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17 (남아공)

N17 (South Africa)
National route N17 shield
국도 N17호선
경로 정보
SANRAL에 의해 유지 관리
길이330km (1980 mi)
주요 접점
웨스트엔드 R55 / M17 / 요하네스버그M11 웨머 팬로드
주요 교차점 앨버턴N12
알버튼N3
에르멜로의 N2 / N11
동쪽 끝은그웬야 근교의 에스와티니 국경에서의 MR3
위치
주요 도시
고속도로 시스템
N14N18

N17남아프리카 공화국국도로서, 에스와티니와 국경을 맞대고 요하네스버그에서 오쇼에크(Ngwenya)까지 운행한다.스프링스, 베탈, 에르멜로를 통과한다.[1]

배경

요하네스버그에서 스프링스로 이어지는 N17 구간은 이중의 마차로로 전국 통행료 노선이다.그것은 고텡의 첫 번째 도시 유료 도로였다.요하네스버그의 M11 웨머 팬 로드에서 스프링스의 톤크 미터 로드까지 운행한다.N17의 첫 부분은 M46 랜드 공항 도로에서 R23까지 이어지는 구 R77이었다.Gauteng 고속도로 개선 계획의 일환으로, N17과 N12를 연결하는 두 개의 미끄럼 도로가 만들어졌다.이제 Elands Interchange(이전에는 N3을 통해서만 가능)에서 N17 서부에서 N12 서부로, N12 동부에서 N17 동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onk Meter Road에서 N17은 하나의 고속도로다.스프링스에서 레안드라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R50과의 인터체인지로 끝나는 구간으로 1990년 당시 트란스발 지방청(TPA)이 하나의 마차로로 건설했다.(R29는 Springs에서 Leandra까지 N17과 나란히 달렸다.)

이어 레안드라에서 N17은 R29를 에르멜로까지 정렬하고, 이후 R65를 오쇼에크로 정렬하였다.그러나 당시 N17은 4개 마을(렌드라, 킨로스, 트리차르트, 베탈)을 횡단하여 여행하는 대중에게 지연을 초래했고, 특히 보행자에게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했다.R29는 또한 심하게 포탈이 되어 있었고, 차선이나 심지어 어깨도 지나치지 않아 레안드라에서 에르멜로까지의 구간은 위험했다.

SANRAL은 2001년에 N17에 대한 통행료 타당성 조사를 시작했으며, 그 후 Springs에서 Ermelo까지 N17의 새로운 구역의 설계와 업그레이드 및 재활을 위한 컨설턴트가 임명되었다.산랄이 회생사업의 자금지원을 위해 융자금을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푸말랑가주 스프링스에서 오쇼에크까지 N17도 지속적인 유료도로로 선포하고 유료광장을 건설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기존의 스프링스와 레안드라 사이의 단일 차선도로는 수직 및 수평 정렬, 포장된 어깨, R548(데본/발포)과 R42(델마스/니겔)의 등급 구분 인터체인지, 상승/통과 차선 등의 개선으로 재활용이 이루어졌다.레안드라~트리차르트(21km) 구간이 새로 완공됐고, 현재 R50과의 인터체인지에 있는 첫 유료광장이 개통됐다.2011년 10월 현재, N17은 키노스의 바로 동쪽에 있는 옛 정렬에 다시 합류한다.다른 개선사항으로는 트리차르트(3km)를 지나 베탈(1.5km) 구간이 있다.

N17 동부 유료도로는 신고된 N17 노선 중 2, 3, 4, 5 구간으로 구성된다.일반적으로 이 경로는 스프링스오쇼크 사이의 기존 N17로 설명할 수 있으며, 약 26km의 새로 건설된 구간이 있다.이 노선의 총 길이는 290km이다.(섹션 1 포함 시 1km 포함)

경로

가우텡

N17은 로제텐빌 북부의 요하네스버그 남부 교외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웨머 판 로드(Johannesburg의 M11 도로)와 t 분기점에서 시작된다.N12 고속도로(Johannesburg Ring Road, Johannesburg Ring Road) 밑을 지나 10km(M19M31 도로의 두 개의 서행 전용 오프램프로 출발하여 랜드 공항 바로 남쪽에 있는 N3 고속도로와 교류를 형성한다.Gauteng 고속도로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현재 N17과 N12를 연결하는 두 개의 미끄럼 도로가 있다; 하나는 N17 서부와 N12 서부를 연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N12 동부와 N17 동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N3 고속도로를 통해서만 가능했다.)N3 인터체인지에는 고스포스 톨 플라자(N17 최초의 유료 광장)가 있다.

