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스 로프그렌
Nils Lofgren![]() |
닐스 로프그렌 | |
---|---|
![]() 2019년 닐스 로프그렌 출전 | |
배경 정보 | |
생년월일 | 닐스 힐머 로프그렌 |
태어난 |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1951년 6월 21일(
장르 | 루트 록, 하트랜드 록, 블루스 록, 하드 록 |
직업 | 뮤지션, 작곡가, 운동선수 |
기기 | 보컬, 기타, 키보드, 아코디언, 페달 스틸 기타, 밴조 |
액티브 년수 | 1965년 ~ 현재 |
라벨 | A&M, 콜롬비아, MCA, Rykodisc, Capitol, Vision Music, Pure Records; Fantasy |
멤버 | E 스트리트 밴드, 크레이지 호스 |
웹 사이트 | nilslofgren |
닐스 힐머 로프그렌(Nils Hilmer Lofgren,[1] 1951년 6월 21일 ~ )은 미국의 록 뮤지션, 레코딩 아티스트, 작곡가,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이다.솔로 아티스트로서의 작업과 함께, 1984년부터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E 스트리트 밴드의 멤버, 크레이지 호스의 멤버, 그리고 밴드 그린의 창립자/프론트를 맡고 있습니다.Lofgren은 2014년 E Street Band의 멤버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전기
초기 생활과 경력
로프그렌은 [2]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이탈리아인 어머니와 스웨덴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그가 어렸을 때,[3] 가족은 메릴랜드주 베데스다 교외의 워싱턴 D.C.로 이사했다.로프그렌의 첫 악기는 클래식 아코디언으로,[4] 5살 때부터 10년 [3]동안 진지하게 공부했다.클래식과 재즈를 공부한 후, 젊은 시절 내내, 로프그렌은 그의 중점을 록 음악으로 전환했고 피아노와 [4]기타에 집중했다.
로프그렌은 매사추세츠주 베데스다에 있는 그의 지역 공립 고등학교 월터 존슨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는 고등학교 때 경쟁력 있는 체조 선수였다. 이 기술은 그의 연기 경력 후반기에 무대에서 사용되었고 1985년 앨범의 [5]이름에 반영되었다.
그린
1968년, 로프그렌은 DC 밴드 [6]행맨의 전 연주자인 베이시스트 조지 댈리(나중에 밥 고든으로 대체)와 드러머 밥 버버리치와 함께 밴드 그리프를 결성했다.그 그룹은 워싱턴 D.C. 지역 전역에서 공연했다.
로프그렌은 영이 조지타운 클럽 셀러 도어에서 공연하는 동안 닐 영을 만나 오랜 인연을 맺었다.영은 로프그렌을 캘리포니아로 초대했고 그린 트리오(로프그렌, 댈리, 베르베리치)는 차를 몰고 서쪽으로 가서 닐 영이 로렐 캐니언에 세들어 살던 집에서 몇 달 동안 살았다.로프그렌은 결국 영과 함께 작업한 앨범 크레딧을 사용하여 1971년 그리프를 음반 계약으로 만들었다.
데일리는 컬럼비아 레코드 A&R 이그제큐티브가 되기 위해 일찍 밴드를 떠났고 1971년부터 1974년까지 기타가 로프그렌의 주요 악기로서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7] 받은 네 장의 하드 록 앨범을 발매하는 동안에도 남아있던 베이시스트 밥 고든으로 대체되었다.싱글곡인 "White Lies"는 워싱턴 D.C. 지역 라디오에서 비중 있게 방송되었다.로프그렌은 대부분의 노래를 작곡했고 종종 밴드의 다른 멤버들과 보컬 임무를 공유했다.두 번째 앨범 이후 그는 동생 톰 로프그렌을 리듬 기타리스트로 추가했다.그린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그들의 음반 회사에 [3]의해 발매되었습니다.
