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아르메니아
Mongol Armenia몽골 아르메니아 | |||||||||||||
---|---|---|---|---|---|---|---|---|---|---|---|---|---|
1236–1335 | |||||||||||||
몽골 침략(1220–1245)의 여파로 그루지야(및 아르메니아). | |||||||||||||
자본의 | 아니 | ||||||||||||
공통 언어 | 아르메니아어(원어) 오구즈 투르크어 몽골어 | ||||||||||||
종교 | 아르메니아 사도 수니파 이슬람 | ||||||||||||
정부 | 군주제 | ||||||||||||
역사 | |||||||||||||
• 설립 | 1236 | ||||||||||||
• 확립되지 않음 | 1335 | ||||||||||||
|
루마니아의 역사 |
---|
타임라인 • 기원 • 어원 |
몽골 아르메니아 또는 일카니드 아르메니아는 1230년대에 아르메니아(그루지야 왕국과의 연합 기간)와 아르메니아 킬리키아 왕국이 몽골 제국(이후 일카나테)의 속국이 된 시기를 말한다.아르메니아와 킬리시아는 약 1335년까지 몽골의 영향 아래 있었다.
후기 십자군 전쟁 기간 동안, 그들의 공통의 적인 맘루크족에 대한 연합 군사 작전에 참여한 아르메니아와 몽골의 단명한 동맹이 있었다.그들은 바그다드 공성전(1258년)에 성공했지만 8년 뒤 패배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특히 코리쿠스의 헤이튼이 주창했던 맘루크 이슬람에 대한 기독교-몽골 연합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를 레반트의 라틴 강대국들에 의해 무시당했고, 이로 인해 유럽 십자군 국가들은 멸망하고 십자군 원정은 곧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배경
아르메니아어 배경
12세기 후반에 "대아르메니아"에서 온 난민들과 이주자들에 의해 "레저 아르메니아"라고 불리는 아르메니아 왕국이 형성되었다.아르메니아 자체가 4세기에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한 최초의 국가였기 때문에 이 지역은 기독교 신자였다.따라서 아르메니아인들은 12세기 초에 도착하기 시작한 유럽 십자군들에게 매우 우호적이었다.십자군 전쟁이 진행되면서, 아르메니아 지도자들은 [1]이슬람교도들에 대항하는 십자군 국가들과 제휴하면서 그 지역의 정치에 정기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몽골 배경
칭기즈칸은 1227년에 죽었고, 1241년까지 제국은 4개의 작은 독립 칸국으로 분할되었고, 이는 제국을 계속 확장시켰다.칭기스칸의 손자 훌라구의 지도 아래 일칸국이라고 알려진 남서쪽 칸국은 페르시아와 성지를 향해 진격했다.도시들이 하나둘 몽골인들에게 함락되었고, 그 중에 기독교 왕국이 있었다.크리스티안 그루지야는 1220년부터 [2]공격을 반복했고 1243년 루수단 왕비가 몽골에 정식으로 항복하면서 그루지야는 몽골의 군사정복에서 [3][4]정식 동맹국이 되었다.이것은 성장하는 몽골 제국에 의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 그들이 새로운 영토를 정복하면서, 그들은 민중과 전사를 그들 자신의 몽골 군대에 흡수했고, 그들은 그 후 제국을 더욱 확장하는데 사용했다.
몽골에 대한 아르메니아인의 속국
몽골인들이 코카서스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대아르메니아/바그라티드 아르메니아를 정복했고, 다양한 아르메니아 귀족들은 몽골 제국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것을 선택했다.1236년 카라바그 대공 하산 잘랄은 몽골인들에게 항복했고 그 대가로 이전에 [6]정복된 영토의 일부를 돌려받았다.그는 또한 몽골의 수도 카라코룸을 두 번 여행했고,[7] 그곳에서 칸과의 관계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을 협상했다.
1240년대에 몽골인들이 킬리시아로 진격하자 헤툼 1세는 하산 잘랄과 [8]같은 대아르메니아 귀족들의 예를 따르기로 선택했고, [9]일카네이트에도 항복했다.
몽골과의 관계를 공식화하기 위해, 1247년 헤툼 1세는 그의 이복형인 셈파드 1세를 카라코룸의 몽골 궁정에 보냈다.셈파드는 귀위크 칸과 그의 후계자인 쿠빌라이 칸의 형제 뭉게 칸을 만나 공동의 적인 무슬림에 [10]맞서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이 관계의 본질은 역사학자들에 의해 논쟁되고 있는데,[8][11][12] 일부는 동맹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은 아르메니아인들이 몽골의 지배권에 굴복하여 다른 정복 [4][13][14][15][16]지역과 유사한 속국이 되었다고 말한다.
