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nded-protected article

날리보키 학살

Naliboki massacre
날리보키 학살
Polish: Zbrodnia w Nalibokach
날리보키 자위대
위치나리보키, 독일 점령 폴란드
날짜1943년 5월 8일
무기자동반자동 무기
죽음129
희생자들폴스
가해자소비에트

날리보키 학살(폴란드어: zbrodnia w Nalibokach)은 1943년 5월 8일 독일 점령 폴란드(현재는 벨로루시)의 작은 도시 나리보키에서 소련 빨치산들이 여성[2] 어린이를 [1]포함한 129개의 폴란드인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이다.[3]

배경

1939년 독일-소련의 폴란드 침공 이전 날리보키는 폴란드 동부 스토우프체노오그로데크 주()의 일부였다.

독일의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에 이어 소련의 저항세력은 독일 라인 뒤편 폴란드 동부, 날리보키 숲에서 작전을 펼쳤다.[3] 1942년, NKVD 지도자들은 빨치산 운동 중앙본부에 의해 그들에게 보내졌고, 빨치산들은 공중 투하되었다. 지역 빨치산들은 독일 포위망에 의해 단절된 모든 민족들의 적군 병사들과 우크라이나인들과 친소련 벨라루스인들로부터 모집되었다.[4] 그들은 마을 사람들로부터 강제로 식량을 빼앗았는데, 그들은 그들을 적으로 취급했다. 소작농들을 공포에 떨게 해 식량을 포기하게 하는 방법으로 살해하는 것은 1943년 가미에슈, 데레네노, 보로위코츠치즈나, 디자그위, 로드지우슈츠나 등의 마을이 급습되면서 시작되었다. 나리보키는 습격당한 마을들 중 하나였다.[3] 이에 따라 1942년 8월 독일군의 명령에 따라 마을 사람들이 자위대를 결성하여 마을경찰서가 폐쇄되었다.[3]

1943년 3월과 4월 소련 빨치산들은 폴란드 자위대 지도자들과의 두 번의 만남을 주선했다. 회담 중 소비에트 빨치산들은 폴란드인들에게 합류할 것을 주장했지만 폴란드인들은 거절했다. 그러나 숲 속에 숨어 있는 강도들에 대한 휴전과 공동작전에 대해서는 유제니우스 클리모비치(Eugeniusz Klimowicz)로 대표되는 폴란드와 협정을 맺었다.[5] 소련 빨치산들은 휴전을 위반했다.[3]

폴란드 국민기억연구소에 따르면 소련 빨치산들의 폴란드 지하부대 공격은 그들의 계급에 있는 유대인들에 의해 우회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한다.[4] 역사학자 카지미에르츠 크라제프스키는 리다 주변의 숲에서 빨치산의 25%가 유대인이며, 162명만이 무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1,200명이며, 이는 소련측의 유인물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했다.[4] 특히 소련 NKVD는 친독 성향의 벨라루시 국민들을 적어도 반나치 폴란드인만큼 심하게 박해했다. 벨라루스인 협력자 수천 명이 살해됐으며 교사, 지방 행정관, 벨라루스인 보조 경찰 조직원 등이 포함됐으며 폴란드인 사회 수십 명이 파괴됐다. 이로 인해 적어도 열 차례에 걸쳐 아르미아 크라호와의 노보그로데크 지구 사단(pl)은 불운한 마을에 대한 공격을 막기 위해 소련 빨치산들과 협상을 시도했다. 그런 시도는 헛수고였다. 1943년 5월, 폴란드 대표단 전체가 스츠주친의 포로에서 소련군에 의해 살해되고 태평양화가 계속되었다. Apart from Naliboki, other massacres were committed in Koniuchy (Koniuchy massacre), Szczepki, Prowżały, Kamień, Niewoniańce, Izabelin, Kaczewo, Babińsk, and Ługomowicze, including murders around Dokudów and near the Narocz and Kromań lakes, as well as in Derewno.[4]

대학살

1943년 5월 8~9일 밤, 소련 빨치산들이 날리보키를 습격했다.[3] 정치관료 등 소련군의 공격자 중 몇 명이 수비수들에 의해 사살되었다.[6] 폴란드 남성들은 집에서 끌려나와 개별적으로 또는 소그룹으로 총격을 받았다. 대량 약탈이 뒤따랐다. 많은 농가에 불이 났다.[3] 또한 소련의 공격 중에 살해된 사람은 폴란드 여성 3명, 청소년 몇 명, 그리고 10세 소년 한 명이었다. 공립학교, 소방서, 우체국과 함께 마을의 교회에 불이 났다. 급습에는 2~3시간이 걸렸다.