닐 영 앤 크레이지 호스
로프그렌은 19살에 닐 영과 함께 After the Gold [3]Rush라는 앨범에서 피아노와 기타를 연주했다.로프그렌은 영과의 음악적 관계를 유지하며 영의 투나잇 앨범과 투어의 산타모니카 플라이어스, 트랜스 앨범과 [2]투어의 일부로 출연했다.그는 또한 크레이지 호스(1970-1971; 2018-현재)의 반복 멤버이기도 하며 1971년 LP에 수록되어 그들의 카탈로그에 곡을 기고했다.2018년, 로프그렌은 크레이지 호스에 다시 합류했고, 영의 2019년 앨범 콜로라도와 2021년 반에서 밴드와 함께 공연을 했다.
솔로 경력
1974년 그리프가 해체한 후, 로프그렌은 그의 이름을 딴 데뷔 솔로 앨범을 발표하여 비평가들로부터 성공을 거두었다. 1975년 존 랜도(Jon Landau)는 이 앨범을 올해의 가장 훌륭한 록 앨범 중 하나로 선정했고, NME는 이 앨범을 올해의 [8]앨범 목록에서 5위에 올렸다.크라이 터프가 1976년 NME 앨범 [10]종합에서 10위로 뽑혔지만 후속 앨범들이 항상 비판적인 [9]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특히, I Come to Dance는 New Rolling Stone Record [11]Guide에서 신랄한 평가를 받았다.그는 1970년대 중반 '백 잇 업', '키스 돈 고', '아이 컴 투 댄스'로 진보적인 록 라디오 히트를 기록했다.1978년 NBA 챔피언 워싱턴 불레스에 대한 그의 노래 "Bullets Fever"는 워싱턴 [3]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곡이 될 것이다.1970년대 내내, 로프그렌은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대개 리듬 기타를 연주하는 형 톰을 포함한 백 밴드와 함께 광범위한 투어를 했다.로프그렌의 콘서트는 트램펄린에서 [2]플립을 하면서 기타를 치는 것과 같은 연극에 대한 그의 명성을 보여주었다.
1971년, 그는 빌 그레이엄과 함께 로이 뷰캐넌 스페셜, PBS TV에 출연했다.1973년, 그는 NBC Midnight Special에 Green과 함께 출연해 세 곡을 라이브로 공연했습니다.1978년, 그는 D.C.에서 "Nobody Negrates Me"라는 주제를 작곡하고 불렀다.Jhoon 이태권도 광고, 그리고 나쁜 평가를 받은 병장에도 출연했다. 페퍼의 론리 하트 클럽 밴드 영화.로프그렌은 1985년 솔로 앨범 플립을 홍보하기 위해 데이비드 레터맨과 함께 레이트나이트에 출연했다.로프그렌은 (외국인의) Lou Gramm의 두 솔로 앨범에서 인정을 받았습니다.Ready or Not 1987년 발매(Lofgren은 리드 기타리스트로 등재), Long Hard Look은 1989년 발매(Lofgren은 기타 연주자 중 한 명으로 등재).1987년, 그는 헌터를 위해 텔레비전 쇼 주제 편곡에 기여했습니다.1993년 그는 심슨 가족에서 바트와 함께 크리스마스 징글을 두 번 울리며 기부를 했다.1995년, 그는 존 박사와 함께 비틀즈에 대한 PBS 헌사에 출연했다.1991년부터 1995년까지 그는 CableAce Awards 뮤지컬 감독 겸 작곡가로 활동했습니다.

로프그렌은 패티 시알파, 닐 영, 그리고 링고 스타의 올스타 밴드의 2회 멤버로 녹음과 투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그 투어에서 그와 함께 일했던 많은 사람들이 그의 1991년 앨범인 실버 라이닝에 출연했다.2000년대에 그는 메릴랜드 주 몽고메리 카운티(8월 25일)에서 자신만의 "닐스 로프그렌 데이"를 가졌다.2006년 로프그렌은 데이비드 크로스비, 그레이엄 내쉬, 윌리 넬슨, 마틴 섹스턴이 게스트로 출연하는 Sacred Weapon을 발매했다.2006년에는 라이브 DVD Nils Lofgren & Friends를 녹음했습니다.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전설의 버치미어 뮤직홀에서 어쿠스틱 라이브.