셈파드는 1250년까지 [17]이어진 몽골 왕국으로의 여행에 열광했다.그는 몽골 땅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을 발견했는데, 심지어 몽골인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였다.1248년 2월 7일, 그는 사마르칸트에서 그의 매제인 키프로스 왕 헨리 [18]1세에게 편지를 보냈다.Sempad는 편지에서 많은 기독교인들과 함께 중앙아시아의 오아시스 왕국을 묘사했습니다.일반적으로 네스토리우스 [19]의식입니다.
동양에서 많은 기독교인들과 크고 아름다운 교회들을 발견했습니다동양의 기독교인들은 현재 (귀윅을) 통치하고 있는 타르타르의 칸에게 갔고, 그는 그들을 큰 영광으로 맞이하여 자유를 주었고, 행동으로든 말로든 누구도 감히 그들을 적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모든 곳에 알렸다.
--
몽골 궁정을 방문하는 동안 셈파드는 대칸의 친척을 신부로 맞이했다.그는 그녀와의 사이에서 [21]바실 타타르라는 이름의 아이를 낳았는데, 그는 나중에 [22]1266년 마리 전투에서 맘루크족에 의해 생포되었다.
몽골 궁정의 헤툼 대사관(1254)
1254년,[23] 헤툼 왕은 협정을 갱신하기 위해 중앙아시아를 거쳐 몽골 궁전으로 갔다.그는 많은 호화로운 선물을 가지고 왔고 카라코룸에서 [24]Möngke Khan (귀크의 사촌)을 만났습니다.
자발적으로 신하로 온 헤툼은 몽골인들에게 매우 환영받았다.그는 1254년 9월 13일 문케를 접견하고, 칸에게 서아시아의 기독교 문제에 대해 조언하고, 칸의 개인과 왕국의 불가침성을 보증하는 문서를 입수했다.문케는 또한 그가 바그다드에 대한 공격을 준비하고 있으며 만약 그와 [25]협력한다면 예루살렘을 기독교인들에게 송금할 것이라고 그에게 알렸다.
안티오키아와의 관계
아르메니아인들은 십자군 국가들과도 매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는데, 특히 헤툼의 딸 시빌라 공주가 프랑스의 루이 9세의 추천으로 안티오키아 공국과 트리폴리 백국의 통치자 보헤몽 6세와 결혼한 1254년부터였다.헤툼은 다른 프랑크 통치자들에게 그를 본받아 몽골의 지배권에 복종하도록 강하게 권유했지만, 1250년대 [26]언젠가 자신의 복종을 제안한 그의 사위 보헤몽만을 설득했다.
군사 협력
아르메니아인들과 몽골인들 사이의 군사 협력이 시작된 것은 1258년에서 1260년 사이, 헤툼 1세, 보헤몽 6세, 그리고 조지아인들이 몽골의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침공에서 훌라구 휘하의 몽골인들과 연합하면서부터이다.
1258년 연합군은 바그다드 [27][28][29]공성전에서 당시 가장 강력한 이슬람 왕조의 중심이었던 아바스 왕조를 정복했다.그곳에서 몽골군과 그들의 기독교 동맹군은 아이유브 왕조의 영토인 이슬람 시리아를 정복했다.그들은 [30]안티오키아의 프랑크족의 도움으로 알레포 시를 점령했고, 1260년 3월 1일에는 기독교 장군 키트부카 밑에서 [31][32][33]다마스쿠스도 점령했다.중세 역사학자 티레의 템플러의 글에서 인용한 역사적 설명에서는 세 명의 기독교 통치자(헤툼, 보헤몽, 킷부카)가 [33][34]승리하여 다마스쿠스에 함께 들어간 것을 묘사하곤 했지만,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 이야기를 [35][36][37]위법으로 의심했다.
맘룩의 반대
몽골의 중동 진출은 1260년 아크레의 프랑크족이 이집트 맘루크족과 소극적인 동맹을 맺으면서 중단되었고, 무슬림 맘루크족은 아르메니아 출신의 기사 500명이 참여한 중심 전투인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몽골군에 대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ngols.[38]
아인 잘루트에 이어, 몽골군의 나머지 군대는 헤툼 1세가 장비를 다시 갖추기 위해 사령관 일카 휘하의 킬리시아 아르메니아로 후퇴했다.훌라구는 잠시 알레포를 점령하는 반격을 시도했지만 [39]술탄의 신하인 하마와 홈스의 왕자들에 의해 격퇴되었다.
