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도모나스속
Pseudomonas슈도모나스속 | |
---|---|
한천판 위의 흰개미 군락 | |
과학적 분류 | |
도메인: | 박테리아 |
문: | 슈도모나도타속 |
클래스: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
주문: | 슈도모나데스속 |
패밀리: | 슈도모나과 |
속: | 슈도모나스속 미굴라 1894 |
모식종 | |
히가시모나스아루기노사 | |
종. | |
텍스트를 참조해 주세요. | |
동의어 | |
|
그람음성의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속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과에 속하며 191종을 [2]포함하고 있다.그 속의 구성원들은 많은 신진대사 다양성을 보여주고 결과적으로 광범위한 [3]틈새를 군집할 수 있다.그들의 시험관 내 배양 용이성과 증가하는 수의 Pseudomonas 변종 게놈 배열의 가용성은 이 속을 과학적 연구에 매우 집중하게 만들었습니다; 가장 잘 연구된 종은 기회주의적인 인간 병원체로서의 역할인 P. aeruginosa, 식물 병원체 P. syringae, 토양 박테리아 P. putida, 그리고 식물이 자라는 것을 포함합니다.Th 촉진 P. 형광체, P. lini, P. migulae 및 P. graminis.[4][5]
물과 쌍떡잎과 같은 식물 씨앗에서 널리 발견되었기 때문에, 의사모나드는 미생물학 역사에서 초기에 관찰되었다.이 유기체들을 위해 만들어진 총칭인 Pseudomonas는 1894년과 1900년에 Walter Migula에 의해 그램 음성, 막대 모양, 그리고 포자성 [6][7]종과 함께 극성 편모를 가진 박테리아 속이라고 다소 애매한 용어로 정의되었습니다.후자의 진술은 나중에 부정확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이는 예비물질의 [8]굴절성 과립 때문이었다.모호한 기술에도 불구하고, 모식종인 Pseudomonas pyocyanea(Pseudomonas aeruginosa의 중항명)가 최고의 [8]기술자로 입증되었다.
분류 이력
대부분의 박테리아 속처럼, 의사모나드[note 1] 마지막 공통 조상은 수억 년 전에 살았다.그것들은 19세기 말에 월터 미굴라에 의해 처음 식별되었을 때 처음 분류되었다.이 명칭의 어원은 당시에는 명시되지 않았으며 베르제이의 체계적 세균학 설명서(세균 명명법의 주요 권위) 제7판에 그리스어 유사(εε)와 -monas(μν/μονςςςςςςςςςςςςςς"""""" greek"""""" greek"" greek")로 처음 등장했는데, 이는 잘못된 단위가 될 수 있다.나노편모세포 원생생물[8](즉, "모나드"라는 용어는 초기 미생물학 역사에서 단세포 유기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곧, 미굴라의 다소 모호한 원래 설명과 일치하는 다른 종들은 많은 자연 틈새에서 분리되었고, 그 당시에 많은 종들이 미굴라에 속하게 되었다.그러나, 많은 균주는 보다 최근의 방법론과 보수적인 고분자 [9]연구와 관련된 접근방식의 사용에 기초하여 재분류되었다.
최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은 많은 박테리아 종의 [10]분류법을 재정의했다.그 결과, 이전에 크리세오모나스속과 플라비모나스속으로 분류된 균주를 포함한 유사모나스속.[11]이전에 Pseudomonas속으로 분류되었던 다른 변종들은 현재 Burkholderia속과 Ralstonia속으로 분류되고 있다.[12][13]
2020년에 494개의 완전한 슈도모나스 게놈의 계통유전학적 분석에서 충분한 수의 프로테옴을 가진 [14]2개의 명확한 종(P. aeruginosa와 P. chloraphis)과 4개의 더 넓은 계통유전학적 그룹(P. fluoresceneic group)이 확인되었다.4개의 광범위한 진화 그룹은 평균 뉴클레오티드 정체성 [15]수준에 의한 종 정의에 기초해 하나 이상의 종을 포함합니다.또한, 계통학 분석은 잘못된 종이나 진화 그룹에 잘못 [14]표기된 여러 변종을 식별했다.이 오주문제는 다른 분석에서도 보고되었다.[16]
유전체학
2000년에는 Pseudomonas 종의 완전한 게놈 배열이 결정되었으며, 최근에는 P. airuginosa 균주 PAO1(2000), P. putida KT2440(2002), P. protegens Pf-5(2005), P. syringae pathovar tomato DC3000(2003), P. 주사기 주사기 주사기 등 다른 균주의 배열이 결정되었다.하세올리카 1448A(2005), P. 형광체 Pf0-1 및 P. 엔토모필라 L48.[9]
2016년까지, 400개 이상의 변종 Pseudomonas가 배열되었습니다.[17]수백 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그 속 내에서 매우 다른 종들이 발견되었다.사실, P. aeruginosa와 P. putida는 5350개의 단백질 중 2971개의 단백질만을 공유합니다.[17]
2020년까지, 500개 이상의 완전한 슈도모나스 게놈을 진뱅크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계통학 분석은 494개의 완전한 프로테옴을 이용했고 297개의 핵심 직교체를 확인했으며, 이는 모든 [14]균주가 공유했다.이 속 수준에서 핵심 직교 세트는 대사, 번역 및 전사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위해 농축되었으며, Pseudomonas 주요 진화 [14]그룹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전체 속 계통수 생성에 이용되었다.또한, 그룹 특이적 핵심 단백질은 대부분의 진화 그룹에 대해 확인되었으며, 이는 특정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 존재하지만 다른 유사 도모나드에는 없음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CntL, CntM, PlcB, Acp1, MucE, SrfA, Tse1, Tsi2, Tse3, [14]EsRC와 같이 이 종의 병원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P. aeruginosa 특이 핵심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특성.
속 멤버는 다음과 같은 정의 [18]특성을 나타냅니다.
Pseudomonas 종(일부 예외)과 관련된 다른 특성으로는 철 제한 조건 하에서 형광성 황록색[19] 시데로포인 피오버딘의 분비가 있다.또한 특정 유사모나스 종은 추가 유형의 시데로포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사모나스 에어루기노사[20](Pseudomonas aeruginosa)의 피오시아닌과 유사모나스 형광체의 티오퀴놀로박틴이 있습니다.[21]또한 슈도모나스 종은 일반적으로 산화효소 테스트, 포도당 가스 형성의 결여, 포도당은 Hugh 및 Leifson O/F 테스트, 베타 용혈성(혈액 한천에 대한), 인돌 음성, 메틸 적색 음성, Voges-Prokauer 테스트 음성 및 구연산염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다.
슈도모나스는 구름 속 얼음 결정의 가장 흔한 핵이 될 수 있으며,[22]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눈과 비가 형성되는 데 가장 중요하다.
