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건축

Myanmar architecture

동남아시아에 있는 미얀마(옛 버마)의 건축양식은 주변국과 서구 국가들의 영향을 반영하는 건축양식과 현대화를 포함한다. 한국의 가장 유명한 건물로는 불교 탑, 부도사원, 영국의 식민지 시대 건물, 현대식 개보수 및 건축물이 있다. 미얀마의 전통 건축물은 주로 예배, 순례, 불교 유물의 보관, 정치적 활동관광에 사용된다.[1]

역사와 영향

초기 인도의 영향

미얀마의 건축물의 많은 부분이 고대 인도 문화와 연결되어 있으며, 미얀마에서 가장 일찍 알려진 거주민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2] Pyu 기간 동안, 네 의 아치형 통로가 있는 원통형 부도가 세워졌다. 그 위에[4] 종종 hti(우브렐라)[3]가 있다. 몬족과 푸족은 미얀마에 이주한 최초의 두 영향력 있는 집단이었고, 테라바다 불교의 최초의 인도-중국 신자들이었다.[2] 최초의 Pyu 센터 중 하나인 Beikthano는 수도원과 부도 같은 구조물을 포함한 Urbanesque의 기초가 있다. 미얀마 최초의 인도 재단인 이 푸우 부도는 기원전 200년부터 100년까지 지어졌으며 때때로 매장용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부도와 절, 탑에는 테라바다 불교적 초월성을 상징하는 금관이나 첨탑이 얹혀 있다.[5]

바간 시대

Drawing of Ananda Temple, seen from outside
Floor plan of the temple
아난다 사원의 계획

9세기에 이르러 바마르족바간을 중심으로 왕국을 세웠다. 11세기 동안 아나와라타 왕은 이라와디 계곡 지역을 통일하고 파간 제국을 세웠다. 1만개가 넘는 미얀마 붉은 벽돌 부도와 탑을 가진 바간은 12세기 중반까지 불교 건축의 중심지가 되었다.[6] 이 기간 동안, 푸형 부도는 인도의 팔라 제국과 그 기념비들에 의해 영향을 받은 알스 그릇이나 박 모양의 돔, 굽지 않은 벽돌, 가늘고 솟아오르는 지붕, 불상의 틈새, 다층 아치, 장식용 문 등을 연상시키는 기념물로 바뀌었다.[7] 스투코는 바간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특히 몬족에 의해 사용되었다. 바간 건축물의 스투코 특징으로는 화환, 화염 또는 태양의 광선, 공작 꼬리 깃털, 신화적인 생물 등이 있다.[8]

담마야지카 탑은 인도의 탄트리크 파하르푸르 탑과 비슷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많은 바간 부도와 같은 네모난 기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그것은 방사형 홀과 낮은 스커팅의 오각형 기단을 가지고 있다.[9]

바간에 세워진 최초의 사원 중 하나인 아난다사원(1090년 완공)은 인도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10] 금고가 있는 절은 바간의 공식 종교인 불교 테라바다 지부를 상징한다. 이 사찰의 건축적 특징으로는 벽돌로 된 금붕, 불상, 테라스 부재 등이 있다.[11] 그 절은 그 안에 왕좌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연립 지붕을 처음 사용한 것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왕실이나 종교적인 상징성을 지닌 이 절의 많은 이미지들은 불상이 불상 앞에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12]

바간의 많은 역사적인 유적들은 건조한 기후 때문에 잘 보존되어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원이 밀집된 바간은 미얀마의 가장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이다.[13] 사원의 많은 그림과 벽화들이 여전히 보인다.[14] Notable architectural sites in Bagan include the Bupaya Pagoda, the Dhammayangyi, Gawdawpalin and Htilominlo Temples, the Inn-hpaya Stupa, the Mahabodhi Temple, the Mingalazedi Pagoda, the Minochantha stupa group, the Taung Kyaung monastery, the Nathlaung Kyaung Temple, the Nga-kywe-na-daung Stupa, the Pahto Thamya and Shwegugyi Temples, the Shwez이곤 파고다술라마니, 저비인류사.[15]

식민지 시대

Large building at the intersection of two streets
Sepia-tinted photo of a large building
양곤에 있는 사무국(장관 건물)과 정부 하우스는 미얀마 식민지 건축의 예다.