1262년 맘루크 지도자 바이바르스는 (아르메니아 왕의 신하로서) 몽골인들을 [40]지원했던 안티오키아를 위협하기 시작했다.그 해 여름, 헤툼은 다시 몽골로 가서 이슬람의 [41][42]위협으로부터 도시를 구하기 위해 그들의 개입을 얻었다.하지만 훌라구는 국경의 요새 알 비라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보낼 수 밖에 없었다.[39]
1265년 몽골의 지도자 훌라구가 사망한 후, 바이바르스는 다시 이집트로부터 킬리시아 아르메니아를 위협했다.1266년, 바이바르스는 헤툼 1세를 소환하여 몽골에 대한 충성을 포기하고 맘룩 종주권을 받아들였고, 헤툼이 몽골에 굴복하여 획득한 영토와 요새를 맘룩에게 양도했다.이러한 위협에 따라, 헤섬 1세는 군사 지원을 받기 위해 일칸의 몽골 궁정으로 다시 갔다.그러나 그가 없는 동안, 맘루크족은 만수르 2세와 맘루크 사령관 칼라운이 이끄는 아르메니아로 진격하여 마리 전투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을 물리쳤고, 이 나라는 큰 피해를 입었다.
1269년 헤툼 1세는 그의 아들 레오 2세를 위해 퇴위했고, 레오 2세는 맘루크족에게 많은 연간 조공을 바쳐야 했다.조공에도 불구하고 맘루크족은 몇 년에 한 번씩 킬리시아를 공격했다.
시리아 연합 침공 (1280년-1281년)
1277년 바이바르가 죽고 무슬림 [43]왕국이 붕괴된 후 몽골은 기회를 포착하여 시리아 영토에 대한 새로운 침략을 계획했다.1280년 9월 몽골군은 바그라스와 다르삭을 점령하고 10월 20일 알레포를 점령했다.아르메니아 출신의 아바가와 레오 3세는 프랑크인들에게 새로운 십자군 원정을 시작할 것을 촉구했지만, 오직 호스피탈인들과 영국의 에드워드 1세만이 호의적으로 [44]반응했다.마르카브의 병원들은 부카이에 연합하여 습격하였고,[45] 술탄에 대한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여 1280년 10월 크라크 데 체발리에스까지 급습하였고, 1281년 [46]2월 크라크의 맘루크 군대를 격파하였다.하지만, 몽골인들은 마침내 후퇴했고, 1281년 겨울을 위해 돌아오겠다고 맹세했다.
1281년 가을 캠페인
1281년 10월 30일, 5만 명의 몽골군과 3만 명의 아르메니아인, 그루지야인, 그리스인, 200여 명의 마르카브[47][48][49] 기사들이 제2차 홈스 전투에서 이슬람 지도자 칼라운과 싸웠으나,[49] 양측에서 큰 손실을 입고 격퇴되었다.
아르메니아-몽골 관계 지속
1284년, 시온 산의 도미니카 버차드는 킬리시아 아르메니아를 방문했고 그곳에 그의 여행 기록을 남겼다.그는 시스의 왕궁과 흐롬글라의 카톨릭 궁전에 머물렀다.부르차드는 몽골의 [50]지배에 굴복한 국가를 묘사하고 몽골인들이 아르메니아 왕실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사실, 나는 아르메니아와 킬리시아의 왕과 함께 3주를 보냈고, 그와 함께 타르타르를 먹었다.나머지 참석자들은 약 200명으로 기독교인들이었다.교회도 가고, 사무실도 듣고, 무릎을 꿇고, 헌신적으로 기도하는 모습을 봤다.
--
1292년 맘루크족은 흐롬클라를 해고했고, 이는 교황청이 시스로 옮겨갈 것을 요구했습니다.
1293년, 일칸가이하투 때, 헤툼 1세의 손자인 헤툼 2세가 왕이 되었다.킬리시아 아르메니아는 맘루크족의 공격을 받았고 몽골인들이 도움을 줄 수 없었기 때문에, 동부 지역에서 상당한 양의 영토를 잃었습니다.헤툼 2세는 왕위를 버리고 요한(몬테 코르비노의 [51]요한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라는 이름으로 프란치스코회 수녀원에 들어갔고, 헤툼이 왕위를 되찾기 전에 그의 형제 소로스에게 2년 동안 공식적인 통치를 맡겼다.
