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초타 대학살

Ochota massacre
오초타 대학살
바르샤바 봉기의 일부
Miejsce pamięci tarczyńska 17.jpg
타르친스카와 달레카 거리 모퉁이에 위치한 오초타 대학살 현장을 기념하는 많은 기념물 중 하나(17명의 민간인이 이곳에서 살해되고 시신이 불태워짐)
위치바르샤바
좌표52°12°36°N 20°58°16°E/52.210°N 20.971°E/ 52.210, 20.971좌표: 52°12°36°N 20°58°16°E / 52.210°N 20.971°E / 52.210, 20.971
날짜.1944년 8월 4일부터 25일까지
대상폴란드 민간인
공격 타입
대량 살인, 갱 강간, 약탈, 방화
사망.약 10,000개
가해자Germany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지휘하는 S.S. 스투름브리가데 R.O.N.A.
동기반폴란드 정서, 독일어화, 범독일주의

오초타 학살(Ochota Massacle)은 1944년 8월 4일부터 8월 25일까지 바르샤바 봉기 기간 동안 바르샤바 지역 오초타 지역을 휩쓴 독일식 대량 살인, 약탈, 방화, 고문, 강간 사건이다.이들 전쟁범죄의 주범은 이른바 '러시아 민족해방군'인 나치의 협력자 S.S. Sturmbridgade R.O.N.A.였다.

최악의 잔학행위는 퀴리 연구소, 콜로니아 스타지카 주택단지, 지엘니악 강제수용소 등 지역 병원에서 일어났다.오초타 주민 약 1만 명이 살해되고 재산을 빼앗겼으며, 그 후 독일군에 의해 집단적으로 불태워졌고, 많은 희생자들의 시신도 마찬가지였다.

바르샤바 오초타 지역 RONA 도착

바르샤바 봉기 당시 러시아 민족해방군(RONA) 고위 장교들이 브리핑을 한다.

1944년 8월 1일 바르샤바 봉기가 발발한 후, 친위대 국가지도자 하인리히 힘러는 바르샤바의 파괴와 민간인 [a][b]박멸을 명령했다.

1944년 8월 4일 10시경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가 지휘하는 SS RONA 부대가 바르샤바의 오초타 지구에 진입했다.1,700명의 병사를 거느린 RONA의 참모진은 오파체프스카 거리(오늘날 바나차 거리 2번지)에 있는 Wolna Wsechnica Polska(폴란드 자유 대학) 건물에 본부를 설치했고, 병사들은 21세 리체움 오그노크(Liceum Ogłz)의 건물을 인수했다.후고나 코웬타야(제21회 휴고 코웬타지 중등학교)는 그로예카 거리 93번지에 있습니다.

대학살의 시작

RONA의 첫 번째 우선 순위는 그로제카 거리를 따라 더 멀리 있는 소위 "Reduta Kaliska" (Kalisz Stronghold)의 저항 진지를 공격하는 것이었지만, 거의 즉시 RONA 부대는 인근 오파체프스카 거리의 민간인 집단을 목표로 한 일련의 강도, 강간, 살인의 첫 번째 공격을 시작했다.RONA 군인들은 사람들의 집에 난입하여 주민들을 내쫓았고, 그들 중 일부는 총에 맞았으며, 특히 그들이 그들의 [1]사유지를 떠나는 것을 꺼려한다면 더욱 그랬다.오파체프스카 거리에 있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조직적으로 약탈당한 후 그날 불을 질렀다.1944년 8월 4일에서 5일 사이에 인근 지역에서 사람들이 살해되었고,[1] 그로제카 거리 104번지의 주민들은 지하실에 숨어 있다가 수류탄으로 사망했다.

대학살의 첫 시간 동안, RONA 부대도 라듐 연구소에 들어갔고, 거기서 환자들 중 일부를 죽였다.많은 희생자들이 살해되기 전에 갱을 강간당했는데, 이런 [1]양상은 다른 곳에서도 반복되었다.

지엘니악 캠프

1944년 8월과 9월에 수백 명의 죄수가 총살된 현장에 있던 지엘니악 수용소 기념관

8월 5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집에서 쫓겨나기 때문에, 독일인들은 바르샤바 외곽의 프루슈쿠프에 있는 환승 캠프(두르치강슬라거)로 이송되기 전에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과도 캠프를 오초타에 만들기로 결정했다.과도기 캠프는 지엘니악(오늘날 할레 바나차 지역)이라 불리는 옛 채소 시장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8월 [2]5일 저녁까지 오초타 지방과 그 인근 지역에서 10,000명에서 20,000명의 주민이 검거되었다.

