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한천
New York City agarNYC(뉴욕시) 배지 또는 GC(Neisseria gonorhoae) 배지 한천은 GC([1]Neisseria gonorhoae)를 사용하여 Gonocci를 분리한다.

구성.
한천 베이스는 [1]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재료 | 리터당 그램 |
---|---|
프로테오스펩톤 | 15 |
옥수수 전분 | 1 |
포도당 | 5 |
염화나트륨 | 5 |
인산수소수소칼륨 | 4 |
인산수소칼륨 | 1 |
한천 | 20 |
최종 pH(25°C에서) 7.4±0.2
배경과 원칙
NYC Agar Base는 원래 뉴욕시 보건부의 Pauer, Weisburd 및[1][2][3] Wilson에 의해 임상 표본에서 병원성 Neisseria 종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주로 인산염으로 완충된 펩톤 옥수수 전분 한천 베이스로 구성되며 말 혈장, 말 헤모글로빈, 덱스트로오스, 효모 자가분해물 및 항생제로 [1][2]보충된다.이 배지는 Neisseria [1][4][5]종의 분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배지보다 우수하다.매체의 투명한 성질은 식민지 [6]유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프로테오스 펩톤, 말 혈장, 헤모글로빈은 N. gonorhoae와 N. meningitidis의 성장에 영양분을 제공합니다.인산염은 배지를 완충한다.첨가된 선택적 보충제는 항생제인 반코마이신, 콜리스틴, 니스타틴, 트리메토프림을 함유하여 부수되는 균을 억제합니다.반코마이신은 그램 양성 박테리아를 억제한다.콜리스틴은 슈도모나스종을 포함한 그램 음성세균을 억제하고 프로테우스는 트리메토프림에 [7]의해 억제된다.트리메토프림과 콜리스틴의 조합은 그램 음성균에 [8]대해 상승작용을 한다.녹말은 Neisheria에 의해 생성된 독성 대사물을 중화시킨다.효모 자동분해물 보충제는 Neisseria 성장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CO2 요구 사항을 충족합니다.효모는 임균에 의해 대사되는 옥살로아세트산을 함유하여 캡노필성 임균의 [9]성장에 충분한 CO2를 생성한다.또, 효모 오토리세이트의 존재는, Neisseria의 성장 지연상을 감소시켜, 콜로니의 크기와 수를 향상시킨다.시료를 매체에 직접 줄무늬로 연결하여 최대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절차.

실험실에서 시료를 받은 후 가능한 한 빨리 Streaking 한다.면봉에서 직접 배양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10]진행하십시오.
- 면봉을 큰 "Z"에 직접 감아 유기체의 이송을 위해 면봉을 매체에 충분히 노출시킵니다.
- 가급적 클리닉에서 멸균 와이어 루프와 "Z" 패턴을 교차 고정합니다.이전에 하지 않은 경우, 크로스 스트리킹은 실험실에서 수행해야 합니다.
- 가능한 한 빨리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유산소 환경에 배양물을 놓아라.
- 35 ± 2 °C에서 배양하고 밤새 배양한 후 약 48시간 후에 다시 검사합니다.
- N. gonorhoae의 식별을 위한 하위 배양은 18-24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배양 후 출하되는 경우, 적절한 생존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생화학적 식별 테스트를 수행하기 전에 군락을 하위 배양해야 한다.
기대되는 결과
전형적인 콜로니얼 형태학은 다음과 같다.[7]
N. gonorhoae는 회색빛이 도는 흰색에서 무색 점액 군락으로 보일 수 있다(0.5~1.0mm).N. 메닝기티디스는 무색에서 청회색 점액 군락으로 보인다.
콜로니는 그램 염색, 하위 배양 또는 기타 진단 절차를 위해 선택될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1973년 5월, Weisburd, Wilson and May, Health Lab.시, 10:44
- ^ a b 파우어, 바이스버드, 윌슨, 1973년 헬스랩.시, 10시 55분
- ^ Pauer Y. C., Weisburd M. H. 및 Wilson M. E., 1973, Health Lab Sci., 10(2) 61.
- ^ Granato, Schneible-Smith and Weiner, 1981, J. Clin.미생물13:963.
- ^ 그리핀 P. J.와 레이더 S. V., 1957년, J. Biol.중, 29, 613
- ^ MacFaddin J. F., 1985, Media for Isolation-Cultification-Identification-Maintenance of Medical 박테리아, Voltimore, Williams and Wilkins, Walkins, Voltimore
- ^ a b Knapp과 Koumans.1999. Murray, Baron, Pfaller, Tenover 및 Yolken(ed.) 임상 미생물학 매뉴얼, 제7판.미국 미생물학회, 워싱턴 Dc
- ^ 시몬스 N.A., 1970년 J. 클리닉.파톨, 23, 757
- ^ 로튼과 코흐, 1982년 J. 클리닉이요미생물, 20:905
- ^ 1975년 질병통제센터입니다임질, USPHS, 애틀랜타, Ga의 진단을 위한 기준과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