생체막 형성
슈도모나스의 모든 종과 변종은 역사적으로 엄격한 곡예비행으로 분류되어 왔다.이 분류에 대한 예외는 최근 슈도모나스 생물필름에서 [23]발견되었다.상당수의 세포는 생체막 형성과 관련된 엑소다당류를 생성할 수 있다.알긴산염과 같은 엑소다당류의 분비는 포유류의 백혈구에 [24]의해 위도모나드가 식세포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외부 다당류 생산은 또한 식품 준비 표면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표면 콜로니화 바이오 필름에 기여한다.부패한 음식에서 위도모나드가 성장하면 과일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
대부분의 Pseudomonas spp.는 선천적으로 페니실린과 관련된 대부분의 베타-락탐 항생제에 내성이 있지만, 많은 수가 피페라실린, 이미페넴, 티카실린 또는 시프로플록사신에 [24]민감합니다.토브라마이신, 겐타마이신, 아미카신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시드는 치료를 위한 다른 선택 사항이다.
혹독한 환경에서도 번성하는 이러한 능력은 포린을 포함한 튼튼한 세포벽의 결과입니다.대부분의 항생제에 대한 그들의 저항성은 그들이 행동하기 전에 일부 항생제를 퍼내는 유출 펌프에 기인한다.
Pseudomonas aeruginosa는 임상적 관련성을 지닌 새로운 기회주의적 병원체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다.그것의 가장 걱정스러운 특징 중 하나는 낮은 항생제 감수성이다.[25]이러한 낮은 감수성은 염색체 부호화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예: mexAB-oprM, mexXY 등)[26]와 함께 다제류 펌프의 공동 작용과 세균 세포 외피의 낮은 투과성에 기인한다.내인성 외에도, P. Aeruginosa는 염색체 부호화 유전자의 돌연변이 또는 항생제 내성 결정 인자의 수평 유전자 전달에 의해 후천성 내성을 쉽게 발달시킨다.P. Aeruginosa 분리주들에 의한 다제내성의 개발에는 다른 돌연변이의 획득 및/또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수평적 이전을 포함한 몇 가지 다른 유전적 사건이 필요하다.과변성은 만성 감염을 일으키는 P. aeruginosa 균주의 돌연변이 주도 항생제 내성 선택을 선호하며, 인테그론에서 여러 다른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클러스터링은 항생제 내성 결정 인자의 공동 획득을 선호한다.일부 최근의 연구는 생물막 형성 또는 소결장 변종 출현과 관련된 표현형 내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항생제 [9]치료에 대한 P. Aeruginosa 집단의 반응에 중요할 수 있다.
갈륨에 대한 민감도
갈륨은 생물학에서는 자연적인 기능이 없지만, 갈륨 이온은 철(III)과 유사한 방식으로 세포 과정과 상호작용합니다.Pseudomonas 등의 세균에 의해 철(II) 대신 갈륨 이온이 잘못 흡수되면 이온이 호흡을 방해하여 세균이 죽는다.이것은 철분이 산화환원 활성인 반면, 갈륨은 산화환원 [27][28]비활성인 반면, 호흡 중에 전자의 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병원성
동물 병원체
전염성 종으로는 청록조류, 청록조류, 청록조류 등이 있다.P. Aeruginosa는 병원 환경에서 번성하며, 입원 환자에서 두 번째로 흔한 감염(내과 감염)[29]이기 때문에 이 환경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이러한 병인은 부분적으로 P. aeruginosa에 의해 분비되는 단백질 때문일 수 있다.이 박테리아는 광범위한 분비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임상 [30]변종의 병인과 관련된 수많은 단백질을 수출한다.흥미로운 것은 CntL, CntM, PlcB, Acp1, MucE, SrfA, Tse1, Tsi2, Tse3, EsrC 등 P.auginosa의 병인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가 핵심기 [14]특이적이며, 이는 P.의 대부분이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 병원균
P. syringae는 다산의 식물 병원체이다.이는 50개 이상의 다른 경로로 존재하며, 그 중 다수는 높은 수준의 숙주-식물 특이성을 나타낸다.수많은 다른 슈도모나스 종들이 식물 병원균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P. syringae 하위 그룹의 다른 모든 구성원들은 P. syringae가 가장 널리 퍼져 있고 가장 잘 연구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식물 병원체는 아니지만, P. tlaasii는 재배된 [31]버섯의 세균 반점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농업상의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P. agarici는 재배된 [32]버섯에서 물방울 모양의 아가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컨트롤제로 사용
1980년대 중반부터, Pseudomonas속의 특정 구성원들은 농작물 병원체의 성장과 형성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곡물 씨앗에 적용되거나 토양에 직접 적용되어 왔다.이러한 관행을 일반적으로 생물 방제라고 한다.P. 형광체의 식물 성장 촉진 특성이 정확히 어떻게 달성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P. 형광체와 P. 프로테겐 균주(예: CHA0 또는 Pf-5)의 생물 방제 특성은 현재 가장 잘 알려져 있다.이론에는: 박테리아는 숙주 식물에서 시스템 저항을 유도하여 진정한 병원체에 의한 공격에 더 잘 저항할 수 있다; 박테리아는 철분 소거에 경쟁적인 이점을 주는 다른 (병원성) 토양 미생물에 비해 경쟁적일 수 있다; 박테리아는 다른 토양 미생물에 대항하는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다.페나딘형 항생제 또는 시안화수소로 사용됩니다.실험 증거는 이 모든 [33]이론을 뒷받침한다.
biocontrol 속성을 가진 다른 주목할 만한 슈도 모나스의 종은는 di-2,4-diacetylfluoroglucylmethane는 화합물 antibioticallyGram-positive 유기체에 대해 적극적인 생산하는 특정한 진균 식물 pathogens,[34]과 밀접하게 관련된 종들 P.aurantiaca를 상대로 한phenazine-type 항생제 활성제 생산한다 P.chlororaphis을 포함한다.[35]
바이오 리메디에이션
이 속의 일부 구성원은 환경 내에서 화학 오염 물질을 대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생물 정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생물 개선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입증된 주목할 만한 종은 다음과 같다.
- P. 다환 방향족 [36]탄화수소를 분해할 수 있는 알칼리제.
- P. mendocina 톨루엔을 [37]분해할 수 있습니다.
- P. 시안화물을 질소원으로 [38]사용할 수 있는 의사알칼리제.
- P.[39] 카르바졸을 분해할 수 있는 레진보란.
- P. Aeruginosa, P. putida, P. desmolyticum 및 P. niterroreducens는 클로르피리포스를 [40]분해할 수 있다.
- P. veronii. 다양한 단순 방향족 유기 [41][42]화합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P. 푸티다: 톨루엔과 [43]같은 유기 용제를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적어도 1개의 균주는 수용액 중의 모르핀을 약제 하이드로모르폰(Dilaudid)을 제조하기 위해 보다 강하고 다소 비싼 것으로 변환할 수 있다.
