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슈무크 나나지
Nanaji Deshmukh![]() |
바라트 라트나 라슈트라 리시 데슈무크 나나지 | |
---|---|
![]() 2017년 인도 우표에 나나지 데쉬묵 | |
롯 사바 의원 | |
재직중 1977–1979[1] | |
선행자 | 찬드라 발 마니 티와리 |
성공자 | 찬드라 발 마니 티와리 |
선거구 |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발람푸르 |
라지야 사바 의원 | |
재직중 1999–2005 | |
선거구 | 지명했다 |
개인내역 | |
태어난 | 찬디카다스 암리트라오 데슈무크 11 1916년 10월 카돌리, 파르바니 구 하이데라바드 주 영국령 인도 (현재: 카돌리, 힝골리 구 마하라슈트라 인도 공화국) |
죽은 | 2010년 2월 27일 치트라쿠트, 사트나 구 마디아 프라데시, 인도 | (93)
국적 | 인디언 |
정당 | 바라티야 야나 상 |
모교 | BITS 필라니 |
수상 | ![]() ![]() |
나나지 데슈무크(Nanaji Deshmukh, 1916년 10월 11일 ~ 2010년 2월 27일)로 더 잘 알려진 찬디카다스 암리트라오 데슈무크(Chandikadas Amritrao Deshmukh)는 인도의 사회 개혁가 및 정치인이었다. 그는 교육, 건강, 농촌 자립 분야에서 일했다. 그는 1999년에 파드마 비부샨에서 영예를 얻었다. 그는 인도 정부로부터 2019년 인도 최고 민간상인 바르랏 라트나를 추서받았다. 바라티야 야나 상의 지도자였으며 라즈야 사바의 일원이기도 했다.[2][3]
초년기
나나지는 1916년 10월 11일 힝골리 지방의 작은 마을인 카돌리에서 마라티어를 구사하는 데스하사 브라만 가문에서[4][5] 태어났다. 그는 교육비를 마련하기 위해 야채 장수로서 일했다.[6]
시카르의 라오라자가 장학금을 준 시카르의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그는 Birla 대학에서 공부했다. 같은 해 래쉬트리야 스웨이엄세박상(RSS)에도 입단했다.[7]
마하라슈트라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활동 분야는 라자스탄과 우타르 프라데시였다. 당시 RSS 총책임자 M. S. 골왈라르(M. S. Golwalkar)는 그를 고라흐푸르(U.P)에 '프라차라크'(전임 기능사)로 보냈다. 그는 우타르프라데시(현재 RSS의 8번째 프란트가 되었다) 전체의 사하 프란트 프라차락(Saha Prant Pracharak)이 되었다.[8]
RSS 자원봉사자

데스무크는 발 간가다르 틸락과 그의 민족주의 이념에 영감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봉사 및 활동에 대한 후천적인 관심을 보여주었다. 그의 가족은 데스묵의 가족을 정기적으로 방문했던 케샤브 발리람 헤지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는 나나지의 잠재력을 알아낼 수 있었고 RSS 샤카스에 참석하도록 격려했다.[9]
헤지워가 죽은 후인 1940년에 그에게 영감을 받은 많은 젊은이들이 마하라슈트라에서 RSS에 가입했다. 데스묵은 RSS에 가입하여 평생을 국가에 헌신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프라차락으로 우타르프라데시로 보내졌다. 아그라에서 그는 Den Dayal Upadhyaya를 처음으로 만났다. 이후 데쉬무크는 프라차락으로 고라흐푸르에 가서 UP 동부에서 상흐 이데올로기를 소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상호가 일상경비조차 맞출 재원이 없어 당시로서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는 다르마샬라에서 지내야 했지만, 3일 이상 연속으로 그곳에 머물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다르마샬라를 계속 바꿔야만 했다. 결국 그는 바바 라그하브다스로부터 자신을 위해 식사도 함께 해 준다는 조건으로 피난처를 제공받았다.[10]