1295년 몽골의 일칸 가잔이 일어나면서 헤툼 2세는 몽골과의 관계를 다시 강화할 수 있었다.헤텀은 가잔을 궁궐로 찾아갔고, 가잔은 관계를 갱신했으며,[51] 맘루크족과 계속 싸우면서 가잔에 충실할 것이다.가잔은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으로 자랐지만 [52]왕좌에 오르자 무슬림으로 변했다.그러나 그는 이집트 맘루크족에 대한 강한 적대감을 유지했고, 그의 아르메니아-몽골 관계와 함께 [53]키프로스의 프랑크족과 행동을 조정하려고 시도했다.
1296년 헤툼 2세는 또한 그곳의 접촉을 강화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했고, 그의 여동생 리타를 미카엘 8세 팔라이올로고스와 결혼시켰다.그가 없는 동안, 아르메니아에 있는 Smpad는 왕위를 빼앗고 몽골의 지지를 얻으려고 시도했고, [51][54]가잔의 친척과 결혼했다.1298년 헤툼 2세는 다시 왕위를 되찾았고 몽골족과의 관계를 지속했다.
레반트 탈환 시도 (1297–1303)
1297년 가잔은 맘루크족에 대한 공세를 재개하고 프랑코-몽골 [55]동맹의 시도를 되살리려 했다.그 계획은 기독교 군사령, 키프로스 왕, 키프로스와 킬리시아 아르메니아 귀족, 그리고 일카네이트의 [56]몽골인들을 결합하는 것이었다.하지만, 레반트의 기독교인들은 유럽으로부터 거의 지지를 받지 못했고,[57] 그들의 행동을 지속시키기 위한 새로운 십자군 원정은 없었다.
1299-1300년 겨울 캠페인
1299년 여름, 이집트 맘루크족의 침략이 임박하자, 헤툼 2세는 그의 지지를 얻기 위해 가잔에게 메시지를 보냈다.이에 대응하여, 가잔은 시리아로 진군하여 키프로스의 프랑크족(키프로스 왕과 군령 수장들)에게 편지를 [58]보내 시리아에 있는 맘루크족에 대한 공격에 동참하도록 그들을 초대했다.
몽골군은 성공적으로 알레포 시를 점령했고, 헤툼 왕이 그곳에 합류했는데, 헤툼 왕은 아르메니아에서 온 성전사들과 병원들을 포함했고, 그들은 나머지 [59]공세에 참여했다.몽골군과 그 동맹군은 [58]1299년 12월 23일 또는 24일 와디 알 카잔다르 전투에서 맘루크족을 물리치고 다마스쿠스로 진격하여 1299년 12월 30일에서 1300년 1월 6일 사이에 항복하였다.[58][60]가잔은 2월에 대부분의 병력을 철수시켰는데, 아마도 말들이 사료를 필요로 했기 때문일 것이다.그는 이집트를 [61]공격하기 위해 1300-1301년 겨울에 돌아오겠다고 약속했다.몽골 장군 뮬레이가 이끄는 약 10,000명의 기병들이 시리아를 [62]지배하고 예루살렘과 [63]가자까지 남쪽으로 급습했다.그러나 1300년 5월 맘루크족이 돌아왔을 때 그 작은 군대는 후퇴해야만 했다.
샤하브의 패배
1303년 몽골군은 아르메니아인들과 함께 다시 큰 힘을 가지고 나타났지만, 1303년 3월 30일 홈스에서, [64]1303년 4월 21일 다마스쿠스 남쪽의 결정적인 샤하브 전투에서 패배했다.이것은 몽골의 [65]시리아에 대한 마지막 주요 침공으로 여겨진다.1304년 이집트 맘루크족은 킬리시아 아르메니아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였고, 몽골 침략 기간 동안 아르메니아인들이 획득한 모든 땅을 되찾는 데 성공하였다.1375년 마지막 가을까지, 킬리시아 아르메니아는 1305년 아야스 전투와 같이 소수의 성공만을 거두며 맘루크족으로부터 일련의 공격을 받았다.
몽골과의 새로운 십자군 원정을 주창하다(1307)
1307년 헤툼 2세와 레온 3세는 아르메니아 교회를 로마와 통합하려는 헤툼의 노력에 반대하는 내부 음모에 따라 킬리시아의 [67]몽골 장군 빌라르후에게 [68]암살당했다.몽골의 통치자 올제이투는 나중에 그의 죄로 빌라후를 처형했다.
