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면 슛

Shot by Both Sides
"양면 촬영"
Magazine - Shot By Both Sides single picture cover.jpg
싱글 바이 매거진
앨범 《Real Life》에서
B측"내 마음은 그렇게 개방적이지 않다"
방출된1978년 1월 20일
장르.
길이4:04
라벨버진
작곡가
프로듀서
  • 믹 글로섭
  • 잡지
매거진 싱글 연대기
"양면 촬영"
(1978)
"터치 앤 고"
(1978)
공식 오디오
유튜브에서 "양쪽 모두 촬영"(리매스터됨)

'쇼트 바이사이드'하워드 데보토피트 셸리가 작사, 영국의 포스트 펑크 밴드 매거진이 공연한 곡이다. 1978년 1월 밴드의 첫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 41위에 올랐고, 몇 달 후 데뷔 앨범 《Real Life》에 출연하였다. 곡은 포스트 펑크 장르의 세미나는 [1][2]물론 팝 펑크[3], 뉴웨이브 곡으로도 꼽혀왔다.[4][5]

싱글이 녹음될 무렵, 매거진은 원래 키보드 연주자 밥 디킨슨이 그 전 해에 밴드를 떠났기 때문에 단 4명의 멤버로 구성되었다. 케브 잭슨은 평소 기타리스트가 손을 다쳤기 때문에 '쇼 바이 투 사이드' 스튜디오 녹음에서 리드 기타를 연주했다.

표지의 작품은 1886년작인 심볼리스트 오딜론 레돈(1840–1916)의 작품인 라 치메레 리에아베를 바탕으로 말콤 개럿이 디자인했다.[6]

노래

이 노래의 이름은 데보토와 그의 여자친구의 정치적 논쟁에서 유래되었는데, 데보토의 여자친구는 데보토에게 "아, 결국 양쪽에서 총격을 받게 될 거야"[7]라고 말했다.

이 곡은 피터 셸리가 데보토가 "일부 잠정적인 버즈콕스 노래"를 도와줄 때 생각해 낸 리프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화음순을 연주했고 나는 정말 감명받았고 그렇게 말했고, 그는 그냥 내게 화음순번을 연주했고 그리고 나서 그것을 내게 주었다고 말했다.[8]

1978년 11월 B사이드로 발매된 데보토의 전 밴드 버즈콕스의 '립스틱'에 같은 기타 리프가 사용돼 데보토가 공동작성 크레딧을 받았다.[9]

리셉션

이 곡은 1978년 NME가 선정한 올해의 트랙 중 9위에 올랐다.[10]

커버 버전

스웨덴 펑크 밴드 No Fun at All이 앨범 EP의 Going Steady에 수록된 노래를 커버했다.

'Shot by Both Sides'는 더블린 밴드 인투 파라다이스, 영국 82 펑크 밴드 잉글리시 도그, 프랑스 펑크 록커 레 카다브르, 핀란드 펑크 밴드 콜라 케스타에(핀란드어로는 "식시")가 커버하기도 했다.

'Shot by Both Side'는 라디오헤드(노래 "Just"가 비슷한 기타 리프를 포함하고 있는 곡), 만선, 자비스 코커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라이브로 연주해 왔다.

인원

참조

  1. ^ Lester, Paul (March 1, 2002). "Part time punks" – via www.theguardian.com.
  2. ^ "20 More Great Post-Punk Tracks". Mojo. 10 April 2014. Retrieved 23 August 2016.
  3. ^ Erlewine, Stephen Thomas. "Magazine Biography & History". AllMusic. Retrieved November 20, 2019.
  4. ^ Sullivan, Jim (August 25, 2018). "10 More Songs That Defined New Wave Music". Best Classic Bands.
  5. ^ Ross, Graeme (June 7, 2018). "Playlist: 10 best new wave singles of 1978". The Independent.
  6. ^ "Odilon Redon and Magazine". March 5, 2012.
  7. ^ 레이놀즈, S: Rip It Up and Start Again: Post Punk 1978–1984, 페이지 21. Faber & Faber Ltd, 2005
  8. ^ Kent, Nick (April 28, 1979). "Howard Devoto: The Compleat Fatalist". NME.
  9. ^ 피터 버클리가 편집한 거친 바위 가이드
  10. ^ "Albums and Tracks of the Year". NME. 2016. Retrieved November 2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