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필리치

Nikola Pilić
니콜라 필리치
1975년 7월 힐버섬에서 열린 1975년 네덜란드 오픈 대회에서 필리치 선수는
국가(스포츠) 유고슬라비아
사는곳독일 뮌헨
태어난 (1939-08-27) 1939년 8월 27일 (84세)
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왕국
높이1.91 m (6 ft 3 in)
턴 프로1968년 (1960년부터 amateur 투어)
은퇴한1978
연극왼손(한손 백핸드)
싱글즈
경력기록270–201
경력직9
최고순위6호(1968, 랜스 팅게이)[1]
그랜드 슬램 단식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3R(1970)
프랑스 오픈F(1973)
윔블던SF(1967)
US 오픈QF(1973)
전문전공
US 프로QF(1968)
웸블리 프로QF(1968)
프렌치 프로QF(1968)
복식
경력기록143–134(개방시대)
경력직6
그랜드 슬램 더블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QF(1970)
프랑스 오픈4R (1969, 1976–77)
윔블던SF(1975)
US 오픈W(1970)
메달기록
유고슬라비아 대표
테니스
지중해 경기 대회
Gold medal – first place 1963년 나폴리 복식
Bronze medal – third place 1963년 나폴리 싱글즈
유니버시아드
Gold medal – first place 1961년 소피아 복식
Silver medal – second place 1961년 소피아 싱글즈

니콜라 "니키" 필리치(, 1939년 8월 27일 ~ )는 크로아티아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그는 핸섬 에이트 중 한 명이었습니다.[2] 필리치는 1968년 1월 데일리 텔레그래프랜스 팅가이에 의해 세계 6위, 1967년 세계 7위에 올랐습니다.[1][3]

초기생

1939년 9월 1일 독일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된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5일 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바노비나주 스플리트에서 태어났다.

그 아이는 1952년 여름에 테니스를 시작했습니다.[4] 13살 때, 그는 스플리트에 있는 유선형 고등학교에서 조선을 공부하는 것과 병행하여 피룰레 테니스 클럽 클레이 코트에서 연습하기 시작했습니다. 졸업 후 는 자그레브에 있는 커뮤니티 칼리지(visha shkola)에 등록하려고 했지만 입학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노비사드에 입학하여 행정학(visha upravna shkola)을 공부했습니다.

테니스 경력

1964년 모스크바 국제 선수권 대회에서 5세트 접전 끝에 보로 요바노비치를 상대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5] 필릭은 1967년 윔블던에서 로이 에머슨을 꺾고 준결승에 올랐습니다.[6] 그때 오픈 테니스가 도착했고 필리치는 1968년 라마 헌트가 새로 결성한 프로 세계 선수권 테니스(WCT) 그룹을 위해 계약한 선수 그룹인 핸섬 에이트(Handm Eight) 중 하나였습니다.[7]

1970년, 필리치는 자신프랑스 파트너 피에르 바르테스와 함께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 호주의 존 뉴컴과 로드 레이버를 4세트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그의 최고 단식 성적은 1973년 프랑스 오픈 결승에 올랐을 때였고, 연속 세트에서 일리 은 ă스타즈에게 패했습니다.

필리치는 1973년 윔블던 보이콧의 촉매제였습니다. 1973년 5월, 유고슬라비아 테니스 연맹은 필리치가 그 달 초에 열린 뉴질랜드와의 데이비스컵 경기에서 자신들을 대표하기를 거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필리치는 혐의를 부인했지만 연맹에 의해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고, 비록 9개월에서 1개월로 줄었지만 ILTF에 의해 자격정지가 유지돼 윔블던 대회에 출전할 수 없게 됐습니다. 출전 정지에 대한 항의로, 전미 테니스 협회(ATP)에 소속된 필리치의 동료 프로 선수들 중 81명이 197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기권했고, 16명의 시드 중 13명이 포함되었습니다.[9][10][11]

그랜드 슬램 결승전

단식: 1 (준우승 1회)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상대 점수
손실 1973 프랑스 오픈 점토 Romania Ilie Năstase 3–6, 3–6, 0–6

복식 : 2 (1회 우승, 1회 준우승)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파트너 반대자들 점수
손실 1962 윔블던 잔디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보로 요바노비치 Australia 밥 휴잇
Australia 프레드 스톨
2–6, 7–5, 2–6, 4–6
이기다 1970 US 오픈 잔디 France 피에르 바르테스 Australia 로이 에머슨
Australia 로드 레이버
6–3, 7–6, 4–6, 7–6

