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터(리볼버)

Tranter (revolver)
트랜터 리볼버
Borcke-Stuart-Pistole.jpg
44 군대의 트랜터 리볼버(단일 방아쇠가 있는 두 번째 모델), JEB 스튜어트 장군의 컬렉션에서 나온 것
유형리볼버
원산지영국
서비스 이력
가동중1855–1878
사용자영국식민지, 남부, 미국, 호주, 캐나다
전쟁미국 남북 전쟁, 앵글로-줄루 전쟁, 페니안 습격, 레드 리버 반란
생산이력
디자이너윌리엄 트랜터 & 로버트 애덤스
설계된1853
제조사트랜터
생산됨C.1854-C.105
No. 지은거의
사양
미사약 2.4˚(1.1 kg), 언로드됨

칼리브레타악기: 120-bore (.32-calibre), 0.364-calibre, 80-bore (.377-calibre), 54-bore (.442-calibre), .44-calibre (.451-calibre), 38-bore (506-calibre), 24-bore (.577-calibre)이다.[1]
Cartridge: .230 Tranter Rimfire, .297 Tranter Rimfire, .320 Tranter Rimfire, .380 Tranter Rimfire, .442 Tranter Rimfire; .320 Tranter Centrefire, .380 Tranter Centrefire, .442 Tranter Short Centrefire, .450 Adams, .500 Tranter Centrefire, .577 Tranter Centerfire Revolver.[2][3]
액션이중 작용
입마개 속도620ft/s(최대 m/s)
유효 사격장35야드
최대 사격 범위100야드
공급 시스템5, 6원형 실린더
볼거리고정 프론트 포스트 및 리어 노치
트랜터 리볼버, 첫 모델, 듀얼 트리거
트랜터 리볼버 2차 모델
트랜터 .230 리볼버

트랜터 리볼버는 영국의 총기 디자이너 윌리엄 트랜터(1816–1890)에 의해 1856년경에 발명된 더블 액션 캡 & 리볼버였다. 원래 특수 이중 트리거 메커니즘(한 개는 실린더를 회전시키고 총을 콕 쏘기 위해, 다른 하나는 발사하기 위해)으로 작동한 후기 모델들은 현대의 보몽-아담스 리볼버에서 발견된 것과 거의 동일한 단일 트리거 메커니즘을 채택했다.

초기 트랜터 리볼버는 일반적으로 로버트 애덤스가 디자인한 다양한 리볼버 모델의 버전이었으며, 그 중 트랜터는 1853년까지 8000개 이상의 리볼버를 생산했다. 자신의 디자인의 첫 번째 모델은 제임스 커와 공동으로 개발한 메커니즘을 개조한 아담스형 리볼버의 프레임을 사용했다. 첫 번째 모델은 Transter-Adams-Kerr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4]

설계 및 운영

트랜터 리볼버는 "고체 프레임" 설계로 보몽-아담스 리볼버와 외관이 매우 유사했다. 트랜터가 개발한 3가지 모델의 과정에 걸쳐 유일하게 중요한 변화는 램로드 부착이었다-첫 번째 모델에서는 분리할 수 있었고, 두 번째 모델에서는 고정 배럴의 후크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되었으며, 세 번째 모델(1856)에서는 스크루에 의해 배럴에 부착되었다.

이중 트리거 트랜터 리볼버에서는 트리거 가드 아래의 두 번째 트리거가 총을 콕 집어 넣는 역할을 했다. 이 모델의 망치는 자극이 없어서 엄지손가락으로 쿡쿡 찌를 수 없었다. 단일 동작 모드에서 무기를 발사하려면 먼저 하단 방아쇠를 눌러서 해머를 뒤로 당기고 실린더를 회전시켜야 했는데, 이때 상단 방아쇠에 가볍게 당기는 동작으로 총을 발사할 수 있었다. 더 빨리 발사하려면 두 개의 방아쇠를 동시에 당겨 이중 동작 무기가 될 수 있다.[5]