1307년, 코리쿠스의 아르메니아 수도사 하이톤은 푸아티에에 있는 교황 클레멘스 5세를 방문했고, 그곳에서 그는 몽골과의 관계를 묘사하고 새로운 십자군 원정에 대한 권고를 담은 그의 유명한 "플로르 데 히스토아르 도 오리엔트"를 썼다.
신은 또한 타르타르인 스스로가 사라센인들에 맞서 기독교인들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제안했기 때문에 지금이 적기라는 것을 기독교인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이러한 이유로, 타르타르의 왕 가르반다는 그의 전령들을 기독교 땅의 적들을 풀어주기 위해 그의 모든 힘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따라서 현재 성지는 타르타르족과 이집트 왕국의 도움으로 위험이나 위험 없이 쉽게 정복될 수 있다.그래서 기독교 세력은 지체 없이 성지로 떠나야 한다.
--
몽골의 마지막 킬리시아 아르메니아 개입(1322년)
1320년 이집트 술탄 나세르 모하메드 이븐 켈라운이 킬리시아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황폐화시켰다.교황 요한 10세2세는 아비뇽에서 몽골의 통치자 아부 사이드 (1305–1335)에게 1322년 7월 1일자로 된 편지를 보내 조상과 기독교인들의 동맹을 상기시키고 그에게 개입을 요청했습니다.몽골군은 킬리키아에 파견되었지만, 아르메니아 총대주교 콘스탄틴과 이집트의 술탄 사이에 15년 동안 휴전이 협상된 후에야 도착했다.
몽골과의 관계는 1320년 이후로 근본적으로 사라졌고, 반면 프랑크와의 관계는 강화되었고, 1254년 키프로스 왕실과 킬리시아 아르메니아 사이의 결혼 정책 때문에 킬리시아 아르메니아에 프랑스 뤼지냥 왕조가 지배 가문으로 설립되었습니다.1341년 레오 4세가 살해된 후, 그의 사촌 기 뤼지냥이 왕으로 선출되었다.하지만 친 라틴계 루시그난인들이 권력을 잡았을 때, 그들은 가톨릭과 유럽의 생활 방식을 강요하려고 했다.아르메니아 지도부는 이를 대부분 수용했지만 농민들은 변화에 반대했다.결국,[70] 이것은 내분으로 이어졌다.
아부 사이드 이후, 기독교 왕자와 몽골인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71]포기되었다.아부 사이드는 후계자와 후계자 없이 죽었고, 그의 죽음 이후 국가는 지위를 잃었고, 몽골, 터키, 페르시아에 의해 운영되는 수많은 작은 왕국이 되었다.
14세기 후반, 실리샤는 맘루크족의 침략을 받았다.1375년 4월 시스의 몰락은 마침내 왕국에 종말을 가져왔다; 시스의 마지막 왕인 레오 5세는 안전한 통행을 허가 받았고 또 다른 십자군 원정을 요구했으나 헛되이 1393년 파리에서 유배되었다.이 칭호는 그의 사촌인 키프로스의 제임스 1세에 의해 주장되어 키프로스와 [70]예루살렘의 칭호와 결합되었다.이로써 3세기 동안 비잔티움, 몽골, 프랑크에게 속했던 중세 아르메니아인의 마지막 독립체는 끝이 났다.몽골과의 관계는 십자군 국가들보다 훨씬 오래 살 수 있게 해주었고, 이슬람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한 세기 동안 생존할 수 있게 해주었다.
메모들
- ^ 십자군 백과사전, "아르메니아" 엔트리, 21-22페이지
- ^ 런시만, 페이지 246-247
- ^ 런시만, 250페이지
- ^ a b 웨더포드, 페이지 181. "그의 군대를 보충하기 위해 훌레구는 아르메니아와 그루지야의 속국 군대를 소집했다."
- ^ 르 로야움 아르메니앙 드 실리시, p66
- ^ 키라코스 간자케시아르메니아인의 역사, 제30장: 사헨 지역에서 일어난 파괴와 경건한 왕자 잘랄에 대하여.K 편집자멜릭-오한잔.예레반, 아르메니아 SSR, 1961 [g266-269]영어로 번역. 로버트 베드로시안.
- ^ (아르메니아어) 울루바얀, 바그라트하산잘랄다우라소련 아르메니아어 백과사전 제6권예레반, 아르메니아 SSR: 아르메니아 과학 아카데미 1980, 페이지 246.
