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토 파크웨이
Naito Parkway ![]() 강철교에서 북서쪽을 향함 | |||
이전 이름 | 프런트 스트리트 프런트 에비뉴 | ||
---|---|---|---|
의 일부 | |||
네임스케이크 | 빌 나이토 | ||
소유자 | 포틀랜드 교통국 | ||
길이 | 3.2 mi[1](5.1 km) | ||
위치 | 미국 오리건 주 포틀랜드 | ||
보낸 사람 | SW 바버 블vd | ||
메이저 접합부 | |||
에게 | NW 프런트 에이브 |
나이토 파크웨이는 미국 오리건 주 포틀랜드의 주요 도로다. 이전에는 프런트 애비뉴와 프런트 스트리트(Front Avenue)로 알려졌으며 1996년 빌 나이토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바꾸었다. SW 바버 대로와 NW 프론트 애비뉴 사이를 운행하며, 포틀랜드 시내를 거쳐 톰 맥콜 워터프런트 공원과 인접해 있다.
경로 설명
남쪽에서 출발한 SW 나이토 파크웨이는 바르부르 대로와의 교차로에서 시작된다. 이때까지 바버는 오레곤 루트 99W(OR 99W)와 OR 10을 맡고 있지만, 나이토는 이 인터체인지 북쪽의 지정을 이어받는다. 북쪽으로 계속 가면, 이 공원 도로는 미국 26번 고속도로의 일부인 로스 아일랜드 다리(Ross Island Bridge)와 교류가 있다.
그리고 나서 이 거리는 마르쿠암 다리 진입로를 포함한 405번 주간 고속도로(I-405)를 지나 포틀랜드 시내로 들어간다. 파크웨이는 I-5 남쪽으로 연결되는 하버드라이브를 지나면 호손과 모리슨 다리와 연결돼 시내 대부분을 거쳐 톰 맥콜 워터프런트 공원과 인접해 운행된다.[1] 모리슨 다리는 I-5와 두 번째 연결을 제공한다. 나이토의 중앙분리대에 있는 이 두 다리 사이에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공원인 밀 엔드 공원이 있다.[2]
그리고 나서 나이토는 포틀랜드 토요 시장을 지나 번사이드 다리 아래를 지나는데, 그 지점에서 NW 나이토 파크웨이가 된다. 다음으로, 그것은 99W 고속도로를 놓치는 스틸 브리지와 교류가 있는데, 그 노선이 N 주간 가에서 계속되기 위해 다리를 건너기 때문이다. 그 공원 길은 브로드웨이와 프레몬트 다리 아래를 계속 북쪽으로 지나간다. 그리고 나서 그것은 승객과 화물 접근 지점의 역할을 하는 수평 철도 건널목을 통과하여 유니언 역까지 간다. 나이토 파크웨이는 비록 거리 자체가 NW 프론트 애비뉴로서 북서 방향으로 계속되지만, NW 15번가와 교차로인 프리몬트 다리 바로 뒤에 끝난다.[1]
교통
포틀랜드 남서쪽 교외에서 운행하는 몇 개의 방사형 트라이메트 버스 노선은 나이토 파크웨이의 남부를 통해 다운타운에 접근한다. 이러한 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모든 노선은 바버 대로에서 북쪽으로 나이토까지 합류하여 시내로 진입한 후 서쪽으로 돌아서 포틀랜드 트랜짓 몰과 연결된다. 노선은 나이토 남쪽으로 돌아간다. 이들 노선은 나이토와 해리슨 가의 포틀랜드 전차와도 연결된다.[3]
16호선, 사우비 섬과 린튼과 세인트의 먼 북쪽 지역을 연결하는 방사형 선입니다. 존스는 나이토 북쪽 끝을 통해 다운타운에 접근하고, 오크 스트리트에서 서쪽으로 돌아서 트랜짓 몰과 연결한 다음, 나이토 북쪽으로 돌아간다.[3]
2015년부터 포틀랜드 교통국은 탐 맥콜 워터프런트 공원의 길이를 운행하는 사이클 트랙과 보행자 구역으로 전환하기 위해 나이토 북행 1개 차로를 여름철에 폐쇄하는 등 베터 나이토 프로젝트를 시작했다.[4] 국토부는 2020년까지 이 같은 변화를 상시화, 연중화할 계획이지만, 2019년 1월부터는 영구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한시적 사이클 트랙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5][6]
역사
나이토 파크웨이의 시초는 윌리엄 P가 포틀랜드의 탄생과 일치했다. 오버톤은 1841년에 수변가에 그의 집을 지었다.[7] 이 도시의 초기에는 나이토가 프론트 스트리트(Front Street)로 알려졌으며, 도심 상업 중심지의 중심지였다.[8] 앞쪽은 1862년 법원 판결로 사유지임이 밝혀졌지만, 많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공공도로로 간주했던 큰 제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7]