- 사염화탄소를 [44]분해할 수 있는 P. stutzeri의 변형 KC.
우유 속 식품 부패제 검출
시료에서 여러 박테리아 유기체를 식별하고 분류하는 한 가지 방법은 리보타이핑을 [45]사용하는 것입니다.리보타이핑에서는 서로 다른 길이의 염색체 DNA를 세균종을 포함한 시료에서 분리하여 [45]단편화한다.다른 유기체로부터의 유사한 유형의 단편은 Southern Blocking 또는 훨씬 빠른 중합효소 연쇄반응(PCR)[45]에 의해 시각화되고 그 길이는 서로 비교된다.그런 다음 파편들은 박테리아 [45]종에서 발견된 배열과 일치할 수 있다.리보타이핑은 [46]부패할 수 있는 세균을 분리하는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유제품 가공 공장에서 발견되는 유사도모나스 박테리아 중 약 51%는 P. 형광체이며, 이러한 분리물의 69%는 우유 성분 분해 및 후속 [46]상해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분해효소, 리파아제 및 레시틴 효소를 가지고 있다.다른 슈도모나스 종들은 단백질 분해효소, 리파아제 또는 레시티나제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전혀 [46]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동일한 리보타입을 가진 Pseudomonas에 의해 유사한 효소활동이 이루어지며, 각 리보타입을 통해 우유의 변질 정도와 [46]향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세균의 수는 부패의 강도에 영향을 미쳐 비효소성 슈도모나스종이 [46]부패의 원인이 되고 있다.
식품에서 [47]발견되는 다양한 영양소를 대사하는 유기체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식품 부패는 식품 산업에 해롭다.오염은 불쾌한 냄새와 [47]향미뿐만 아니라 독성 화합물 생산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한다.전자 코 기술은 이러한 휘발성 [47]화합물에 의해 생성되는 냄새를 감지함으로써 미생물 식품 부패를 빠르고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따라서 전자코 기술을 적용하여 Pseudomonas 우유 변질의 흔적을 검출하고 Pseudomonas의 [48]종을 분리할 수 있다.가스 센서는 14개의 변형 가능한 폴리머 센서로 만들어진 코 부분으로 구성되며 미생물에 [48]의해 생성된 특정 우유 분해 생성물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센서 데이터는 대상 화합물에 접촉했을 때 14개의 폴리머의 전기저항 변화에 의해 생성되며,[48] 4개의 센서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응답을 더욱 특정할 수 있다.그런 다음 반응들은 신경망에 의해 전처리될 수 있는데, 신경망은 P. 형광체와 P. 아우레오파시엔스와 [48]같은 우유 부패 미생물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종.
슈도모나스는 게놈 친화 [49][50][51][52][53][54][55]그룹으로 분류된 다음 [2]종으로 구성됩니다.
물떼새류
P. anguiliseptica 군
- anguiliseptica 와카바야시·에구사 1972년(1980년 인정 리스트)
- 벤제니보란스 Lang et al. 2012
- P. 보르보리 Vanparies et al. 2006
- P. 캄피 팀시 외 2021년
- 쿠아트로시엔가센시스 에스칼란테 등2009
- 글레어목 로마넨코 외 2015년
- P.기 Bozal 외 2007년
- 쿠리엔시스 김 외 2021년
- 랄루카티 부스케츠 외 2021년
- 렙토니코티스 노바코바 외 2020년
- 마린콜라 로마넨코 외 2008년
- P. 펠리 Vanparies et al. 2006
- P. 세그먼트염 박 외 2006년
- 피태안엔시스 리 외 연구진 2010년
- 히가시카미 김 외 2021년
P. 형광체군
P. asplenii 서브그룹
- 아가리치 1970년 청년(1980년 인정 리스트)
- 아스플레니 (1946) Savulescu 1947(1980년 승인 리스트)
- "P. batumici" 키프리아노바 외 2011
- 긴꼬리쥐과 (ex 타니이 외 1976년) 미야지마 외 1983년
- "P. gingeri" Cutri et al. 1984
- P. 밴들리데니아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클로로라피스아군
- 오란티아카 나키모프스카야 1948(1980년 인정 리스트)
- 오레오파시엔스 Kluyver 1956(1980년 승인 목록)
- 클로로라피스 (Guignard and Sauvageau 1894) Bergey et al. 1930 (1980년 승인 리스트)
- "P. piscium" (Burr et al. 2010) Chen et al. 2018
코루가타아군
P. 형광 부분군
- P. allii 사와다 외 2021년
- 남극 대륙 레디 등2004
- 아스가르자데히아나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아일메렌시스 corrig. Tchagang et al. 2021
- P. 아자디아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아조토포만스 이즈카·코마가타 1963년(1980년 인정 리스트)
- 카나덴시스 탐봉 외 2017년
- P. 카니스 릭 외 연구진 2020년
- P. 세드리나 corrig. Dabbousi et al. 2002
- 코스탄티니 Munsch 외 2002년
- 크레모리스 호프만 외 2021년
- 시클로아미니스 사와다 외 2021년
- 에다피카 라미레스-바헤나 외 연구진 2019년
- 익스트림오스트레일리아스 로페스 외 연구진 2010
- 극지향성 이바노바 외 연구진 2002년
- 필데센시스 파블로프 외 연구진 2020
- 형광체 Migula 1895(1980년 승인 목록)
- "P. fulgida" Naureen 외 2005년
- 그림몬티 Badada et al. 2002
- 용혈성 호프만 외 연구진 2020
- 카이로우아넨시스 Oueslati et al. 2020
- 카스티카 슈벡 외 연구진 2020년
- 카바지아나속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키타구니엔시스 사와다 외 2020년
- 락티스 von Neubeck et al. 2017
- 젖소과 사와다 외 2021년
- 리바넨시스 다부시 외 1999년
- 루리다과 베렌트 외 2007년
- 변두리 (1918년) Stevens 1925(1980년 승인 목록)
- 나베울렌시스 Oueslati et al. 2020
- 오리엔탈리스 Dabbousi 등 2002년
- 팔레로니아나 Gardan 외 2002년
- 파나시스 박 외 2005년
- 파라카르니스 릭 외 2021년
- 병변 von Neubeck et al. 2017
- 멧돼지과 Duman et al. 2021
- 뽀에 베렌트 외 2003년
- 로데시아과 코롤러 외 1997년
- 살마센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살로모니 Gardan 외 2002년
- P. simaee Vela 등 2006년
- 시바센시스 Duman 외 연구진 2020년
- P. spelaei 슈벡 외 연구진 2020년
- 싱산타 (Ehrenberg 1840) 네덜란드 1920 (1980년 승인 목록)
- 토라시이 Paine 1919(1980년 인정 리스트)
- 피트리치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사소한 것 베렌트 외 2003년
- P. veronii 엘로마리 외 1996년
- 야마노룸 아르나우 외 2015년
P. fragi 서브그룹
P. gessardii 서브그룹
P. jessenii 부분군
- 아제르바이잔카쿠시덴탈리스 corrig. 지라드 외, 2022년
- 아제르바이잔 오리엔탈리스 corrig. 지라드 외, 2022년
- 쯔오이시 루 외 연구진 2020
- 제세니 Verhille et al.
