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니두스 크로니클
Nabonidus Chronicle나보니두스 크로니클은 고대 바빌로니아어 문헌으로, 점토판에 쐐기풀 문자로 새겨진 바빌로니아어 크로니클의 큰 시리즈의 일부분이다. 네오바빌론 제국의 마지막 왕인 나보니두스의 통치를 주로 다루며 페르시아 왕 키루스 대왕의 바빌론 정복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기원전 556년부터 기원전 539년 이후의 어느 시기에 걸쳐 키루스의 아들 캄비세스의 통치가 시작되는 것으로 끝난다. 그것은 키루스가 권좌에 오른 것에 대한 드문 동시대의 이야기를 제공하며 이 시기에 대한 주요 정보원이다;[1] 아멜리 쿠르트는 그것을 "바빌론 붕괴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고 냉철한 이야기"[2]라고 묘사한다.
이 연대기는 셀레우치드 시대(기원전 4세기~1세기)에 서기에 의해 복사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원문은 아마도 기원전 6세기 후반이나 5세기 초반에 쓰여졌을 것이다.[3] 나보나사르와 바빌로니아 연대기의 또 다른 하나인 샤마쉬슈우킨 크로니클과의 유사성은 같은 서기가 두 연대기의 원인이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만일 그렇다면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기원전 549년–기원전 486년)의 치세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2]
태블릿 설명
나보니두스 크로니클은 현재 런던의 대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점토판 한 장에 보존되어 있다. 다른 바빌로니아 연대기와 마찬가지로, 왕들의 즉위 및 사망, 주요 군사 행사, 주목할 만한 종교적 사건 등 매년의 주요 사건들을 연금술적(연간) 방식으로 나열한다. 그것은 바빌로니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사건만을 보고하는 표준 패턴을 따르며, 이 지역의 더 넓은 역사를 위한 출처로서 다소 제한된 효용성을 지닌다.[2] 태블릿 자체는 가로 140mm, 세로 140mm로 상당히 크지만 밑단이 크게 손상되고 왼쪽 면이 대부분 없어진다. 본문은 양쪽에 두 개의 열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원래는 300~400여 개의 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아 있는 것은 극히 단편적이다; 75줄 이상의 텍스트는 여전히 읽을 수 있다.[1] 누락된 부분은 제1열과 제4열의 대부분과 제2열 하단과 제3열 상단으로 구성된다. 태블릿 하단에 콜로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 역시 대체로 빠져 있다.[4]
글씨가 비록 좋은 기준이지만 복사가 분명 불완전했고 서기가 본문에 보이는 여러 가지 오류를 범했다.[5]
이 태블릿은 1879년 대영박물관이 고물상 스파르탈리앤코로부터 구입했다. 바빌론의 폐허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원래의 발견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것은 아마도 바빌로니아의 아차메니드 총독들이 소장하고 있는 공식 실록의 일부일 것이다.[6] 당시 '나보니두스의 연보'로 알려진 이 글은 헨리 롤린슨 경이 1880년 2월 14일자 아테네움 잡지에 처음 실렸으며, 2년 후 성서고고학회의 거래(T. G. Pinches) 교수에 의해 최초의 영문 번역본이 출판되었다(1882년).[5] 그 후 많은 학자들에 의해 번역되었는데, 특히 시드니 스미스 A.[5] 레오 오펜하임,[7] 알버트 커크 그레이슨,[4] 장 자크 글래스너,[8] 아멜리 쿠르트.[9]
본문
연대기의 본문은 아마도 기원전 556년 나보니두스의 등용과 함께 시작되는데, 본문의 시작부분이 너무 부실하게 보존되어 있어서 이 부분 중 어느 부분도 읽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나보니두스가 흄이라는 곳과 "서양" (아라비아?)에서 이름 없는 지역들을 상대로 한 캠페인을 언급하고 있다. 사이러스가 중위왕 아스티야게스의 수도인 엑바타나를 약탈한 것은 나보니두스 6년에 기록되어 있다. 연대기는 계속해서 아라비아 오아시스 테마의 나보니두스(사해 두루마리에서 히브리어로 테이만이라고 함)[10][11]에 있는 나보니두스의 자진 유배와 이것이 아키투(새해) 축제에 10년 동안 초래한 혼란에 대해 여러 항목에서 서술한다. 왕은 아라비아에서 10년을 보내고 그의 아들 벨샤르수르(구약성서 다니엘 서적의 벨샤르)가 관리하는 바빌로니아를 떠났다. 8년째 되는 해는 일부러 비워둔 것이다. 보아하니 그 해에는 기록해야 할 중요한 행사가 없었던 것 같다. 키러스의 또 다른 캠페인은 9년차에 기록되는데, 아마도 리디아를 공격하고 사르디스를 사로잡은 그의 모습을 대표할 것이다.