2006년 6월 23일, 로프그렌은 Robert Plant, Ian Hunter, Yo La Tengo, Garland Jeffreys와 함께 뉴욕의 Beacon Theater에서 Arthur Lee를 위한 자선 콘서트에서 공연을 했습니다.2007년, 그는 루이스의 Last Man Standing Live 콘서트 DVD에서 제리 리 루이스의 백밴드로 기타를 연주했다.그는 2008년 닐 영의 어쿠스틱 커버 앨범인 "The Loner – Nils Sings Neil"을 발매했다.
2008년 9월, 로프그렌은 수년간 농구를 한 결과, "무대에서의 '넘어지기'와 [12]나이 때문에 양쪽 엉덩이에 대한 치환 수술을 받았다.
2014년 8월, 박스 세트 「Face the Music」이 Fantasy 레이블로 발매되었습니다.이 경력 회고전에는 45년의 역사를 담은 9장의 CD와 DVD가 수록되어 있다.
로프그렌의 2015년 라이브 앨범 UK 2015 Face the Music Tour의 창간은 그의 최근 라이브 쇼가 그녀가 본 것 중 최고였다고 말하는 아내 Amy와 그들이 방금 [13]본 쇼의 녹음을 원하는 팬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2018년 12월, PBS NewsHour는 10분간의 경력 회고전 Nils Lofgren을 방영했습니다.그냥 '그냥 밴드에 있는 남자'가 된 [14]지 50년입니다.
로프그렌은 2020년 10월 영국 이스트 런던 라디오에서 1시간짜리 라디오 스페셜 "프라이빗 라이프"에 출연했습니다.이 시리즈는 온라인 라디오 방송국과 FM/DAB에서 공유되며,[15] 영국 전역에 걸쳐 방송되고 있습니다.
브루스 스프링스틴과 E 스트리트 밴드
1984년, 그는 미국 투어에서 스프링스틴의 Born에 맞춰 기타와 보컬에 관한 Steven Van Zandt의 후임으로 Bruce Springsteen의 후원 밴드인 E Street's back the [2]E Street Band in the Springsteen's Born in U.A.A. Tour.로프그렌은 1987년 'Tunnel of Love'와 'Tunnel of Love Express'와 'Human Rights Now!' 지원 투어로 그의 첫 스프링스틴 앨범에 출연할 것이다.1989년 스프링스틴은 E 스트리트 밴드를 해체하고 로프그렌은 솔로곡으로 돌아왔다.
1995년, 로프그렌과 반 잔트가 모두 참여한 E 스트리트 밴드는 스프링스틴의 Greatest Hits 앨범의 신곡들을 녹음했지만, 이 재결합에서 다른 것은 나오지 않았다.1999년 스프링스틴은 E 스트리트 밴드를 제외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E Street Band는 15년 후인 2014년에 마침내 취임할 것이다.1999년에 스프링스틴과 함께 헌액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E Street Band(다시 Lofgren과 Van Zandt와 함께)는 1988년 이후 처음으로 Springsteen과 함께 취임식에서 공연을 했다.이것은 곧 1999-2000년에 개최된 리유니언 투어의 큰 성공으로 이어졌고, 현재 로프그렌과 반 잔트가 정식 멤버로 참여하는 라인업으로 이어질 것이다.재결합 투어는 2001년 앨범으로 이어졌고1988년 이래 E 스트리트 밴드가 참여한 첫 번째 앨범인 라이징과 2002년과 2003년에 또 다른 대규모 투어를 했다.이 투어에 이어 2007년 Magic 앨범과 2007/2008년 투어까지 Springsteen은 E Street Band의 관여 없이 다른 프로젝트와 투어에 종사했다.이 투어는 2009년의 Working on a Dream 앨범과 투어로 이어졌다.2012년 스프링스틴은 E 스트리트 밴드 멤버 몇 명이 참여한 앨범 "Recking Ball"을 발매했지만, 로프그렌은 앨범의 서포팅 투어에서 밴드와 함께 공연을 했지만 출연하지 않았다.2014년에는 또 다른 투어와 함께 High Hopes 앨범의 발매를 보았다.2016년 스프링스틴은 앨범 The River의 35주년을 기념하여 The Ties That Bind:를 후원하는 투어로 축하했다. 리버 컬렉션 박스 [13]세트입니다.2020년 스프링스틴은 E 스트리트 밴드를 피처링한 앨범 레터 투 유를 발매했다.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앨범을 지원하는 투어는 2020년 또는 2021년에 이루어질 수 없었지만 스프링스틴은 2022년 어느 시점에 E 스트리트 밴드와 함께 투어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기타 작업
작고한 소설가 클라이브 커슬러는 로프그렌의 애리조나의 집 근처에 살았고 그와 함께 "무스카텔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가?"라는 제목의 노래를 공동 작업했다.[16]
2017년 8월 17일, 로프그렌은 애리조나 뮤직&[17]엔터테인먼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2018년 5월, 로프그렌은 Neil Young과의 재회 콘서트를 위해 Crazy Horse에서 프랭크 샘페드로의 자리를 대신했다.