- 로릴술파티필라 corrig. Furmanczyk 외. 2019
- 로릴술파티보란스 corrig. Furmanczyk 외. 2019
- P. mohni 카마라 외 2007년
- P. moorei 카마라 외 2007년
- P. 레이네케이 카마라 외 2007년
- 슴송엔시스 권 외 2003
- P. vicularenis Mohn et al.
코레엔시스아군
- 알로크립벤시스 모리모토 외 2021년
- 아나톨리엔시스 Duman et al. 2021
- 아타카멘시스 Poblete-Morales 외 2021년
- 아타고넨시스 corrig. 모리모토 외. 2020
- 배티카 로페스 외 2012년
- "P. bananamidigenes" 지라드 외 2021년
- "P. botevensis
- "P. crudilactis" 슐루셀후버 외 2021년
- 에코넨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당화과 지아 외 2021년
- 고진켄시스 모리모토 외 2021년
- 청록조개구리 Pascual et al. 2015
- 해메다넨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헬만티켄시스 라미레스-바헤나 외 2014년
- 히가시카미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이리디스 Duman et al. 2021
- 코라사넨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코레엔시스 권 외 2003
- "P. kribbensis" Chang et al. 2016
- 몬센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모라비엔시스 Tvrzova 외 2006년
- 신경병 Duman et al. 2021
- 비단털개구리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텐시네겐류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트리티콜라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zeae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P. mandelii 부분군
P. 프로테겐 부분군
- 'P. emicus' Vasconcellos 외 2017년
- 피시스 류 외 연구진 2020
- 프로테겐스 Ramette et al. 2012
- 사포니필라 Lang et al. 2012
- "P. sessilinigenes" 지라르 외 2021년
무첨정맥
- "P. blatchfordae" 블래치포드와 슈스터 1980
- 키엘렌시스 Gieschler 외 2021년
P. liningensis 군
P. 루테아 그룹
마실리엔시스군
- "P. massiliensis" 바데트 외 2018
- P. 타이포그래피 Peral-Aranega et al. 2021
P. 올레오보란스 그룹
- 알칼리필라 유모토 외 2001년
- "P. chaetocerotis" 지라드 외 연구진
- 청두엔시스 타오 외 2014년
- 퇴비 지벨로 외 2011년
- 구과넨시스 류 외 연구진 2013년
- 히드로히드속 저우 외 연구진 2020
- 'P. Indoloxydans' 마니캄 외 2008년
- 카자리카 Tarhriz 등 2020년
- 멘도시나 Paleroni 1970 (1980년 인정 목록)
- 올레오보란스 Lee와 Chandler 1941(1980년 승인 리스트)
- 'P. sediminis' 베헤라 외 2018년
- "P. sihuiensis" 우 외 2014
- 토요토미엔시스 히로타 외 2011년
P. oryzihabitans 그룹
포항엔시스 그룹
P. 푸티다 그룹
- 아카파게엔시스 corrig. 모리모토 외. 2020
- 알킬페놀리카 멀렛 외 2015년
- 알로푸티다 케샤바르츠토히드 외 2020년
- 무라다후렌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아쿠사엘레스티스 물레트 외 2021년
- 아시아티카과 토하야 외 2019년
- 황동나무 사와다 외 2020년
- "P. capeferum" 베렌센 외 2015
- 화장색소라타 우치노 외 2002년
- 디플루우 친 등 2020년
- 동후엔시스 가오 외 2015년
- 엔토모필라 멀렛 외 2012년
- 파코넨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파센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fulva 이즈카·코마가타 1963년(1980년 인정 리스트)
- 구아리코넨시스 Toro 등 2013년
- 히가시우시 친 외 연구진 2019년
- "P. hunanensis" 가오 외 2014년
- "P. hutmensis" 샹 외, 2019년
- P. 비효율성 케샤바르츠토히드 외 2019년
- 자포니카 Pungrasmi et al. 2008
- P. 준텐디 토하야 외 2019년
- 케르만샤헨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쿠루네갈렌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로랑시아나 라이트 외 연구진 2019
- 마우무엔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몬테이리 엘로마리 외 1997년
- 모셀라이 Dabbousi 등 2002년
- 무유켄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오리지콜라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oryziphila" 양 외 2021년
- 야자나무 구티에레스-알반체스 외 2022년
- P. parfulva 우치노 외 2002년
- 페라데니엔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페르시카 케샤바르츠토히드 외 2020년
- 늑막상실증 니시모리 외2000
- P. 프로미살린유전자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푸티다 (Trevisan 1889) Migula 1895(1980년 승인 목록)
- "P. pyomelaminifaciens" Chakraborty et al.