그랜드 슬램 단식 공연 일정표

열쇠
W F SF 큐에프 #R RR Q# DNQ A NH
(W) 결승 진출자; (F) 4강 진출자; (QF) 8강 진출자; (#R) 4라운드, 3라운드, 2라운드, 1라운드, (Q#)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진출자; (DNQ) 예선 탈락자; (A) 불참자; (NH) 미개최자; (SR) 스트라이크 비율 (종목 승리/경쟁); (W–L) 승패 기록.
토너먼트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SR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2R A A A A A A A 3R 2R A A A A A A A A 0 / 3
프랑스 오픈 A 4R 2R 3R 4R 3R A A A 2R A 1R A F A 3R A 1R 2R 0 / 11
윔블던 2R 3R 2R 1R 2R A 1R SF 1R 1R 2R 3R A A 3R 1R 4R 3R A 0 / 15
US 오픈 A A 1R A A 1R A 3R 4R 3R 4R 4R 4R 큐에프 A A A A A 0 / 9
스트라이크레이트 0 / 1 0 / 2 0 / 4 0 / 2 0 / 2 0 / 2 0 / 1 0 / 2 0 / 2 0 / 3 0 / 3 0 / 4 0 / 1 0 / 2 0 / 1 0 / 2 0 / 1 0 / 2 0 / 1 0 / 38

참고: 호주오픈은 1977년 1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열렸습니다.

플레이후

프로 테니스 선수에서 은퇴한 후, 필리치는 감독직을 시작했고, 3개국에서 데이비스트로피를 차지한 첫 번째 주장이 되었습니다. 1988년, 1989년, 1993년 독일, 2005년 크로아티아, 2010년 세르비아. 그는 2007년부터 세르비아 데이비스컵 팀과 함께 고문 역할을 해왔고, 2010년 데이비스컵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뮌헨 근교의 오베르슐레이 ß하임에서 테니스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스티치, 노박 조코비치, 에르네스 굴비스, 아나스타시야 세바스토바 등 선수들이 발전해 필릭 아카데미를 거쳐 왔습니다.[12]

개인적인

1970년, 필리치는 세르비아의 배우 미하 아다모비치와 결혼했습니다. 부부는 함께 아이를 낳습니다.[13]

2020년에는 세르비아 공화국 공로 훈장을 받았습니다.[14]

참고문헌

  1. ^ a b 1968년 1월 31일, 상트페테르부르크 타임즈, "최고의 선수들이 컵을 위해 갑니다."
  2. ^ 도이체벨레 크로아티아어 서비스 2010년 7월 19일 니콜라 필리치 '프루사 발카나'
  3. ^ 미국 잔디 테니스 협회 (1972). 테니스 공식 백과사전 (초판), 428쪽.
  4. ^ 니콜라 필리치(Nikola Philiich): 크라우삼 노바코다 마제 다 쿠피메트(Kraosam novacod majke da kupimet);블릭, 2011년 5월 29일
  5. ^ "Yugoslavian Captures Moscow Title". Hartford Courant. Hartford, CT: The Wikipedia Library - Newspaper Archive.Com. 17 August 1964. p. 19. Retrieved 13 October 2023.
  6. ^ "Wimbledon 1967". www.tennis.co.nf.
  7. ^ Wind, Herbert Warren (1979). Game, Set, and Match : The Tennis Boom of the 1960s and 70s (1. ed.). New York: Dutton. pp. 65–70. ISBN 0525111409.
  8. ^ Collins, Bud (2010).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2nd ed.). [New York]: New Chapter Press. pp. 389, 478. ISBN 978-0942257700.
  9. ^ John Barrett, ed. (1974). World of Tennis '74. London: Queen Anne. pp. 15–17, 45–47. ISBN 978-0362001686.
  10. ^ "The History of the Championships". AELT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ne 2011. Retrieved 23 July 2012.
  11. ^ "Dark Fortnight For Wimbledon..." SI. 2 July 1973. Retrieved 23 July 2012.
  12. ^ Grasso, John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Tennis. Lanham, Md.: Scarecrow Press. p. 225. ISBN 978-0810872370.
  13. ^ 체티리 데체니예사 니콜롬; 블릭, 2010년 9월 25일
  14. ^ "Svečana ceremonija dodele ordenja povodom Sretenja VIDEO". B92.net (in Serbian). 15 February 2020. Retrieved 15 February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