2022년 1월 29일, 닐 영과 조니 미첼이 같은 일을 한 후, 로프그렌은 스포티파이로부터 그의 음악을 꺼냈다.이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The Joe Rogan [18]Experience에 의해 COVID-19 오보가 유포되었다는 그들의 믿음에 대한 응답이었다.
악기
기타
2019년 콜로라도 앨범에서 로프그렌은 두 개의 기타를 가지고 왔다.
영향들
- 이발사 화상 유닛 오버드라이브
- Strymon 준장 dBucket 지연
- TC Electronic ND-1 Nova 지연
앰프
- Fuchs 4 Aces 112 콤보
![]() |
Lofgren은 주로 다양한 Fender 기타와 [20][21]앰프를 사용합니다.
기타
|
The E Street Band's Working on a Dream Tour에서 "The River"라는 곡을 공연하는 동안, 닐스는 12줄 목과 스탠다드 6줄 목의 맞춤형 펜더 스트래토캐스터 더블넥 기타를 사용했다.12 문자열은 B-G-Bb-F-D-Eb, 6 문자열 A-G#-Bb-Bb-F#[citation needed]로 조정되었습니다.
|
영향들
|
|
앰프
|
|
|
음반 목록
그린의 음반 목록
- 1971년: 그리니 (스핀디지/에픽)
- 1972: 1+1 (스핀지/에픽)
- 1973: All Out (스핀디지/에픽)
- 1973: Gone Crazy (A&M)
솔로 음반 목록
연도 | 앨범 | 피크 차트 위치 | |||||||
---|---|---|---|---|---|---|---|---|---|
AUS [22][23] | 할 수 있다 | GER [24] | NL [25] | SWE [26] | 영국 [27] | 미국 [28] | US 인디안 [29] | ||
1975 | 닐스 로프그렌(A&M) | — | — | — | — | — | — | 141 | — |
백 잇 업!! (라이브) (A&M) | — | — | — | — | — | — | — | — | |
1976 | Cry Tough (A&M) | 96 | 57[30] | — | 12 | 22 | 8 | 32 | — |
1977 | 아이컴 투 댄스 (A&M) | — | 81[31] | — | — | 14 | 30 | 36 | — |
Night After Night (라이브) (A&M) | — | 칠십오[32] | — | — | 23 | 38 | 44 | — | |
1979 | Nils(A&M) | 73 | 85세[33] | 21 | 50 | 35 | — | 54 | — |
1981 | 나이트 페이드 어웨이(백스트리트/MCA) | 92 | — | — | — | 22 | 50 | 99 | — |
베스트 오브 닐스 로프그렌(A&M) | — | — | — | — | — | — | — | — | |
1982 | 리듬 로맨스(A&M) | — | — | — | — | — | 100 | — | — |
1983 | 원더랜드(백스트리트/MCA) | — | — | — | — | 31 | — | 206 | — |
1985 | 플립(CBS) | — | — | — | — | 12 | 36 | 150 | — |
1986 | 도로코드(라이브)(타워벨/CBS) | — | — | — | — | — | 86 | — | — |
1991 | 실버 라이닝(Rykodisc) | 122 | — | — | 62 | — | 61 | 153 | — |
1992 | 꼬임선(Rykodisc) | — | — | — | — | — | — | — | — |
1993 | Live on the Test (Windsong) (영국만 출시) | — | — | — | — | — | — | — | — |
1994 | Every Breath (사운드트랙) (위기) | — | — | — | — | — | — | — | — |