- ^ a b c Claude Mutafian, Le Royaume Arménien de Cilicie, 페이지 55"아르메니아 왕은 안티오키아를 제외하고 라틴 귀족들에게 부족한 정보인 몽골 동맹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 ^ 프레데릭 루이스토는 헤툼이 1244년에 항복했다고 말한다.루이세토, 페이지 237
- ^ Bournotian, p. 100. "Smbat는 쿠발리의 형제인 몽케 칸을 만나 1247년에 무슬림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 ^ 아민 말루프, 아랍인의 눈을 통한 십자군 전쟁(페이지 넘버는 프랑스어판을 참조):"아르메니아인들은 그들의 왕 헤툼과 그의 사위인 보헤몽 왕자와 몽골인들의 편을 들었습니다.그러나 아크레의 프랑크족은 무슬림에게 유리한 중립적 입장을 취했다(261쪽), "안티오키아와 아르메니아 헤툼의 보헤몬드, 몽골의 주요 동맹"(265쪽), "훌라구(...)는 여전히 그의 동맹자들의 처벌을 막을 충분한 힘이 있었다[보헤몬드와 헤툼](267쪽).
- ^ '몽골-아르메니아 동맹'도: 이슬람 세계에서는 어센던시: 마르틴 시커 박사에 의한 아랍 정복에서 비엔나 공성전까지 (p.111): "그러나 보헤몬드는 트리폴리에만 거주했고, 실질적인 문제로서 그와 인접해 있던 헤툼이 안티오키아를 지배했다.이에 따라 안티오키아는 몽골-아르메니아 동맹에 말려들었다.
- ^ 스튜어트, 정복의 논리, 페이지 8. "아르메니아 왕은 몽골족과의 동맹, 더 정확히 말하면 몽골족에 대한 신속하고 평화로운 복종을 최선의 행동 방침으로 보았습니다."
- ^ 피터 잭슨, 몽골족, 그리고 서방의 74쪽, "소아르메니아의 헤툼 왕은 몽골인들이 럼에 있는 이웃들과 적들로부터 제공한 구원을 깊이 반성하며, 그의 형제인 순경 스마바트를 구유그의 궁정에 복종을 제의하기 위해 보냈다."
- ^ 라일리 스미스, 십자군전쟁, 82쪽 "1250년대에 헤툼 왕은 피지배세력으로서 몽골과 동맹을 맺었다."
- ^ 룬치만, 십자군 국가, 1243-1291, 572페이지 "아르메니아의 왕 헤툼 1세는 오랫동안 몽골과의 동맹을 옹호해왔다.1254년 그는 카라코룸에 있는 대칸 몽케를 방문했다.자신을 칸의 신하라고 부르는 대가로 그는 아나톨리아 투르크에 대한 영토 증대와 보호를 약속받았다.
- ^ Grouset, 페이지 529, 주 273
- ^ Grouset, 페이지 529, 주 272
- ^ 장 리하르트, 크로이사데 히스토아르, 376페이지
- ^ Grouset, 페이지 529에서 인용된 추출물
- ^ 루세토, 페이지 122. G에서 소개와 주석을 참조합니다.Dedeyan La Chronique attributuée au Connétable Sempad, 1980년
- ^ 아르메니아 왕국과 맘루크인 페이지 49, 앵거스 도날
- ^ Bournotian, 페이지 101
- ^ 키라코스 간자케시의 에밀 브레츠나이더 3판, 하이튼의 여행, 리틀 아르메니아 왕, 몽골로 갔다가 돌아온, 미디어 평가 연구 제1권, Trubner Oriental 시리즈 1888 런던, 2005년 Elibron Classics 복사 ISBN1-4021-9303-3
- ^ 런시만, 페이지 297
- ^ 이슬람 세계의 우위: 마르틴 시커 박사에 의한 아랍 정복에서 비엔나 공성전까지 (p.111): "그러나 보헤몬드는 트리폴리에만 거주했고, 실질적인 문제로서 그와 인접해 있던 헤툼이 안티오키아를 지배했다.이에 따라 안티오키아는 몽골-아르메니아 동맹에 말려들었다.
- ^ 케임브리지 중세사, 제4권, 페이지 634
- ^ 그루세트, 페이지 574 키라코스, 키라코스, 12번
- ^ "이후 [몽골인]는 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인의 신구 기병대를 소집하여 수많은 군중을 이끌고 바그다드시를 향해 진격했다."궁수의 나라 역사 12장1300년경 애크너의 그리고르
- ^ Tyerman, p.806 "프랑크 안티오케네스족이 몽골군의 알레포 점령을 도왔다."
