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시

Qarshi
카르시
Қарши
Мост Амира Темура.jpg
Monument in memory and honor in Qarshi.JPG
Qarshi Kok Gumbaz Mosque and cistern.JPG
Kok-Gumbaz mosque in Qarshi, front view.jpg
Kok-Gumbaz mosque in Qarshi, the inner part.jpg
Kok-gumbaz mosque Qarshi02.jpg
Kok-Gumbaz mosque in Qarshi, view from the north-east.jpg
Qarshi is located in Uzbekistan
Qarshi
카르시
우즈베키스탄의 위치
좌표: 38°52°N 65°48°E / 38.867°N 65.800°E / 38.867; 65.800좌표: 38°52°N 65°48°E / 38.867°N 65.800°E / 38.867; 65.800
나라 우즈베키스탄
지역카슈카다리오 주
인셉션1926
표고
374m(1,227ft)
인구
(2014)
• 합계254,600
지역 번호(+998) 75

카르시(우즈베키스탄어: Karshi/қар, [Qarʃɨ], 페르시아어: نخبب Nakhshab)우즈베키스탄 남부에 있는 도시다. 카슈카다리오 지방의 수도로 인구는 19만7,600명(1999년 인구조사 추정)이다. 2014년 4월 24일 카시의 인구는 약 222,898명이다. 타슈켄트에서 남서쪽으로 약 520km, 우즈베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국경에서 북쪽으로 약 335km 떨어져 있다. 위도 38° 51' 48N, 고도 374m의 경도 65° 47' 52E에 위치한다. 천연가스 생산은 도시도 중요하지만 짜임새 있는 납작한 카펫 생산으로도 유명하다.

역사

원래 소그디안 도시인 나크샤브(그레코-박트리아 왕국[1] 통치 중에 유크트라티디아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도시)와 이슬람 우즈베크(터키어) 도시 나사프, 몽골 도시인 카르시(하르시라고 발음)가 부하라 에미리트 2기 도시였다. , , 명주 등을 생산하는 비옥한 오아시스의 중심에 있으며, 발크부하라를 잇는 11일간의 캐러밴 노선에 정차해 있었다. 몽골의 차가타이드 족은 케벡카잔 족은 이곳 칭기스칸의 여름 목초지에 궁궐을 지었다.[2][full citation needed] 1364년 티무르는 또한 현재 도시의 남쪽에 해자를 배치한 요새화된 궁전을 지었다. 현대식 이름인 "카르시"는 요새를 의미한다.

카르시는 14세기부터 꾸준히 발전했다. 셰이반 왕조 동안 그 도시는 격렬하게 성장했다(16세기). 18세기에 부하라 칸국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이 수세기 동안 도시의 많은 웅장한 건축 기념물들이 지어졌다.[1][3] 18세기 샤리사브스의 쇠퇴와 함께 카르시는 중요성이 커졌고, 부하라 에미리트까지 황태자의 자리였다. 이 시기에는 이중으로 된 성벽과 10개의 카라반세라,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다. 1868년까지 러시아인들자라프산 골짜기를 합병했고, 1873년 부하라를 러시아 보호국으로 만드는 조약이 카르시(Qarshi)에서 체결되었는데, 반란을 일으켜 야산에 오른 에미르의 아들 압둘 말리크가 크게 실망했다.

1970년대 초, 카르시 주변 땅에 관개하기 위해 동쪽 투르크메니스탄아무 다랴 강에서 우즈베키스탄으로 물을 돌리는 주요 관개사업의 첫 구간이 완성되었다. 카르시 주변의 거의 모든 관개지는 목화로 심어져 있다.

주 사이트

오디나 모스크

  • 오디나 모스크는 16세기에 지어졌으며 카르시의 에스키 바자르의 남동쪽에 있다. 이 모스크는 감옥으로도 사용되었던 옛 몽골 궁전의 자리에 세워졌다.[4] 이슬람 사원은 매력적인 돔 모양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돔형 저수지인 사르도바(Sardoba)가 있어 수돗물이 오염되거나 증발하는 것을 막았다. 그것은 더 이상 예배를 드리기 위해 사용되지 않고 대신 카르시의 지역 박물관을 소장하고 있다.

마드라사스

  • 카르시에는 마드라사가 세 명 있는데, 모두 같은 광장에 있다. 이들은 모두 1904년에서 1915년 사이에 지어진 칼리즈벡, 바크미르, 호드재프 압둘 아지즈 마드라사스 등이다.[4] 마드라사들은 더 이상 종교적인 기능이 없어 예약이 필요하지만 관광객들은 보호자에게 물어보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 라비야 마드라사 - 19세기 말 여성 마드라사

콕금바스

  • 콕 금바즈(Cok Gumbaz, "파란 돔"이라는 뜻)는 카쉬의 금요일 모스크다. 이 사원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모스크로, 16세기 후반 아버지 샤 루크를 대신울루그벡 황제가 건설했다.[5] 콕금바즈는 건축학적으로 샤크리사브즈를 비롯한 다른 티무리드 모스크와 상당히 유사하지만, 복원력이 덜하여 원래의 특징들이 더 그대로 남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념관

