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Mumps vaccine![]() MMR 백신은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보호를 포함하고 있다 | |
백신 설명 | |
---|---|
대상 | 유행성 이하선염 |
백신 종류 | 감쇠 |
임상 데이터 | |
Medline Plus | a601176 |
ATC 코드 | |
식별자 | |
켐스파이더 |
|
![]() ![]() |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유행성 [1]이하선염을 예방하는 백신이다.대부분의 모집단에 투여하면 모집단 [1]수준에서 합병증이 감소합니다.인구의 90%가 예방접종을 받았을 때 효과는 85%[2]로 추정된다.장기 [1]예방을 위해서는 2회 복용이 필요하다.초기 투여량은 [1]생후 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권장된다.두 번째 선량은 일반적으로 [1]2세에서 6세 사이에 투여된다.아직 면역이 되지 않은 환자에게 노출 후 사용하는 것이 [3]유용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1][3]경미하다.주사 부위의 가벼운 통증과 붓기, [1]미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더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다.[1]백신을 신경학적 [3]영향과 같은 합병증과 연결시키기에 증거가 불충분하다.백신은 임신 중이거나 면역체계가 매우 [1]약한 사람들에게 투여되어서는 안 된다.그러나 임신 중 백신을 접종한 산모의 자녀들 사이에 나타난 나쁜 결과는 [1][3]아직 입증되지 않았다.비록 백신이 닭의 세포에서 개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3]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투여하는 것은 안전하다.
대부분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는 MMR로 [1]알려진 홍역 및 풍진 백신과 함께 종종 그것을 면역 프로그램에 포함합니다. 앞의 세 가지와 MMRV로 알려진 수두 백신도 사용할 [3]수 있습니다.2005년 현재 110개국이 백신 [1]접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백신을 제공하고 있다.광범위한 예방접종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질병률이 90% 이상 감소하였다.[1]한 종류의 백신이 거의 5억 회분 [1]투여되었다.
역사
20세기 중반, 어린이들 사이의 유행성 이하선염 감염은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성인 남성들은 쇠약하게 만드는 고환 염증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은 전시 동안 폐쇄적인 군인들 사이에서 특히 어려움을 야기했다.그 결과, 제2차 세계대전 (1939-1945) 동안 미국 정부는 유행성 이하선염의 과학적 연구를 [4]목표로 삼았다.첫 번째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1948년에 허가되었다; 불활성화 바이러스로부터 개발되었지만,[3] 그것은 단지 단기적인 효과만을 가져왔다.
개량된 백신은 1960년대에 [1]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1963년, Merck & Co.의 Maurice Hilleman은 병에 걸린 딸로부터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의 샘플을 채취했다.그 결과, 그녀는 제릴 린 [4][5]균주의 이름이 되었다.당시 소아마비와 홍역 백신을 접종한 최근의 진보를 바탕으로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변종은 배아 암탉의 알과 병아리 배아 세포 [4]배양에서 개발되었습니다.그 결과 발생한 변종 바이러스는 인간 세포에 적합하지 않아 감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러한 변종들이 야생 [6][7]변종들보다 인간 신경세포에 덜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신경쇠약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Hilleman의 연구는 Mumpsvax라고 불리는 첫 번째 효과적인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만들었다.1967년에 면허를 취득한 4년간의 개발은 새로운 [4]백신의 가장 빠른 개발 기록을 세웠으며, 이후 1년도 [8]채 되지 않아 개발된 COVID-19 백신을 능가했다.
유행성 이하선염 예방접종은 유행성 [4][2][9]이하선염과 함께 홍역과 풍진을 대상으로 한 MMR 백신에 유행성 이하선염이 포함되기 전까지는 일상화되지 않았다.MMR은 1971년에 허가되었고 미국 어린이들의 40%가 1974년까지 복합 백신을 맞았습니다.1977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생후 12개월 이상의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유행성 이하선염(MMR의 일부) 예방접종을 권고했고, 1998년 CDC는 MMR의 [4]2회 접종을 권고하기 시작했다.
종류들
1940년대 초기 백신이 불활성화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한 반면, 1960년대 이후의 준비는 [1]약화된 살아있는 바이러스로 구성되어 있다.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10]의약품 목록에 있다.2007년 [1]현재 사용되고 있는 타입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MMR 백신(측정,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백신)은 홍역 및 [citation needed]풍진에 대한 백신과 함께 제조된 백신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
Mumpsvax는 Merck의 Jeryl Lynn 균주 [11][12]백신 브랜드이다.Merck의 3바이러스 MMR 백신의 성분으로 미국에서 [13]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표준입니다.유행성 이하선염은 동결건조([12]경화) 백신에서 재구성된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피하주사에 의해 투여된다.2009년,[14][15] Mumpsvax의 독립형 제품으로서의 생산이 중단되었습니다.
배양에 사용되는 세포, 사용된 바이러스 스톡, 그리고 동물 액체는 모두 백신 생산의 일부로 외부 물질에 대해 선별된다.그것들은 SPGA(수크로스, 인산염, 글루탐산, 인간 혈청 알부민) 및 네오마이신과 함께 Medium 199(완충된 소금, 비타민, 아미노산, 태아 소 혈청을 포함한 용액)에서 재배된다.인간 알부민 가공은 콘 콜드 에탄올 분별법을 사용한다.[12]
기타 타입
- RIT 4385는 Jeryl Lynn의 아버지 Maurice Hilleman의 Jeryl Lynn[2] 변종에서 파생된 새로운 변종입니다.