역사

남북전쟁이 시작되면서 남부연합은 더 이상 북한의 무기공장에 접근할 수 없었고, 지역 소총 제조능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미국 남부연합의 외국 무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전쟁이 발발했을 때 트랜터는 뉴올리언스의 수입 회사인 하이드 & 굿리히와 계약을 맺고 리볼버를 상업적으로 수입하고 유통시켰다. 남북전쟁 발발 이후 하이드와 굿리치는 파트너십을 해체했고, 후임자인 토마스, 그리즈월드 & 컴퍼니, A. B. 그리즈월드 & 컴퍼니 등은 트랜터의 총기를 계속 보급했다.[6]

신뢰할 수 있고 기능적이며 입증된 디자인인 트랜터 리볼버는 곧 남부 연합군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트랜터는 원래 6개의 칼리브레이션으로 제작되었으며, .36, .442, .50이 가장 인기 있는 반면, 트랜터는 미국 시장을 위해 육군 모델(.44 칼리브)과 해군 모델(.36 칼리브)[6]을 개발했다.

남북 전쟁 이후, 많은 사람들이 타악기 화기가 당시의 "신형" 카트리지 기반 디자인보다 더 안전하고 저렴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트랜터 타악기 리볼버(카트리지를 발사할 수 있는 디자인의 증가에도 불구하고)의 생산이 계속되었다. 1863년 트랜터는 영국에서 림파이어 카트리지 특허를 확보했고, 기존 모델과 동일한 프레임을 사용해 생산을 시작했다. 1868년 초에 트랜터는 또한 중앙 화재 카트리지 리볼버의 제조를 시작했다.[6]

1867년까지 그의 회사는 "트랜터 건 앤 피스톨 공장"이라는 이름으로 웨스트 미드랜드버밍햄애스턴 크로스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을 확대했다. 1878년, 그는 영국 육군으로부터 줄루 전쟁에 사용할 450칼리짜리 중앙 사격 카트리지 리볼버의 공급 계약을 받았다. 이것이 영국군이 트랜터 리볼버를 공식적으로 사용한 마지막이었다. 트랜터는 1885년 그의 특허권을 가지고 은퇴했다 - 1849년과 1888년 사이에 트랜터 공장은 24개의 특허 화기 설계 특허와 19개의 카트리지 특허를 확보했고, 후에 군수 제조업체인 조지 키노치가 트랜터 공장을 인수했다.[7]

키노치 건웍스

키노치는 1885년 공장의 이름을 '키노치 건웍스'라고 바꾸고, 포장의 주소를 버밍엄에서 더 고급 애스턴으로 바꾸었다. 이 공장의 관리자인 헨리 슐런드는 이중 동작 6기통 트랜터 리볼버와 비슷한 권총에 대해 자기 이름으로 특허를 갖고 있었다.[8] 리볼버는 원피스의 곡선형 나무 그립, 장막형 망치, 별-주사기가 달린 톱브레이크 실린더, 이중 트리거를 가지고 있었다.(첫 번째 트리거는 트리거 가드 아래에 누워서 가운데 손가락으로 당기고, 두 번째 트리거는 해머를 콕 찍고 실린더를 전진시키며, 두 번째 트리거는 트리거 가드 안쪽에 놓여 있었고, 인덱스에 의해 당겨졌다. 손가락, 검색에 걸려 넘어짐. Schlund는 1886년[9] 트리거 가드 내부에 코킹 트리거가 있는 개선된 버전을 특허와 생산했다.

키노치 모델 1은 트랜터 쇼트 센터파이어 .430, 아담스 .450, 엔필드 Mk II .475/476, 엔필드 Mk II .476으로 들어온 6인치 배럴의 대형 회전식 리볼버였다. 그것은 육군 장교들에게 팔기 위해 고안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권총 카빈으로 바꾸기 위해 분리 가능한 강철 철사 육수를 가지고 왔다. 키노치 모델 2는 5인치 배럴의 중형 레볼버로 트랜터 센터파이어 리볼버, 트랜터 센터파이어 리볼버, 트랜터 센터파이어 .360, 트랜터 센터파이어 .380, 트랜터 센터파이어 .400으로 나왔다. 그것은 자위권 권총으로 고안되었다. 키노치 모델 3은 3인치 배럴의 소형 회전식 리볼버로, 트랜터 센터파이어와 트랜터 센터파이어 3할에 달했다. 실내 표적 연습용 '살롱' 권총이나 해충 사냥용 '룩 앤 래빗' 권총으로 설계됐다.

