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편대 RAF
No. 82 Squadron RAAF82 편대 RAF | |
---|---|
![]() 일본의 82번 비행대 무스탕 전투기, 1947년 | |
활동적인 | 1943–1948 |
나라 | 호주. |
나뭇가지 |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
역할 | 파이터 |
의 일부 | 81번 윙 |
계약 | 제2차 세계 대전 일본의 점령 |
휘장 | |
비행대 코드 | FA[1] |
항공기가 비행 | |
파이터 | P-40 키티호크 P-39 에어라코브라 P-51 무스탕 |
제82함대 RAF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운용된 호주 공군 전투기 편대로 그 즉각적인 여파였다.1943년 6월, 커티스 P-40 키티호크를 비행하고, 초기에는 퀸즐랜드와 뉴기니의 기지에서 벨 P-39 에어라코브라를 비행하면서 형성되었다.이 비행대는 1944년 9월 작전에 들어갔으며 태평양 극장에서 일본 목표물에 대한 지상 공격 임무를 수행했다.교전 종료를 계기로 82번 편대는 북미 P-51 무스탕스를 재장전하여 일본에 배치되었고, 그 곳에서 영국 영연방 점령군의 일부를 구성하였다.해산된 1948년 10월까지 그곳에 남아 있었다.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동안, 호주 공군(RAF)은 399대의 커티스 P-40 키티호크 전투기를 받았다.이들의 도착으로 1942년부터 서태평양 지역에서 활자를 운용해 온 3개 중대에 합류하기 위해 키티호크 장착 5개 중대를 새로 편성해 전투력을 확충할 수 있었다.[2]1943년 6월 18일 뉴사우스웨일스의 뱅크스타운에 82 비행대가 편성되었다.[3]신설된 키티호크 편대는 2월 84번, 3월 86번 편대에 이어 3번째로, 7월에는 78번 편대가, 9월에는 80번 편대가 편성됐다.[2]편대장 스탠리 갤튼이 지휘하는 82번 편대의 원래 보병은 장교 15명을 포함해 279명이었다.그것은 P-40M 키티호크 전체를 장착할 예정이었으나 처음에는 Bell P-39 에어라코브라의 비행을 포함했다.제82 편대는 1944년 4월까지 뱅크스타운에서 훈련을 실시했는데, 그 때 인력은 잠시 북부 영토의 휴즈 비행장으로 이동했다가 퀸즐랜드의 타운즈빌로 재배치되어 추가 훈련을 받았다.[3]
이 중대는 1944년 8월 말 뉴기니 포트모르즈비(Port Moresby)로 전출했다가 9월 중순 노엠푸어(Noemfoor)로 전출해 10호 작전그룹(후위 제1전술공군) 산하 81번 윙(Wing) 소속으로 76번과 77번 중대와 합류했다.[4][5]82개 중대의 키티호크 중 3대가 나드잡과 타다지 등을 통해 무대를 펼치던 중 엔진 고장으로 추락했다.[6]노엠푸어(Noemfoor)의 카미리(Kamiri) 스트립에서 작전 중인 이 중대는 9월 30일 첫 전투임무를 비행하며 77번 중대의 항공기로 사마테 비행장을 폭격했다.[7]10월 18일, 카이 섬에서의 공격 중에 한 대의 항공기가 지상의 화재로 소실되었고, 또 다른 항공기는 실종된 것으로 보도되었다.[8]82번 비행단은 대부분의 지상 승무원이 다음 달까지 타운즈빌에 남아 있기 때문에 작전을 계속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그동안 조종사들은 항공기에 무장을 하고 연료를 재충전할 책임이 있었다.[9][10]11월 23일, 그들은 76번 비행대의 항공기로 할마헤라의 일본 비행장을 폭격했다.[11]
제82 편대는 네덜란드 동인도(NEI)의 모로타이 섬으로 이전한 1945년 3월까지 뉴기니에서 지상 공격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이 중대는 모로타이에서 NEI에서 지상 공격 임무를 수행하고 보르네오 해방으로 향하는 군대를 태운 연합군 호송대를 호위했다.[12]필리핀과 일본에 대한 연합군의 주요 추진으로 우회된 작전 지역으로 제1전술공군이 강등되면서 사기가 저하되어 1945년 4월 이른바 '모로타이 반군'이 정점을 찍었다.[13][14]82번 비행대의 지휘관인 버트 그레이스 비행대장은 8명의 고위 조종사들 중 한 명이었다. 그들은 그들이 의심스러운 군사적 가치의 목표물에 대한 자원의 낭비라고 본 것에 항의하여 그들의 사임을 지지했다.장교들은 작전을 계속하도록 설득되었고, 그레이스는 6월 북보르네오 침공작전의 일환으로 라부안 섬으로 이동하는 비행대를 지휘했다.[12][15]키티호크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호주 육군 부대를 지원하며 비행했다.1945년 8월 8일 그러한 임무 중 하나로 82번 비행대는 900마일(1,400km)을 왕복 여행하여 사라왁의 쿠칭 주변에서 목표물을 공격했다.1차 타격 때는 일본 항공기 2대가 활주로에서 이륙하던 중 파괴됐고 수송기도 파괴돼 2대가 추가로 파손됐다.그 후, 이 전투기들은 쿠칭 타운 근처와 사라왁 강에 있는 여러 바지선을 공격했다.[12]그 중 14명의 대원이 전쟁 중에 작전으로 사망했다.[16]
일본의 점령
종전 직후 82개 중대가 일본에서 영국영연방 점령군(BCOF)에 입대하기 위해 선발되었다.[17]1946년 9월 12일부터 1월 11일까지 북미 P-51D 무스탕 전투기를 재장전하여 이 과정에서 항공기 2대를 사고로 잃었다.[18]이 중대는 1946년 3월 13~18일, 76번과 77번 중대가 있는 81번 윙의 일부로 다시 한번 보푸에 배치되었고, 381번과 481번 중대는 각각 물류와 정비 지원을 제공하였다.제82함대는 보푸로 향하던 중 악천후로 하빌랜드 모기의 호위함과 함께 28개의 무스탕 중 3개를 잃어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다.[17]이 중대는 1946년 4월부터 정기훈련과 플라이패스는 물론 일본 상공에서 감시순찰을 실시했다.[18]호주인들은 저항을 주기는커녕 일본인들이 수용하기 위해 방도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82번 중대의 지휘관인 그레이엄 팔커 중령은 보푸 시장과의 만찬에 이어 "점령군보다는 방문자로 대접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19][20]고 말했다.