From the N3 interchange, the N17 goes eastwards through the City of Ekurhuleni for thirty kilometres, bypassing Germiston, Boksburg, Benoni and Brakpan, meeting the R21 and R23, to Springs, where there are off-ramp junctions with Tonk Meter Road (M63 Road) and Nigel-Springs Road (R51 road).이로써 N17로 선포된 노선 중 1구간이 종료된다.이 구간은 브라크판 달파크 교외 R23 분기점 바로 뒤에 톨게이트(달파크 유료광장)가 있다.

N17 국도는 R51 스프링스 분기점에서 동쪽으로 50km 구간에서 데본(고텡 성 마지막 마을)을 지나 음푸말랑가 주 최초의 마을인 레안드라 시까지 이어진다.이로써 N17로 선포된 노선 중 제2구간이 종료된다.

요하네스버그에서 N17은 R29 도로(스프링스로부터 평행)가 뒤따른다.이 도로는 N17 제2절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푸말랑가

레안드라에서 N17은 R50 도로와 교차점에 도달하는데, 이것은 제2절의 끝이다.이 인터체인지에는 톨게이트(렌드라 톨 플라자)가 있다.

N17은 레안드라에서 Z자형을 이루곤 했는데, 이 분기점에서 북서쪽으로 3km 떨어진 지점에서 R29와의 분기점까지 R50과 동시에 이루어졌고, 거기서 N17은 동쪽으로 계속 이어진다.그러나 오늘날 N17은 R50과의 1차 분기점에서 동쪽으로 계속 이어지는 고속도로다. (남쪽으로 우회하여 Leandra Town Centre와 다가오는 Kinross Town Centre를 우회함)

그래서 R29는 R50과의 분기점에서 끝나곤 했듯이, 현재는 레안드라 센트럴과 킨로스 센트럴을 경유하는 N17 노선의 그 구 구간에서도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현재의 N17의 대체 노선으로 남아 있다.

R50 분기점으로부터 N17은 키노스를 우회하여 20km 동안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에반데르의 북동쪽과 세쿤다의 북서쪽 지점에서 R580 도로를 만나는데, 이것은 N17이 이전의 정렬에 합류하는 지점을 나타낸다.르벤 역 분기점이라고 알려진 이 분기점은 R29 노선의 동쪽 끝을 표시하기도 한다(N17 고속도로는 더 이상 평행하지 않으며, 나머지 길이의 백업 노선이 그 뒤를 따른다).

R29/R580 분기점에서 N17은 트리차르트 마을까지 10킬로미터 더 동쪽으로 계속 간다.N17호가 트리차르트 마을 중심을 지나던 것처럼, 지금은 북쪽으로 우회하도록 재편되어 하나의 연속된 간선도로로 남아 있다.

트리차르트에서 N17은 25km 동안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트리차르트 톨 플라자를 거쳐 베탈 마을에 도달하는데, 베탈은 N17로 선언된 노선 중 3구간의 종점을 이룬다.베탈 마을 중심지 북쪽, N17은 R35R38 노선과 맞닿아 있으며, 몇 킬로미터 동안 마을 중심지(모세 코타네 거리)를 통해 남쪽으로 한 개의 도로가 된다.베탈 경찰서에서는 R38이 남서쪽으로 독자 도로가 되고, 남부 교외에서는 R35가 남쪽으로 독자 도로가 된다.

베탈의 R35 스플릿에서 N17은 동쪽으로 50킬로미터 떨어진 에르멜로 시까지 가는데, 이것은 N17로 선언된 노선 중 4절의 끝을 의미한다.에르멜로 이전 약 13km는 마지막 N17 요금소(에르멜로 요금소)이다.교통이 마을 회관을 건너뛰기 위해 건설 루트를 찾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2][3][4]

에르멜로 센트럴에서는 N17이 주베르트 가(Joubert Street)로 진입하여 R39 도로의 북동쪽 종착역을 만나 N11 국도(Kerk Street)와의 교차로에 도달하는데, N11 국도 종착역과의 교차로에서 북쪽으로 불과 1km 떨어져 있다.N17은 N11을 북쪽으로 Fourie Street와 접점까지 합류하고, 여기서 N17은 동쪽으로 돌아간다.에르멜로 센트럴 직후 R65 도로 서쪽 종착역과 만나는 등 북동쪽으로 노선이 이어진다.에르멜로 센트럴에서 7킬로미터 떨어진 R36 도로의 남쪽 종착역과의 교차로에서 N17은 우회전을 통해 동쪽으로 계속된다.

Warburton 마을 3km 전, N11은 동쪽으로 R33 노선과 합류하며, 그들은 Warburton을 우회하여 10km 동안 한 도로로서 R33이 남쪽으로 자체 도로가 된다.

N17은 동쪽을 향해 계속하여 에스워티니와 함께 오쇼크 국경 초소에 도달하여 그 끝을 표시한다.반대편의 MR3 도로가 되어 은그웨냐를 거쳐 음바바네 시(에스와티니의 수도)로 이어진다.

