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자신 없음
No Thyself당신 자신 없음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2011년 10월 24일 | |||
녹음된 | 레드 버드, 아폴로 컨트롤 | |||
장르. | 포스트펑크 | |||
길이 | 45:01 (상여금 포함 49:08) | |||
라벨 | 와이어사운드 | |||
매거진 연대기 | ||||
| ||||
No Thyelf에서 온 싱글들 | ||||
|
No Thyelf는 밴드 매거진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이며, 2009년 개편 이후 첫 번째 앨범이다.이전 스튜디오 앨범 '매직, 살인, 날씨'가 발매된 지 약 30년 만인 2011년 10월 24일 와이어사운드 레이블에 발매되었다.[1][2]
베이스 기타리스트 배리 애덤슨은 여전히 매거진 멤버로 남아 있지만, 영화음악의 선행의무 때문에 No Thyelf 제작에 참여하지 않았다.[2][3]기타리스트 존 맥거치는 2004년에 죽었다.[3]두 뮤지션 모두 이전의 라인업에서 중요했다.[2]매거진 가수 하워드 데보토와 함께 버즈콕스를 창단해 초창기 버즈콕스 소재와 매거진 곡 1곡을 공동 집필한 피트 셸리가 첫 트랙의 집필에 기여했다.앨범 표지에는 프랑스 예술가 오딜론 레돈이 그린 그림 The Misshapen Polyp Float on the Shore,[4] Sort of Smile and Wreshold Cyclops가 등장한다.
리셉션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BBC | ![]() ![]() ![]() ![]() ![]() ![]() ![]() ![]() ![]() ![]() |
가디언 | ![]() ![]() ![]() ![]() ![]() |
모조 | ![]() ![]() ![]() ![]() ![]() ![]() ![]() ![]() ![]() ![]() |
BBC는 이 앨범에 대해 10점 만점에 9점을 매겼다.30년 전 하워드 데보토는 다시 불타고 싶다고 노래했다.그리고 여기 그가 정확히 그렇게 하고 있다."[1]
《가디언》은 10점 만점에 8점을 주면서 "No Thyelf는 1981년 작 'Magic, Murder and the Weather' 대신 4집을 만들었어야 했는데, 이 앨범은 존 맥거치를 크게 빗나갔다"고 말했다.여기에 기타리스트 노코와 베이시스트 존 '스탠' 화이트(영화 약속이 있었던 배리 애덤슨 교체)가 첫 3장의 클래식 앨범에 깔린 소닉 청사진을 탈환하는 데 도움을 준다.[5]
모조(인쇄판에만 해당)는 10점 만점에 8점을 주면서 "10곡의 바삭바삭하고 장난기 넘치는 노래로 밴드 레전드의 격상된 기준을 회복한다"(표준 10트랙판 참조)고 말했다.[6]
트랙리스트
하워드 데보토의 모든 가사, 표시된 곳을 제외한 모든 가사.데보토, 도일, 포뮬러, 노코의 모든 음악, 표시된 곳을 제외한 모든 음악.
No. | 제목 | 작성자 | 길이 |
---|---|---|---|
1. | "뜻을 행하라" | 데보토(음악과 가사), 도일, 포뮬러, 노코, 피트 셸리(음악과 가사) | 4:28 |
2. | "기타 테마 소재" | 4:08 | |
3. | "진보의 최악....."" | 4:59 | |
4. | "안녕 커티스 아저씨 (사과와 함께)" | 4:17 | |
5. | "물리학" | 4:11 | |
6. | "영어 해프닝" | 4:11 | |
7. | "홀리 도티지" | 4:20 | |
8. | "물론 하워드(1979년)" | 4:44 | |
9. | "최종 분석 왈츠" | 4:51 | |
10. | "노래의 부담" | 4:33 | |
11. | "블리스터팩 블루스"(보너스 트랙) | 4:27 |
변형
- WIRED 18 – 11 트랙 스페셜 에디션, 보너스 트랙 "블리스터팩 블루스"
- WIRED 19 – 표준 10 트랙 버전
- WIRED 22 – 10 트랙 12인치 비닐 LP 버전
- WIRED 17 – 한정판 10" 비닐 싱글 "안녕 미스터 커티스(사과와 함께)"가 "Holly Dotage"로 뒷받침된다.
인원
- 하워드 데보토 – 보컬
- 존 도일 – 드럼
- Dave Formula – 키보드
- Norman Fisher-Jones(Noko라고도 함) – 기타 및 백 보컬
- Jonathan "Stan" White – 베이스 기타 및 백 보컬
- 크리스틴 핸슨 – "최종 분석 왈츠"의 첼로와 현악기
- 로잘리 커닝햄 – 백 보컬
- 런던 스트롱룸 스튜디오3에서 마이크 닐슨 혼방
차트 위치
차트(2011년) | 피크 포지션 |
---|---|
영국 앨범 차트 | 167 |
참조
- ^ a b c Mulholland, Garry (21 October 2011). "Magazine No Thyself Review". BBC. Retrieved 13 November 2011.
- ^ a b c Guthrie, Sean (26 October 2011). "Magazine, No Thyself (Wire-Sound)". www.heraldscotland.com. Retrieved 12 November 2011.
- ^ a b Simpson, Dave (12 March 2004). "John McGeoch Innovative and influential guitarist of the post-punk era". The Guardian. Retrieved 12 November 2011.
- ^ "The Misshapen Polyp Floating on the Shores". odilon-redon.org. 21 September 2014. Retrieved 21 September 2014.
- ^ a b Simpson, Dave (20 October 2011). "Magazine No Thyself Review". The Guardian. Retrieved 13 November 2011.
- ^ "No Thyself by Magazine reviews". Any Decent Music. Retrieved 13 August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