버마는 1880년대 말까지 대영제국의 일부였고, 이것은 식민지 건축의 시기로 이어졌다.[16] 현재 양곤으로 알려진 랑군은 다민족의 수도가 되었다.[17] 도시 전체에 대규모의 식민지식 건물들이 지어지면서 버마의 사회적 혼란은 민족주의적인 집회와 반식민지 시위를 야기시켰다.[18]

양곤의 중심상업지구양곤강을 따라 식민지 시대의 건물이 많이 들어서 있다. 영국 행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1902년 사무국 건물로 지어진 장관 건물이 그 한 예다. 또 다른 도심 건축물로는 1896년 아비에트와 티그란 사르키에가 지은 보교크 마켓(구 스콧 마켓)과 스트랜드 호텔이 있다.[19] 저명한 건물로는 1926~1936년 사이에 지어진 양곤 시청, 세관, 고등법원 청사(1914년 건립, 1962년 고등법원 본부로 전환) 1920년 내륙수상청, 옛 미얀마 철도청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구조물

슈웨다곤 파고다

미얀마 타칠리크에 있는 슈웨다곤 탑의 복제품

양곤의 슈웨다곤 탑은 미얀마 불교가 중심이 되는 이다. 높이가 99.4m(326ft)인 이 부도는 금박으로 덮여 있다.[17][20] 작은 사당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위에 보석으로 덮인 사인부([20]다이아몬드 봉오리)와 버마 영성을 상징하는 7단 hti[21] 얹혀 있다. 4~5년마다 금을 수리하거나 교체한다. 불교 테라바다가 세운 이 탑에는 불상의 머리카락 가닥이 들어 있다고 한다.[22][23]

걸어 다니기 위해 지어진 방문객들은 버마 주간의 8일 동안의 점성술 표현을 통과한다. 단상에는 황금 장로를 포함한 수십 개의 작은 부도와 주요 나침반 지점[20] 헌신적인 센터가 포함되어 있다. 보디나무, 부처님을 비롯한 영적 인물들의 모습, 16t급 신구민종(옛 마하간다종)이 외관을 장식한다.[24]

그 탑은 불교 신앙의 중심지였고 정치적 활동성을 위한 포럼이었다. 1938년과 1939년 민족주의 타킨당의 반식민지 시위 때는 탑 주변에 '스트라이크 센터'가 설치되었다. 1988년 버마사회주의 프로그램당이 붕괴되고 있을 때 슈데다곤은 민주화 정치 시위의 단상이었다.[23] 1988년 8월 26일, 아웅산 수치 여사는 석탑 서문에서 민주주의에 대해 많은 청중 앞에서 연설했다.[25]

만달레이 궁전

Ornate building with a bicycle parked outside
1903년 만달레이 궁전 대관람관

만달레이 궁전은 미얀마의 목조 건축의 사례로 실내 공간보다는 외관 미학을 강조하고 있다.[26] 1850년대 후반에 지어진 궁궐의 일부 특성(카디닌으로 배치된 대문, 중앙의 궁궐 구조 등)은 푸위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차 동서축은 궁궐 건물 자체로 축조되었다.[27] 11세기 파가난의 삽화는 궁전과 비슷한 목조 건물과 만달레이에서 발견된 수공예품을 그리고 있다.