1995 | 파손된 상품(순수) | — | — | — | — | — | — | — | — |
1997 | 어쿠스틱 라이브 (비전) | — | — | — | — | — | — | — | — |
2001 | 이탈천사(비전) | — | — | — | — | — | — | — | — |
2002 | Tuff Stuff - 올매든 팀 밴드 중 최고 (비전) | — | — | — | — | — | — | — | — |
2003 | Nils Lofgren 밴드 라이브 (비전) | — | — | — | — | — | — | — | — |
2006 | 신성한 무기 (비전) | — | — | — | — | — | — | — | — |
2008 | 외톨이 – 닐을 노래하는 닐 (비전) | — | — | — | — | — | — | — | — |
2011 | 구식(MVD) | — | — | — | — | 60 | — | — | — |
2014 | Face the Music (박스 세트) (판타지) | — | — | — | — | — | — | — | — |
2015 | 영국 2015 Face the Music Tour (소떼 트랙) | — | — | — | — | — | — | — | — |
2019 | 블루 위드 루(Cattle Track | — | — | — | — | — | — | — | 33 |
2020 | 풍화(활선)(소떼 트랙) | — | — | — | — | — | — | — | — |
"-"는 차트화되지 않았거나 출시되지 않은 릴리스를 나타냅니다. |
크레이지 호스
- 크레이지 호스(1971년)
Neil Young
- 골드러시 이후(1970년)
- 투나잇 더 나이트 (1975년)
- 트랜스(1982)
- 베를린에서 (1983년)
- 분리 (1993년 2월)
- 록시: 투나잇 더 나이트 라이브 (2018년)녹음(1973년)
- 콜로라도(2019년) (크레이지 호스 포함)
- 헛간(2021년)(크레이지 호스 포함)
제리 윌리엄스와 함께
- 제리 윌리엄스 (스핀디지) (1972) – 로프그렌/그린은 앨범에서 3곡을 연주했다.또한 그들은 싱글 "Crazy 'Bout You Baby"의 B면에 수록되었다.
Lou Reed와 함께 (공동 작가로)
- 종소리 (1979년)
브루스 스프링스틴과 E 스트리트 밴드와 함께
- 라이브/1975-85(1986)
- 사랑의 터널 (1987년)
- 자유의 차임즈 (1988)
- 최고 히트작 (1995년)
- 블러드 브라더스 (1996년)
- 트랙 (1998)
- 18 트랙(1999년)
- Bruce Springsteen & The E Street Band: 라이브 인 뉴욕 (2001)
- 더 라이징 (2002)
- 더 에센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03)
- 매직 (2007)
- 매직투어 하이라이트 (2008)
- Bruce Springsteen & The E Street Band Greatest Hits (2009)
- 꿈을 위한 작업 (2009)
- 파괴공 (2012)
- 컬렉션: 1973-2012 (2013)
- 높은 희망(2014년)
- 아메리칸 뷰티 (2014)
- Bruce Springsteen 아카이브 (2014-현재)
- 장구 (2016)
- 라이브 시리즈: Songs of the Road (2018)
- 라이브 시리즈: 우정의 노래 (2019)
- 라이브 시리즈: Songs of Hope (2019)
- 고객님께 드리는 편지 (2020)
With Lou Gramm
레퍼런스
- ^ Lofgren, Nils (2007). "Nils Lofgren, Singer, songwriter". Nils Lofgren's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0, 2015. Retrieved March 21, 2013.