제81호 윙은 연방정부가 BCOF에 대한 호주의 기여를 줄이기로 결정한 바로 그 달인 1948년 4월에 이와쿠니로 이적했다.[21][22]이번 감축의 일환으로 76번과 82번 중대가 해체될 예정이어서 77번 중대는 국내 유일 RAF 전투부대로 남게 됐다.[23]제82 편대는 9월까지 추가 훈련과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948년 10월 29일 이와쿠니에서 해산되었다.[24][25]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82번 비행대 RAF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인용구
- ^ "RAAF Squadron Codes". Australian War Memorial. Retrieved 18 April 2015.
- ^ a b 윌슨 1988, 페이지 161.
- ^ a b RAAF 역사 섹션 1995, 페이지 78.
- ^ "81WG: then and now". RAAF News. July 1994. p. 15.
- ^ 오거스 1968, 페이지 298–299.
- ^ 반스 2000, 213페이지.
- ^ RAAF 역사 섹션 1995, 페이지 79.
- ^ 반스 2000, 페이지 214.
- ^ 에더 1995, 페이지 94.
- ^ 1968년 304페이지
- ^ 1968년 312페이지
- ^ a b c RAAF History Section 1995, 페이지 80–81.
- ^ 오거스 1968, 386–390 페이지.
- ^ 오소리 1968, 페이지 443~450.
- ^ Johnston 2011, 페이지 408–409.
- ^ 존스턴 2011, 페이지 448.
- ^ a b 스티븐스 1995, 페이지 211–214.
- ^ a b RAAF 역사 섹션 1995, 페이지 81.
- ^ 1996년 6-7페이지.
- ^ "Squadron Leader Graham Falconer". Australian War Memorial. Retrieved 2 January 2015.
- ^ 스티븐스 2006, 페이지 213–216.
- ^ "Occupation air group arrived in Japan". Air Power Development Centre. Retrieved 22 November 2014.
- ^ 어더 1996 페이지 15.
- ^ 반스 2000, 페이지 215.
- ^ RAAF 역사 섹션 1995, 페이지 82.
- 참고 문헌 목록
- Barnes, Norman (2000). The RAAF and the Flying Squadrons. St Leonards, New South Wales: Allen and Unwin. ISBN 1-86508-130-2.
- Eather, Steve (1995). Flying Squadrons of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Weston Creek,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erospace Publications. ISBN 1-875671-15-3.
- Eather, Steve (1996). Odd Jobs: RAAF Operations in Japan, the Berlin Airlift, Korea, Malaya & Malta, 1946–1960. RAAF Williams, Victoria: RAAF Museum. ISBN 0-642-23482-5.
- Johnston, Mark (2011). Whispering Death: Australian Airmen in the Pacific War. Crows Nest, New South Wales: Allen & Unwin. ISBN 978-1-74175-901-3.
- Odgers, George (1968) [1957]. Air War Against Japan 1943–1945. Australia in the War of 1939–1945. Series 3 – Air. Vol. 2 (reprint ed.). Canberra: Australian War Memorial. OCLC 246580191.
- RAAF Historical Section (1995). Fighter Units. Units of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A Concise History Volume 2.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ISBN 0-644-42794-9.
- Stephens, Alan (1995). Going Solo: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1946–1971.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ISBN 0-644-42803-1.
- Stephens, Alan (2006) [2001].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A Histor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55541-4.
- Wilson, Stewart (1988). The Spitfire, Mustang and Kittyhawk in Australian Service. Curtin,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erospace Publications. ISBN 0-958797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