- 'P. 칭다오넨시스' 왕 외 2019년
- 히가시리도리도리 프래슨 외 2017년
- 시라젠시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시라지카 케샤바르츠토히드 외 2020년
- 쓰촨엔시스 친 외 연구진 2019년
- P. 솔리 Pascual et al. 2015
- 타마넨시스 왕 외 연구진 2010
- 진드기과 오 외 2019년
- urmiensis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P. vlassakiae" 지라드 외 2021년
- 히가시노우시 Tvrzova 외 2006년
- 와덴스빌레렌시스 프래슨 외 2017년
- "P. wayambapalatensis" 지라드 외 2021년
- P. 크산톨리시네게네스 지라드 외 연구진, 2022
- 산토소마티스 corrig. 지라드 외, 2022년
P. 레진보란스 그룹
근인류군
- 발티카속 Gieschler 외 2021년
- 콜롭테로럼 Menédez 외 2015년
- "P. eucalypticola" 류 외 2021년
- 근인화과 Peix et al. 2003
스트라미나 군
P. stutzeri 그룹
시린과군
- 'P. 알리보란스' 자오 외 2021년
- 편도체 Psalidas and Panagopoulos 1975 (1980년 승인 목록)
- 아스타리엔시스 곤살레스 외 연구진 2013
- 아벨라네과 얀세 외 1997년
- 카나비나 (ex 슈티치 및 다우슨 1959) 가르단 외 1999년
- 캡시치 자오 외 2021년
- 카리카파야에 롭스 1956(1980년 인정 리스트)
- 카스피아나속 부스케츠 외 2017년
- P. cerasi 카우즈나 외 2017년
- 키코리 (1925년 스윙) Stapp 1928(1980년 승인 목록)
- 콩겔란스 베렌트 외 2003년
- "P. 코로나파시엔스" (Elliott 1920) 스티븐스 1958
- 피큐즈렉테 고토 1983
- 플로리덴시스 Timilsina et al. 2018
- 탐봉 외 2021년
- "P. helianthi" Elasri et al. 2001
- P. meliae 오기미 1981년
- 피오바타 라오 외 2021년
- P. savastanoi (1982년 1월) 가르단 외 1992년
- 주사기과 van Hall 1902(1980년 승인 목록)
- 'P. 토마토' Gardan 등 1999년
- 물푸레 Gardan 외 1999년
- "P. triticumensis" 탐봉 외 2021년
- 비리디플라바 (1930년 버크홀더) 다우슨 1939년(1980년 승인 리스트)
무첨정맥
- "P. accepalitica" 타피아-파니아과 외 2014년
- "P. acidophila" 이마다 외 1981년
- "Ca. P. adelgestsugas" von Dohlen et al. 2013
- 알칼리제네아목 Monias 1928(1980년 승인 목록)
- "P. alginovora" 보이엔 외 1990년
- 'P. 알칸리티카' 나카오와 쿠노 1972
- "P. amyloderamosa" Norrman and Wober 1975
- "P. adersonii" 한 외 2001
- "P. bathycetes" 퀴글리와 콜웰 1968
- "P. borealis" 윌슨 외 2006
- 케버네 Zhu 등 2022년
- 카베르니콜라 Zhu 등 2022년
- 'P. 셀룰로사' 앤드루스 외 2000년
- "P. clemancea" 라만 외 2010년
- P. 코에노비오스 조벨과 우팜 1944
- "P. diazotripicus" 와타나베 외 1987
- "P. diterpeniphila" Morgan and Windham
- "P. elodea" 피알호 외 1991년
- 슈타인하우스
- 플렉시빌리스 (헤스펠 1977년)신 외 2016년
- 강변 수단 외 2018년
- 겔리디콜라 카도타 1951(1980년 인정 리스트)
- "P. guzennei" Simon-Colin 외 2008년
- "P. 할로데니트리칸스" Alonso et al. 2001
- "P. 할로듀란스" 쿠헬 외 1981년
- "P. 할로당류" 오노 외 1976년
- "P. halosensibilis" Zou and Cai 1994
- "P. hydrogenothermophila" 고토 외 1978년
- 히드로노보라 이가라시 외 1980년' 이가라시 외 1980년
- P. 인디카 Pandey et al. 2002
- "P. jinanensis" 카이 외 1989년
- 쿠이켄달리 헌터 앤 맨터 2012
- "P. lopnurensis" 맘티민 외 2021년
- "P. lubans" 레만 외, 2010
- 마쓰이솔리 린 외 2015년
- 'P. 멜롭토라 앨런과 리커 1932'
- 긴타카 외 연구진 1981" 킨타카 외 연구진
- "P. multirinovorans" 에르난데스 외 2008년
- "P. perolens" 시발스키 1950
- 약직물 corrig. Yu 외, 2019
- "P. pratensis" 장 외 2021년
- 콰르쿠스 Li 등 2021년 2021년
- 'P. raguenesii' Simon-Colin 등 2009년
- "P. 리액탄" 프리스와 웡 1982
- "P. 렙틸리보라" 콜드웰과 라이어슨 1940
- "P. rhizophila" 하센 외 2018년
- "P. rhizovicinus" He et al. 2021
- 피브닉 1955
- 슈말바키이 Shelomi 등 2021년
- "P. septica" 베르게이 외 1930년
- P. sesami 마다이얀 외 2017년
- "P. siderocapsa" 팔라민과 파인비치 2006
- "P. suis" 우즈 1930
- "P. 탐수이" 량 외 2015년
- 타리멘스 안와르 외 2017년
- "P. teessidea" 라만 외, 2010년
- "P. thermocarboxydovorans" Lyons et al. 1984
- P. 열내성균 매니아 앤 무어 2002
- 톈진니스 첸 외 연구진 2018
- 토호니스 야마다 외 2021년
- "P. turnellae" 스레니바산 1956
- 투루칸스켄시스 코르슈노바 외 연구진 2016년
- "P. tuticorinensis" 스레니바산 1956
- "P. wenzhouensis
- 시온가넨시스 자오 외 연구진 2020년
- 양곤엔시스 토하야 등 2020년
이전에 분류된 종
최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전에 Pseudomonas속으로 [10]분류된 많은 세균 종들의 분류법이 재정의되었다.Pseudomonas에서 제거된 종이 아래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종을 클릭하면 새로운 분류가 나타납니다.'pseudomonad'라는 용어는 Pseudomonas속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Burkholderia속이나 Ralstonia속과 같은 이전 종들도 포함할 수 있다.
α프로테오박테리아: P. abikonensis, P. aminovorans, P. azotococoligans, P. carboxidovans, P. carboxidorans, P. mappansoris, P. deminuta, P. echinoides, P. extorquens, P.
β 프로테오박테리아 : P.acidovorans, P. allicola, P.항미생물, P. Avenae, P. butanovora, P. cariophyelli, P. caetyae, P. capacia, P. cocevenans, P. delafieldi, P.P. pickettii, P. plantari, P. pseudoflava, B. pseudomallei, P. rubrocinia, P. sacharophila, P. solanacearum, P. spinosa, P. psyzyi, Teri, Terphi.
γ-β 프로테오박테리아: P. boreopolis, P. cissicola, P. geniculata, P. hibiscola, P. maltophilia, P. pictorum.
∙ 프로테오박테리아 : P. beijerinckii, P. deminuta, P. doudorofii, P. rinata, P. flextens, P. 마리누스, P. marina, P. nautica, P. nigrifaciens, P.[56]
계통학
게놈 친화성 그룹 간의 관계는 계통학적 [55][57]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 |||||||||||||||||||||||||||||||||||||||||||||||||||||||||||||||||||||||||||||||||||||||||||||||||||||||||||||||||||||||||||||||||||||||||||
박테리오파지
Pseudomonas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오파지가 많이 있습니다.
- 슈도모나스 파지 δ6
- 슈도모나스 파지 δCTX
- 히가시모나스파지 EL[58]
- Pseudomonas aeruginosa page δKMV (Phikmvirus)[59]
- Pseudomonas aeruginosa page LKD16 (Phikmvirus)[60]
- Pseudomonas aeruginosa page LKA1 (Phikmv바이러스)[60]
- Pseudomonas aeruginosa page LUZ19 (Phikmv바이러스)
-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 pseud[58]
- 푸티다 파지 gh-1[61]
「 」를 참조해 주세요.
