 회전 부착이다. 트리거 가드의 전방 부분에는 슬링 회전 리벳을 받기 위해 드릴로 천공한 확대 장치가 제공되었다. 이전에 슬링 스위블은 트리거 가드 앞의 스터드에 부착되어 있었다.[2]
스프링필드와 하퍼스 페리 무기고 외에도 모델 1822는 수많은 다른 독립 계약자들에 의해 생산되었다. 그것은 결국 스프링필드 모델 1835로 대체되었는데,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도 타입 III로 지정된 모델 1816의 연속이라고 여겨진다.[2]
다른 부싯돌과 마찬가지로 1840년대와 1850년대에 모델 1822 머스크셋의 상당수는 부싯돌보다 타악기 모자가 신뢰성이 높고 날씨에 강한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타악기 자물쇠로 개조되었다. 그러나 멕시코시티 유세 중 윈필드 스콧 장군은 공급선이 취약한 적대국에서는 부싯돌을 만들거나 조달하기 쉬웠기 때문에 부싯돌에 부싯돌을 달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
일부 모델 1822 머스크세트도 통이 두껍고 구조적으로 건전하면 새로 발명된 미니에 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통을 샅샅이 뒤졌다. 그러나 새로 팽창하는 탄환에 의해 생긴 경풍압의 증가는 변환과정에 너무 벅찼고 모델 1822 머스킷을 담기엔 더 오래된 머스킷 통이 대신 표준 .69구경 원형 공으로 발행되었다.[2]
모델 1822는 멕시코-미국 전쟁과 미국 남북 전쟁 모두에서 사용되었다. 후자 기간 동안, 69구경 사향목(대부분 타악기, 그러나 일부 부싯돌도 마찬가지로)은 전쟁 초기(원래 형태에서 또는 전리품으로 전환)에 흔했다. 그들은 1862년 후반까지(스프링필드 모델 1842 머스크렛을 1864년까지 운반한 아일랜드 여단과는 달리) 포토맥의 육군에서 완전히 사라졌지만, 설비가 덜 된 남부 연합군은 이들을 더 오랫동안 사용했고, 북부 버지니아의 육군 서드넌스 서장은 게티스버그가 최초의 전투라고 주장했다. 군대는 매끄러운 보어 머스크가 전혀 없었다.[3]
서부극장에서는 1863년까지 양쪽 모두 상황이 더 안 좋았고 매끄러운 상어가 연합군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일부 남부 연합 연대는 1864년 11월 프랭클린 전투에서 아직도 69구경 사향포를 싣고 있었다.[3]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Stanage, Justin (2000). "The Rifle-Musket vs. The Smoothbore Musket, a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Types of Weapons Primarily at Short Ranges". IU South Bend Undergraduate Research Journal. 3: 84–89.
- ^ a b c d e 칼 P의 "조기 프론티어의 총들" 러셀, 1980년 네브라스카 프레스 U사 출판
- ^ a b 남북전쟁서, 복합서적(Firm), 다카포프레스 출판사, 1992년 출판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스프링필드 모델 1822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