나머지 본문의 대부분은 단편적이다. 전투와 페르시아에 대한 가능한 언급은 아마도 16년 동안의 참가에 나타난다. 긴 생존 섹션은 키로스가 바빌로니아를 침공하고 정복했을 때 왕으로서 나보니두스의 17번째와 마지막 해의 사건들을 묘사하고 있다. 아키투 축제의 기념행사가 기록되어 있어 나보니두스의 바빌론 복귀를 알 수 있다. 이 연대기는 당시 키로스가 왜 바빌로니아 침공을 선택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고, 페르시아의 침략에 앞서 컬트 동상들의 인더레이션(아마 나보니두스가 신성한 우상들을 포획하는 것을 막기 위해 취한 조치일 것이다)을 언급하면서, 여러 도시의 신들이 "바빌로니아에 들어갔다"고 기록하고 있다. 페르시아인들이 나보니두스의 군대를 단호히 격파하고 후퇴하는 바빌로니아군을 학살하고 엄청난 약탈을 감행한 오피스 전투에 대한 간결한 묘사를 제공한다. 페르시아군은 더 이상의 갈등 없이 시파르와 바빌론 자체의 도시들을 점령하기 위해 나아갔다.[12] 사이러스는 시 주민들과 지명된 지방지사들로부터 기쁨의 환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에 바빌로니아로 끌려온 신들은 키로스의 명령에 따라 본국으로 돌아갔다. 본문의 읽기 쉬운 부분은 최근에 죽은 왕의 아내(아마도 나보니두스가 이[13] 무렵에는 더 이상 왕이 아니었기 때문에 키로스의 아내라는 뜻일 것이다)에 대한 긴 애도기간과 키로스의 아들인 캄비세스에 대한 언급으로 끝난다. 글자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몇 마디 흩어진 말만이 읽을 수 있다.[14]
분석
나보니두스 크로니클은 바빌로니아의 주신 마르두크의 (바빌론) 사제들이 작곡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사이러스가 섬기는 선전의 한 조각"과 "나보니두스를 비방하기 위한 마르두크의 사제 선전의 결과"로 특징지어져 왔다.[16] 베르니드 비드메드는 나보니두스가 달신 s의 예배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성공하지 못한 데 대해 사제들의 적개심을 돌린다. 특히 연대기는 아키투 축제가 나보니두스의 불참으로 열리지 못했다고 거듭 주장하고 있다. 나보니두스 대신 다른 사람들이 축제에 참여했을 수도 있었기 때문에 이것은 의심스럽다. 이 연대기는 나보니두스가 종교적 배신을 했다는 이유로 나보니두스를 공격하고 그의 행동을 키루스 및 캄비세스의 행동과 대조하는 키루스 실린더와 나보니두스의 운문 등 일련의 친페르시아 문서들의 일부로 보여진다.[16] 그러나 아멜리 쿠르트는 "바빌론 붕괴에 대한 가장 믿을 만하고 냉정한 고대 이야기"[2]라고 묘사한다.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A.L. 오펜하임 "메소포타미아 아케메네스 통치의 바빌로니아 증거" 게르셰비치, 일리야 (ed), 이란 케임브리지 역사: 제2권 : 중앙분리대와 아케메네스 시대, 페이지 535.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3. ISBN0-521-20091-1
- ^ Jump up to: a b c d 쿠르트, 아멜리. 케임브리지 고대사: 페르시아, 그리스, 그리고 지중해 서부의 C. 525-479, 페이지 112-138에 나오는 "사이러스에서 크세르크세스까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88년 ISBN 0-521-22804-2
- ^ 클라이드 E. 판타지, 미첼 G. 불그스름한 성경의 잃어버린 보물: 세계 박물관의 고고학적 유물을 통한 성경 이해 228페이지. Wm. B. Eerdmans 출판, 2008. ISBN 0-8028-2881-7
- ^ Jump up to: a b 그레이슨, 앨버트 커크.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연대기, 페이지 21 J.J. 아우구스틴, 1975
- ^ Jump up to: a b c 스미스, 시드니. 바빌론의 포획과 몰락과 관련된 바빌로니아 역사서, 페이지 98. Taylor & Francis, 1975년 (reprint). ISBN 3-487-05615-1
- ^ 왕자님, 존 다이넬리. 다니엘 책에 대한 비판적 논평: 특히 영어 성경의 학생들을 위해 고안된, 페이지 219. J. C. 힌리히스, 1899년
- ^ 오펜하임, A. 레오.구약성서와 관련된 고대 근동서. 1950년 프린스턴.
- ^ 글래스너, 장 자크스 메소포타미아 연대기. 2004년 성서 문학 협회 ISBN 1-58983-090-3
- ^ 쿠어트, 아멜리. 페르시아 제국: 아차메니드 시대의 원천 코퍼스. 런던: Routrege, 2007. ISBN 0-415-43628-1
- ^ 책 "오늘날의 사해 두루마리"에서 데이먼 TYMN은 나보니두의 증언으로 알려진 사해 두루마리 4Q242에 언급되었다[1]
- ^ 제2신전시대 유대인 문학
- ^ 브리안트, 피에르 키루스부터 알렉산더까지: 페르시아 제국의 역사, 페이지 41. 아이젠브라운, 2006년 ISBN 978-1-57506-120-7
- ^ 브로시우스, 마리아. 고대 페르시아의 여성들, 기원전 559-331년, 페이지 26-27. 1998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ISBN 0-19-815255-8
- ^ 그레이슨, A.K.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연대기, 21-22페이지, 104-111페이지. 아이젠브라운, 2000년 ISBN 1-57506-049-3
- ^ 비제호퍼, 요제프(트랜스) 아조디(Azodi), 아지즈(Azizeh). 고대 페르시아: 기원전 550년부터 서기 650년, 페이지 49. I.B.타우리스, 2001년 ISBN 1-86064-675-1
- ^ Jump up to: a b 비드메드, 칠리 아키투 축제: 132-137 페이지 메소포타미아의 종교적 연속성과 왕립정립. Gorgias Press LLC, 2004. ISBN 1-593333-158-4
외부 링크
- 나보니두스 크로니클(영국 박물관)의 이미지 및 설명
- 나보니두스 크로니클(영국 박물관)의 카탈로그 항목
- 메소포타미아 연대기: 나보니두스 연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