3년 안에, 그의 노력은 결실을 맺었고 거의 250개의 상어 샤카들이 고라흐푸르와 그 주변에서 시작되었다. 나나지는 항상 교육에 큰 중점을 두었다. 그는 1950년 고라흐푸르에 인도 최초의 사라스와티 시슈 만디르를 세웠다.[11][12]
1947년 RSS는 판흐자냐라는 두 개의 저널을 창간하기로 결정했을 때, 스와데시라는 신문사, 슈라이 아탈 비하리 바즈페이이가 편집자의 책임을 맡았고, 딘 다얄 우파디야는 나나지를 상무이사로 하여 마르그다하르샤크가 되었다. 이 단체는 출판물을 내놓기 위해 돈이 많이 들었지만, 결코 그들의 정신을 꺾지 않았고, 이 출판물들은 강한 민족주의적인 내용 때문에 인기와 인정을 받았다.[13]
마하트마 간디의 암살로 RSS에 대한 금지 조치가 내려졌고 출판 작업은 중단되었다. 금지를 염두에 둔 다른 전략이 채택되었고 데쉬묵은 당시 RSS의 지하 출판 작업의 두뇌였다.[14]
정치생활
![]() |
금지가 해제되고 정치 조직을 갖기로 결정되자 바르라티야 야나 상이 생겨났다. 데스무크는 골왈라르로부터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바라티야 야나 상흐를 총서기로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15]
우타르프라데시에서는 BJS가 우파디야 비전과 아탈 비하리 바즈페이이의 웅변술, 데쉬무크의 조직적인 업무로 힘을 얻으면서 국가정치의 중요한 주역으로 떠올랐다. 데슈무크는 항상 당 동료들뿐만 아니라 반대자들과도 좋은 관계를 나누었다. 데스무크의 손에 많은 패배를 당한 굽타는 그를 계속 존경했고 그를 '나나 파다니스'라고 불렀다. 람 마노하르 로히아 박사와의 관계는 인도 정치의 진로를 바꾸었다. 한번은 그가 BJS 카라야카르타삼멜란에서 로히아를 초대하여 처음으로 우파디야를 만났고, 이 협회는 의회와 그 실정을 폭로하면서 BJS를 다른 사회주의 정당들과 더 가깝게 만들었다. 로히아와 데슈무크의 협회는 1967년 주 의회 선거 이후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첫 비(非)의 연립정부를 이끌었다.
데스묵은 비노바 바베가 시작한 비후단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1]
이후 나라얀 본인과 자나타당 정부의 수상이 된 모라르지 데사이 총리가 그에게 산업 내각 포트폴리오를 제안했지만 데스묵은 그 제안을 일축했다. 데스무크는 1977년 치러진 선거에서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발람푸르 록 사바 선거구에서 근소한 차이로 비상사태가 취소된 후 승리했다.[11]
나라얀이 '총혁명'을 외치자 데쉬묵은 이 운동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며 화답했다.[11]
그는 국가에 대한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1999년 NDA 정부에 의해 라지야 사바에 지명되었다.[11]
사회사업
데스묵은 현역 정치에서 은퇴한 후 1969년 자신이 설립한 디엔다얄 연구소를 역임했다.[11]
그는 빈곤 퇴치와 최소한의 욕구 프로그램을 위해 노력했다. 그가 한 일의 다른 분야들은 농업과 시골지역 산업, 시골지역 보건과 농촌 교육이었다. 데스묵은 정계를 떠난 후 연구소장을 맡아 연구소 건립에 모든 시간을 바쳤다. 그는 또한 인도의 우타르 프라데시 주와 마디아 프라데시 주의 500개 이상의 마을에서 사회 구조 조정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그는 또한 K.R. 말카니가 여러 해 동안 편집한 잡지 "만탄" (내성)을 출판했다.
데스무크는 곤다(U.P.), 발람푸르(Balrampur), 베드(Maharashtra)에서 사회사업을 했다. 그의 프로젝트의 모토는 Harhath ko denge kaam, Har khet ko denge paanee이다.
또한 인도 최초의 농촌대학인 치트라쿠트에 치트라쿠트 그라모데이 비슈와비디얄라야를 설립하여 총리로 재직하였다.[11] 나나지는 번델칸드 150여 마을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체적 휴머니즘의 철학을 구현했다.