에르멜로에서 크리시즈메어, 워버튼, 하르트비스코프를 거쳐 오쇼에크까지 N17로 선포된 5번과 마지막 구간은 123km이다.요하네스버그에서 N17 국도의 총 거리는 330km이다.(스프링스로부터 290km)

제안된 확장

N17(제1장)이 요하네스버그의 웨머 팬로드에서 크루거스도르프까지 M11로 현재의 종착점에서 서쪽으로 계속되려는 의도라는 사실은 종종 잊혀진다.이것은 동부와 서부 랜드 사이의 매우 필요한 두 번째 연결 고리가 될 것이다(현재 링크는 N12/N3/M2와 메인 리프 로드 R41 또는 알베르티나 시스루 로드 R24를 경유한다).

2010년 축구 월드컵을 위해 구축된 인프라의 일부로서, N1 고속도로(Johannesburg Western Bypass)와의 상호 교환(북쪽 오프램프 및 남쪽 온램프만 해당)을 포함하여, N17, 1구역의 일부분이 건설되었다.그러나 N17은 이 구간을 위한 고속도로가 아닌 이중도로로 남아 있다.FNB 스타디움 북쪽 M5 바라그와나트 로드(Nasrec Road)에서 약 8km를 운행한 후, 소웨토 북쪽의 클립스루트 밸리 로드와 소웨토 고속도로 분기점에서 종착점을 향해 급선회한다.[5]비록 이 짧은 길이 가까운 대중과 지도에 N17로 표시되어 있지만, N17의 나머지 부분을 어느 방향으로든 건설할 계획은 없다.

세부 개선사항(2007)

스프링스와 레안드라 사이 구간 개선(48km)

SANRAL은 높은 사고율을 해결하기 위해 나이젤과 데본 교차로에 교차로들을 건설했다.또 통행로와 등반 차선도 건설되었다.

레안드라와 레벤 역 사이의 신설 구간(21km)

이 구간은 완전히 새로운 구간이다.이 구간은 상호교체가 가능한 제한적인 진입도로로 건설되었다.처음에, 미래 이중 차로의 하나의 차선만이 건설되었다.그 구간은 포장된 어깨와 통과 및 상승 차선을 갖게 될 것이다.이 구간에는 간선 유료광장이 건설될 것이다.

레벤 역과 트리차르트(12km) 구간 개선

포장도로는 설계 수명이 다 되어 재활용이 될 것이다.포장된 어깨뿐 아니라 통행로와 등반 차선도 추가됐다.트리차르트(3km) 주변에 순환도로 구간이 건설된다.등급으로 구분된 교차로들은 대용량 교차로에서 제공될 것이다.

트리차르트와 베탈 사이의 구간(30km)

포장도로는 설계 수명이 다 되어 재활용이 될 것이다.포장된 어깨뿐 아니라 통행로와 등반 차선도 추가됐다.베탈(1,5km)을 통과하는 시차적인 경로 정렬을 없애기 위한 연결 도로 건설.다량 교차로에서 등급 구분 교차로 제공.이 구간에는 간선 유료광장이 건설될 것이다.

베탈과 에르멜로 사이의 구간(50km)

포장도로는 설계 수명이 다 되어 재활용이 될 것이다.수직 및 수평 도로 정렬 개선.포장된 어깨뿐 아니라 통행로와 등반 차선도 추가됐다.접속 통합 및 교차로 개선.이 구간에는 간선 유료광장이 건설될 것이다.

에르멜로와 오쇼크 사이의 구간(130km)

당초 이 구간은 통행료 사업의 일환으로 적정하게 정비될 예정이다.이후 다음과 같은 조치가 뒤따를 것이다.

정기적인 유지보수 조치;

수직 및 수평 도로 정렬의 사소한 개선

좁은 포장된 어깨와 통행 및 오르막길의 추가, 접근성 강화 및 교차로 개선

참조

  1. ^ Falkner, John (May 2012). South African Numbered Route Description and Destination Analysis (Report). National Department of Transport. pp. 33–3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4. Retrieved 12 August 2014.
  2. ^ SANRALauthor. "Ermelo to get a ring road". SANRAL Stop Over. Retrieved 2020-12-27.
  3. ^ Schmid, K. G.; Roux, P. L.; Fourie, C. J. S. (2016-01-01). "Novel Investigation - Ermelo Ring Road to Demarcate Risk Due to Historical Coal Mining". Internation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ISBN 978-1-138-03265-1. {{cite journal}}: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도움말)
  4. ^ L2B. "Leads 2 Business: Online Tenders in SA". Leads 2 Business. Retrieved 2020-12-27.
  5. ^ "N17". N17. Retrieved 2021-04-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