각주
- ^ 영어의 산문의 흐름을 돕기 위해 속명은 속명을 "세 가지"로 하여 속명을 형성할 수 있다: Pseudomonas속은 pseudomonad(복수: pseudomonads)"로 그리스어 [62]모나스의 비주격의 변종이다.역사적 이유로, 이전에 Pseudomonas 종으로 분류되었던 몇몇 속들은 Pseudomonas라고 불릴 수 있는 반면, "형광 Pseudomonas"라는 용어는 형광성 측데로포인 [3]Pyoverdin을 생성하기 때문에 Pseudomonas속의 현재 속들을 엄격하게 지칭한다.후자의 용어인 형광성 의사모나드는 P. 형광체 그룹과 구별되며, P. 형광체 그룹은 Pseudomonas sensu stricto 구성원의 하위 집합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체가 아니다.
레퍼런스
- ^ Lalucat J, Gomila M, Mulet M, Zaruma A, Garcia-Valdes E. (2021).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boundaries of the Pseudomonas genus: Proposal of Stutzerimonas gen. nov". Syst Appl Microbiol. 45 (1): 126289. doi:10.1016/j.syapm.2021.126289. PMID 34920232. S2CID 244943909.
- ^ a b LPSN에서의 Pseudomonas 엔트리
- ^ a b Madigan M; Martinko J, eds. (2005).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th ed.). Prentice Hall. ISBN 0-13-144329-1.
- ^ Padda, Kiran Preet; Puri, Akshit; Chanway, Chris (2019-11-01). "Endophytic nitrogen fixation – a possible 'hidden' source of nitrogen for lodgepole pine trees growing at unreclaimed gravel mining sites". FEMS Microbiology Ecology. 95 (11). doi:10.1093/femsec/fiz172. ISSN 0168-6496. PMID 31647534.
- ^ Padda, Kiran Preet; Puri, Akshit; Chanway, Chris P. (2018-09-2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diazotrophs from lodgepole pine trees growing at unreclaimed gravel mining pits in central interior British Columbia, Canad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48 (12): 1601–1606. doi:10.1139/cjfr-2018-0347. hdl:1807/92505. ISSN 0045-5067. S2CID 92275030.
- ^ Migula, W. (1894) über ein neues System der Bakterien.Arb Bakteriol Inst Karlsruhe 1: 235–238.
- ^ Migula, W.(1900) System der Bakterien, 제2권. 예나, 독일:구스타프 피셔.
- ^ a b c Palleroni, N. J. (2010). "The Pseudomonas Story". Environmental Microbiology. 12 (6): 1377–1383. doi:10.1111/j.1462-2920.2009.02041.x. PMID 20553550.
- ^ a b c Cornelis P, ed. (2008). Pseudomonas: Genomics and Molecular Biology (1st ed.). Caister Academic Press. ISBN 978-1-904455-19-6.
- ^ a b Anzai Y; Kim H; Park, JY; Wakabayashi H (2000). "Phylogenetic affiliation of the pseudomonads based on 16S rRNA sequence".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4): 1563–89. doi:10.1099/00207713-50-4-1563. PMID 10939664.
- ^ Anzai, Y; Kudo, Y; Oyaizu, H (1997). "The phylogeny of the genera Chryseomonas, Flavimonas, and Pseudomonas supports synonymy of these three genera". Int J Syst Bacteriol. 47 (2): 249–251. doi:10.1099/00207713-47-2-249. PMID 9103607.
- ^ Yabuuchi, E.; Kosako, Y.; Oyaizu, H.; Yano, I.; Hotta, H.; Hashimoto, Y.; Ezaki, T.; Arakawa, M. (1992). "Proposal of Burkholderia gen. Nov. And transfer of seven species of the genus Pseudomonas homology group II to the new genus, with the type species Burkholderia cepacia (Palleroni and Holmes 1981) comb. Nov". Microbiology and Immunology. 36 (12): 1251–1275. doi:10.1111/j.1348-0421.1992.tb02129.x. PMID 1283774. S2CID 46648461.
- ^ Yabuuchi, E.; Kosako, Y.; Yano, I.; Hotta, H.; Nishiuchi, Y. (1995). "Transfer of two Burkholderia and an Alcaligenes species to Ralstonia gen. Nov.: Proposal of Ralstonia pickettii (Ralston, Palleroni and Doudoroff 1973) comb. Nov., Ralstonia solanacearum (Smith 1896) comb. Nov. And Ralstonia eutropha (Davis 1969) comb. Nov". Microbiology and Immunology. 39 (11): 897–904. doi:10.1111/j.1348-0421.1995.tb03275.x. PMID 8657018. S2CID 28187828.
- ^ a b c d e f Nikolaidis, Marios; Mossialos, Dimitris; Oliver, Stephen G.; Amoutzias, Grigorios D. (2020-07-24).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e Proteomes among the Pseudomonas Major Evolutionary Groups Reveals Species-Specific Adaptations for Pseudomonas aeruginosa and Pseudomonas chlororaphis". Diversity. 12 (8): 289. doi:10.3390/d12080289. ISSN 1424-2818.
- ^ Richter, Michael; Rosselló-Móra, Ramon (2009-11-10). "Shifting the genomic gold standard for the prokaryotic species defini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45): 19126–19131. Bibcode:2009PNAS..10619126R. doi:10.1073/pnas.0906412106. ISSN 0027-8424. PMC 2776425. PMID 19855009.
- ^ Tran, Phuong N.; Savka, Michael A.; Gan, Han Ming (2017-07-12). "In-silico Taxonomic Classification of 373 Genomes Reveals Species Misidentification and New Genospecies within the Genus Pseudomonas". Frontiers in Microbiology. 8: 1296. doi:10.3389/fmicb.2017.01296. ISSN 1664-302X. PMC 5506229. PMID 28747902.
- ^ a b Koehorst, Jasper J.; Dam, Jesse C. J. van; Heck, Ruben G. A. van; Saccenti, Edoardo; Santos, Vitor A. P. Martins dos; Suarez-Diez, Maria; Schaap, Peter J. (2016-12-06). "Comparison of 432 Pseudomonas strains through integration of genomic, functional, metabolic and expression data". Scientific Reports. 6 (1): 38699. Bibcode:2016NatSR...638699K. doi:10.1038/srep38699. ISSN 2045-2322. PMC 5138606. PMID 27922098.
- ^ Krieg, Noel (1984).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1. Baltimore: Williams & Wilkins. ISBN 0-683-04108-8.
- ^ Meyer JM; Geoffroy VA; Baida N; Gardan, L.; et al. (2002). "Siderophore typing, a powerful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fluorescent and nonfluorescent pseudomonads". Appl. Environ. Microbiol. 68 (6): 2745–2753. Bibcode:2002ApEnM..68.2745M. doi:10.1128/AEM.68.6.2745-2753.2002. PMC 123936. PMID 12039729.