- ^ '아인 잘루트 전투' 2012-02-12년 웨이백머신 아카이브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월드
- ^ 그루세트, 페이지 581
- ^ a b 3월 1일 키트부카는 몽골군의 선두로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그와 함께 아르메니아 왕과 안티오키아 왕자가 있었다.고대 수도 칼리파티의 시민들은 6세기 동안 처음으로 세 명의 기독교 유력자가 그들의 거리를 승리하며 달리는 것을 보았다.", 룬시만, 페이지 307
- ^ 그루세트, 페이지 588
- ^ 데이비드 모건, 몽고인 (제2판)
- ^ 피터 잭슨, "1260년 성지의 위기", 영국 역사 리뷰 376(1980년) 486
- ^ "이 보고서는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진실을 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아르메니아 군대는 케부카의 일부였다.몽골 점령 기간 보헤몽은 바알베크를 방문해 훌레구에게 마을을 차지해 달라고 부탁할 생각이었다. (...) 만약 이 왕자가 바알베크까지 도달했다면 그도 다마스쿠스를 지나갔을 가능성이 높다.데 루벤 아미타이 프레이스, 몽골과 맘룩스, 페이지 31
- ^ 그러나 이들은 모두 몽골족 기병들은 아니었지만 그루지야와 소아르메니아에서 파견된 부대를 포함했다.Smpad는 후자가 500명에 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몽골과 맘루크, 페이지 40
- ^ a b 장 리처드, 페이지 428
- ^ 런시만, 페이지 313
- ^ 그루세트, 페이지 609
- ^ "그동안 [바이바르]는 그의 군대를 이끌고 안티오키아로 가서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고, 그것은 몽골의 개입으로 구해졌다." 장 리하르트, 페이지 429
- ^ Richard, Histoire des Croisades, 페이지 465
- ^ 런시만, 387페이지
- ^ 런시만, 페이지 390
- ^ Richard, Histoire des Croisades, 페이지 466
- ^ 그루세트, 페이지 687
- ^ 아랍인의 눈을 통한 십자군 전쟁, 페이지 253: 마르카브의 요새는 아랍인들에게 알-오스비타르라고 불리는 기사단들에 의해 장악되었다. "이 승려 기사단은 1281년 새로운 침략 시도 동안 몽골인들과 함께 싸우기까지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 ^ a b "망구 티무르는 몽골의 중앙을 지휘했고, 그의 왼쪽에는 다른 몽골 왕자들이 있었고, 그의 오른쪽에는 레오왕과 병원 사람들과 함께 그루지야 조수들이 있었다.", 룬치만, 391-392페이지
- ^ a b 무타피아어, 페이지 66
- ^ a b c 무타피아어, 페이지 71
- ^ 폴츠, 페이지 128
- ^ "1299-1302년 사이 키프로스의 기독교 세력과 협력하여 배치된 몽골 칸 일 칸 가잔의 새로운 공격은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습니다."Demurger, Croisades et croises, 페이지 287
- ^ 루이세토, 페이지 122, 지프로이파 553 참조
- ^ "가잔은 1297년에 이집트에 대한 그의 계획을 재개했다: 프랑코와 몽골의 협력은 프랑크가 아크레를 잃고 페르시아 몽골이 이슬람으로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다.그것은 1322년 아부 사이드 칸에 의해서만 조인된 맘루크족과의 평화 조약까지 십자군 정책의 정치적 요소 중 하나로 남아있었다." 장 리처드, 페이지 468
- ^ 템플 기사 재판, 말콤 바버 제2판, 22페이지: "목표는 맘루크족에 대한 합동 작전에 키프로스를 초대했던 페르시아의 몽골 일칸 가잔과 연계하는 것이었다."
- ^ "이 몇 년 동안 서양에서는 십자군 원정이 설교되지 않았습니다.키프로스와 소아르메니아의 프랑크군만이 몽골군에 협력했다.Demurger, Croisades et croises, 페이지 287
- ^ a b c 디머거, 페이지 142–143
- ^ Demurger, 페이지 142 (프랑스판) "그는 곧 헤툼 왕에 합류했다. 헤툼 왕은 그의 군대에는 나머지 캠페인에 참여하는 아르메니아 왕국의 호스피탈러와 템플러들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 ^ 룬시만, 페이지 439
- ^ 디머거, 페이지 146
- ^ Demurger(p.146, 프랑스어판) "맘루크군이 이집트로 남쪽으로 후퇴한 후 몽골군 주력부대는 2월 북쪽으로 후퇴했고 가잔은 장군 뮬레이를 떠나 시리아를 통치했다."