오리건 주의 첫 번째 학교는 1845년에 시작되어 오리건 최초의 개업 선생님이자 의사인 랄프 윌콕스가 이끌었던 프론트와 테일러 가의 작은 목조 건물에 수용되었다.[9] 이 도시의 첫 번째 벽돌 건물은 1853년 윌리엄 S. 라드가 압살롬 B에 의뢰했을 때 프런트 서쪽에 건설되었다. 술과 포도주 가게를 짓기 위해 한록. 얼마 지나지 않아 할록은 이 건물에 2층을 추가하라는 의뢰를 받아 라드 은행과 틸튼 은행의 첫 번째 장소로 이용되었다.[10]
윌라메트 강과 프런트 시내 구간 사이의 좁은 땅줄기는 일련의 포경선이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 중 상당수는 공공의 이용이 개방되어 있었다. 이 강과 가까운 거리는 Front를 도시의 경제 중심지로 만들었다. 1885년식 페치하이머&화이트 빌딩과[11] 1857년식 할록-맥밀란 빌딩 등 프런트 서쪽에 벽돌 상업용 건물들이 많이 지어졌는데, 현재 포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서 있다.[12]
1872년 12월 22일 동이 트기 전, 프론트 스트리트 동쪽에 있는 앨더와 모리슨 스트리트 사이의 중국 세탁소에서 화재가 발견되었다. 부분적으로는 바람이 많이 부는 조건과 수변 건물의 필링 사이에 쌓인 인화성 쓰레기로 인해 불이 빠르게 번져 블록 양쪽에 있는 건물들을 집어삼켰다.[13] 불은 진화되기 전에 두 개의 도시 블록을 파괴했다. 시 당국은 공식적으로 이번 화재의 책임을 중국인들에게 돌렸고, 한 무리의 백인 거주자들이 화재 중에 윌라메트에서 중국인 남성 3명을 익사시켰다는 보고가 있었다.[14] 포틀랜드 경찰도 총을 겨누고 있는 중국인 남성을 검거해 화재 진압을 위해 양수기를 동원했다. 중국인 거주자들에게는 공식적이고 대중적인 비난이 가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 그 화재는 인종적 동기를 부여한 방화 행위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된다.[13]
이듬해 8월 2일, 1873년 대 화재는 프런트(Front)의 가구점에서 시작되었다.[9] 1872년 화재로 피해를 입은 지역이 완충제 역할을 하여 격납작전에 도움을 주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20개 이상의 블록이 파괴되었다.[16] 목재가 건축자재로 널리 보급된 것은 화재 확산의 큰 요인이었으며, 건축 품질 향상을 위한 의도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벽돌과 철을 많이 고용한 피해 지역을 재건하려는 노력도 있었다.[9] 건축가들도 건축 미학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게 되었고, 1880년대에 이르러 프런트 상업 중심부 양쪽에 장식적인 주철 전선과 목조 대장이 특징인 다층 건물들이 늘어서게 되었다.[10]
1894년 대규모 홍수를 포함한 윌라메트의 거듭된 홍수는 상업적 발전을 강에서 더 멀리 이동하도록 부추겼다.[10] 게다가 철도가 도착했다는 것은 강물이 더 이상 주된 선적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했다. 세기가 바뀔 무렵, 강의 선적 교통의 상당 부분이 북쪽으로 이동했고, 상업 중심부는 서쪽으로 4번가와 5번가로 이주했으며, 프런트 주변의 많은 건물들은 버려진 채 앉아 있었다.[17]
1929년 방조제와 하수관 요격기를 건설하기 위해 전선을 따라 있는 많은 포경선들이 철거되었다.[7] 방조제는 홍수로 인한 문제를 해결했지만, 포경선의 손실은 그 지역의 상업적 목적을 상당히 감소시켰다.[10]
대공황으로 프런트의 상업적 중요성이 더욱 떨어졌고, 1층 상가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입주해 있는 다층 건물 상당수가 공실이었다. 그 거리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 도시는 1933년에 포틀랜드 공공 시장을 건설했다.[10]
프런트 스트리트는 1935년에 프론트 애비뉴로 개명되었다.[18]