1945년 화재 이후 버마 건축에 사용된 전통적인 석고 조각의 예와 함께 원래의 궁전의 일부만이 남아 있었다. 궁전의 꽃 배급 센터에는 19세기 유럽의 건물에서 영감을 얻었을지도 모르는 나무 반원형의 아치가 몇 개 있다. 이 아치에 있는 석고는 햇빛의 광선이나 연꽃잎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28]

목조 조각과 석고 외에도, 층을 이룬 지붕이 궁전의 특징이다. 내부에는 복도를 덮고 있는 작은 왕실 하나가 있는데, 그 윗부분에는 파아트가 있다. 다른 버마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궁전의 많은 파이트타트는 수도원이나 왕좌실과 평행하다. 대청도 위쪽에 파이트가 있다. 열대성 기후 때문에 목조궁의 잦은 개보수가 필요했고, 원래의 티크 중 일부는 콘크리트로 보강되었다.[29]

특징

스투코와 나무 조각

바간 시대에 도입된 스투코는 몬 유산에 강하게 얽매여 있다.[30] 미얀마의 나무 조각은 수세기 동안 살아남은 전통 예술이다. 열대성 기후(많은 건물의 재구축이 필요함) 때문에 이 공예품은 대대로 전해져 왔다. 이러한 개조가 없었다면 목각술은 사라졌을 것이고 전통적인 모습을 재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31]

금의 사용

골드 클래딩은 전통적인 버마 건축의 특징으로, 보통 금도금 또는 금도금된 외피에서 두드러진다.[citation needed] 부파야, 슈웨다곤, 슈웨지곤, 로카난다 탑은 금으로 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협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역사적인 건물들이 유실되거나 손상되었다; 만달레이 궁전의 많은 부분이 전쟁이 끝날 무렵의 화재로 파괴되었다.[32] 1962년, 네윈의 명령으로 랑군대 총학생회는 철거되었다(본교 캠퍼스에는 식민지 시대의 강의실과 기숙사가 아직 남아 있지만).[33] 1980년대 후반 이후, 많은 식민지 구조물(영화관 한 블록 포함)이 신축 공사를 위해 파괴되었다.[34]

보존 및 재건

미얀마에는 식민지 시대의 건물 몇 채와 약 2,200여 개의 사찰과 탑만이 남아 있다.[35] 이러한 손실의 결과로, 많은 단체들이 남아 있는 구조물을 보존하기 위해 단결했다.[36]

1990년에 설립된 양곤시개발위원회국가평화발전위원회와 협력하여 많은 불교 기념물을 새롭고 도전적인 디자인 계획으로 복원하였다.[37] 탑과 절은 불교 건축물을 새롭게 단장하여 진정성을 살리는 '상상불교'를 도모하고 있다.[38] 현대와 전통 버마 양식의 조합인 이 새로운 불교 유적지는 미얀마 전역에서 발견되며 수도원, 탑, 국제 테라바다 불교 선교 대학 이 포함된다.[39] 민돈왕이 1871년 기증한 슈웨다곤 파고다 꼭대기의 왕관우산은 1999년 봄 교체됐다.[38]

2012년 결성된 양곤유산신탁은 양곤의 역사적 건축물을 보존하기 위해 헌신한 비정부기구다. 그 신탁은 대중의 인식 운동 때문에 몇 차례 보존에 성공했다. 정부 관리들과의 합의로 옛 인도와 미국 대사관 건물과 간디 홀을 구하게 되었다.[40]

