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중대 RAAF
No. 31 Squadron RAAF제31중대 RAAF | |
---|---|
![]() 1943년 1월 31함대 조종사 및 참관인 | |
활동적인 | 1942–1946 2010년 ~ 현재 |
나라 | 호주. |
분점 |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
역할. | 베이스 운용 및 훈련 |
일부 | 전투지원단 |
게리슨/본사 | RAAF 베이스 와가 |
좌우명 | 비원주 코이머스(회전 금지) |
지휘관 | |
주목할 만한 지휘관 | 찰스 리드 |
31번 비행대는 호주 왕립 공군(RAAF) 공군기지 지원 비행대대이다.1942년 8월 결성돼 1946년 7월 제2차 세계대전의 서남태평양 전장에서 일본군에 대항하는 행동을 보고 해산했다.전쟁 중에는 장거리 전투기와 지상 공격 임무에서 운용된 브리스톨 뷰파이터를 운용했다.그 비행대는 2010년 7월에 현재의 역할을 위해 다시 인양되었다.
역사
31번 비행대는 1942년 8월 14일 RAAF 기지에서 창설됐으며, 브리스톨 보파이터 전투기와 공격기를 갖추고 있었으며,[1] 그 중 첫 번째 비행대는 1942년 8월 23일에 접수되었다.이후 [2]공군참모총장으로 근무한 찰스 프레데릭 [1]리드 비행대장의 지휘 하에, 비행대는 앨리스 스프링스를 통해 비행하는 항공기를 10월에 노던 준주의 배첼러 비행장으로 배치하기 전에 일정 기간 훈련을 받았다.11월 12일 쿠말리 크릭 비행장에 있는 작전 기지로 이동하기 전 보다 강도 높은 훈련과 익숙해진 비행이 이루어졌고, 11월 17일 포르투갈령 [3]티모르의 목표물을 공격하며 전투 작전을 시작했다.
첫 번째 공격에서 이 비행대는 일본 [1]전투기의 공격을 받고 뷰파이터 1대를 잃었다.그 다음 달인 12월 2일, 함대는 펜포이의 일본 비행장을 공격하여 18대의 항공기를 단 한 대도 [1]잃지 않고 파괴했다.그 달 말, 에릭 바넷 병장이 후일로 [1]상공에서 나카지마 Ki-27 "네이트" 전투기를 격추했을 때, 이 비행대는 첫 번째 일본 항공기를 격추했다.이후 네덜란드 동인도(NEI)에서 일본군에 대한 지상 공격 임무를 수행하며 비행장과 함정에 주력했다.1944년 12월까지 쿠말리 크릭에서 비행대가 노엠푸어로 이동해 지역 목표물에 근접할 때까지 작전을 수행했다.이후 종전까지 모로타이, 타라칸 [4]등 NEI의 기지에서 지상 공격 역할을 계속했다.
전쟁이 진행되면서, 함대가 사용할 수 있는 무기가 개발되었고, 처음에 뷰파이터는 20mm 대포와 50구경 기관포를 사용했지만, 나중에 폭탄과 로켓으로 보완되었고,[4] 이것들은 날개 아래 단단한 부분에 장착되었다.이러한 구성으로, 비행대의 항공기는 다수의 공대공 승리를 비롯해 [1]지상의 많은 일본 항공기들을 파괴하는 등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었다.전투 작전 첫 해에, 이 비행대는 18대의 공대공 승리를 거두고 49대의 항공기를 지상에서 파괴했다. 비록 낮은 수준의 [1]작전 때문에 비행대원들 사이의 손실이 심각했지만 말이다.또한 몇 가지 중요한 개인 위업도 있었다.이 비행대의 가장 성공적인 조종사 중 한 명은 레지날드 로이드 고든 비행대장으로, 두 명의 일본 쌍발 전투기 가와사키 Ki-45 "닉" 전투기를 한 번의 [5]작전에서 격추시켰다.또 다른 사건에서는 9대의 일본 [1]항공기에 의해 공격당한 아루 열도의 일본 해군 기지에 대한 공격 임무 중 비행대에서 4명의 보파이터가 3대의 일본 수상기를 한 번에 격추시켰다.
전쟁 후 31번 비행대는 기상 정찰과 NEI에서 호주로 가는 단일 엔진 항공기를 호위했다.이 비행대는 1945년 12월 호주로 돌아와 뉴사우스웨일스주 데닐리퀸으로 이동했으며 1946년 7월 [5]9일 RAAF 기지 윌리엄타운에서 해산했다.전쟁 중 함대 소속 79명이 전사하거나 현역으로 사망했다.비행대원들은 18개의 비행 십자 훈장과 2개의 막대 훈장, 1개의 비행 훈장, 6개의 파견 훈장, 그리고 1개의 용감한 [6]행동에 대한 왕의 훈장을 받았다.
31번 비행대는 2010년 7월 1일 RAAF 기지 와가에게 공군기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대로 재기동되었다.이 비행대는 31번(와가바가시) 비행대로 지정되며 전투지원단의 [7][8]일부를 구성한다.
메모들
- ^ a b c d e f g h 1995년 12월 66쪽
- ^ Stephens & Isaacs 1996, 페이지 155-157.
- ^ Gilison 1962, 페이지 646~649.
- ^ a b 1995년 12월, 페이지 66~67.
- ^ a b 1995년 12월 67쪽
- ^ "31 Squadron RAAF". Australian War Memorial. Retrieved 17 May 2012.
- ^ Lineham, Paul (24 June 2010). "Building up our cities". Air Force. Retrieved 26 June 2010.
- ^ "No 31 Squadron". RAAF Museum. Retrieved 17 May 2012.
레퍼런스
- Eather, Steve (1995). Flying Squadrons of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Weston Creek,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erospace Publications. ISBN 1-875671-15-3.
- Gillison, Douglas (1962). Royal Australian Air Force 1939–1942. Australia in the War of 1939–1945. Series 3 – Air. Vol. 1. Canberra: Australian War Memorial. OCLC 2000369.
- Stephens, Alan; Isaacs, Jeff (1996). High Fliers: Leaders of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ISBN 0644456825.
추가 정보
- Mann, William (2001). Search and Destroy: The Role of the Beaufighters Against the Japanese Forces Set to Invade Australia, and the Young Men Who Held the Japanese at Bay. Benowa, Queensland: William Mann. ISBN 0-646-41305-8. OCLC 53221576.
- RAAF Historical Section (1995). Units of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A Concise History. Canberra,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ISBN 0-644-427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