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모

Nommo
텔렘족의 Nommo 인물

Nommo 또는 Nummo는 도곤 종교와 우주론(때로는 반신이라고도 함)에서 말리 [1]도곤 사람들숭배하는 원시 조상들의 영혼이다.'노모스'라는 말은 '술을 만들다'는 뜻의 도곤어에서 유래했다.Nommos는 보통 수륙양용, 자웅동체, 물고기 같은 생물로 묘사된다.Nommos의 민속 예술 묘사는 인체형 몸통, 다리/발, 그리고 물고기 같은 몸통과 꼬리를 가진 생물들을 보여준다.Nommos는 "물의 달인", "모니터", "선생님"이라고도 불립니다.노모는 개인의 고유명칭일 수도 있고 영혼의 집단 전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이 기사의 목적상, 「Nommo」는 특정의 개인을 가리키고, 「Nommos」[2]는 존재의 집단을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노모 신화

도곤종교와 창조신화 Nommo가 하늘의 신 Amma에 의해 창조된 최초의 생명체라고 말한다.창작 직후, Nommo는 변신하여 4쌍의 쌍둥이로 증식했다.쌍둥이 중 한 명은 암마가 만든 세계 질서에 반기를 들었다.그의 창조물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암마는 또 다른 Nommo 자손을 제물로 바쳤는데, 그의 몸은 잘려지고 [3]온 우주에 흩어져 있었다.도곤은 이러한 신체 부위의 살포를 도곤의 전통 영토에 걸친 비누 신사의 확산의 원천으로 보고 있으며, 신체 부위가 떨어지는 곳에는 사당이 세워졌다.

1940년대 후반, 프랑스의 인류학자 마르셀 그리오제르맹 디테를렌은 그들이 Nommo에 관한 추가적인 비밀 신화의 수혜자라고 썼다.보도에 따르면 도곤족은 Griaule과 Dieterlen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Nommos족이 시리우스 주위를 도는 세계의 주민이라는 믿음이었다.Nommos는 불과 천둥을 동반한 배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왔다.도착 후, Nommos는 물 저수지를 만들고 이어서 물속으로 뛰어들었다.도곤 전설에 따르면 Nommos가 살기 위해서는 물 많은 환경이 필요했다고 한다.그리아울레와 디테를렌에 관한 신화에 따르면, "놈모는 그의 몸을 사람들에게 먹이기 위해 그의 몸을 나눴다. 그것이 또한 우주가 그의 몸을 마셨기 때문에, 놈모는 또한 사람들을 마시게 만들었다"고 한다.그는 모든 삶의 원칙을 인간에게 바쳤다.Nommo는 또한 최초의 호곤의 [4][5]기원이라고 여겨진다.

논란

도곤족을 연구하는 인류학자 월터 반 비크는 그들이 시리우스에 대해 역사적으로 진보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반 비크는 그리아울레가 그의 도곤 소식통에 대해 매우 주도적이고 강력한 의문을 품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신화가 짜깁기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가정했다.

그들은 시구톨로에 대해 이야기하지만(그리아울이 주장한 것은 시리우스라고 주장한 것은) 어떤 별에 대해 서로 완전히 다르다.어떤 사람에게는 시구[축제]를 알리기 위해 일어나야 하는 보이지 않는 별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다른 위치를 통해 시구톨로로 나타나는 금성이다.그러나 모두 [6]그리아울로부터 스타에 대해 배웠다는 것에 동의한다.

칼 세이건은 도곤이 쌍성으로서 시리우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연관성은 1940년대이며, 도곤은 그들이 접촉했던 보다 과학적으로 진보된 지구 사회로부터 시리우스와 태양계에 대한 우주론적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했다고 언급했다.또한 시리우스와 같은 쌍성계는 매우 좁거나 존재하지 않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을 가지고 있다고 이론화되었고, 따라서 생명체를 유지할 수 있는 행성을 포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특히 Nommos가 보고한 것처럼 물에 의존하는 생명체).

마르셀 그라우의 딸이자 동료인 Geneviéve Calame-Griaule은 Van Beek의 비판은 난해한 [7]전통에 대한 명백한 무지에 뿌리를 둔 잘못된 추측이라고 일축하며 이 프로젝트를 옹호했다.반 비크는 그리우레가 틀렸다고 계속 주장하면서 그의 [8]연구를 거부하는 다른 인류학자들을 인용하고 있다.