소련군 사령관은 NKVD에 250명의 살상, 무기 포획, 소 100마리와 말 78마리의 반올림, 독일군 수비대 파괴 등을 보고했다. 실제 피해자는 더 적었고([4]현재 129명으로 추산), 독일인은 출석하거나 살해된 사람이 없었고, 벨라루스의 보조경찰은 공격 당일 밤 마을에 단 한 명만 자고 있었다.[3]

2001년 조사

바르바로사 작전에 이어 폴란드 동부 지역에서 활동 중인 소련 빨치산들은 나치 게토스로부터의 탈출에서 살아남으려는 폴란드 유대인들과 함께 하는 경우가 많았다.[4] 폴란드 국립기억 IPN 연구소가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번 논란은 현재 진행 중인 관계를 근거로 소련을 지지했을 수도 있는 비엘스키 파르티잔인들의 공격에 대한 참여에 관한 것이다.[7][6]

2001년 3월 20일, 우드슈에서 IPN에 의해 나리보키 대학살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다.[6] 2003년 5월 검사 안나 Gałkiewicz IPN의 위원회에서 범죄는 폴란드 네이션 KŚZpNP에 대한 검찰에, Naliboki과 Koniuchy의 대참사에 대한 조사에 대한 책임은 Naliboki에서 살아남은 목격자들 유대인들 이전에 이 Bielski 열렬한 지지자들이 그 공격에 참여하는 것엤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보도했다.[더 나은 공급원이 필요하] 2009년 4월 현재 IPN은 조사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지만 역사학자 보그단 무사와는 비엘스키 일당이 이번 공격에 연루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8][better source needed] IPN의 성명서에 따르면 관련 부대는 '스탈린' 여단으로, '드제르진스키', '볼셰비키', '슈보로프' 부대 소속 빨치산들이 동행했다. IPN 지역분할은 2018년 11월 현재 폴란드 제2공화국 노오그로데크 보이스데프에서의 전쟁범죄에 대한 수사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9]

참고 항목

참조

  1. ^ Klimowicz, Mieczyslaw (2008). The Last Day of Naliboki: The Untold Story Behind the Massacre. American Literary Press. ISBN 9781934696262.
  2. ^ 페이지 247
  3. ^ a b c d e f g h IPN (November 2013). "Śledztwo w sprawie zbrodni popełnionych przez partyzantów radzieckich na żołnierzach Armii Krajowej i ludności cywilnej na terenie powiatów Stołpce i Wołożyn woj. nowogródzkie (S 17/01/Zk)". Śledztwa w biegu - Zbrodnie komunistyczne. Instytut Pamieci Narodowej. Retrieved 25 January 2014.
  4. ^ a b c d e f Kazimierz Krajewski. "Ginęli, ratując Żydów" [Dying while Rescuing Jews] (PDF). „Opor”? „Odwet”? Czy po prostu „polityka historyczna”? O Żydach w partyzantce sowieckiej na Kresach II RP. Warsaw: IPN Bulletin. NR 3 (98), March 2009: 99–120. ISSN 1641-956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2-22.
  5. ^ Geraldine Bereziuk Lowrey (March 5, 2015). "Book Review". The Last Day of Naliboki By Mieczyslaw Klimowicz (American Literary Press, 2009). The Am-Pol Eagle, Cheektowaga, NY. At the time, Mieczyslaw Klimowicz, the son of Eugeniusz Klimowicz, was in his teens.
  6. ^ a b c IPN (1 March 2002), Investigation Reports on Koniuchy and Naliboki, Institute of National Memory, retrieved 19 January 2014
  7. ^ IPN. "Komunikat dot. śledztwa w sprawie zbrodni popełnionych przez partyzantów sowieckich w latach 1942–1944 na terenie byłego województwa nowogródzkiego" (in Polish). Instytut Pamięci Narodowej. Retrieved 7 February 2018.
  8. ^ Bogdan Musiał (2009-01-31). "Bielski w puszczy niedomówień". Subscription payment required. Rzeczpospolita.
  9. ^ ODZIAWOWA KOMISJA W WWODZI (STANNA LISTOPAD 2018 R.), IPN, 2018년 11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