- ^ a b c d Colin Larkin, ed. (1992). The Guinness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p. 1506/7. ISBN 0-85112-939-0.
- ^ a b c d e J. Freedom du Lac (October 8, 2008). "Six Questions (And Then Some) For ... Nils Lofgren".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November 11, 2008.
- ^ a b Huey, Steve (2009). "Nils Lofgren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09.
- ^ "Nils Lofgren Interview". Djnoble.demon.co.uk. Retrieved February 14, 2011.
- ^ "The Hangmen". Garagehangover.com. Retrieved March 29, 2012.
- ^ Kinsler, Robert (January 28, 2009). "Nils Lofgren marks 25 years with Springsteen". Orange County Register. Retrieved March 14, 2009.
- ^ "Rocklist.net...NME End of Year Lists 1975". Rocklistmusic.co.uk. May 9, 1992. Retrieved February 14, 2011.
- ^ 비글리오네, 조올뮤직의 닐스 로프그렌
- ^ "Rocklist.net...NME End of Year Lists 1976". Rocklistmusic.co.uk. May 9, 1992. Retrieved February 14, 2011.
- ^ Marsh, Dave; Swenson, John (1983). New Rolling Stone Record Guide, The. New York, NY: Random House/Rolling Stone Press. p. 302. ISBN 0-394-72107-1.
- ^ "Nils Lofgren on John Madden, the Cardinals and a brand new set of hips..." Billboard. Jan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4, 2009. Retrieved January 24, 2009.
- ^ a b Moser, John J. (February 8, 2016). "Nils Lofgren on playing with Springsteen: 'Every night I learn stuff and grow'". The Morning Call. Retrieved February 15, 2021.
- ^ "Nils Lofgren on PBS NewsHour". Pbs.org. December 15, 2018.
- ^ "Mixcloud". Mixcloud.com. Retrieved September 26, 2021.
- ^ "Nils Lofgren Merchandise". Nilslofgre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 2011. Retrieved February 14, 2011.
- ^ "Hall of Fame Induction Ceremony 2017". Azcentral.com. Retrieved October 9, 2017.
- ^ Kreps, Daniel (January 30, 2022). "Nils Lofgren Pulls Music From Spotify in Solidarity With Neil Young". Rolling Stone. Retrieved January 30, 2022.
- ^ Nils Lofgren: Back on the Horse Premierguitar.com 2019년 11월 26일 취득
- ^ Nils Lofgren 기타 리그 기어 및 기기 2009년 4월 30일 Wayback Machine에 보관 Uberproaudio.com 2009년 5월 16일 취득
- ^ 펜더 아티스트 – Nils Lofgren / Bruce Springsteen & the E Street Band 2010년 7월 10일 Wayback Machine fender.com에서 아카이브 완료2010-07-19
-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180. ISBN 0-646-11917-6.
- ^ "Bubbling Down Under Week Commencing May 13, 1991". Retrieved June 21, 2022.
- ^ "Suche - Offizielle Deutsche Charts". Offiziellecharts.de.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Dutch Charts - dutchcharts.nl". dutchcharts.nl.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swedishcharts.com - Swedish Charts Portal". swedishcharts.com.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NILS LOFGREN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Officialcharts.com.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Nils Lofgren". Billboard.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Nils Lofgren". Billboard.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Canada, Library and Archives (July 17, 2013). "Image : RPM Weekly". Bac-lac.gc.ca.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Canada, Library and Archives (July 17, 2013). "Image : RPM Weekly". Bac-lac.gc.ca.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Canada, Library and Archives (July 17, 2013). "Image : RPM Weekly". Bac-lac.gc.ca. Retrieved December 29, 2020.
- ^ Canada, Library and Archives (July 17, 2013). "Image : RPM Weekly". Bac-lac.gc.ca. Retrieved December 29, 2020.
외부 링크
![]() | 이 섹션의 외부 링크 사용은 Wikipedia의 정책 또는 지침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 외부 링크나 한 외부 를 하고 유용한 를 로 하여 이 를 하십시오. (2020년 10월 (이 및 에 대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