도곤이 시리우스계의 또 다른 별, 즉 "시리우스 B보다 크지만 밝기는 더 가볍고 어둡다"를 알고 있었다는 주장은 계속해서 논의되고 있다.1995년 중력 연구 결과 시리우스 주위를[9] 도는 적색왜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더 이상의 관측에서는 이를 [10]확인할 수 없었습니다.우주 저널리스트이자 회의론자인 제임스 오버그는 1982년 자신의 책에서 도곤 신화에 관한 주장을 수집했고 최근의 획득에 대한 그러한 가정은 "완전히 정황적"이며 문서화된 증거에 근거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며 시리우스 미스터리가 정확히 제목 그대로 유지될 것 같다고 결론지었다.mplies: 미스터리.[11]앞서, 천문학자 피터 페쉬와 그의 협력자 롤랜드[12] 페쉬, 이안[13] 리드패스와 같은 다른 비평가들은 도곤에 대한 추측된 "고급" 천문학 지식은 해설자들의 과잉 해석과 문화적 오염의 혼합 때문이라고 말했다.

픽션에서의 레퍼런스

로버트 템플이 사이비 고고학 책 시리우스 미스터리에서 내린 결론뿐만 아니라, Nommo를 둘러싼 믿음의 구조는 래리 니븐과 스티븐 반스가 드림 파크 시리즈의 세 번째 권인 캘리포니아 부두 게임의 배경으로 사용했다.소설가 톰 로빈스는 그의 소설 개구리 잠옷을 입고 반쯤 잠든 상태에서 노모와 시리우스 미스터리를 논한다.Nommo와 Dogon은 또한 Philip K에서 널리 언급된다.소설 V.A.L.I.S..이안 더글러스의 레거시 트릴로지(배틀스페이스)의 두 번째 책에도 '놈모'가 언급돼 있다.그랜트 모리슨의 만화책 시리즈인 '인비저블'에도 '놈모'에 대한 언급이 있다.Jesse Moynihan의 웹툰 시리즈 Forming의 주요 캐릭터는 Nommo에서 영감을 받아 명명되었습니다.

레퍼런스

  1. ^ 슐츠, 도로테아, 말리의 문화와 관습, ABC-CLIO (2012), 페이지 68, ISBN9780313359125 (2020년 3월 18일 회수)[ 1 ]
  2. ^ Crowley, Vivianne; Crowley, Christopher; Carlton Books, Limited (2002), 195페이지, ISBN 97818589876
  3. ^ "Sacred Sites of the Dogon, Mali". www.sacredsites.com.
  4. ^ "Dog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1. Retrieved 26 March 2011.
  5. ^ Imperato, Pascal James (2001). Legends, sorcerers, and enchanted lizards: door locks of the Bamana of Mali. Africana Publishing. ISBN 978-0-8419-1414-8.
  6. ^ van Beek, Walter E. A. (1991). "Dogon Restudied: A Field Evaluation of the Work of Marcel Griaule". Current Anthropology. 32: 139–167. doi:10.1086/203932.
  7. ^ Calame-Griaule, Genevieve (1991). "On the Dogon Restudied". Current Anthropology. 32 (5): 575–577. doi:10.1086/204001. S2CID 143668492.
  8. ^ van Beek, Walter E. A. (2004). "Haunting Griaule: Experiences from the Restudy of the Dogon". History in Africa. 31: 43–68. doi:10.1017/s0361541300003399. S2CID 232174721.
  9. ^ Benest, D.; Duvent, J. L. (1995). "Is Sirius a triple star?". Astronomy and Astrophysics. 299: 621. Bibcode:1995A&A...299..621B.
  10. ^ Bonnet-Bidaud, J. M.; Colas, F.; Lecacheux, J. (August 2000). "Search for companions around Siriu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60: 991–996. arXiv:astro-ph/0010032. Bibcode:2000A&A...360..991B.
  11. ^ 제임스 오버그, UFO와 우주 미스터리 6장 시리우스 미스터리(1982) 도닝 프레스
  12. ^ P. & R. Pesch (1977). "The Dogon and Sirius". The Observatory. 97: 26. Bibcode:1977Obs....97...26P.
  13. ^ Ian Ridpath, Substitive Inquirer, 1978년 가을

외부 링크