참조

메모들

  1. ^ 에드워즈 197.
  2. ^ Jump up to: a b "Art". Myanmar. Chicago: World Book Inc. 2016.
  3.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73.
  4. ^ Myer. Stupas and Stupa-Shrines. p. 26.
  5. ^ Seekins. "A Sacred and Public Place". Meio University: 4.
  6. ^ "The Pagan Kingdom". Myanmar. Chicago: World Book, Inc. 2016.
  7. ^ Myer. "Stupas and Stupa-Shrines". Artibus Asiae: 30–34.
  8.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41.
  9. ^ Myer. "Stupas and Stupa-Shrines". Artibus Asiae: 30.
  10. ^ Fiala. "Ananda Pahto Temple, Bagan, Myanmar".
  11. ^ Myer. "Stupas and Stupa-Shrines". Artibus Asiae: 30–31.
  12.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An Interim Report on Aspects of Design".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39–340.
  13. ^ Yang. "Cultural Resilience vs. Historic Preservation".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75.
  14. ^ Pichard, Pierre (2013). Today's Pagan: Conservation Under the General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 2. ISBN 978-3-642-35869-2.
  15. ^ Fiala. "Bagan, Myanmar".
  16. ^ http://www.colonialarchitectureproject.org/index?/filency/2600-filency_propert
  17. ^ Jump up to: a b Seekins. A Sacred and Public Space. Meio University. p. 1.
  18. ^ "The Konbaung Dynasty and the Anglo-Saxon Burmese Wars". Myanmar. World Book, Inc.
  19.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1988 and the Transformation of Rangoon". Pacific Affairs: 258.
  20. ^ Jump up to: a b c Seekins. "A Sacred and Public Place". Meio University: 5.
  21. ^ Seekins. "A Sacred and Public Place". Meio University: 1–4.
  22. ^ Edwards. "Grounds for protest". The Institute of Postcolonial Studies: 197.
  23. ^ Jump up to: a b Seekins. "A Sacred and Public Place". Meio University: 2.
  24. ^ Seekins. "A Sacred and Public Place". Meio University: 3–4.
  25.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55.
  26.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49.
  27.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39.
  28.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42.
  29.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46.
  30.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41.
  31. ^ Moore. "The Reconstruction of Mandalay Palace".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335 & 343.
  32. ^ "Mandalay Palace – Myanmar Travel". www.gandawunshwebagan.com. Retrieved 5 February 2018.
  33.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58.
  34.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70–272.
  35. ^ John M.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79–480.
  36. ^ Yang. "Cultural Resilience Vs. Historic Preservation".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75.
  37.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65.
  38. ^ Jump up to: a b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73.
  39. ^ Seekins. "The State and the City". Pacific Affairs: 273–274.
  40. ^ Girke. "The Yangon Court Buildings". Sojourn: Journal of Social Issues in Southeast Asia: 72–104.

참고 문헌 목록

  • "아트" (2016), 미얀마, 시카고 월드북 주식회사.
  • 에드워즈, 페니 (2006) "시위 근거: 슈웨다곤 탑을 식민사 및 식민지 후 역사에 배치" 포스트 식민지 연구 연구소 vol. ix, 페이지 197–211
  • 피알라, 로버트 D, "아난다 파토 사원, 미얀마 바간," 동양 건축
  • 피알라, 로버트 D, "바간, 미얀마", 동양 건축
  • 거크, 펠릭스(1999년), "양곤 코트 건물: 두껍고 얇은 유산 사이." 소저인: 동남아시아의 사회문제 저널 vol. xxx, 페이지 72–10
  • Miksic, John M. (1990), Journal of Neast Asia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vol.xxi, 페이지 479–13
  • "콘바웅 왕조와 앵글로색슨 버마 전쟁" (2016), 미얀마, 시카고: 월드북, 주식회사
  • "군사독재" (2016), 미얀마, 시카고: 월드북, 주식회사
  • 무어, 엘리자베스(1993) "만달레이 궁전의 재건: 디자인 측면에 대한 중간 보고서." 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학부 회보 vol. lvi, 페이지 339–346
  • 마이어, 프루덴스 R (1961년), "스투파스와 스투파 신전," 아르티버스 아시애 vol. xxiv, 페이지 26–34
  • "이반 왕국" (2016), 미얀마, 시카고: 월드 북 주식회사
  • 피차드, 피에르(2013), 오늘의 이교도: 장군 휘하의 보존. 스프링거 베를린 하이델베르크, ISBN 978-3-642-35869-2
  • 포린스, 도날드 M.(2005) "국가와 도시: 1988년과 랑군의 변신" 태평양 문제 vol.lxxvii, 페이지 265–274
  • 게인스, 도널드 M.(2013), "성스러운 사이트 또는 공공 장소", "팔그레이브 맥밀런 미국" 페이지 139–159
  • 스토버, BA, 에릭; 빈크, 박사, 패트릭(2008); "사이클로네 나르기스와 버마 (미얀마)의 구제 및 재건 원조 정치," 미국의학협회 vol.vi, 페이지 729.
  • 양, 차오옌(2012년), "문화적 회복력 vs. 역사적 보존 : 미얀마 바간에서의 변화 관리." 전통 주거주거지 검토 vol.xxv, 페이지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