RONA 부대는 시장의 옛 행정 건물을 점거하고 관리함을 초소로 삼았다.시장은 죄수들이 도망치는 것을 막는 벽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었다.현지 주민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RONA 부대에 의해 행해졌으며, RONA 부대는 포로들을 수용소로 몰아넣고, 여성들을 군중 속에서 끌어내려 강간하고,[1] 이후 종종 살해했다.캠프 입구에서 피해자들은 귀중품, 보석, 돈을 찾아 시장 자갈밭으로 내몰렸다.수용소에 들어가자 수감자들에게는 위생시설이 제공되지 않았고 약품이나 의료지원도 제공되지 않았다.가끔 소량의 곰팡이가 핀 빵이 나눠지기도 했지만, 식수는 없었다.게다가, RONA 병사들은 때때로 재미로 수감된 사람들을 향해 총을 쏘기도 했다.봉기 당시 바르샤바 주둔 독일군 사령관이었던 에리히 바흐는 수용소 창설 당일 수용소를 시찰했고 "거기에는 아무 문제가 없고 [1]모든 것이 질서정연했다"고 결론지었다.

1944년 8월 7일, 그 캠프는 민간인으로 넘쳐났다.살해된 사람들은 야영지 담벼락을 따라 무더기로 쌓이거나 임시로 매장됐다.같은 날 수백 명의 비폴란드계 사람들이 Okccie의 비슷한 수용소로 호송되었다.8월 9일, 첫 번째 포로들은 지엘니악 수용소에서 나와 프루슈쿠프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이후 며칠 동안 독일군이 반란군을 점차 오초타에서 몰아내자, 캠프는 다시 콜로니아 루베키에고(루베키 주택단지)와 필트로와 거리의 사회보험국(ZUS) 블록 등 다른 지역의 사람들로 채워졌다.8월 11일 와벨스카 거리(일명 '레두타 와벨스카 스트롱홀드')의 저항군 거점 점령에 이어 집에서 쫓겨난 사람들의 다음 물결이 이어졌다.살해되고 사망한 죄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시신은 인근 휴고 코웬타지 중학교 [3]체육관에서 불태워졌다.그들은 강제 징집된 시민들에 의해 체육관으로 이송되었고, 그 후 RONA 병사들은 시신에 술을 뿌리고 불을 [1]질렀다.8월 12일, 독일군 장교가 생포한 내무군 구스타우 대대의 보이스카우트 3명을 살해하고, 시체를 굴착된 구덩이에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그들의 뒤통수를 쐈다.8월 13일, 프루슈쿠프 환승 캠프에 대한 민간인들의 마지막 대피가 시작되었다.한편, 선발된 남자들은 베르브레농스코만도에 징집되어 대학살 희생자들의 시신을 계속 불태웠다.

지엘니악 캠프는 8월 19일까지 운영되었다.수감된 지 2주 동안 약 1,000명의 죄수들이 굶주림, 갈증, 극심한 피로감으로 죽거나, RONA [2]병사의 총에 맞아 죽었다.

라듐 연구소

1944년 8월 라듐 연구소에서 살해된 직원과 환자를 기리는 초렉 명패

8월 5일, 독일군 RONA 부대는 와벨스카 거리 15번지에 있는 라듐 연구소(마리 퀴리에 의해 설립)에 침입했다.병원을 약탈하고 직원들과 환자들을 강탈한 후, 그들은 도서관에 불을 지르고 식료품 재고, 약국, 그리고 병원 장비 대부분을 파괴했다.RONA 부대는 처음에 환자들과 직원들을 연구소 내에서 처형하기로 결정한 후, 마음을 바꿔 환자와 8명의 직원들은 남아있는 반면 나머지 직원들은 지엘니악 수용소로 행진하기로 결정했다.

저녁이 되자 뒤에 남아 있던 간호사들이 집단 폭행을 당했다.다음날 건물에 불이 났고 일부 환자들은 [3]산 채로 불에 탔다.약 60명의 사람들이 건물 지하실과 굴뚝으로 대피소를 찾아 죽음을 면했다.

8월 9일에서 10일 사이에 일부 생존자가 발견되었고, RONA는 건물에 다시 불을 질렀다.8월 19일, RONA 부대는 건물에서 발견될 수 있는 생존자들을 모두 구출하고 50명의 위독한 환자들을 현장에서 [4]사살했다.나머지는 지엘니악 수용소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그들 역시 처형되었다(목격자 증거에 따르면, 뒤통수에 총을 맞고). 그리고 나서 [3]체육관의 장작더미에서 불태워졌다.사형 집행 전에 (우크라이나 혈통의) 여성 환자 한 명이 석방되었다.총 170여 명(환자와 직원)이 [4]살해됐다.