- ^ Lau GW; Hassett DJ; Ran H; Kong F (2004). "The role of pyocyanin in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10 (12): 599–606. doi:10.1016/j.molmed.2004.10.002. PMID 15567330.
- ^ Matthijs S; Tehrani KA; Laus G; Jackson RW; et al. (2007). "Thioquinolobactin, a Pseudomonas siderophore with antifungal and anti-Pythium activity". Environ. Microbiol. 9 (2): 425–434. doi:10.1111/j.1462-2920.2006.01154.x. PMID 17222140.
- ^ 비엘로, 데이비드 (2008년 2월 28일) 미생물들은 눈을 만들까?사이언티픽 아메리칸
- ^ Hassett D; Cuppoletti J; Trapnell B; Lymar S; et al. (2002). "Anaerobic metabolism and quorum sensing by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in chronically infected cystic fibrosis airways: rethinking antibiotic treatment strategies and drug targets". Adv Drug Deliv Rev. 54 (11): 1425–1443. doi:10.1016/S0169-409X(02)00152-7. PMID 12458153.
- ^ a b Ryan KJ; Ray CG, eds.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th ed.). McGraw Hill. ISBN 0-8385-8529-9.
- ^ Van Eldere J (February 2003). "Multicentre surveillance of Pseudomonas aeruginosa susceptibility patterns in nosocomial infections". J. Antimicrob. Chemother. 51 (2): 347–352. doi:10.1093/jac/dkg102. PMID 12562701.
- ^ Poole K (January 2004). "Efflux-mediated multiresistance in Gram-negative bacteria". Clin. Microbiol. Infect. 10 (1): 12–26. doi:10.1111/j.1469-0691.2004.00763.x. PMID 14706082.
- ^ "박테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선택된 트로이 목마 전략"INFOniac.com 를 참조해 주세요.2007-03-16.2008-11-20 취득.
- ^ Smith, Michael (2007-03-16)"갈륨은 항생제와 유사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오늘 MedPage Today 。2008-11-20 취득.
- ^ Bodey, G. P.; Bolivar, R.; Fainstein, V.; Jadeja, L. (1983-03-01). "Infections Caused by Pseudomonas aeruginos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5 (2): 279–313. doi:10.1093/clinids/5.2.279. ISSN 1058-4838. PMID 6405475.
- ^ Hardie (2009). "The Secreted Prote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Their Export Machineries, and How They Contribute to Pathogenesis". Bacterial Secreted Proteins: Secretory Mechanisms and Role in Pathogenesis. Caister Academic Press. ISBN 978-1-904455-42-4.
- ^ Brodey CL; Rainey PB; Tester M; Johnstone K (1991). "Bacterial blotch disease of the cultivated mushroom is caused by an ion channel forming lipodepsipeptide toxin".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1 (4): 407–11. doi:10.1094/MPMI-4-407.
- ^ Young JM (1970). "Drippy gill: a bacterial disease of cultivated mushrooms caused by Pseudomonas agarici n. sp". NZ J Agric Res. 13 (4): 977–90. doi:10.1080/00288233.1970.10430530.
- ^ Haas D; Defago G (2005).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athogens by fluorescent pseudomonad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3 (4): 307–319. doi:10.1038/nrmicro1129. PMID 15759041. S2CID 18469703.
- ^ Chin-A-Woeng TF; Bloemberg, Guido V.; Mulders, Ine H. M.; Dekkers, Linda C.; et al. (2000). "Root colonization by phenazine-1-carboxamide-producing bacterium Pseudomonas chlororaphis PCL1391 is essential for biocontrol of tomato foot and root rot". Mol Plant Microbe Interact. 13 (12): 1340–1345. doi:10.1094/MPMI.2000.13.12.1340. PMID 11106026.
- ^ Esipov; Adanin, VM; Baskunov, BP; Kiprianova, EA; et al. (1975). "New antibiotically active fluoroglucide from Pseudomonas aurantiaca". Antibiotiki. 20 (12): 1077–81. PMID 1225181.
- ^ O'Mahony MM; Dobson AD; Barnes JD; Singleton I (2006). "The use of ozone in the remedi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 Chemosphere. 63 (2): 307–314. Bibcode:2006Chmsp..63..307O. doi:10.1016/j.chemosphere.2005.07.018. PMID 16153687.
- ^ Yen KM; Karl MR; Blatt LM; Simon, MJ; et al. (1991).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Pseudomonas mendocina KR1 gene cluster encoding toluene-4-monooxygenase". J. Bacteriol. 173 (17): 5315–27. doi:10.1128/jb.173.17.5315-5327.1991. PMC 208241. PMID 1885512.
- ^ Huertas MJ; Luque-Almagro VM; Martínez-Luque M; Blasco, R.; et al. (2006). "Cyanide metabolism of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CECT5344: role of siderophores". Biochem. Soc. Trans. 34 (Pt 1): 152–5. doi:10.1042/BST0340152. PMID 16417508.
- ^ Nojiri H; Maeda K; Sekiguchi H; Urata, Masaaki; et al. (2002). "Organization and transcriptional characterization of catechol degradation genes involved in carbazole degradation by Pseudomonas resinovorans strain CA10".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4): 897–901. doi:10.1271/bbb.66.897. PMID 12036072.
- ^ Gilani, Razia Alam; Rafique, Mazhar; Rehman, Abdul; Munis, Muhammad Farooq Hussain; Rehman, Shafiq ur; Chaudhary, Hassan Javed (2016). "Biodegradation of chlorpyrifos by bacterial genus Pseudomonas". Journal of Basic Microbiology. 56 (2): 105–119. doi:10.1002/jobm.201500336. ISSN 1521-4028. PMID 26837064. S2CID 1373984.
- ^ Nam; Chang, YS; Hong, HB; Lee, YE (2003). "A novel catabolic activity of Pseudomonas veronii in biotransformation of pentachlorophenol".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2 (2–3): 284–290. doi:10.1007/s00253-003-1255-1. PMID 12883877. S2CID 31700132.
- ^ Onaca; Kieninger, M; Engesser, KH; Altenbuchner, J (May 2007). "Degradation of alkyl methyl ketones by Pseudomonas veronii". Journal of Bacteriology. 189 (10): 3759–3767. doi:10.1128/JB.01279-06. PMC 1913341. PMID 17351032.
- ^ Marqués S; Ramos JL (1993). "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Pseudomonas putida TOL plasmid catabolic pathways". Mol. Microbiol. 9 (5): 923–929. doi:10.1111/j.1365-2958.1993.tb01222.x. PMID 7934920. S2CID 20663917.
- ^ Sepulveda-Torres; Rajendran, N; Dybas, MJ; Criddle, CS (1999). "Generation and initial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tutzeri KC mutants with impaired ability to degrade carbon tetrachloride". Arch Microbiol. 171 (6): 424–429. doi:10.1007/s002030050729. PMID 10369898. S2CID 19916486.