1942년 하버드라이브의 개통으로 프런트 에비뉴는 강에서 완전히 단절되었고, 수변길을 따라 주요 레어로 대체되었다.[8]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방도 넓어졌다. 그 결과 포틀랜드 공설시장을 포함한 프런트 강과 강 사이의 79개 건물들이 모두 철거되었다.[19]
1968년까지, 포틀랜드 계획국은 도시의 공원 시스템을 확대하고 대중들에게 수변지역으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하버드라이브의 폐지를 권고했다.[20] 1964년 강 동쪽 둑에 주간 5호선이 완공되었고, 1969년 서쪽에는 I-405호가 완공되었다. 1973년 프레몬트 다리가 완공되면서 현재 도시의 고속도로 루프가 완성되어 하버드라이브(Harbor Drive)의 필요성은 대폭 줄어들었다.[8] 하버는 1974년에 폐쇄되었고 철거가 톰 맥콜 워터프런트 공원을 위한 길을 만들기 시작했고, 다시 한번 프론트 에비뉴가 서쪽의 워터프론트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로 만들었다.[17]
1987년 스카너 소유주 버니 포스터는 민권 지도자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기리기 위해 거리의 이름을 바꾸려는 운동을 주도했다. 200명이 넘는 조사 대상 부동산 소유주들이 이 변경에 반대했지만 9명만이 이를 지지했다. 포스터는 결국 Union Avenue를 마틴 루터 킹 주니어로 개명하는 데 성공했다.[21]
1996년, 시는 지역 투자가, 자선가, 그리고 시민 지도자인 빌 나이토를 기리기 위해 나이토 파크웨이로 이름을 바꾸었다.[22] 이 변화는 나이토가 죽은 지 불과 몇 달 후에야 시행되었는데, 거리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짓기 전에 최소한 5년 동안 사람을 죽여야 한다는 도시 규정에 반하여 시행되었다.[23]
이벤트
나이토 파크웨이는 종종 워터프런트 블루스 페스티벌, 로즈 페스티벌, 오리건 브루어스 페스티벌 [24]등 톰 맥콜 워터프런트 파크에서 열리는 행사를 수용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문을 닫거나 개조된다.
장미축제의 별빛 런은 나이토를 출발점으로 삼고, 2019년 결승점으로도 활용했다.[25]
나이토는 포틀랜드 마라톤의 출발점과 결승점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경주에서의 불상사와 관련하여 언론의 주목을 받아왔다. 2018년에는 철교에서 화물열차가 횡단하는 바람에 최종 구간으로 접근하는 주자들이 지연되기도 했다.[26] 2019년 주자들은 로스아일랜드 다리로의 회전을 놓치고 나이토에서 남쪽으로 계속 남하했다.[27]
주목할 만한 랜드마크
나이토 파크웨이는 특히 스키드모어/올드타운 역사지구를 지날 때 많은 유명한 건물들과 다른 명소들과 인접해 있다.[28]
- 국립자연과학대학교, 2828 SW 나이토 파크웨이
- Salmon Street Springs, SW Naito Parkway & Salmon Street
- 월드 트레이드 센터 빌딩 2, 3, SW 나이토 파크웨이 & 연어 스트리트
- 밀엔즈 파크, SW 나이토 파크웨이 & 테일러 스트리트
- 한록-맥밀란 빌딩(1857년 건축), 237 SW 나이토 파크웨이
- Fechheimer & White Building (건축 1885년), 233 SW Naito Parkway
- 스미스 블록(1872년 건축), 111SW 나이토 파크웨이
- 포틀랜드 토요 마켓 파빌리온, SW 나이토 파크웨이 & 앤케니 스트리트
- 빌 나이토 레거시 분수 SW 나이토 파크웨이 앤케니 스트리트
- 스키드모어 블록 빌딩(건조 1889) & 화이트 스태그 간판, 70 NW 카우치 스트리트
- 일본미국역사광장, NW나이토파크웨이 & 카우치상
- 센테니얼 밀스 (1911년 건설), 1362 NW 나이토 파크웨이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Google (October 22, 2019). "Naito Parkway"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October 22, 2019.