기타 잔학 행위

강간, 강도, 방화, 총살형에 의한 처형, 지하실에 숨어 있던 민간인 살해(보통 손가방을 던져 살해)는 오초타 지역 전역에서 RONA에 의해 행해졌다.그들은 또한 11/13 Langiewicza 거리의 저항군 야전 병원에서 수류탄으로 부상자들을 죽였다.오초타에서의 잔혹행위는 1944년 8월 13일 보이스코위 인스티튜트 지오그라피츠니(Military Geographic Institute) 건물에서 마지막 저항 거점이 무너지면서 대부분 끝났다.그러나 8월 25일 린들랴 거리 4번지에 있는 스피탈 디제스키트카 제수스(영아예수병원)의 환자와 직원이 구타당해 살해됐다.

희생자들

1944년 8월 4일 지하실에서 수류탄으로 수십 명이 죽고 뒷마당에서 20명이 총에 맞은 그로제카 거리 104번지 벽에 걸린 기념패

오초타 [2]대학살로 지엘니악 캠프에서 사망한 1,000명을 포함해 약 10,000명이 사망했다.많은 다른 장소들이 대량 처형을 위해 사용되었고, 그 중 일부는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 명판으로 표시되었다.사망자 중에는 필트로와 83번가에서 살해된 82세의 화가 위키토르 마즈로프스키 부부, 유명한 연극배우 마리우즈 마진스키 부부, 폴 모코토프스키에서 살해된 건축가 스테판 도모로비치 부부도 포함돼 있다.

오초타 지역의 조직적인 약탈과 파괴

RONA 부대는 1944년 8월 22일에서 25일 사이에 오초타에서 철수했지만, 그 지역의 재산 약탈은 10월 초까지 계속되었다.독일 직업 정부는 체계적인 약탈 캠페인을 조직했다; 전리품은 바르자와 자코드니아 기차역의 화물 열차에 실려 독일로 보내졌다.게다가 훔친 물건을 실은 트럭 호송대가 표트르쿠프 트리부날스키로 보내졌다.결국 베르니히퉁스코만도 부대는 조직적으로 거리에 불을 지르고, 결국 그 지역을 파괴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 총통은 바르샤바의 더 이상의 존재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전 국민을 처형하고 모든 건물을 폭파해야 합니다."1972년 마다이치크, 390쪽
  2. ^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제출된 친위대 지도자 에리히 바흐의 증언에 따르면, 히믈러의 명령(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발행)은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1. 체포된 반란군은 헤이그 협약따라 싸우든 싸우든 죽임을 당한다. 싸우지 않는 사람들, 여성, 어린이도 죽여야 한다.3 . 도시 전체가 파괴될 것이다. 즉, 도시 전체의 건물, 거리, 시설, 그리고 그 경계 내의 모든 것이 파괴될 것이다.브로니스제프스키 1970, 128~129페이지.

인용문

  1. ^ a b c d e f 우자즈도프스카 2005, 페이지 111~113.
  2. ^ a b c Kazimierski & Kowodziejczyk 1973, 페이지 325.
  3. ^ a b c Datner & Leszzzzynski 1962, 페이지 92, 101.
  4. ^ a b Wroniszewski, Józef Kazimierz (2002). Ochota Okęcie. Przewodnik historyczny po miejscach walk i pamięci z lat 1939–1944. Warszawa: Fundacja "Wystawa Warszawa Walczy 1939–1945"; Wydawnictwo "Askon". p. 113. ISBN 83-87545-27-9.

원천

  • Datner, Szymon; Leszczyński, Kazimierz (1962). Zbrodnie okupanta w czasie powstania warszawskiego (w dokumentach) (in Polish). Warszawa: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Wydawnictwo MON.
  • Kazimierski, Józef; Kołodziejczyk, Ryszard (1973). Dzieje Ochoty (in Polish). Warszawa: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 Madajczyk, Czesław (1972). Polityka III Rzeszy w okupowanej Polsce (in Polish). Warszawa: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 Wroniszewski, Józef (1970). Ochota 1944 (in Polish). Warszawa: Wydawnictwo Ministerstwa Obrony Narodowej.
  • Wroniszewski, Józef (1976). Ochota 1939–1945 (in Polish). Warszawa: Wydawnictwo Ministerstwa Obrony Narodowej.
  • Ujazdowska, Lidia (2005). Zagłada Ochoty (in Polish). Warszawa: Wydawnictwo Fronda. ISBN 83-922344-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