- ^ a b c d Dasen, S. E.; LiPuma, J. J.; Kostman, J. R.; Stull, T. L. (1 October 1994). "Characterization of PCR-ribotyping for Burkholderia (Pseudomonas) cepacia".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32 (10): 2422–2424. doi:10.1128/JCM.32.10.2422-2424.1994. ISSN 0095-1137. PMC 264078. PMID 7529239.
- ^ a b c d e Dogan, Belgin; Boor, Kathryn J. (1 January 2003). "Genetic Diversity and Spoilage Potentials among Pseudomonas spp. Isolated from Fluid Milk Products and Dairy Processing Plant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9 (1): 130–138. Bibcode:2003ApEnM..69..130D. doi:10.1128/AEM.69.1.130-138.2003. ISSN 0099-2240. PMC 152439. PMID 12513987.
- ^ a b c Casalinuovo, Ida A.; Di Pierro, Donato; Coletta, Massimiliano; Di Francesco, Paolo (1 November 2006).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s for Disease Diagnosis and Food Spoilage Detection". Sensors. 6 (11): 1428–1439. Bibcode:2006Senso...6.1428C. doi:10.3390/s6111428. PMC 3909407.
- ^ a b c d Magan, Naresh; Pavlou, Alex; Chrysanthakis, Ioannis (5 January 2001). "Milk-sense: a volatile sensing system recognises spoilage bacteria and yeasts in milk".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72 (1): 28–34. doi:10.1016/S0925-4005(00)00621-3.
- ^ Anzai Y, Kim H, Park JY, Wakabayashi H, Oyaizu H. (2000). "Phylogenetic affiliation of the pseudomonads based on 16S rRNA sequence".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4): 1563–89. doi:10.1099/00207713-50-4-1563. PMID 10939664.
- ^ Jun S-R, Wassenaar TM, Nookaew I, Hauser L, Wanchai V, Land M, Timm CM, Lu TS, Schadt CW, Doktycz MJ, Pelletier DA, Ussery DW. (2015). "Diversity of Pseudomonas Genomes, Including Populus-Associated Isolates, as Revealed by Comparative Genome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ol. 82 (1): 375–83. doi:10.1128/AEM.02612-15. PMC 4702629. PMID 26519390.
- ^ Mulet M, Lalucat J, García-Valdés E. (2010). "DNA sequence-based analysis of the Pseudomonas species". Environ Microbiol. 12 (6): 1513–30. doi:10.1111/j.1462-2920.2010.02181.x. PMID 20192968.
- ^ Mulet M, Gomila M, Scotta C, Sánchez D, Lalucat J, García-Valdés E. (2012). "Concordance between whole-cell matrix-assisted laser-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and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approaches in species discrimination within the genus Pseudomonas". Syst Appl Microbiol. 35 (7): 455–64. doi:10.1016/j.syapm.2012.08.007. PMID 23140936.
- ^ Gomila M, Peña A, Mulet M, Lalucat J, García-Valdés E. (2015). "Phylogenomics and systematics in Pseudomonas". Front. Microbiol. 6: 214. doi:10.3389/fmicb.2015.00214. PMC 4447124. PMID 26074881.
- ^ Hesse C, Schulz F, Bull CT, Shaffer BT, Yan Q, Shapiro N, Hassan KA, Varghese N, Elbourne LD, Paulsen IT, Kyrpides N, Woyke T, Loper JE (2018). "Genome-based evolutionary history of Pseudomonas spp". Environ Microbiol. 20 (6): 2142–2159. doi:10.1111/1462-2920.14130. PMID 29633519. S2CID 4737911.
- ^ a b Girard L, Lood C, Höfte M, Vandamme P, Rokni-Zadeh H, van Noort V, Lavigne R, De Mot R. (2021). "The Ever-Expanding Pseudomonas Genus: Description of 43 New Species and Partition of the Pseudomonas putida Group". Microorganisms. 9 (8): 1766. doi:10.3390/microorganisms9081766. PMC 8401041. PMID 34442845.
- ^ Van Landschoot, A.; Rossau, R.; De Ley, J. (1986). "Intra- and Intergeneric Similarities of the Ribosomal Ribonucleic Acid Cistrons of Acinetobac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36 (2): 150. doi:10.1099/00207713-36-2-150.
- ^ 이 씨 B, Dalpke 참.(2022년)."에 로사 Pseudomonas의intrageneric 구조 Revisiting 완전한 전체 게놈 순서 정보:.다양성과pathogen-related 유전 determinants"에 대한 간파다.전염시키다 주네 Evol.97:105183.doi:10.1016/j.meegid.2021.105183.PMID 34920102.S2CID 245180021.이 나무가 이 참조에 있겠지만, 살곳이 없는 다른 보인 토폴로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
- ^ a b Hertveldt, K.; Lavigne, R.; Pleteneva, E.; Sernova, N.; Kurochkina, L.; Korchevskii, R.; Robben, J.; Mesyanzhinov, V.; Krylov, V. N.; Volckaert, G. (2005). "Genome Comparison of Pseudomonas aeruginosa Large Phages" (PDF).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54 (3): 536–545. doi:10.1016/j.jmb.2005.08.075. PMID 162561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4. Retrieved 2015-08-27.
- ^ Lavigne, R.; Noben, J. P.; Hertveldt, K.; Ceyssens, P. J.; Briers, Y.; Dumont, D.; Roucourt, B.; Krylov, V. N.; Mesyanzhinov, V. V.; Robben, J.; Volckaert, G. (2006). "The structural proteome of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ophage KMV". Microbiology. 152 (2): 529–534. doi:10.1099/mic.0.28431-0. PMID 16436440.
- ^ a b Ceyssens, P. -J.; Lavigne, R.; Mattheus, W.; Chibeu, A.; Hertveldt, K.; Mast, J.; Robben, J.; Volckaert, G. (2006). "Genomic Analysis of Pseudomonas aeruginosa Phages LKD16 and LKA1: Establishment of the KMV Subgroup within the T7 Supergroup". Journal of Bacteriology. 188 (19): 6924–6931. doi:10.1128/JB.00831-06. PMC 1595506. PMID 16980495.
- ^ Lee, L.; Boezi, J. (1966). "Characterization of bacteriophage gh-1 for Pseudomonas putida". Journal of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92 (6): 1821–1827. doi:10.1128/JB.92.6.1821-1827.1966. PMC 316266. PMID 5958111.
- ^ Buchanan, R. E. (1955). "Taxonomy".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9: 1–20. doi:10.1146/annurev.mi.09.100155.000245. PMID 13259458.
외부 링크
일반
- 세계의 비와 눈의 발원지 슈도모나스
- 유사도모나스는 원자로에서 생존한다.
- Pseudomonas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 슈도모나스속
- 형광 슈도 모나스 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