- ^ "그동안 몽골과 아르메니아 군대가 가자까지 이 나라를 습격했다."셰인, 1979년 페이지 810
- ^ 디머거, p158
- ^ 니콜, 페이지 80
- ^ 타타르족의 경의를 받는 헤툼 1세: 1254년 몽골로 항해하는 동안 헤툼 1세는 몽골 칸으로부터 "그의 고귀한 신하들 중 몇 명에게 그를 기리고 시중들도록 명령했다"는 몽골 칸의 영예로운 영접을 받았다고 르 로욤 아르메니앙 드 실리시 무타피안(58)은 쿠소리의 헤이튼을 인용했다.
- ^ 무타피안, 73페이지
- ^ 크로이사데스 역사서, Arméniens I, 페이지 664
- ^ 플로르 데 에스토아르 도오리엔트, 제4권
- ^ a b Kurdoghlian, Mihran (1996). Badmoutioun Hayots (in Armenian). Vol. II. Athens, Greece: Hradaragoutioun Azkayin Oussoumnagan Khorhourti. pp. 29–56.
- ^ 레게몬스터 몽골족
레퍼런스
중세 자료
- Le Templier de Tyr (1300년경).Chronicle du Templier de Tyr, 온라인(원문 프랑스어).
- 코리쿠스의 헤이튼(1307)동양의 역사의 꽃 온라인(영어 번역).
- 키라코스(약 1300).아르메니아인의 역사, 온라인(영어 번역).
최신 소스
- Andrea, Alfred J. (2003). Encyclopedia of the Crusades. Greenwood Press. ISBN 0-313-31659-7.
- Barber, Malcolm (2001). The Trial of the Templars (2nd ed.). University Press, Cambridge. ISBN 978-0-521-67236-8.
- Bayarsaikhan, Dashdondog (2011). The Mongols and the Armenians: 1220-1335 (1st ed.). Brill. ISBN 978-90-04-18635-4.
- Bedrosian, Robert G. (1979). The Turco-Mongol Invasions and the Lords of Armenia in the 13-14th Centuries. Columbia University Ph.D. dissertation.
- Bournoutian, George A. (2002). A Concise 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Mazda Publishers. ISBN 1-56859-141-1.
- Demurger, Alain (2007). Les Templiers (in French). Editions Jean-Paul Gisserot. ISBN 978-2-87747-955-4.
- Demurger, Alain (2007). Jacques de Molay (in French). Editions Payot&Rivages. ISBN 978-2-228-90235-9.
- Grousset, René (1935). Histoire des Croisades III, 1188-1291 (in French). Editions Perrin. ISBN 2-262-02569-X.
- Foltz, Richard, Religos of the Silk Road, 뉴욕: Palgrave Macmillan, 2010, ISBN 978-0-230-62125-1
- Jackson, Peter (2005).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Longman. ISBN 978-0-582-36896-5.
- 루이스토, 프레데릭(2007년).Arméniens & autres Chrétiens d'Orient Sou la domination Mongole (프랑스어).리브레이리 오리엔탈리스트 폴 가이트너 S.A.ISBN 978-2-7053-3791-9
- Maalouf, Amin (1984). The Crusades Through Arab Eyes. New York: Schocken Books. ISBN 0-8052-0898-4.
- Mutafian, Claude (2001) [1993]. Le Royaume Armenien de Cilicie (in French). CNRS Editions. ISBN 2-271-05105-3.
- Nicolle, David (2001). The Crusades. Essential Histories.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176-179-4.
- Richard, Jean (1996). Histoire des Croisades. Fayard. ISBN 2-213-59787-1.
- Runciman, Steven (1987) [1952–1954]. A History of the Crusades 3. Penguin Books. ISBN 978-0-14-013705-7.
- Schein, Sylvia (October 1979). "Gesta Dei per Mongolos 1300. The Genesis of a Non-Event".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94 (373): 805–819. doi:10.1093/ehr/XCIV.CCCLXXIII.805. JSTOR 565554.
- Stewart, Angus Donal (2001). The Armenian Kingdom and the Mamluks: War and Diplomacy During the Reigns of Het'Um II (1289-1307). BRILL. ISBN 90-04-12292-3.
- Stewart, Angus (2005), "The Assassination of King Het'um II: The Conversion of The Ilkhans and the Armenians",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5: 45–61, doi:10.1017/S1356186304004687, hdl:10023/1563, S2CID 55809524
- Tyerman, Christopher (2006). God's War: A New History of the Crusade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2387-0.
- Weatherford, Jack (2004).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ISBN 0-609-809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