- 레닌그라드 3형은 Smrodintsev와 Klyachko가 기니피그 신장세포 배양에 개발한 것으로 1950년부터 구소련 [16]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이 백신은 러시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 크로아티아와 인도에서 사용되는 L-자그레브 균주는 추가 [16]패시징을 통해 레닌그라드-3 균주에서 파생되었다.
- 우라베 품종은 일본에 도입되어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라이선스되었습니다.뇌수막염의 높은 발병률(J-L의 [17]경우 1/143 000 대 1/227 000)과 관련이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폐기되었다.그것은 영국에서 MMR로 공식화 되었다.
- 스위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루비니 균주는 닭 배아를 통과하는 경로 수가 많아짐에 따라 감쇠되어 나중에 낮은 [18]효력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그것은 [16]1985년에 도입되었다.
무효 버전의 영국으로의 불법 수입
영국에서 MMR이 도입되었을 때 MR(측정 및 풍진) 혼합 백신을 대체한 1가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Mumpsvax)은 미국에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영국에서 허가된 1가 제제는 [19]이용가능하지 않았다.1가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MMR 이전부터 사용 가능했지만 제한된 [20][21]규모로만 사용되었습니다.일부 부모들은 MMR 혼합물의 성분을 개별적으로 얻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에 이것은 20세기 말에 상당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영국에서 수입된 무면허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제제는 근본적으로 효과가 [22]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영국에서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면역은 1988년 MMR을 시작으로 일상화되었다.Aventis-Pasteur "MMR-2" 브랜드는 2006년 영국에서[citation needed] 일반적이다.
스토리지와 안정성
콜드 체인은 백신 접종의 주요 고려 사항이며, 특히 저개발 국가에서 그러하다.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은 보통 냉장 보관되지만 [16]섭씨 23도에서 65일의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World Health Organization (February 2007). "Mumps virus vaccines : WHO position paper". Weekly Epidemiological Record. 82 (7): 51–60. hdl:10665/240868. PMID 17304707.
- ^ a b c Hviid, A; Rubin, S; Mühlemann, K (March 2008). "Mumps". Lancet. 371 (9616): 932–44. doi:10.1016/S0140-6736(08)60419-5. PMID 18342688. S2CID 208793825.
- ^ a b c d e f g Atkinson, William (May 2012). Mump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12 ed.). Public Health Foundation. pp. Chapter 14. ISBN 97809832631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7-06.
- ^ a b c d e f Roos, Dave. "How a New Vaccine Was Developed in Record Time in the 1960s". HISTORY. Retrieved 2020-11-17.
- ^ Young ML; Dickstein B; Weibel RE; Stokes J Jr; Buynak EB; Hilleman MR. (1 November 1967). "Experiences with Jeryl Lynn strain live attenuated mumps virus vaccine in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Pediatric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40 (5): 798–803. doi:10.1542/peds.40.5.798. PMID 6075651. S2CID 35878536.
- ^ "Immunization, Vaccines and Biological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4-15.
- ^ Rubin, S. A.; Amexis, G; Pletnikov, M; Li, Z; Vanderzanden, J; Mauldin, J; Sauder, C; Malik, T; et al. (2003). "Changes in Mumps Virus Gene Sequence Associated with Variability in Neurovirulent Phenotype". Journal of Virology. 77 (21): 11616–24. doi:10.1128/JVI.77.21.11616-11624.2003. PMC 229304. PMID 14557647.
- ^ Cohen, Sandy (2020-12-10). "The fastest vaccine in history". UCLA Health. Retrieved 2021-12-20.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Kowalzik, F; Faber, J; Knuf, M (August 2018). "MMR and MMRV vaccines". Vaccine. 36 (36): 5402–7. doi:10.1016/j.vaccine.2017.07.051. PMID 28757060.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Hilleman MR, Buynak EB, Weibel RE, Stokes J (February 1968). "Live, attenuated mumps-virus vaccin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78 (5): 227–32. doi:10.1056/NEJM196802012780501. PMID 4169706.
- ^ a b c Merck Co. (1999). "MUMPSVAX (Mumps Virus Vaccine Live) Jeryl Lynn Strain" (PDF). Merck 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6-08-13.
- ^ Merck Co. (1999). "M-M-R II (Measles, Mumps, and Rubella Virus Vaccine Live)" (PDF). Merck Co.
- ^ "Vaccines: Vac-Gen/Shortages/MMR single dose vaccine shortage questions". www.cdc.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17.
- ^ Smith, Rebecca (24 November 2009). "Single mumps vaccine production stops". The Telegraph. London: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Retrieved 14 February 2016.
- ^ a b c d "Immunizations, Vaccines and Biologicals - The Mumps Vaccine". World Health Organiz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4-23.
- ^ "MMR Vaccine". Pediatric Oncall. January 7,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0, 2007.
- ^ "Eurosurveillance report on Portugal outbrea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7, 2005.
- ^ Smith, Rebecca (2009-11-24). "Single mumps vaccine production stops". Telegraph. Retrieved 2020-03-18.
- ^ Donaldson, R. J. (2012-12-06). Essential Community Medicine: (including relevant social servic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94-011-6249-4.
- ^ Forsey, T. (1994). "Mumps vaccines—current status".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41 (1): 1–2. doi:10.1099/00222615-41-1-1. ISSN 0022-2615. PMID 8006938.
- ^ 파비박은 효과가 없다.CMO의 서신 HSSMD33-02:2007-09-27을 Wayback Machine에서 2002년 11월 아카이브 완료
추가 정보
외부 링크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MeSH)
- "Mumps Vacc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