감사 및 인식
그는 2019년에 최고 민간인상(후기)을 받았고, 1999년에는 두 번째로 높은 민간인상을 받았다. [17]
죽음
데스묵은 2010년 2월 27일 자신이 설립한 치트라쿠트 그라모데 비슈와비달라야 구내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는 노인성 문제로 한동안 몸이 좋지 않았고 치료를 위해 델리로 데려가는 것을 거부했었다. 그는 자신의 시신을 뉴델리의 다디치 데다안 산스타 다디치에게 유증했고, 그의 시신은 의학 연구를 위해 인도 모든 의학 연구소로 보내졌다. 그의 시신은 마디아 프라데시주 사트나까지 차로로 보내졌고, 수백 명의 사람들과 지역 주민들이 이 마지막 행렬을 따라 사트나로 갔다. 사트나에서 그의 시신은 전세기로 뉴델리로 운반되었다. 뉴델리에서는 그의 시신을 케샤브 사단(래쉬트리야 스웨양 세악상 델리 본사)에 몇 시간 동안 보관했고, 그 후 다디치 데단 산스트하의[11] 도움으로 AIMS에 기증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Lok Sabha condoles Nanaji Deshmukh's death. The Hindustantimes. Retrieved 10 March 2010.
- ^ "Bharat Ratna for Pranab Mukherjee, Nanaji Deshmukh and Bhupen Hazarika". Times Now. 25 January 2019. Retrieved 25 January 2019.
- ^ "Who was Nanaji Deshmukh?". The Indian Express. Retrieved 11 October 2017.
- ^ New Quest, Issues 25–30. The Indian Association for Cultural Freedom. 1981. p. 8.
- ^ Christophe Jaffrelot (2010). Religion, Caste, and Politics in India. Primus Books. p. 194. ISBN 978-1849041386.
- ^ "BJP Today, Volume 14". Bhartiya Janata Party. 2005. p. 459. Cite 매거진 요구 사항
magazine=
(도움말) - ^ Preeti Trivedi (December 2017). Architect of A Philosophy. Bhartiya Sahitya Inc. p. 37. ISBN 9781613016381. Retrieved 1 December 2017.
- ^ Nanaji Deshmukh, Sangh ideologue who established RSS in UP (Profile). Outlook India. Retrieved 25 January 2019.
- ^ BJP Today, Volume 14. Bharatiya Janata Party. 2005. p. 459.
Nanaji family was in close contact with Dr. Hedgewar who was a regular visitor to the family of Nanaji.
- ^ Anil Kumar 'Salil' (January 0101). Pandit Deen Dayal Upadhyaya. Prabhat Prakashan. p. 5. ISBN 9789351863519.
- ^ a b c d e f g h i 사회운동가 나나지 데스묵이 사망하였다. 뉴 인디안 익스프레스. 2010년 2월 28일
- ^ Christophe Jaffrelot (2010). Religion, Caste, and Politics in India. Primus Books. p. 193. ISBN 978-1849041386.
- ^ Dattopant Bapurao Thengadi (1988). Pandit Deendayal Upadhyaya: An inquest, introductory part. Suruchi Prakashan. p. 9.
its auspices were published the magazine 'Rashtra Dharma', the weekly ' Panchajanya' and the daily 'Swadesh'. Of these the last two were edited by Panditji. Nanaji Deshmukh was the managing director of publication
- ^ BJP Today, Volume 14. Bharatiya Janata Party. 2005. p. 459.
A different strategy was adopted keeping the ban in mind and Nanaji was the brain behind underground publication work by the RSS those days.
- ^ BJP Today, Volume 14. Bharatiya Janata Party. 2005. p. 459.
- ^ https://theprint.in/india/nanaji-deshmukh-key-architect-of-janata-party-who-quit-politics-to-transform-rural-india/521300/.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현명하게 인적 자원을 활용하라: Kalam. 인도의 타임스. 2001년 10월 19일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나나지 데스묵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