  • 대애국전쟁 사상자를 추모하는 카르시의 전쟁기념관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소비에트 시대 기념관 중 하나이다. 산책로, 판자, 영원한 불꽃, 그리고 일련의 스테인드 글라스 창이 있는 붉은 별을 단 탑이 혼합된 것이다. 요청 시 위층 열람이 가능하다.[4]

기후

쾨펜 기후 분류 시스템은 기후를 차가운 반건조류(BSK)로 분류한다.[6]

카르시에 대한 기후 데이터 숨기기(1981–2010)
1월 2월 3월 4월 5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평균 높은°C(화씨 온도) 8.7
(47.7)
11.8
(53.2)
17.2
(63.0)
24.5
(76.1)
30.8
(87.4)
36.4
(97.5)
38.1
(100.6)
36.5
(97.7)
31.2
(88.2)
24.3
(75.7)
17.3
(63.1)
10.6
(51.1)
24.0
(75.1)
평균 낮은°C(화씨 온도) −1.0
(30.2)
0.6
(33.1)
5.3
(41.5)
11.0
(51.8)
15.9
(60.6)
20.3
(68.5)
22.2
(72.0)
19.7
(67.5)
13.7
(56.7)
8.0
(46.4)
4.2
(39.6)
0.4
(32.7)
10.0
(50.1)
평균 강수량 mm(인치) 32.5
(1.28)
35.9
(1.41)
52.5
(2.07)
32.6
(1.28)
19.3
(0.76)
1.7
(0.07)
0.8
(0.03)
0.1
(0.00)
1.5
(0.06)
5.4
(0.21)
21.9
(0.86)
32.9
(1.30)
237.1
(9.33)
강수일 평균 11 11 12 9 7 2 1 0 1 4 7 10 75
평균 상대습도(%) 79 74 72 64 48 33 30 33 38 48 62 78 66
출처 1: 우즈베키스탄[7] 수문학적 서비스 센터
출처 2: Deutscher Wetterdienst (습기)[8]

산업

카르시 남쪽 40km 지점에 위치한 가스 대 액체류(GTL) 공장이 건설 중이다. 이 공장은 사솔의 GTL 기술을 기반으로 연간 140만t의 용량을 갖출 예정이며, GTL 디젤, 등유, 나프타, 액화석유가스 등의 제품 슬레이트가 뒤따른다. 총 사업비는 40억 달러 정도로 유라시아 대륙에 이런 첨단 공장으로는 처음이다. 사솔과 우즈베키스탄 국영석유회사 우즈베크네프트가 각각 44.5%의 이자를, 나머지 11%는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소속의 GTL 우즈베키스탄 공동 프로젝트가 2009년 설립됐다. 이 공장은 슈르탄 가스 화학 단지를 기반으로 건설될 것이다.[9]

문화

스포츠

카시는 1986년 창단한 FC 나사프의 고향이다. Nasaf는 2006년에 지어진 Markaziy Stadim에서 홈 경기를 한다.

교육

로컬 인프라

교통

가르시 역

랜드마크

  • 호자 압둘 아지즈 마드라사 - 마을에서 가장 크고, 현재 지역 박물관이 들어서 있다.
  • 라비야 마드라사 - 19세기 말 여성 마드라사
  • Kok Gumbaz 모스크 - 16세기 건물 복합체의 일부
  •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 아마도 구소련에서 가장 기념비적인 기념비 중 하나일 것이다.

저명인사

참조

  • 그루셋, 르네 Steppes의 제국: 중앙아시아의 역사. 나오미 월포드 씨 뉴저지 주: 럿거스, 1970년 ISBN0-8135-1304-9

메모들

  1. ^ 메트로폴리탄 백과사전: 또는 Edward Smedley, Hugh James Rose, Henry John Rose, 1923, 260페이지에 의해 편집된 Universal Dictionary of Knowley, Volume 23.
  2. ^ 그루셋, 341-2페이지에 따르면 두 칸이 모두 카르시를 수도로 사용했다고 한다.
  3. ^ "Karshi, Uzbekistan". Retrieved January 29, 2021.
  4. ^ Jump up to: a b c Ibbotson, Sophie (2020). Uzbekistan. United Kingdom: Bradt Guides Ltd. pp. 191–192. ISBN 9-781784-771089.
  5. ^ "Kok Gumbaz, Shakhrisabz". www.advantour.com. Retrieved 2020-11-01.
  6. ^ "Climate: Qarshi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Climate-Data.org. Retrieved 2 September 2013.
  7. ^ "Average monthly data about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13 regional center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ver period from 1981 to 2010". Centre of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Uzhydrom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19. Retrieved 15 December 2019.
  8. ^ "Klimatafel von Karshi (Karschi) / Usbekistan" (PDF). Baseline climate means (1961–1990) from stations all over the world (in German). Deutscher Wetterdienst. Retrieved 16 December 2019.
  9. ^ "Uzbekistan Launches $4 bn GTL Joint Project with Sasol". The Gazette of Central Asia. Satrapia. 23 July 2012. Retrieved 23 July 2012.
  10. ^ QDU
  11. ^ QMII.u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