키노치 회사의 이사들은 그의 집중력이 부족하다고 반란을 일으켰고, 1888년 키노치가 회장으로 해임되었다. 그 후 건웍스는 Schlund에게 팔렸고, Schlund는 회사의 이름을 Aston Arms Co.로 바꾸었다. Schlund Rivolver사의 Ltd.와 브랜드 이름. 그 공장은 1891년에 문을 닫았다. 지금까지 모든 버전과 모델의 키녹 리볼버 600대만이 제작되었다.

주요 사용자

트랜터 리볼버의 유명한 사용자로는 핑커턴 수사국의 설립자인 앨런 핑커튼, 노스웨스트 기마경찰, 제임스 이웰 브라운 스튜어트 남부연합군 총사령관, 폴 차일루, 그리고 호주의 붓링거,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 등이 있었다.[10][11] 개틀링 건을 개발한 리처드 조던 개틀링 박사가 1857년 코그스웰 런던이 소매한 4.29인치[109mm] 배럴의 80보어(.38-calibre) 최초의 모델 트랜터 포켓 리볼버를 소유하고 있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대중문화

트랜터 리볼버는 1984년 장편 영화 '그레이스토크'에서 존 클레이튼 경(폴 제프리 역)에 의해 사용되었다. 타잔전설.

1971년 서부 해니 콜더에서는 주인공(라켈 웰치 역)이 트랜터의 첫 모델(이중 트리거 버전)을 싣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권총은 총잡이가 그녀를 위해 처음부터 새로 만든 관습이다.

1856년 트랜터 리볼버와 1856년 트랜터 리볼빙 라이플은 2016년 호주 영화 '벤 홀의 전설'에서 두드러지게 등장하는데, 두 무기 모두 역사적으로 관목민인 벤 과 존 길버트가 애용했기 때문이다.

그의 이름이 적힌 소설 시리즈에서 해리 플래시맨은 종종 트랜터 리볼버를 소지하고 사용하는 것을 언급한다.

참조

  1. ^ 피닉스 앤티크 암스 총기제조업자 윌리엄 트랜터의 역사
  2. ^ 화기 기술 박물관, 총기소지 모델 목록
  3. ^ 화기 기술 박물관의 윌리엄 트랜터, 총기 제조사 트랜터 카트리지 모델
  4. ^ Rosa, Joseph G. (1 October 1979). The Gunfighter: Man Or Myth?.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p. 171. ISBN 978-0-8061-1561-0.
  5. ^ Davis, William C.; Pritchard, Russ A. (1998). Fighting Men of the Civil War.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p. 61. ISBN 978-0-8061-3060-6.
  6. ^ a b c Hogg, Ian V.; Walter, John (29 August 2004). Pistols of the World. David & Charles. p. 348. ISBN 0-87349-460-1.
  7. ^ Maze, Robert (20 August 2012). The Webley Service Revolver. Osprey Publishing. p. 19. ISBN 978-1-78096-886-5.
  8. ^ 영국 특허 제9084호 (1885년 7월 28일)
  9. ^ 영국 특허 No.11900 (1886년 9월 18일)
  10. ^ Flatnes, Oyvind (30 November 2013). From Musket to Metallic Cartridge: A Practical History of Black Powder Firearms. Crowood Press, Limited. p. 225. ISBN 978-1-84797-594-2.
  11. ^ Doyle, Sir Arthur Conan; Chui, Patricia J. (2005). The new annotated Sherlock Holmes: The adventures of Sherlock Holmes ; The memoirs of Sherlock Holmes. W.W. Norton. p. 263. ISBN 978-0-393-059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