- ^ Young, Amalie (May 6, 2001). "One Step and You've Left Mill Ends Park". Los Angeles Times. Associated Press. Retrieved October 24, 2019.
- ^ a b Portland City Center (PDF) (Map). TriMet. Retrieved December 4, 2019.
- ^ Portland Bureau of Transportation. "Better Naito: A New Way to the Waterfront". City of Portland. Retrieved October 24, 2019.
- ^ "Better Naito forever?". Portland, Oregon: KOIN-TV. July 25, 2019. Retrieved October 24, 2019.
- ^ Theen, Andrew (August 8, 2019). "Northbound Naito Parkway will have one lane for cars forever". The Oregonian. Retrieved December 4, 2019.
- ^ a b c Reed, Henry (June 1, 1941). "Cavalcade of Front Avenue". Ernie Bonner Collection. Oregon Sustainable Community Digital Library. Paper 119. Retrieved October 23, 2019.
- ^ a b c Adopted West Quadrant Plan. City of Portland. March 5, 2015. p. 10. Retrieved October 24, 2015.
- ^ a b c Scott, Harvey Whitefield (1890). History of Portland, Oregon: with illustrations and biographical sketches of prominent citizens and pioneers. Syracuse, NY: D Mason & Co. Retrieved December 4, 2019.
- ^ a b c d e Ballestrem, Val C. (December 3, 2018). Lost Portland Oregon. Arcadia Publishing. pp. 64–67. ISBN 9781439665930. Retrieved December 4, 2019.
- ^ Portland Bureau of Planning (October 6, 2008). "Revised Documentation, National Historic Landmark Nomination: Skidmore/Old Town Historic District" (PDF). National Park Service. p. 3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2, 2016. Retrieved October 28, 2019.
- ^ Brink, Benjamin (February 13, 2010). "Portland's oldest buildings downtown offer a peek into the past". The Oregonian. Retrieved October 24, 2019.
- ^ a b Fairchild, Jim (January 14, 2011). "The Portland Riverfront Fire of 1872". Retrieved December 4, 2019.
- ^ Chandler, J. D. (November 12, 2013). Hidden History of Portland, Oregon. Arcadia Publishing Incorporated. ISBN 9781625846679. Retrieved December 4, 2019.
- ^ "Fire Area, Portland, 1873". Oregon History Project. Retrieved December 4, 2019.
- ^ "Firefighting in Portland Through the Years". City of Portland. Retrieved December 4, 2019.
- ^ a b Killen, John (June 18, 2015). "Throwback Thursday: In 1940s, Portland gained a freeway, lost old but impressive buildings". The Oregonian. Retrieved October 23, 2019.
- ^ MacColl, E. Kimbark (1979). The Growth of a City: Power and Politics in Portland, Oregon, 1915 to 1950. Portland, Oregon: The Georgian Press Company. p. 512. ISBN 0-9603408-1-5.
- ^ Bonner, Ernest (2003). "Widening Front Avenue". Ernie Bonner Collection. Oregon Sustainable Community Digital Library. pp. 5–6. Paper 321. Retrieved October 24, 2019.
- ^ "1952 to 2001".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Office of the City Auditor. Retrieved October 24, 2019.
- ^ Parks, Casey (January 10, 2019). "Twenty-five years after corridor's controversial renaming, Martin Luther King Jr Boulevard is a map mainstay". The Oregonian. Retrieved December 5, 2019.
- ^ Orloff, Chet. "William Sumio Naito (1925–1996)". The Oregon Encyclopedia. Retrieved October 24, 2019.
- ^ Gomez, Cynthia Carmina (April 29, 2019). "Process and Privilege". Oregon Humanities. Retrieved December 5, 2019.
- ^ Azar, Kellee (April 27, 2016). "Lane closure for festivals begins Monday on Naito Parkway". KATU 2. Retrieved December 5, 2019.
- ^ "New start time and start location announced for Rose Festival's Starlight Run". Fox 12. April 12, 2019. Retrieved December 5, 2019.
- ^ San Roman, Katie (December 4, 2018). "It's Not a Sprint, It's the Portland Marathon". The Bridge. Portland Community College. Retrieved October 24, 2019.
- ^ Lorge Butler, Sarah (October 9, 2019). "New Portland Marathon is Mostly a Success". Runner's World. Retrieved October 24, 2019.
- ^ "Skidmore/Old Town Historic District Design Guidelines". City of Portland. Bureau of Planning and Sustainability. Retrieved October 25,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